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BO 퓨처스리그/과거 참가 구단)] ||<-6> '''[[대한민국 경찰청]] 산하 스포츠단''' || ||<-2> [[경찰대학]] 무궁화체육단 ||<-3> 경찰교육원 무궁화체육단 || ~~서울지방경찰청~~ || || ~~[[아산 무궁화]] [br] (축구)~~ || 육상 || 유도 || 사격 || 태권도 || ~~'''{{{#ffffff 경찰 야구단 }}}'''~~ || ||<-8> [[파일:attachment/police_logo.png|width=200]] || ||<-8> '''{{{#FFFFFF {{{+2 경찰 야구단}}}}}}''' || ||<-8> '''{{{#10298e {{{+1 Korean Police Baseball Team}}}}}}''' || ||<-2> {{{#ffffff '''창단''' }}} ||<-6> [[2005년]] [[8월 1일]] || ||<-2> {{{#ffffff '''해체''' }}} ||<-6> [[2019년]] [[8월 12일]] || ||<-2> {{{#ffffff '''연고지'''}}} ||<-6> '''[[경기도|{{{#164194 경기도}}}]]''' '''[[고양시|{{{#004998 고}}}{{{#009475 양}}}{{{#FACE00 시}}}]]''' (2005~2019) || ||<-2> {{{#ffffff '''소속 리그'''}}} ||<-6> '''북부리그'''(2005 ~ 2018)[* 2019시즌은 [[고양 원더스]]처럼 번외경기 형식으로 총 48경기를 치를 예정이다.] [br]블루리그(2015)[* [[한국야구위원회|KBO]]가 2015시즌 퓨처스리그의 각 리그 이름을 블루 리그(북부), 레드 리그(중부, 신설됨), 옐로우(남부)로 정했는데 정작 시즌 들어가면서 해당 명칭은 사라지고 북부, 중부, 남부로 불리게 되었다. 중부는 2015년에만 운영되었다.] || ||<-2> {{{#ffffff '''홈구장'''}}} ||<-6> [[서울경찰수련장 야구장]] (2005~2019) || ||<-2> {{{#ffffff '''1군 구단'''}}} ||<-6> 미해당[* 군경 산하 야구단은 KBO 리그에 참여하지 않는다.] || ||<-2> {{{#ffffff '''팀 마스코트'''}}} ||<-6> [[파일:attachment/police_mascot.png|width=60]] || ||<-8> {{{#ffffff '''해체 당시 프런트'''}}} || ||<-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운영 주체}}}''' || [[서울지방경찰청]] || || '''{{{#fff 구단주}}}''' ||<-6> [[이용표]][* 2019년 8월 12일 당시 서울지방경찰청장. 경찰 야구단은 현직 서울지방경찰청장이 구단주를 겸임했다.] || || '''{{{#ffffff 감독}}}''' ||<-6> '''{{{#10298E 24}}} [[유승안]]''' ||}}}}}}}}} || ||<-8> '''{{{#ffffff 퓨처스리그 우승}}} ''' ,,{{{#fed632 (7회)}}},, || ||<-2> {{{#ffffff '''북부리그'''}}} ||<-6>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br] [[KBO 퓨처스리그/2016년|2016년]], [[KBO 퓨처스리그/2017년|2017년]], [[KBO 퓨처스리그/2018년|2018년]] || ||<-2> {{{#ffffff '''블루리그'''}}} ||<-6> [[2015년]] || ||<-8> {{{#ffffff '''프랜차이즈 팀 기록'''}}} || ||<-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최고 승률}}}''' ||<-4> '''0.691''' [br] 2011년 102경기 65승 8무 29패 || || '''{{{#ffffff 최저 승률}}}''' ||<-4> '''0.316''' [br] 2008년 84경기 24승 8무 52패 || || '''{{{#ffffff 최다 승}}}''' ||<-4> '''65승''' [br] 2011년 102경기 65승 8무 29패 || || '''{{{#ffffff 최다 패}}}''' ||<-4> '''52패''' [br] 2008년 84경기 24승 8무 52패 ||}}}}}}}}} || [목차] [clearfix] == 개요 == [[http://cafe.naver.com/policebaseball|경찰 야구단 카페]] [[대한민국 경찰청]] 산하 서울지방경찰청 소속 야구 팀. '경찰청 야구단'과 '경찰 야구단'이 혼용되어 쓰이지만, 좀 더 공식적으로는 '''경찰 야구단'''이다. 2005년에 창단하여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와 더불어 [[한국프로야구]] 및 아마야구 선수들의 병역 문제 해결에 기여했던 구단으로, [[퓨처스리그]]에 참가했으며, 소속 리그는 블루 리그였다. 홈구장은 [[서울지방경찰청]] 수련원이 있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유동의 고양 [[벽제 야구장]]. 