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강릉시의 고등학교]][[분류:1983년 개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의 고등학교)] ||{{{#white [[파일:270px-2016년6월28일경포고등학교DSC02759.jpg|width=100%]]}}}|| || {{{#white 학교 전경}}} || ||<-2> '''{{{#white 경포고등학교 [br]Gyeongpo High School[br]鏡浦高等學校}}}''' || ||<-2>[[파일:DispImg_201610040538422060.png|width=100%]]|| ||<-2>[include(틀:지도, 장소=경포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black '''개교'''}}} || [[1983년]] || || {{{#black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black '''성별'''}}} || [[남녀공학]] || || {{{#black '''운영형태'''}}} || [[공립]] || || {{{#black '''교장'''}}} || 이상녀 || || {{{#black '''교감'''}}} || 최OO || || {{{#black '''교훈'''}}} || 힘을 모아 열심히 배우고 익혀 새로움을 창조하자 || || {{{#black '''교화'''}}} || [[철쭉]] || || {{{#black '''교목'''}}} || [[주목(나무)|주목]] || || {{{#black '''학생 수'''}}} || 519명[br](2023학년도 기준) || || {{{#black '''교직원 수'''}}} || 58명[br](2023학년도 기준) || || {{{#black '''관할 교육청'''}}} ||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 || {{{#black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릉대로547번길 14 (포남2동 21) || || {{{#black '''홈페이지'''}}} || [[http://gyeongpo.gwe.h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포고등학교는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포남동]]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 학교 연혁 == * [[1982년]] [[11월 30일]]: 경포고등학교 설립 인가(남녀공학 보통과 24학급) * [[1982년]] [[12월 23일]]: 제1동(본동) 준공 * [[1983년]] [[3월 4일]]: 초대 김종수 교장 부임 * [[1983년]] [[3월 4일]]: 개교식 거행 * [[1984년]] [[12월 31일]]: 제2동(후동) 준공 * [[1996년]] [[12월 31일]]: 제3동(전문부 실습실) 준공 * [[2000년]] [[12월 31일]]: 체육관(보래미관) 준공 * [[2002년]] [[10월 15일]]: 특성화고등학교(전산건축계열) 지정 * [[2008년]] [[3월 1일]]: 특수학급 1학급 인가 * [[2012년]] [[7월 20일]]: 전산건축디자인과 폐과 승인(2013학년도부터 일반계고 보통과 24학급으로 전환) * [[2018년]] [[2월 7일]]: 제33회 졸업식(졸업생 253명, 총 13,401명) * [[2018년]] [[3월 1일]]: 제16대 김재근 교장 부임 * [[2021년]] [[1월 8일]]: 제36회 졸업식(졸업생 193명, 총 14,061명) * [[2021년]] [[9월 1일]]: 제17대 이상녀 교장 부임 * [[2023년]] [[1월 5일]]: 제38회 졸업식(졸업생 187명, 총 14,448명) == 교훈 및 상징 == * 출처: [[http://gyeongpo.gwe.hs.kr/|경포고등학교 홈페이지]] === 교화 === [[파일:F013004328044321.jpg]] 교화는 [[철쭉]]이다. [[철쭉]]의 꽃말처럼 정열과 [[의지]]로 현실을 직시하며 살아가라는 의미. === 교목 === [[파일:F013004326950651.jpg]] 교목은 [[주목(나무)|주목]]이다. 