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경찰병원역'''}}} || ||<-3>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30]] || || [[대화역|{{{#!html
대화 방면}}}]][[가락시장역|가락시장]][br]← 0.8 ㎞ || [[수도권 전철 3호선|{{{#!html
3호선
(351)
}}}]] || [[오금역|{{{#!html
오금 방면}}}]][[오금역|오 금]][br]0.8 ㎞ → || ||<-3>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찰병원역,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National Police Hospital || || [[한자]] ||<-2> 警察病院 || || [[간체자]] ||<-2> 警察医院 || || [[가나(문자)|가나]] ||<-2> [ruby(警察病院, ruby=キョンチャル·ピョンウォン)]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 지하149 ([[가락동(서울)|가락동]] 10-15) || ||<-3> '''운영 기관'''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50]]]] || ||<-3> '''개업일''' || || [[수도권 전철 3호선|{{{#ffffff 3호선}}}]] ||<-2> 2010년 2월 18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심도: 30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3호선]] 351번.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이로]] 지하149 ([[가락동(서울)|가락동]] 10-15)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경찰병원역 안내도.jpg|width=100%]]}}} || || {{{#ffffff 역 안내도}}}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경찰병원역 3호선.jpg|width=100%]]}}} || || {{{#ffffff 대합실}}} || 2010년 2월 18일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 ↔ [[오금역|오금]] 구간에 개통된 역으로, 해당 구간에서 유일하게 새로 지어진 역이다. 하지만 기존 3호선과 일관성을 찾아볼 수 없는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채용해서, 완전히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과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개통 전에는 경찰병원'앞'역이라고 하기도 했다. 역명의 유래는 2번 출구 바로 옆에 붙어 있는 [[국립경찰병원]]이다. 국립경찰병원은 특정 사설 기업, 대학에서 관리하는 병원이 아니라 '''국가, 정확히는 [[대한민국 경찰청|경찰청]]에서 설립 및 운영하는 국립병원'''이다. [[국가보훈처]] 산하기관인 [[중앙보훈병원]]([[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중앙보훈병원역]]) 및 서울특별시에서 설립 및 운영하는 시영병원인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서울 경전철 신림선|신림선]] [[보라매병원역]]) 역시 같은 이유로 역명에 등재될 수 있었고, 반대로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안암역]]의 부역명인 '고대병원앞'은 병기역명에 그칠 수밖에 없는 이유도 이러한 까닭에서 비롯되었다. 승강장이 곡선모양이여서 열차 사이 간격이 생각보다 많이 넓다. 그래서 승강장 사이에 발이 빠지지 않도록 열차가 정차할 때 승강장 안전 발판(Gap-zero)을 설치한 지하역이다. 다만 안전발판은 가동될 때가 있고 안 될 때도 있어서 오락가락이다. == 역 주변 정보 == 1번 출구는 IT벤쳐타워를 필두로 가락본동주민센터, 가락본동우체국, [[한중남미협회]],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서울동부지청]][* 2021년 6월 10일 서울동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성동광진고용플러스센터가 [[성동구]] [[성수동]] [[성수역]] 3번 출구 성수AK밸리2차에 생기면서 서울동부복지플러스센터는 송파구와 강동구를 관할하게 되었다.] 등의 관공서와 해양환경관리공단, 대한전기협회 등의 기업들이 입주해 있는 업무지구가 조성되어 있다. 근처에 가락대림아파트(443세대), 가락우성아파트(839세대), 가락금호아파트(915세대), 동부센트레빌아파트(264세대) 등의 아파트 단지가 있다. 2번 출구는 [[국립경찰병원]]이 연결되며, 가락근린공원이 위치한다. 3번 출구는 구 성동구치소 방면이며 가락쌍용1차아파트(2,065세대), 가락미륭아파트(435세대), 문정동가락현대1차아파트(514세대), 가락우성2차아파트(162세대)등의 아파트 단지가 있다. 과거 있던 성동구치소는 동부구치소로 개명하여 [[문정역]] 서쪽 법조타운으로 이전했다. 4번 출구는 건너말공원, [[서울평화초등학교]], [[가원중학교]] 방면이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3호선|[[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0년 || 9,515명 || || || 2011년 || 12,569명 || || || 2012년 || 13,473명 || || || 2013년 || 14,452명 || || || 2014년 || 14,639명 || || || 2015년 || 14,807명 || || || 2016년 || 15,207명 || || || 2017년 || 15,071명 || || || 2018년 || 15,334명 || || || 2019년 || {{{#ef7c1c 15,441명}}} || || || 2020년 || 12,060명 || || || 2021년 || 11,895명 || || || 2021년 || 12,622명 || || ||<-3> {{{#ffffff '''출처'''}}} || ||<-3>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 }}} 출구를 기준으로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가락시장역]]과 480m 거리에 있을 만큼 가까워서 승객이 많지는 않다. 하루에 15,000명 가량 타고 내리는데, 역의 위치와 좁은 역세권 범위를 생각하면 그럭저럭 이용률이 나오는 곳이다. 특히 [[송파구]]에서는 3호선 연장 전까지 [[강남구]]로 직접 이어주는 노선이 [[잠실동]]만 지나가는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하나뿐이었다. 송파구는 [[강남3구]]라 불릴 정도로 강남과 교류가 많고 인구가 70만 명에 육박하는 거대 지역인데도 불구하고 그동안 강남으로 가는 교통편이 약점으로 지목되어 왔으나, 3호선의 개통으로 강남구 곳곳을 보다 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일부러 이 역을 찾는 사람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다만 [[수도권 전철 5호선|5호선]]과 만나는 종착역 [[오금역]], 8호선과 만나는 가락시장역이 너무 가까운 거리에 있어서 15,000명 이상의 수요를 끌고 오지는 못하는 상황이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찰병원역 역명판.jpg|width=100%]]}}}|| || '''{{{#fff 3호선 역명판}}}'''[* 현재는 역명판이 교체됐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찰병원역 승강장.jpg|width=100%]]}}}|| || '''{{{#fff 3호선 승강장 }}}''' || 경찰병원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3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열차와 승강장 사이 틈새가 넓으니 승하차시 발빠짐에 주의해야 한다. ||<-4> [[가락시장역|가락시장]]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오금역|오금]]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도곡역|도곡]]·[[충무로역|충무로]]·[[대화역|대화]] 방면|| || {{{#ffffff 하}}} ||[[오금역|오금]] 방면||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3호선의 역 목록)] [[분류:201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수도권 전철 3호선]][[분류:서울 지하철 3호선 구간]][[분류:송파구의 도시철도역]][[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