같은 경찰청 산하 프로구단인 [[아산 무궁화]]는 [[세금|지자체의 후원]]과 스폰서로 운영되지만 경찰 야구단은 야구장과 숙소만 지원할 뿐 운영비는 [[한국야구위원회]]에서 지불한다. [[상무 피닉스 야구단]]은 [[한국야구위원회]]로부터 약간의 인건비만을 지원 받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최대의 라이벌은 당연히 [[대한민국 국방부]] 산하 [[국군체육부대]] 소속 [[상무 피닉스 야구단]]. 참고로 이 구단에 들어갈 선수들은 전부 [[의무경찰]] 신분이 되는 것이라 입대하기 전에 체력 테스트, 실기 시험에 인성 검사, 면접까지 거친다. 단순히 현역 판정을 받고 서류전형 합격 후에 체력 테스트, 실기 시험에만 합격하면 갈 수 있는 상무보다 입대 조건이 조금 더 까다로운 편. 다만 입대 상한 연령은 상무가 만 27세인데 비해 경찰청은 만 30세로, 더 높다. 이것도 2016년부터는 상무와 같은 만 27세로 조정된다. 대신 상무는 프로 선수가 지원할 경우 연맹에서 추천서를 받아야 하는 등 1차 서류전형 때 이래저래 구비해야 할 서류가 많다. 이밖에 경찰청의 경기가 없는 날은 외출이나 외박이 허용되기에 최소 매주 1번은 외출이나 외박을 할 수 있어 선수들이 좋아하는데, 상무는 2주에 1번 나갈까 말까 할 정도다. 또한 현역병처럼 빡빡한 하루 일과를 보내는 상무 선수들과 달리, 경찰청 선수들은 상무보다 1시간 더 늦은 7시에 기상하고, 하루 일과도 여유로운 편이라고 한다. 별거 아닌 것 같지만 대개 야구 선수들은 일반인들보다 하루를 조금 더 늦게 시작한다. 평상시 야구 선수들의 하루 일과를 감안하면 7시 기상도 약간 이른 편. 오전 경기가 있는 일요일을 제외하고 보통 야구 선수들은 11~12시에 기상하는 게 일반적이다. (물론 선수마다 루틴이 달라서 좀 더 일찍 일어나거나 좀 더 늦게 자는 선수들이 있긴 하다.) 단 시설이나 음식 등에서는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m=search&p=1&b=kbotown2&id=3452010&select=sct&query=%EA%B3%A0%EC%96%91&user=&reply=|상무보다 밀린다고.]] 참고로 상무와 마찬가지로 소속 선수들 중 프로팀 소속인 선수들은 선수계약서 제33조에 의거해서 군입대 전 연봉의 25%, 최대 1,200만 원을 지급받는다. 역시나 연봉과 마찬가지로 10개월로 지급한다. 2008년, [[한국야구위원회|KBO]]와 구단들이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2221759445&code=980101|이를 없애자]]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이를 시정하라는 명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468054|"군복무 보류수당 지급해야"…KBO에 시정명령]] 결국 2009 시즌부터 다시 지급되기 시작했다. 2013년부터 [[아시아 윈터 베이스볼 리그]] 대표팀에 꾸준히 선수를 보내주고 있는 구단이기도 하다. 경찰 야구단 특성상 잘하는 선수들이 많기도 하지만 [[상무 피닉스 야구단]]이 2015년 부터 선수 차출을 거부한 것과 대조적. 다만 상무와 달리 경찰 야구단 운영비는 KBO에서 지급했기 때문에 KBO의 요청에 따라 가능한 것이기도 하다. == 역사 == 2005년 9월 12일 KBO와 경찰청의 양해각서 체결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야구단 창단 작업이 진행되어 그 해 11월 24일에 첫 선수들을 선발했다. 그간 선수들의 군 문제 해결을 위해서라도 꼭 필요하다는 의견은 많았지만, [[방위병]] 및 기타 널널한 군 문제 해결 방법이 많았던 1990년대에는 별다른 필요성이 없었기 때문에 유야무야되었다. 그러나 방위병 제도가 폐지된 후 [[한국프로야구]] 전체를 뒤흔든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으로 선수들이 줄줄이 구속되거나 입건되었고, 출전 정지를 당하자 그제서야 군 문제 해결을 위한 추가 야구단 창설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경찰청과 접촉해 마침내 2005년 8월 1일 창단을 확정짓고, 그 해 겨울 선수를 공개 모집했다. 그 당시의 대표적인 창단 멤버가 [[김태완(1981)|김태완]], [[손주인]], [[최진행]], [[최형우]]다. 원래는 2년마다 한 번씩 선수를 뽑았으나, 선수 부족 등의 이유로 2010년에 1년마다 선수들을 뽑는 것으로 규정을 변경했다. 선수 수급에 여유가 생기며 초창기에는 동네북 수준으로 깨졌던 경찰 야구단이지만, [[유승안]] 감독 부임 후 점차 실력이 향상되어 마침내 2011년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우승을 차지하면서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성장했음을 보여 줬다. 참고로 2006년에 [[KBO 퓨처스리그]] 사상 처음으로 [[강원도]] [[횡성군]]에서 야구 경기를 가진 적이 있다. 2006년 5월 20일, 21일에 [[롯데 자이언츠 2군]]과 횡성 [[민족사관고등학교]] 구장에서 경기를 가진 것.