[[분류:가톨릭학원]][[분류:1944년 개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분류:가톨릭계 고등학교]][[분류:성북구의 고등학교]][[분류:길음뉴타운]]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구광역시의 동명 개신교계 고등학교, rd1=계성고등학교(대구))]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명칭이 계성여자상업고등학교였던 부산광역시의 고등학교, rd1=계성여자고등학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개”성고등학교라는 이름의 부산광역시의 고등학교, rd1=개성고등학교)] [include(틀:교육기관)] ||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3f, #fff, #fff, #fff,#00003f)" {{{#!wiki style="margin: -7px;" || {{{#!wiki style="margin: -7px 0" [[|[[파일:계성고.png|width=50]]]]}}}||{{{#!wiki style="margin: -7px 0" [[|{{{#014a97 계성고등학교}}}]][br]'''{{{#014a97 {{{+1 관련 틀 }}}}}}'''}}} ||}}}}}} || ||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 성북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학교법인 가톨릭학원)] || '''[[유네스코|{{{#white {{{+2 유네스코}}}}}}]]''' '''{{{#white {{{+2 한국위원회 지정[br]유네스코 협동학교 ASPnet}}}[br]UNESCO Associated Schools Project Network}}}''' || || [[파일:unesco_ASPschool.jpeg.jpg|width=300]] || || '''{{{#white {{{+2 계성고등학교}}}}}}'''[br]{{{#white Gyeseong High School}}} || }}}}}} || ||<-2> '''{{{#f5f5f2 {{{+1 계성고등학교}}}[br]啓星高等學校}}}[br]{{{#f5f5f2 Gyeseong High School}}}''' || ||<-2> [[파일:계성고.png|width=2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계성고등학교, 너비=100%)]}}} || || {{{#f5f5f2 '''개교'''}}} || {{{#242424 [[1944년]] [[9월 8일]]}}} || || {{{#f5f5f2 '''학교 유형'''}}} || {{{#242424 [[일반계고등학교]]}}} || || {{{#f5f5f2 '''성별'''}}} || {{{#242424 [[남녀공학]]}}} || || {{{#f5f5f2 '''운영 형태'''}}} || {{{#242424 [[사립학교|사립]]}}} || || {{{#f5f5f2 '''학교법인'''}}} || [[가톨릭학원]] || || {{{#f5f5f2 '''교장'''}}} || 민혜숙 || || {{{#f5f5f2 '''교훈'''}}} || {{{#00004b '''예의 바른 학생이 되자 [br]실력 있는 학생이 되자[br]봉사하는 학생이 되자[br]'''}}} || || {{{#f5f5f2 '''교목'''}}} || {{{#242424 [[은행나무]]}}} || || {{{#f5f5f2 '''교화'''}}} || {{{#242424 [[백합]]}}} || || {{{#f5f5f2 '''교조'''}}} || {{{#242424 [[비둘기]]}}} || || {{{#f5f5f2 '''학생 수'''}}} || {{{#242424 832명[*기준 [[2023년]]]}}} || || {{{#f5f5f2 '''교직원 수'''}}} || {{{#242424 77명[*기준]}}} || || {{{#f5f5f2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성북강북교육지원청]] || || {{{#f5f5f2 '''주소'''}}} || {{{#242424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로 63 ([[길음동]])}}} || || {{{#f5f5f2 '''홈페이지'''}}} || [[https://gyeseong.sen.hs.kr/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계성고등학교(啓星高等學校)는 1944년 9월 8일에 개교한 [[천주교 서울대교구]] 산하의 일반계 사립 [[미션스쿨]] 고등학교이다.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서울관구에서 위탁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에 자리 잡고 있다. 