항상 굳건하고 늘 푸른 기상 속에서 꿈을 키운다는 의미. === 교가 === 작사/엄창섭 작곡/조거영 ||예국의 숨결 서린 여명의 언덕 동해라 푸른 물결 가슴에 안고 위대한 민족혼을 땀으로 쌓아 찬란한 새 역사의 문을 열리라 나라와 겨레 위해 바치는 마음 내 정열 다할 곳은 정든 배움터 그 이름 경포 고교 대한의 영광|| '그 이름 경포 고교' 부분은 굉장히 음이 높아 대부분 부르기 힘들어한다. 음악 첫 번째 수행평가가 교가 부르기이니 외워두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악보는 [[http://gyeongpo.gwe.hs.kr/eduSymbol/view.do?m=0105&s=kyongpohs/|여기서]] 볼 수 있다. == 학교 시설 == 시설은 크게 제1동, 제2동, 제3동과 체육관, 보래미관, 그리고 2019년 완공된 교산모루[* 강릉에 생가가 있는 [[허균]]의 호인 교산과 대장간에서 쓰는 모루를 합성해 만든 말로, 강당 건물을 교내에선 그렇게 부른다]로 나눌 수 있다. 제1동에는 1, 2학년 [[교실]]들과 [[교무실]], 그리고 과학실 등이 있으며, 학생안전부와 3학년 교실들은 제2동에, [[미술실]]과 [[도서관]], [[급식실]] 등은 제3동에 위치하고 있다. 또, 보래미관에는 음악실과 가사실, 해파랑실, 그리고 합주실 등이 위치하고 있다. 제1동과 제2동은 구름다리로 연결되어 있고, 제2동과 제3동은 붙어있어 굳이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이동할 수 있다.[* 다만 급식시간에는 밖으로 나간 후에 제3동 입구로 다시 들어와야 한다. 제2동과의 통로는 [[급식실]] 출구로 이용되기 때문이다.] 2019년 완공된 교산모루([[강당]])은 교장이 여기저기서 지원을 받아 계획하였고, 개관식에는 [[권성동]] 국회의원이나 교육부의 고위 인사들이 많이 왔다. 하지만 막상 졸업식 때 공간이 부족해 학부모들이 들어오지 못하는 문제와 굉장히 혼잡하고 좁은 내부가 맞물려 좋은 평을 받고 있지는 못하다. 교문에 올라가자마자 바로 앞에 보이는 건물이 교산모루다. 사실 운동하기에 좋은 시설을 갖추고 있진 않다. [[운동장]]에는 천연잔디가 깔려있으나 운동장 자체가 좁은 편이고, 심지어 [[체육관]]도 작다. 운동장과 보래미관 사이에 농구장도 있으나 농구장마저 좁다. 체육관과 음악실 사이에 골프장도 있으나, 사용하지는 않는다. 시설은 대부분이 노후화되어 있지만, 2018년부터 꾸준히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정수기 설치와 매점 위치 변동 및 확장 등 사소한 것들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시설의 공사를 진행했는데, 특히 2019년에는 제2동 [[화장실]] 공사를 진행해 대부분의 학생들이 만족할 정도로 좋아졌으며, [[석면]]을 제거하고 천장을 교체하였다. 또한, 제1동 [[화장실]]과 교산모루([[강당]]) 공사도 마무리되었다.[* 다만 2019년 공사 당시 지나가다 용접 불꽃에 맞고, 수업 중에 부수고 용접하는 등 소음이 많이 발생되며, 학교에 먼지 냄새가 떠도는 등 많은 불편이 있었다.]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이 행사는 [[2018년]] 기준으로 매년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대부분의 행사가 진행되지 않았다.] === * [[세월호 사건|세월호]] 추모 행사 : 학생자치회의 주관으로 [[4월 16일]]에 진행한다. 등교시간에는 노란리본에 추모의 글을 적에 다는 행사를 하고, 동시에 모금도 진행한다. 점심시간에는 시낭송 등의 문화행사를 진행한다. * 독서골든벨 : 교과 관련 도서들에 대한 퀴즈를 맞추는 대회. 각 반에서 문제지를 통해 예선을 실시한 후,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본선에 진출하게 되는데, 본선에서는 골든벨과 같은 형식으로 대회를 진행한다.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면 2시간동안 본선을 구경만 해야한다...[* 가끔씩 모든 학생이 참여할수 있는 깜짝 퀴즈를 내주기도 한다.] * 테마소풍 : 주로 4~5월에 진행된다. 