[[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7&aid=0000084778|횡성서 첫 프로야구 2군 경기]] === 해체의 길로 === 2013년 [[병무청]] 국정감사에서 국회 국방의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종태(1949)|김종태]] 의원이 "경찰청 체육단은 [[대한민국 국방부]]가 전환복무 요원으로 배정한 [[의무경찰]] 신분으로 병역법상 기본 업무인 치안보조 업무를 하지 않고 선수단 활동을 하는 것은 불법", "국군체육부대령에 근거해 운영 중인 국군체육부대(상무)와 달리 경찰청·해양경찰청 체육단은 법적 근거 없이 내부 규칙에 따라 운영돼 위법 소지가 있다."라고 [[http://sports.news.nate.com/view/20131016n33569|지적]]하자, 국방부 인사복지실장이 야구단을 포함한 경찰청 스포츠단을 2014년 1월 1일자로 해체할 방침이라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12866639|경찰청 체육단 해체 논란]]. 이 소식을 들은 [[유승안]] 감독은 말도 안 된다며 반발하기도 했다. 이에 관계없이 선수 선발이 진행되어 [[배영섭]]과 [[임찬규]] 등 20명이 2014 시즌부터 경찰청 소속으로 뛰게 된다. 한편 경찰청 야구단은 경찰청 측(정확히는 안전행정부)에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로 하였다. 대신 현행 만 30세까지인 입대 상한 연령을 2016년부터 상무와 같은 만 27세로 낮출 방침이다. 의경 폐지 논란과 함께 경찰 스포츠단의 폐지가 이루어 지는 거 아니냐는 이야기들이 나왔지만 현재 경찰청의 입장은 "의경 폐지는 사실 무근"이라고 밝혔다 .--[[http://ap.police.go.kr/ap/bbs/view.do?nttId=28654&bbsId=B0000007&menuNo=200032|관련 웹 사이트]]--^^(링크 삭제됨)^^ 그리고 경찰청에서 "의무경찰 선발 규정은 ‘운전, 전산처리, 외국어 사용 등 특수업무에 필요한 인원’에서 ‘운전, 전산처리, 외국어 사용, 예술ㆍ체육 분야 등 특수업무에 필요한 인원’으로 확대"라고 확정지으면서 이 논란은 일단락 되었다. [[http://news.nate.com/view/20140226n13451|해체논란 '경찰체육단' 존립근거 마련됐다.]] 그러나 2016년 5월 16일 국방부에서 대체복무 및 전환복무를 2023년까지만 유지하고 폐지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하면서[* 발표 당시부터 논란이 커지기는 했지만 이전부터 계속 논의되어 온 사안이었다.] 장기적으로 경찰 체육단 소속 팀들의 존재 여부는 유동적이다. 사실 법적 근거보다 더 중요한 존립 근거는 '''의무경찰 제도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2017년 5월 29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14&aid=0003821577|2023년에 의무경찰이 완전 폐지된다]]는 발표가 나왔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인 의무경찰, 의무소방 폐지 후 해당 인력을 직업 경찰관, 소방관으로 대체하겠다는 공약에 따른 것이다. 2021년 12월이 마지막 의경 입대지만 경찰 체육단의 선수 선발은 이보다 일찍 중단될 것으로 보였고 존속 시점은 늦어도 2022년까지라고 예상되었다. 그러나 2018년 9월 5일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10&aid=0000508280|2018년부터 선수 선발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https://www.yna.co.kr/view/AKR20181016090700007?input=1195m|후속 기사]]에 따르면 이미 몇 달 전에 선수 선발 중단 결정을 내렸다고 한다. 정확히 말하면 선수 선발 공고의 유의사항에 '의무경찰 폐지정책에 따라 '''2017년 12월 입영자에 한하여 특기의경으로 경찰야구단 근무 가능''''이라고 명시되어 있다.(--[[https://ap.police.go.kr/ap/bbs/view.do?nttId=9216&bbsId=B0000006&searchCnd=&searchWrd=§ion=&sdate=&edate=&useAt=&replyAt=&menuNo=200031&viewType=&delCode=0&option1=&keyId=0&userId=&gubun=&pageIndex=55|서울지방경찰청 356기 의무경찰 모집]] 페이지의 첨부 파일 참고--^^링크 삭제됨^^) KBO에서는 2020년까지 유예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의무경찰 폐지 방침이 확고한데다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 대표팀 선발 과정부터 이어진 몇몇 선수들의 병역특례 논란까지 겹친 터라 더는 