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고려 왕후)] ---- [include(틀:고려의 왕녀/선종 ~ 공양왕)]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고려 예종의 제1왕후[br]{{{+1 경화왕후 | 敬和王后}}}'''}}}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타이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고려 선종의 왕녀[br]{{{+1 연화공주 이씨 | 延和公主 李氏}}}'''}}} ||}}}}}}}}} || ||<|2> '''출생''' ||[[1079년]][* 모후인 [[정신현비]]의 훙서년] || ||[[고려]] [[개성시|개경]] 국원공부(國原公府)[* 부친인 [[선종(고려)|선종]]이 즉위전 국원공(國原公)일 때의 사저][br](現 [[경기도]] [[개성시]]) || ||<|2> '''사망''' ||[[1109년]] [[7월 29일]](향년 31세) || ||[[고려]] [[개성시|개경]] 연화궁[br](現 [[경기도]] [[개성시]]) || || '''능묘''' ||[[자릉]](慈陵) || ||<|2> '''재위기간''' ||'''{{{#670000 고려 제1왕후 - 연화궁주}}}''' || ||[[1106년]] [[6월 2일]] ~ [[1109년]] [[7월 2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부계 [[개성 왕씨]][br]모계 [[인천 이씨|인주 이씨]][* 현재는 [[인천 이씨]]. 예전에는 경원 이씨, 인주 이씨 라고도 불렀다. 인천의 과거 지명이 경원(慶源), 인주(仁州)였기 때문이다.] || || '''부모''' ||부왕 [[선종(고려)|선종]][br]모후 [[정신현비]] || || '''형제자매''' ||{{{#!folding 4남 3녀 중 장녀 [ 펼치기 · 접기 ] [[경화왕후]] [[헌종(고려)|헌종]] 수안택주(遂安宅主) 조졸한 공주 [[한산후|한산후 왕윤]](王昀) 왕자 왕자}}} || || '''배우자''' ||[[예종(고려)|예종]] || || '''종교''' ||미상 || || '''거처''' ||연화궁(延和宮) || || '''존호''' ||연화궁주(延和宮主) || || '''시호''' ||'''경화왕후(敬和王后)'''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예종(고려)|예종]]의 제1비. 예종의 다른 왕후들과 달리 경화(敬和)의 시호를 받았다. == 생애 == 1079년에 [[선종(고려)|선종]]과 [[정신현비]]의 딸로 태어났으며, 성씨는 외가의 성을 따라 이씨(李氏)로 하였다. 남편인 예종과는 친사촌이 된다. 아버지 선종이 즉위전에 어머니 정신현비가 사망해 외가(外家)에서 자라나 연화공주(延和公主)로 책봉(冊封)되었다. 예종 1년인 1106년 6월 2일에 왕비로 맞아들였는데 용의(容儀)가 맑고도 고와 예종이 매우 총애하였다. 나이 31세에 훙서하자 [[자릉]](慈陵)에 장사지내고 시호(諡號)를 경화(敬和)라 하였다. 예종의 첫 왕후임에도 불구하고, 예종의 다른 왕비들과 달리 예종의 시호인 '문'(文)의 시호를 덧붙이지 못했다. [[인종(고려)|인종]]이 생모인 [[순덕왕후|문경왕태후]]를 높이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시호를 달리 했을 것으로 보인다. 덕종의 제3비인 [[효사왕후]]도 덕종의 다른 왕비들과 같은 돌림의 시호를 공유하지 않았지만 자신의 자매[* [[현종(고려)|현종]]의 딸들]들과 같은 돌림의 시호를 공유했다. 경화왕후는 이 경우도 아니다. 예종과의 슬하에 자녀없이 사망을 했고, 경화왕후의 모후인 정신현비도 선종의 제1비였으나 정식왕후의 칭호를 갖지 못한 것도 한 이유였을 것으로 보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예종(고려), version=419, paragraph=4)] [[분류:고려의 공주]][[분류:고려의 왕비]][[분류:1109년 사망]][[분류:인천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