계성고등학교는 본래 ‘'''계성여자고등학교'''’로 [[명동성당]] 옆에 자리 잡고 있었다.[* 그래서 1987년 [[6월 항쟁]] 당시에 계성여고 학생들이 자신들의 도시락을 [[명동성당]] 농성대원들에게 나누어 주었다는 훈훈한 일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그러나 2011년에 [[명동성당]]과 계성여고, 가톨릭회관 등의 부지를 아울러 개발하는 ‘명동성당 특별구역 세부개발계획(이하 명동성당 개발계획)’이 수립되면서 2016년 3월 1일에 성북구 길음동으로 이전하였고 이때 남녀공학으로 전환하여 학교 이름도 ‘'''계성고등학교'''’로 바꾸었다.[* 계성여고와 비슷하게 서울의 전통있는 여고 중 [[도심 공동화]]로 인한 학생 수급난을 해결하기 위해 주택이 많은 동네로 옮기는 동시에 단성 고교 체제를 공학 체제로 변경한 경우가 또 있다. 역시 도심에 있던 [[풍문여자고등학교]]로, 강남구 자곡동 신규 개발 택지로 이전하며 공학화했다.] 계성여고 명동 교사 동쪽에는 같은 재단의 [[계성초등학교(서울)|계성초등학교]]도 있었다. 그러나 고등학교가 옮기기 훨씬 전인 2006년에 [[서초구]] [[반포동]]으로 이사갔다. 초등학교 건물과 고등학교 건물은 [[천주교 서울대교구|서울대교구청 별관]]으로 사용 중이다. 같은 재단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가 있으니 중학교도 있겠다고 생각하겠지만, 계성여자중학교는 1987년에 폐교됐다. 계성고등학교의 '계성'(啓星)은 [[금성]], 즉 [[샛별]]을 뜻하는 말로서 '새벽을 밝히는 샛별처럼 세상을 밝히는 어질고 이타적인 인재를 양성한다'는 학교의 인재상과 교육 이념을 담고 있다. 계성고 졸업생과 재학생, 교사들은 계성고 학생들을 '샛별'이라는 애칭으로 부르는데 그 이유가 여기에 있다. == 학교 연혁 == || '''날짜''' || '''연혁''' || || 1942년 1월 8일 ||[[노기남]] 바오로 대주교 재단 이사장 취임|| || 1944년 8월 10일 ||계성여자상업전수학교 인가(3년제, 3학급)|| || 1944년 8월 22일 ||초대 교장 [[장발(1901)|장발]] 루도비코[* [[대한민국 제2공화국]] [[장면]] [[국무총리]]의 첫째 동생으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초대 학장을 지낸 서양화가였으며 형과 더불어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다.] 선생 취임|| || 1944년 9월 8일 ||개교|| || 1946년 6월 24일 ||계성여자중학교 인가(6년제, 12학급)|| || 1951년 8월 31일 ||학제 개편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분리|| || 1957년 5월 31일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서울관구에서 이관|| || 1973년 9월 30일 ||성미관(星美館) 완공|| || 1978년 5월 3일 ||샛별관 준공|| || 1986년 3월 30일 ||도서관 준공(633평)|| || 1986년 5월 31일 ||재단법인 [[천주교 서울대교구]] 유지재단으로 명칭 변경|| || 1986년 8월 30일 ||본관 준공(218평)|| || 1986년 12월 30일 ||교사 대수선(성미관, 성지관, 샛별관, 운동장, 정원)|| || 1987년 2월 28일 ||계성여자중학교 폐교|| || 1988년 9월 14일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한국 진출 100주년 기념 행사|| || 1994년 9월 8일 ||개교 50주년 기념식 및 '계성 50년사' 발간|| || 1995년 3월 1일 ||재단이 [[학교법인 가톨릭학원]]으로 개편됨, 학급 감축('95연도부터 8학급으로 모집)|| || 2013년 3월 1일 ||제18대 교장 심숙진 수녀 취임|| || 2015년 2월 5일 ||제64회 졸업식 거행|| || 2016년 3월 1일 ||[[남녀공학]] 계성고등학교로 전환 및 [[성북구]] [[길음동]]으로 신축 이전|| || 2021년 3월 1일 ||제19대 교장 민혜숙 수녀 취임|| == 학교 특징 == 계성고등학교는 미술 중점 학교로 지정되어 다른 학교에 비해 미술대학 진학을 원하는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해 프로그램이 특화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미술 관련 동아리, 미술 관련 수업량 유연화, 미술거점반이 존재한다. 