돌이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2018년 10월 이대은과 박준표가 전역하면서 남아있는 선수들은 20명인데 이 선수들만으로는 정상적인 운영이 안 되므로 사실상 팀 해체나 마찬가지이며 당장 2019 시즌 퓨처스리그 운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당장 야수로만 생각하면 현재 선수단이 포수 둘, 내야 여섯, 외야 셋이 전부이므로 외야 3명은 내야수들 중 한두명을 외야 알바를 시키지 않는 이상 '''전경기 풀타임 주전으로 뛰어야 하고,''' 지명타자도 포수보단 내야수 6명 중 하나에게 돌아갈 테니(포수 둘을 한꺼번에 하나는 포수 하나는 지명으로 선발출장시키게 되면 선발 포수를 나중에 교체할 일이 생길 때 백업 포수가 없어서 번거로워지므로) 벤치에는 포수와 내야수 각각 한명만 남게 된다.] 과거 [[고양 원더스]]처럼 비정기 교류전 정도는 가능하겠지만. 각 구단의 미필 선수 병역 관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한 일. 아직 구체적인 이야기가 나오지 않은 가운데 유승안 감독은 의무경찰 폐지에 따른 야구단 해체는 돌이킬 수 없다고 해도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8&aid=0002733914|적어도 2020년까지는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청은 2018년 10월 15일 KBO에 공문을 보내 선수 선발 중단 방침을 공식화했다. 유승안 감독은 최소한 10명이라도 충원해서 2019시즌 퓨처스리그라도 정상적으로 치르도록 하기를 바라고 있지만 그렇게 10명을 충원한다 한들 2020년에 그 10명이 또 남게 되고...... 아니면 초창기에 했던 것처럼 두 시즌을 소화할 인원을 한꺼번에 선발하는 방법도 있기는 하지만 의경 TO가 계속 줄고 있는 마당에 야구단에만 TO를 대거 배치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이미 2018년 8월 31일 나온 서울지방경찰청 362차 의무경찰 선발 공고, 11월 1일 나온 363차 공고, 12월 31일 나온 364차 공고에서는 체육 특기 TO가 삭제된 상태다. 2018년 11월 1일 정운찬 KBO 총재가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을 만나 이 문제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기는 했다. 상무의 2018년도 선발 인원을 10명 늘이고 그 인원을 경찰 야구단에 파견하는 형식으로 2019년 퓨처스리그를 치른 다음 시즌이 끝나면 경찰 야구단은 해체하고 파견 인원은 상무로 복귀시킨다는 방안이다. 그러나 이 방안은 국방부[* 상무도 각 종목별로 TO가 정해져 있는데 야구단의 TO를 늘이면 다른 종목, 특히 비인기종목의 TO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따른 반발을 무시할 수 없다.],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 간의 협의가 있어야 하며 경찰청의 방침이 변하지 않는 이상 현실화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1월 14일 선수협, 은퇴선수협회가 나서서 청와대 앞 분수광장에서 집회를 열고 의무경찰이 완전 폐지되는 2023년까지 존속시켜줄 것을 호소했다. 이 자리에는 경찰 야구단에서 복무했던 선수들이 대거 참석했다. 그러나 이 집회에 대해 때가 늦어도 한참 늦었다는 반응이 많고 경찰 체육단의 조기 선수 선발 중단 결정을 촉발한 당사자가 야구인지라 호소가 먹히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특히 집회 현장에 나온 '성실한 병역의무 이행과 병역비리 척결에 앞장 선'이라는 문구가 담긴 플래카드는 큰 비판을 받고 있으며[* 당장 이대은 특혜 논란이 있었던 게 불과 2년 전 일이었다. 그리고 임지열이 지원 전인 2016년 9월에 음주운전 단속에 적발된 사실을 숨겨왔음이 2018년 11월 28일에 뒤늦게 드러나면서 호소를 사실상 무색하게 만들었다. 특히나 임지열은 KBO 리그 시상식 때 경찰 야구단 존속을 직접 호소했던 터라......] 의경 TO가 계속 줄어드는데 야구만 특혜를 받으려고 하냐는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11월 19일 아산 무궁화의 K리그1 승격 자격이 박탈됨에 따라[* 아산 무궁화는 기존 선수들에 타 구단에서 선수를 영입해 혼성 구단 형태로 2019시즌을 치르고 기존 선수들이 모두 전역하면 시민구단으로 탈바꿈한다. 단, 2019시즌에도 K리그1 승격 및 승강 플레이오프 참가 자격은 없다.] 경찰 야구단의 퓨처스리그 참가도 더는 어렵게 될 것으로 보인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남은 선수들로는 퓨처스 팀들이나 대학, 독립리그 팀들과의 교류전 및 연습경기 정도만 치르게 될 가능성이 높다. 