각 반별로 가고싶은 장소를 정해 소풍을 다녀오는 날이다. * 꿈&끼탐색주간 : 말 그대로 진로 탐색을 집중적으로 하는 기간이다. 주로 2학기 1회고사 또는 2회고사 직후에 진행되며, 이 기간 동안에는 진로 관련 특강의 수가 매우 많아진다. * 예술제(보래미 페스티벌) : 2일동안 진행되며, 첫째날에는 동아리 부스를 운영하고, 둘째날에는 공연을 한다. 둘째날에만 외부인 출입이 가능하다.[* 해를 거듭할수록 날짜가 늦어지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 2018 예술제는 2019년에 진행되었다...] 이 외에도 많은 행사가 있으며, 자세한 내용과 행사 일정은 [[http://gyeongpo.gwe.hs.kr/schedule/list.do?m=0206&s=kyongpohs|여기서]] 보면 된다. === 학교 일과 === 문이과의 구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사라졌지만, 경포고등학교에서는 학생과 교사들의 편의를 위해 [[문과]]반과 [[이과]]반을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다. 2학년의 경우 1, 2, 3, 4반은 문과이고 5, 6, 7, 8반은 이과이다. 2002년생의 경우 문과반은 사회과목 중 2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하고, 이과반은 과학과목 중 2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한다. 또한, 문과는 필수적으로 [[생활과 과학]]을, 이과는 필수적으로 [[여행지리#s-3]] 또는 [[사회문제 탐구#s-3]] 과목을 수강해야만 한다.[* 이 과목들은 난이도가 상당히 쉬우며 교과서 구성이 별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처음 생긴 과목이라 그런 듯 하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매년 변화하고 있다. 문과반의 경우 미술을 비롯한 여러 [[예체능]]쪽으로 진로를 잡고 있는 학생이 많고 수업태도도 매우 좋지 않은 편이라서 교사들의 태도가 굉장히 험해진다.[* 소수의 공부하고자 하는 문과생들은 교사가 직접 불러 수업을 제대로 못해주었다고 사과하면서 모르는 게 있을 경우 [[교무실]]에 오면 알려주겠다고 하기도 한다.] 반면 이과반에서는 쉬는시간에도 공부하는 학생들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으며 학업에 대한 열정이 문과생들에 비해 많은 편이다.[* 이과반에서 교사들이 수업할 때 가끔씩 문과를 풍자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굉장히 문제이나 현재 해결할 방법은 없어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문과]], [[이과]] 문서 참조. 이과생들이 문과생들보다 우수한 성적을 받는다는 이유로 문과 학생들을 종종 비하하곤 하는데, 수가 적어서 그렇지, 문과생 중에서도 이과 학생들 만큼 좋은 성적을 받는 학생들이 있기는 하다. 현재 여러 교내 발표대회에서는 문과보다 이과가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대회의 대부분은 페르미[[수학]]경시대회나 [[과학]]경시대회 등 문과가 입구컷당하는 대회이며, 문과 학생들이 울며 겨자먹기로 출전하나 상위권은 대부분 이과이다.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김서형]] : 배우, 대표작으로는 [[아내의 유혹]], [[SKY 캐슬]]이 있다. [[장수지(인라인 스케이트)|장수지]] : 인라인 스케이트 국가대표 선수 (現 [[은평구청]] 소속) [[비트건|정병모]] : 한국의 힙합 프로듀서.