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구광역시 달서구의 고등학교)] [include(틀:경암교육재단)] ||<-2> [[http://www.kyonghwa.hs.kr/domain/DOM_0000083/images/common/logo.png]] || || '''교명''' || 경화여자고등학교 || || '''영문명''' || Gyeonghwa girls high school || || '''개교''' || 1980년 ||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성별''' || 여학교[* 같이 붙어 있는 경암중학교는 남녀공학인데, 원래 경화여중이었다가 남녀공학으로 전환된 것이다.] || || '''운영형태''' || [[사립]] ||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당산로 30길 20 || || '''유튜브''' || [[https://www.youtube.com/@kyunghwa_h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홈페이지''' || [[https://kyonghwa.dge.hs.kr/kyonghwah/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연혁 == * 1973-06-18 학교법인 경암교육재단 설립인가 초대 손중우 이사장 취임 * 1979-11-21 경화여자고등학교 설립인가 * 1979-12-31 본관1층 8개 교실 준공(보통교실5. 특별교실1. 관리실3. 숙직실1. 화장실 19) * 1980-03-05 경화여자고등학교 개교(15학급 인가) * 1983-02-10 제1회 졸업(303명) * 2004-09-15 도서관 신장 개관 * 2009-06-10 영어전용교실 개관, 상담실 신장 개관 * 2010-06-11 기숙사 개관식 * 2013-02-05 본교 시청각실 개관 * 2014-11-03 대구시 교육청 문예창작 중점과정 운영학교 선정 * 2017-10-28 운동장 현대화 사업 준공 * 2018-05-30 도서관 자기주도학습실 개관 * 2020-01 학교 식당 및 강당 현대화 사업 착공 * 2020-01-30 제38회 졸업식 (251명/졸업생 누계 17,202명) * 2020-03-02 제 41회 입학식 (191명) == 특징 == 대구 시내를 돌아다니다 보면 전국에서도 드물다는 황색 --혹은 겨자색--의 마이가 눈에 확 돋보이는 [[교복]]을 채용한 그 학교가 바로 여기다. 바로 옆에 같은 재단 소속이자 여학교출신 남녀공학 학교인 경암중학교[* 구.경화여중]를 두고 있고 또 그 옆에 이름도 비슷하고 권역도 비슷한 [[원화여고]], [[상서고등학교|상서고교]][* 여긴 사립 특성화고교.]가 --세트로-- 있다. --아예 이 일대가 죄다 사립학교 천지다-- 여기서 더 나아가 남쪽에는 체크무늬 교복인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까지 있어서 이 일대는 여고생들로 넘쳐난다. 2013년에 남녀공학으로 전환된 상서고교[* 구.상서여상]를 제외하면 남학생 보는 게 은근히 어렵다.(...) 학교 연혁을 보면 알겠지만 문예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는 학교로써 관련 수업 과정을 적극 도입 하고 있다. 경북여고, [[경덕여고]], 경북여상, 경일여고, 경명여고, 경상여고 등과 함께 경~여고 라인을 따르는 학교이고 이 중에서 대부분이 경화여고와 마찬가지로 사립여고다.[* 이 중에서 공립으로 그나마 알려진 게 경덕여고.] == 출신 인물 == * [[http://icheon.go.kr/site/eminju/boardView.do?post=293418&boardSeq=6032&key=8405|김수경 열사]](1972~1990): 고등학생 운동가. 1989년 노태우 정권의 전교조 탄압 당시 그녀는 학생회 대의원으로써 전교조 가입교사 징계반대 운동을 주도하였다. 이로 인해 학교로부터 '빨갱이'나 '운동권' 등으로 불리며 문제학생으로 찍혀 심한 멸시와 모욕을 당하다 학생회 총무위원으로 있던 1990년 6월 9일 밤, 그녀는 영남대 인문관 4층 옥상에서 뛰어내려 짧은 생을 마감하였다. 2004년 민주화운동 관련자 인정 후 2005년 명예졸업장이 추서됨. ([[http://cafe.daum.net/90cham|김수경 열사 추모사업회]]) * [[김영애(공무원)]] * [[박담희]] - [[ARTBEAT]] 소속 댄서 * [[이두아]] * [[한민정]] - [[정의당]] 대구시당 위원장,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정의당]] [[대구광역시장]] 후보 == 대중교통 == 학교가 사립학교이기 때문에 달서구 성서권역, 서구에서도 시내버스를 이용해 등하교 하는 여학생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다만 당산로를 직접 경유 하는 노선이 아닌 이상 달구벌대로나 장기로까지 걸어 나와서 버스 타느라 어느 노선을 타느냐에 따라 학생들 입장에선 등하교 과정이 다소 힘겨울 수도 있다. --달서4, 달서5, 653을 타야 하는 학생들에게 위로를 표한다.--[* 셋 다 배차간격이 평일 기준 최소 16분, 최장 21분(...) 실제로 하교 시간대 이 근처를 지나가면 어느 정류소든 하나같이 "아 왜이리 안와!!!!" 라고 외치는 여고생들 자주 보인다. --지못미--.] '''감삼초등학교(앞, 건너)[* 교문과 가장 가까운 정류소다.]''' : [[대구 버스 156|156번]], [[대구 버스 356|356번]], [[대구 버스 726|726번]], [[대구 버스 750|750번]], [[대구 버스 달서4, 달서4-1|달서4(-1)번]][br][[상서고등학교]](앞, 건너) : [[대구 버스 653|653번]][br]성당포스코더샵(앞, 건너) : [[대구 버스 306|306번]], [[대구 버스 653|653번]], [[대구 버스 750|750번]],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br]감삼네거리1, 2[* 156, 356, 달서4(-1)는 감삼네거리에서 좌회전 하므로 광장타운 앞에서 승하차 해야 한다.] : [[대구 버스 156|156번]], [[대구 버스 356|356번]], [[대구 버스 425|425번]], [[대구 버스 503|503번]], [[대구, 경산 버스 509|509번]], [[대구 버스 527|527번]], [[대구 버스 달서4, 달서4-1|달서4(-1)번]], [[대구 버스 성서2|성서2번 서문시장행]], [[성주, 칠곡 버스 250|성주 250번]][br]서남시장(앞 1, 2, 건너) : [[대구 버스 405|405번]], [[대구 버스 425|425번]], [[대구 버스 503|503번]], [[대구, 경산 버스 509|509번]], [[대구 버스 527|527번]], [[대구 버스 성서2|성서2번 서문시장행]], [[성주, 칠곡 버스 250|성주 250번]][br]성당코오롱하늘채/성당래미안·e-편한세상앞 : [[대구 버스 306|306번]], [[대구 버스 518|518번]], [[대구 버스 달서4, 달서4-1|달서4(-1)번]], [[대구 버스 달서5|달서5]],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서구1(-1)번]][br]--정류소 이름 좀 관공서로 통일 하자 제발--[br][[도시철도]] : [[감삼역]](도보 약 15분 소요) [[분류:달서구의 고등학교]][[분류:대구광역시의 여자고등학교]][[분류:경암교육재단]][[분류:1980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