상무 최종 합격자 발표가 나온 2019년 1월 10일 KBO에서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10&aid=0000547560|경찰 야구단의 선수 선발 중단을 공식화하며 1월 안에 관련된 내용이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2019년 1월 16일에 퓨처스리그 팀 일정이 확정됐다. 남은 선수단이 20명이라 96경기를 소화하는건 절대 불가능한 상황. 이에 북부리그 팀과 30경기, 남부리그 팀과 18경기로 총 48경기만 치르게 된다. 정상적인 시즌 소화가 불가능한 만큼 당연히 정식 경기로 인정받지 못하고 [[고양 원더스]] 처럼 번외 경기로 취급된다. 다만 유승안 감독의 간청 끝에 선수들의 개인 기록은 정식으로 인정해 준다고 한다. 이와는 별개로 3군 선수단 및 독립구단 등과 접촉해 추가 경기를 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한다고 한다. 따라서 남은 20명의 선수들이 2019년 8월 12일에 일괄적으로 전역하게 되면 경찰 야구단은 자연스럽게 해체될 예정이다. 2019년 6월 30일 [[벽제 야구장]] [[두산 베어스]]과의 홈경기가 끝나며 2019년 7윌 10일 [[서산 야구장]]에서 열리는 [[한화 이글스 2군]]과의 교류전을 끝으로 경찰 야구단의 14년 동안의 여정은 마무리된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68&aid=0000520445|지휘봉 내려놓는 유승안 감독, 마이크 잡고 싶다.]] 아쉽게도 마지막 경기가 우천으로 취소되면서 2019년 7월 9일 경기(경찰 4:3 승리)가 공식 최종전이 되었다. 교류전 최종 전적은 31승 1무 10패.[* 당초 48경기를 치를 예정이었으나 46경기로 줄었고 네 경기가 우천 및 그라운드 사정으로 취소되었다.] 경기 취소 직후에는 서산 야구장 실내 연습장에서 선수단끼리 작은 고별식을 치르고 한상재 관리반장을 헹가레 치는 것으로 공식 일정을 마무리했다. 선수들은 모아뒀던 휴가를 사용해 원 소속팀에 합류해 전역 할때까지 몸을 만들 예정이라고 한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4047257|아직 한 달 남은 경찰 야구단…향후 계획은]] 2019년 7월 30일 경찰 야구단 해단식이 개최되었다. 이후 예정대로 2019년 8월 12일에 20명의 선수들이 전역하면서 완전히 해체되었다. === 역대 감독 === || '''역대''' || '''이름''' || '''재임기간''' || '''성적''' || || '''초대''' || [[김용철(야구)|김용철]] || 2005년 ~ 2008년 6월 || || || '''대행''' || [[정현발]] || 2008년 6월 ~ 시즌 종료 || || || '''2대''' || [[유승안]] || 2009년 ~ 2019년 || 569전 370승 202패 37무 || 초대 경찰청의 감독은 [[김용철(야구)|김용철]] 전 [[롯데 자이언츠]] 감독 대행이다. 2008년 시즌 도중 개인 사정으로 김용철이 사임해 [[정현발]] 코치가 감독 대행으로 있었다. 김용철의 뒤를 이어 2009년부터 [[유승안]]이 제 2대 감독으로 부임했다. === 역대 성적 === || '''{{{#ffdc00 년도}}}''' || '''{{{#ffdc00 소속 리그}}}''' || '''{{{#ffdc00 팀명}}}''' || '''{{{#ffdc00 순위}}}''' || '''{{{#ffdc00 경기수}}}''' || '''{{{#ffdc00 승}}}''' || '''{{{#ffdc00 무}}}''' || '''{{{#ffdc00 패}}}''' || '''{{{#ffdc00 승률}}}''' || '''{{{#ffdc00 비고}}}''' || || 2006년 ||<|13> '''{{{#ffffff 북부}}}''' '''{{{#ffffff 리그}}}''' ||<|13> '''{{{+1 경찰청}}}''' || 5위/6팀 || 76 || 28 || 4 || 44 || 0.389 || || 2007년 || 4위/6팀 || 84 || 41 || 5 || 38 || 0.519 || || 2008년 || 6위/6팀 || 84 || 24 || 8 || 52 || 0.316 || || 2009년 || 2위/6팀 || 89 || 54 || 4 || 31 || 0.539 || || 2010년 || 2위/5팀 || 102 || 55 || 8 || 39 || 0.539 || || 2011년 || '''1위/5팀''' || 102 || 65 || 8 || 29 || 0.691 || || 2012년 || '''1위/5팀''' || 92 || 54 || 5 || 33 || 0.621 || || 2013년 || '''1위/5팀''' || 92 || 47 || 8 || 37 || 0.560 || || 2014년 || '''1위/5팀''' || 92 || 55 || 4 || 33 || 0.625 || || 2015년 || '''1위/4팀''' || 102 || 57 || 8 || 37 || 0.606 || || [[KBO 퓨처스리그/2016년|2016년]] || '''1위/6팀''' || 96 || 59 || 8 || 29 || 0.670 || || 2017년 || '''1위/6팀''' || 95 || 55 || 6 || 34 || 0.618 || || 2018년 || '''1위/6팀''' || 95 || 55 || 8 || 32 || 0.632 || === 역대 우승 === ||<-5> '''2011년 [[KBO 퓨처스리그]] 정규리그 우승''' || ||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 피닉스]](북부)[br][[삼성 라이온즈/2군|삼성 라이온즈]](남부) || → || '''경찰 야구단'''(북부)[br][[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남부) || → || '''경찰 야구단'''(북부)[br][[상무 야구단]](북부)[* 공동우승.] [br] [[NC 다이노스]](남부)[* 신생팀.] || ||<-5> '''2012년 KBO 퓨처스리그 정규리그 우승''' || || '''경찰 야구단'''(북부)[br]롯데 자이언츠(남부) || → || '''경찰 야구단'''(북부)[br]상무 야구단(북부)[* 공동우승.] [br] NC 다이노스(남부)[* 신생팀.] || → || '''경찰 야구단'''(북부)[br]상무 피닉스(남부) || ||<-5> '''2013년, 2014년 KBO 퓨처스리그 정규리그 우승''' || || '''경찰 야구단'''(북부)[br]상무 야구단(남부) || → || '''경찰 야구단'''(북부)[br]상무 피닉스(남부) || → || '''경찰 야구단'''[br][[고양 다이노스]](중부)[br]상무 피닉스(남부) || ||<-5> '''2015년 KBO 퓨처스리그 정규리그 우승''' || || '''경찰 야구단'''(북부)[br]상무 피닉스(남부) || → || '''경찰 야구단'''(북부)[br]고양 다이노스(중부)[br]상무 피닉스(남부) || → || '''경찰 야구단'''(북부)[br]상무 피닉스(남부) || ||<-5> '''2016년 KBO 퓨처스리그 정규리그 우승''' || || '''경찰 야구단'''(북부)[br]고양 다이노스(중부)[br]상무 피닉스(남부) || → || '''경찰 야구단'''(북부)[br]상무 피닉스(남부) || → || 2017시즌 || == 구장 == [[벽제 야구장]]은 펜스까지의 거리가 짧아서 홈런이 많아 나와 일명 '''[[쿠어스 필드|벽제 쿠어스]]'''[* 홈런이 많이 나오기로 유명한 [[콜로라도 로키스]]의 홈구장 쿠어스 필드에서 따온 것.], 벽제 탁구장으로 불리는 등 악명이 높은 구장이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펜스를 좀 더 높였지만, 애당초 가운데까지의 거리가 겨우 110m인 이상, 문제의 근원적인 해결은 어려운 실정. 그래서 여기서는 타자들의 성적은 잘 나오며, 반대로 투수들의 성적은 잘 나오지 않는다. 참고로 2007년 조용원[* [[진흥고등학교 야구부|광주진흥고]] 시절 2루수 및 중심타자로 활약하며 에이스 [[김진우(1983)|김진우]]와 함께 2001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우승 및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청룡기]] 준우승을 이끌었다. [[해태 타이거즈]]의 지명을 받고 [[한양대학교]]에 진학했다.]의 '''피홈런 28개'''[* 참고로 역대 퓨처스리그에서 저것보다 많은 홈런을 친 '''타자'''는 [[문상철]](상무, 2017년, 30개)밖에 없다.], 2013년 [[양훈]]의 '''피안타 164개'''[* 퓨처스리그 역대 한 시즌 최다안타(151개. [[최주환]](상무, 2010년))보다 더 많다.] 등 경찰청 소속 투수들의 역대급 불명예 기록은 이에서 비롯된 것. 2017년부터는 인기구단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춘천시]]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7&aid=0000645368|연고지 이전]]이 적합하다는 판단하에 [[의암 야구장]]으로 이전할 예정이었다.[* 이 경우, 구단주가 서울지방경찰청장에서 강원지방경찰청장으로 바뀔 수 있다.] 그러나 연고지 협상이 더는 진전되지 않아 연고 이전은 무산되었다. 위에서 언급했듯 의무경찰 폐지 결정으로 해체가 임박힌 팀을 굳이 데려와 봤자 큰 이득도 없고. 그래도 2018시즌 퓨처스리그 세 경기가 춘천에 배당되었다. == [[경찰 야구단/유니폼|유니폼]] == [[경찰 야구단/유니폼]] 문서 참조. == 해체 당시 선수단 == === 코칭스태프 === || '''등번호''' || '''이름''' || '''직책''' || '''부임년도''' || '''프로활동''' || '''포지션''' || || 24 || [[유승안]] || 감독 || 2009 || 1982~1991([[MBC 청룡|MBC]], [[해태 타이거즈|해태]], [[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포수]] || || 70 || [[김동건(야구)|김동건]] || 수비코치 || 2014 || 2001~2009, 2012~2013([[SK 와이번스|SK]], [[NC 다이노스|NC]]) || [[내야수]] || || 72 || [[나성용]] || 배터리코치 || 2018 || 