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rokps.or.kr/586.jpg|width=100%]] || ||이름||계광순(桂珖淳/Gye Gwang Soon) || ||출생||[[1909년]] [[2월 16일]]|| ||사망||[[1990년]] [[3월 19일]](향년 81세)||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수안 계씨|수안]](遂安)[* 정문파 21세 순(淳) 항렬.]. == 생애 == 1909년 2월 16일 [[평안북도]] [[선천군]] 심천면 고군영리[* 인근의 부황리와 함께 [[수안 계씨]] 집성촌이다.][[http://db.history.go.kr/id/im_101_00339|#]](현 [[동림군]] 고군영리)에서 평안북도 관찰부주사(觀察府主事)를 지낸 아버지 계용즙(桂龍楫)과 어머니 [[연안 김씨]] 김만국(金萬國)의 딸 사이의 3남 1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신의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에 유학가서 [[구제고등학교|마쓰야마고등학교]], [[도쿄대학|도쿄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였다. 대학 졸업 직후 1931년 [[조선총독부]] 강원도 내무부 지방과 속(屬:하급 보조 문관)에 임명되면서 관계에 진출하였다. 이후 [[춘천시|춘천군]] 속에 임명되었으며, 1932년 일본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한 후에는 강원도 [[회양군]] 속에 임명되었다. 이때 1934년 강원도 경찰부 경무과 경부(警部), 1935년 강원도 [[평강군]]수, 1936년 함경남도 경찰부 보안과 경시(警視: 경부 바로 위 계급)로 있으면서 독립운동을 탄압하는 데에 일조하였다. 이후 1939년 조선총독부 식산국 산금과 사무관, 1940년 식산국 착암공양성소 사무관, 1941년 학무국 사회교육과 사무관, 1942년 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회 간사 및 위원, 조선간이생명보험심사회(朝鮮簡易生命保險審査會) 위원, 1943년 강원도 참여관, 강원도 산업부 도사무관 등으로 관료 생활을 하였다.[[http://db.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sort=&dir=&limit=20&page=1&pre_page=2&setId=21&totalCount=21&kristalProtocol=&itemId=jw&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A%B3%84%EA%B4%91%EC%88%9C&brokerPagingInfo=&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A%B3%84%EA%B4%91%EC%88%9C&searchKeywordConjunction=AND|#]] [[8.15 광복]] 후 광업계에 투신, 기업체에서 임원으로 활동하였다. [[6.25 전쟁]] 때 [[조선인민군]]에 체포되어 납북되던 중 탈출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강원도]] [[춘천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홍창섭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55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자유당]] [[홍창섭]]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 신파 소속으로 활동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민주당에 속하였다. 1965년 [[민중당(1965년)|민중당]] 소속일 때 [[조재천]]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이 [[한일기본조약]]에 반대하여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자 전국구 국회의원직을 승계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후보로 강원도 춘천시-춘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김우영(1921)|김우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여생을 보내다가, 1990년 3월 19일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근교 아케이디아(Arcadia) 시 자택에서 별세하였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3220023911701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0-03-22&officeId=00023&pageNo=17&printNo=21223&publishType=00010|#]]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이 선정한 친일파 708인 명단,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수록되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도]] [[춘천시]]) || [include(틀:무소속)] || 8,520표 (41.9%) || 낙선 (2위) ||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도]] [[춘천시]]) ||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5,950표 (54.7%)''' || '''당선 (1위)''' || '''초선'''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도]] [[춘천시]]) ||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5,748표 (51.9%)''' || '''당선 (1위)''' || '''재선'''[* 1961년 5월 16일: 자격정지([[5.16 군사정변]])]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 '''[include(틀:민주당(1963년))] ''' || 1,252,827표 (13.5%) || '''승계 (8번)''' || '''3선'''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강원도 춘천시-춘성군)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8,613표 (13.0%) || 낙선 (3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강원도)]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강원도)] [include(틀:제6대 국회의원/전국구)] [[분류:에히메대학 출신]][[분류:도쿄대학 출신]][[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제6대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55년) 국회의원]][[분류:선천군 출신 인물]][[분류:수안 계씨]][[분류:1909년 출생]][[분류:1990년 사망]][[분류:실향민]][[분류:고등문관시험 출신]][[분류:희귀성씨인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