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일부 노선은 배차간격이 매우 길거나 운영중이지 않은 노선이 있으니 유의할 것. || {{{#white '''정류장명'''}}} || {{{#white '''노선번호'''}}} || || 경포고교(시내 방면) || [[강릉 버스 104|104]], [[강릉 버스 104-1|104-1]], [[강릉 버스 104-2|104-2]], [[강릉 버스 200|200]], ~~[[강릉 버스 201|201]]~~, [[강릉 버스 206, 207|206]], [[강릉 버스 206, 207|207]], [[강릉 버스 211|211]], [[강릉 버스 211|211-1]], [[강릉 버스 220|220]], [[강릉 버스 222|222]], [[강릉 버스 223|223]], [[강릉 버스 224|224]], [[강릉 버스 224|224-1]], [[강릉 버스 230|230]], [[강릉 버스 230|230-1]], [[강릉 버스 504|504-2]] || || 경포고교(초당 방면) || [[강릉 버스 104|104]], [[강릉 버스 104-1|104-1]], [[강릉 버스 104-2|104-2]], [[강릉 버스 200|200]], ~~[[강릉 버스 201|201]]~~, [[강릉 버스 211|211]], [[강릉 버스 211|211-1]], [[강릉 버스 220|220]], [[강릉 버스 222|222]], [[강릉 버스 223|223-1]], [[강릉 버스 224|224]], [[강릉 버스 224|224-1]], [[강릉 버스 230|230]], [[강릉 버스 230|230-1]], [[강릉시 통학버스|통학3번]] || 대부분의 버스는 강릉고등학교를 들렀다 오기 때문에 몇몇 학생은 한 정거장 앞인 강릉고등학교 정류장까지 가서 타기도 한다. 또한, 인근 고등학교들의 하교 시각도 비슷해 4시 40분경이면 버스가 미어터진다. 적당히 빠르게 가거나 느리게 가면 훨신 편하게 하교할 수 있다. == 기타 == 오랫동안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는 [[강릉시]]의 다른 고등학교들과는 다르게 개별 문서가 만들어지지 않았지만 2019년이 돼서야 만들어졌다. 학교의 별명이자 경포고등학교의 모든 행사 앞에 붙는 단어인 보래미는 보남이(見南)라는 말이 변한 것으로 '보남이'란 말은 '남쪽을 바라본다'라는 뜻이다. 보다(見)의 말의 줄기인 '보'와 남녘이란 말의 남(南)이 합쳐서 남쪽을 바라보는 따뜻한 동네라는 뜻으로 현 대관정 앞 동인병원 일대를 일컫는 말이기도 해서 자주 사용된다. 보래미의 어원에 대한 다른 의견으로는 [[포남동|포남]](浦南)이 변해 보래미가 된 것이라고 하는 의견도 있으나, 구정면 어단리에도 양지 바른 곳에 보래미라는 지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포남이란 말이 변해 보래미가 된 것은 아닌듯 하다. 학교의 분위기는 대체로 부드러운 편이며[* [[남녀공학]]의 특성상 [[남고]]나 [[여고]]보다는 부드럽다.], 큰 사고만 일으키지 않는다면 크게 문제될 일은 없다. 최근 1, 2학년생들이 학교 근처에서 담배를 피다가 적발되거나, 각종 비행에 관련된 민원이 들어오기도 했다. 3학년은 학교 근처에서 피지 않거나 잘 숨기 때문에 적발과 검출이 힘들며, 거의 성인이기 때문에 선을 넘지 않는 한 제제하지 않으나. 1, 2학년의 경우 대놓고 피거나 교사에게 대드는 일이 발생하여 분위기는 예전만 못하다. 2020년 4월 6일부터 [[KBS2]]에서 방영 중인 드라마 [[계약우정]]의 장면 중 일부가 경포고등학교에서 촬영되었다. 보충수업과 [[야간자율학습]]의 참여를 강요하지는 않는데, 어째서인지 가면 갈수록 참여인원이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실제로 저조한 참여인원으로 인해 야간자율학습이 중단될뻔한 적도 있다. 2019년 현재는 야간자율학습과 보충수업은 다시 참여인원이 회복되어 2018년 초 수준으로 돌아왔다. 매년 상반기에 최대수준으로 시작해 2학기 기말까지 서서히 줄어드는 패턴이다. 2020년도는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범유행으로 인해 야자실을 새로 리모델링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야간자율학습을 하지 못한다. 이는 강당과도 비슷한데, 교육부에서 단체활동과 학생들이 한 장소에 모이는 것을 자제하라는 방침을 내렸기 때문에, 야자실과 같이 강당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포고등학교, version=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