2011~2017([[한화 이글스|한화]], [[LG 트윈스|LG]], [[삼성 라이온즈|삼성]]) || [[포수]] || || 76 || 김수길 || 수석코치 || 2010 || 1986~1990([[빙그레 이글스|빙그레]]) || [[내야수]] || || 77 || [[이한진]] || 투수코치 || 2016 || 2006~2015([[SK 와이번스|SK]]) || [[투수]] || || 87 || 정영 || 트레이닝코치 || 2014 || - || - || || 88 || 박우혁 || 트레이닝코치 || 2018 || - || - || === 투수 === || 등번호 ||이름 || 입대년도 ||투타 ||원 소속팀 || ||11 ||[[한승지]] ||2017 ||우투우타 ||[[kt wiz]] || ||12 ||[[김명찬]] ||2017 ||좌투좌타 ||[[KIA 타이거즈]] || ||15 ||[[김태현(야구선수)|김태현]] ||2017 ||좌투좌타 ||[[NC 다이노스]] || ||21 ||[[김성한(1992)|김성한]] ||2017 ||우투우타 ||[[삼성 라이온즈]] || ||28 ||[[임대한]] ||2017 ||우투좌타 ||[[삼성 라이온즈]] || ||45 ||[[조병욱]] ||2017 ||우투우타 ||[[kt wiz]] || ||47 ||[[천원석]] ||2017 ||좌투좌타 ||[[LG 트윈스]] || ||54 ||[[김진호(야구선수)|김진호]] ||2017 ||우사우타 ||[[NC 다이노스]] || ||67 ||[[전용훈]] ||2017 ||우투우타 ||[[두산 베어스]] || === 포수 === ||등번호 ||이름 ||입대년도 ||투타 ||원 소속팀 || ||22 ||[[박재욱(야구선수)|박재욱]] ||2017 ||우투우타 ||[[LG 트윈스]] || ||42 ||[[김태군]] ||2017 ||우투우타 ||[[NC 다이노스]] || === 내야수 === ||등번호 ||이름 ||입대년도 ||투타 ||원 소속팀 || ||2 ||[[최재원(야구선수)|최재원]] ||2017 ||우투우타 ||[[LG 트윈스]] || ||13 ||[[이성규]] ||2017 ||우투우타 ||[[삼성 라이온즈]] || ||16 ||[[서예일]] ||2017 ||우투좌타 ||[[두산 베어스]] || ||17 ||[[김민수(1998년 3월)|김민수]] ||2017 ||우투우타 ||[[롯데 자이언츠]] || ||52 ||[[고장혁]] ||2017 ||우투우타 ||[[KIA 타이거즈]] || ||55 ||[[김주현(1993)|김주현]] ||2017 ||좌투좌타 ||[[한화 이글스]] || === 외야수 === ||등번호 ||이름 ||입대년도 ||투타 ||원 소속팀 || ||1 ||[[송우현]] ||2017 ||좌투좌타 ||[[넥센 히어로즈]] || ||10 ||[[이진영(1997)|이진영]] ||2017 ||우투우타 ||[[KIA 타이거즈]] || ||51 ||[[김호령]] ||2017 ||우투우타 ||[[KIA 타이거즈]] || == 역대 경찰청 멤버들 == 나무위키에 등록된 선수들만 소개. 괄호 안은 입대 전 당시 소속팀. === 1기(2006~2007) === * '''[[김태완(1981)|김태완]]'''([[LG 트윈스]]) * [[라형진]]([[삼성 라이온즈]]) - 경찰청 초대 주장. 당시 경찰청 1기 선수 중 '''제일 유명했다'''. 그러나 한창 복무 중이던 2006년 말 소속 팀에서 방출되었다.[* 같은 해에 입대했던 투수 김장준도 복무 도중 원 소속 팀인 LG에서 방출되었다.] * '''[[손주인]]'''([[삼성 라이온즈]]) - 위의 김태완과 트레이드 된 후 서로 윈윈이 되었다. * [[송수근(야구인)|송수근]]([[SK 와이번스]]) - 전역하자마자 방출되었다. 현재는 KBO 심판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장준영(야구)|장준영]]([[KIA 타이거즈]]) - 전역 후 2009년에 방출되었다. 방출 후 송수근처럼 KBO 심판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최진행]]'''([[한화 이글스]]) - 이 당시만 하더라도 '''그저 그런 2군 유망주''' 중 하나였다. * [[최현종]]([[현대 유니콘스]]) - 방출 후 KBO 심판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최형우]]'''([[삼성 라이온즈]]) - 반 이상이 그저 그런 2군 선수나 방출생 위주였던 경찰청 1기의 '''최고 신데렐라'''. 삼성에서 방출된 후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에도 탈락하였으나, 경찰청에 합격하여 창단 멤버로 합류했다. 2007 시즌 '''2군 북부리그 7관왕'''을 달성하여 원 소속 팀에 재입단하는 데 성공하였고 KBO 최초로 100억 FA가 되어 KIA에 이적했다. * [[홍성용]](LG 트윈스) - 복무를 마친 뒤 LG에 복귀했으나 1년만에 방출되었고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독립리그에서 뛰었다. 2013년 말 [[SBS Sports|SBS ESPN]]의 투수 발굴 프로그램 '나는 투수다!' 