또한 거점학교에서 미술중점 학교답게 미술 수업을 진행하는데, 다른 학교의 학생들도 방학 동안 진행하는 거점학교 프로그램을 통하여 계성고등학교 학교의 미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다. 2023년 계성고등학교에서 진행한 거점학교 미술 수업은 드로잉과, 디자인 제도이다. 학교 교칙이 인근 타 학교에 비해서 강하다. 특히 교복과 관련한 규정을 학생들은 많이 불편하게 생각하고, 머리의 염색과, 파마가 불가능한 점 등 학생들 사이에서도 불만이 많다. 자세한 학교 교칙은 계성고등학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남녀 비율의 차이가 크다. 보통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4:6이며 2022년 입학한 학년은 남녀 비율이 3:7로 여학생 비율이 높은 편이다. == 학교 시설 == === 본관 === ||<-2>
{{{+1 '''본관 시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47ed6; font-size: .9em" {{{#fff 5층}}}}}} || 자율학습실, 3학년 홈베이스 및 러닝 스페이스, 3학년 교무실, 물리실, 지구과학실, 각 3학년 교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47ed6; font-size: .9em" {{{#fff 4층}}}}}} || 자율학습실, 2학년 홈베이스 및 러닝스페이스, 2학년 교무실, 생물실, 화학실, 각 2학년 교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47ed6; font-size: .9em" {{{#fff 3층}}}}}} || 도서관, 1학년 홈베이스 및 러닝스페이스, 1학년 교무실, 컴퓨터실, 학생회실, 제2외국어실, 각 1학년 교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47ed6; font-size: .9em" {{{#fff 2층}}}}}} || 샛별꿈터, 위클래스, 매점, 보건실, 미술실, 특수교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47ed6; font-size: .9em" {{{#fff 1층}}}}}} || 시청각실, 교장실, 행정실, 바오로방[* 상위권 성적의 학생들이 공부하는 곳이다.], 중앙교무실, 생활지도부실, 방송실 || 2016년 본관 공사가 완료되어 학교가 최근에 지어진 만큼 여러 시설들이 좋은 편이다. 학생들은 후문쪽 현관을 이용하게 되는데 그곳은 2층이다. * '''러닝스페이스''':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휴식 공간이다. 학급 앞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학년당 2개, 총 6개의 러닝스페이스가 존재한다. 학생들은 노트북 사용, 공부 등과 휴식 활동을 이곳에서 보낸다. * '''홈베이스''': 각 학년 층의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러닝스페이스와 마찬가지로 의자에서 쉴 수 있는 공간이다. * '''도서관''': 도서관은 1학년 층인 3층에 위치하며 독서 활동은 물론 프린터기가 있어 학생들은 도서관에서 돈을 지불하고 프린트를 할 수 있다. * '''샛별꿈터''': 2층에 위치한다. 러닝스페이스 리모델링 공사 이전에는 학생들이 휴식 공간으로 쓰이고 있었다. 선생님들의 회의, 상담공간 등 다양하게 쓰이던 공간이다. 최근에는 학생회 회의와 선생님들의 공적 이용이 보통이다. * '''자율학습실''': 4층 5층에 위치하며, 야간자율학습때 사용한다. === 샛별관 === ||<-2>
{{{+1 '''샛별관 시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47ed6; font-size: .9em" {{{#fff 2층}}}}}} || 체육관, 체육 교무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47ed6; font-size: .9em" {{{#fff 1층}}}}}} || 급식실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047ed6; font-size: .9em" {{{#fff 지하}}}}}} || 각 동아리실, 무용실 ||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2> 주요 행사 || || 1월 ||방학식, 졸업식 || || 2월 ||종업식 || || 3월 ||입학식, 모의고사 || || 4월 ||모의고사[*3학년] || || 5월 ||학급체험활동, 평화의밤 || || 6월 ||수능모의평가[*3학년] || || 7월 ||과학캠프, 방학식 || || 8월 ||개학식 || || 9월 ||종현제[* 학교 축제], 모의고사, 개교기념미사[*1학년][*2학년], 개인별진로체험[*1학년][*2학년] || || 10월 ||수련활동[*1학년], 소규모테마형교육여행[*2학년], 학부모의날 || || 11월 ||수능미사, 학생회의 날, 대학수학능력시험[*3학년] || || 12월 ||교직원미사 || === 학교 일과 === === 시간표 === || 구 분 || 시 간 || || 학급 조회 (아침명상) || 08:00-08:15 || || 1교시 (50분) || 08:15-09:05 || || 2교시 (50분) || 09:15-10:05 || || 3교시 (50분) || 10:15-11:05 || || 4교시 (50분) || 11:15-12:05 || || 점심시간 (70분) || 12:05-13:15 || || 5교시 (50분) || 13:15-14:05 || || 6교시 (50분) || 14:15-15:05 || || 7교시 (50분) || 15:15-16:05 || || 청소 및 종례 || 16:05-16:20 || || 방과후학교 || 16:30-17:30 || || 야간자율학습 || 18:30-22:00 || == 출신 인물 == [[여자고등학교|여고]]에서 [[남녀공학]]으로 전환한지 겨우 [age(2016-01-01)]년째이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이 학교 출신 유명인이 모두 [[여자]]였으나, [[남자]] 인물도 생기는 중이다. ||<-3>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계성고.pn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0" {{{-1 계성고등학교}}}[br]{{{+1 '''출신 인물'''}}}}}} ||}}} || || '''성명''' || '''설명''' || || [[굴러라 구르님]] ||지체장애인 유튜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 재학 || || [[김영옥(배우)|김영옥]] ||배우 || || [[김지우(배우)|김지우]] ||배우 || || [[김추월]] ||배우 || || [[러비(가수)|러비]] ||가수 || || [[문정림]] ||의사 출신 정치인 || || [[박경희(방송인)|박경희]] ||전 KBS 아나운서 || || [[서수경]] ||스타일리스트 || || [[안연홍]] ||배우 || || [[윤명화]] ||정치인 || || [[이의경]] ||제5대 [[식품의약품안전처장]]|| || [[장영자]] ||경제사범, 사기꾼|| || [[장희진(1944)|장희진]] ||1994년생. 배우 || || [[도시락 편지|조양희]] ||수필가, 소설가 || || [[하수빈]] ||가수 || || [[홍리나]] ||前 배우|| || [[이정인]] ||KBS 32기 코미디언, 아프리카 BJ || ||<-3> {{{#!wiki style="margin: -2px 0" ※ {{{-2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현대아파트앞/래미안501동앞(08514·08770)'''}}}}}} ||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성북08|{{{#ffffff 성북0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성북09|{{{#ffffff 성북09}}}]]}}}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길음동동부아파트(08173·08174)'''}}}}}} || || [[간선버스(서울)|{{{#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4|{{{#ffffff 10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9|{{{#ffffff 10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21|{{{#ffffff 121}}}]]}}}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52|{{{#ffffff 152}}}]]}}} || || [[지선버스(서울)|{{{#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115|{{{#ffffff 1115}}}]]}}} ||}}} === 도시철도 === ||<-3> {{{+2 '''길음역'''}}} || ||<-3>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30]] || || [[진접역|{{{#!html
진접 방면}}}]][[미아사거리역|미아사거리]][br]←1.3 km || [[수도권 전철 4호선|{{{#!html
4호선
(417)
}}}]] || [[오이도역|{{{#!html
오이도 방면}}}]][[성신여대입구역|성신여대입구]][br]1.4 k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