참여한 것을 계기로 [[NC 다이노스]]에 입단했다. 2014시즌 초반 후 불펜을 든든하게 지켜주었으나 단조로운 투구가 간파되면서 급격히 구위가 떨어졌고 5월 말 퓨처스리그로 내려갔다. 결국 2015 시즌 중 kt로 이적해 kt에서 2018년 은퇴했다. === 2기(2008~2009) === * '''[[손승락]]'''([[현대 유니콘스]]) - 경찰청 2기 에이스. 전역 후 넥센의 특급 마무리로 맹활약하다가 FA를 통해 롯데로 이적하여 어느정도 활약하고 아쉽게 300 세이브에 달성을 실패하며 은퇴했다. * [[신용운]]([[KIA 타이거즈]]) - 이후 삼성으로 이적해 재기에 성공했다. * [[양영동]](前 [[삼성 라이온즈]]) - 전역 후 LG 신고선수로 입단했다. 2014시즌 끝나고 은퇴, 2015시즌 LG의 코치가 되었다. * '''[[양의지]]'''([[두산 베어스]]) - 입대 이전엔 그저 그런 하위픽 선수였으나, 전역 후 1군 첫 시즌에 '''20홈런을 때려내며''' 두산의 안방마님이자 KBO 현역 최고 포수로 자리매김했다. 유승안 효과의 대표적 예시. * '''[[원종현]]'''([[LG 트윈스]]) - 입대 당시는 LG 소속이었지만, 전역 후 방출. 그러나 [[NC 다이노스]]의 테스트에 합격하며 입단하여 필승조로 자리매김한다. * [[이재곤]]([[롯데 자이언츠]]) - 이 시절 신용운한테서 싱커를 배웠다고. 전역 후 2010년 롯데의 신데렐라로 도약했다. * [[이시찬|이학준]]([[LG 트윈스]]) - 한화 이글스로 이적, [[한대화]] 감독 경질 이후 계속 그럭저럭 활약했다. 2015시즌을 앞두고 이시찬으로 개명했다. * [[전준호(1986)|전준호]](sk 와이번스) * [[전현태]]([[한화 이글스]]) * [[조영훈]]([[삼성 라이온즈]]) - 경찰청 2기 주장. 2009 시즌 초반 투수를 겸업했다. * [[차정민]]([[KIA 타이거즈]]) * [[황동채|황성용]]([[롯데 자이언츠]]) - 이후 황동채로 개명했다. === 3기(2010~2011) === * [[권영진(야구)|권영진]]([[SK 와이번스]]) * [[김민겸]] - 탐라대 졸업 후 프로 미지명 상태에서 입대하였고, 2012년 [[육성선수|신고선수]]로 [[키움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에 입단하였다. * [[김종찬(야구선수)|김종찬]] - 연세대 졸업 후 프로 미지명 상태에서 입대해 퓨처스리그에서의 좋은 활약을 바탕으로 [[NC 다이노스]]에 스카우트되며 극적으로 프로로 진출했다. 그러나 2013시즌 1군 5경기 출전 기록만을 남긴 채 2014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 [[박정규(야구선수)|박정규]]([[KIA 타이거즈]]) * [[연경흠]]([[한화 이글스]]) * [[오준형]]([[KIA 타이거즈]]) * [[오현민(야구선수)|오현민]] - 동국대 졸업 후 프로 미지명 상태에서 입대해 퓨처스리그의 좋은 활약을 바탕으로 [[NC 다이노스]]에 스카우트되었다. * '''[[우규민]]'''([[LG 트윈스]]) - LG 시절 마무리 투수~~불규민~~였으나 경찰청에서는 선발투수로 전환하였고 복귀 후 팀의 에이스로 환골탈태.이후 FA로 삼성으로 이적했다. * [[우동균]]([[삼성 라이온즈]]) * [[유재신]]([[넥센 히어로즈]]) * [[이승우(1988)|이승우]]([[LG 트윈스]]) * [[이웅한]]([[롯데 자이언츠]]) * '''[[임창민]]'''([[넥센 히어로즈]]) - 2012시즌 종료 후 [[NC 다이노스]]로 트레이드되어 필승카드로 자리매김하다 2021년 방출되었다. * [[조현근]]([[삼성 라이온즈]]) * [[전민수|전동수]]([[넥센 히어로즈]]) - 2012년 말 [[전민수]]로 개명 * [[전유수]]([[넥센 히어로즈]]) - SK로 이적 후 13-14시즌 불펜에서 활약했다. * [[정대훈]]([[한화 이글스]]) * [[최원제]]([[삼성 라이온즈]]) * '''[[최재훈(야구선수)|최재훈]]'''([[두산 베어스]]) - 전역 후에도 포수 자원이 풍부한 두산에서는 자리를 잡지 못한 백업 포수였으나 2017년 한화 이글스로 이적한 후 한화의 안방마님으로 활약하는 중이고 FA 계약까지 따냈다. 유승안 효과의 두번째 예시. 첫번째 예시는 '''같은 팀이었던 [[양의지]]'''다. * '''[[허경민]]'''([[두산 베어스]]) === 4기(2011~2012) === * [[김지수(야구)|김지수]]([[넥센 히어로즈]]) * [[나승현]]([[롯데 자이언츠]]) * '''[[민병헌]]'''([[두산 베어스]]) - 전역 후 주전 우익수를 꿰차고 '''3할 타율에 20도루 + 크게 향상된 장타력'''으로 '''두산 타자들은 경찰청에 가야한다'''(...)라는 법칙을 확립했다.--물론 그 전에 [[양의지]], [[최재훈(야구선수)|최재훈]], [[허경민]]도 있었지만-- --그러고보니 [[박건우(1990)|박건우]]도 급성장했다...-- 이후 4년 80억이라는 초대형 FA계약을 맺고 롯데로 이적하였지만, 돈값을 못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2021 시즌 중 은퇴했다. * '''[[박건우(1990)|박건우]]'''([[두산 베어스]]) - 전역 후 2015년부터 꾸준히 주전으로 자리 잡는데 성공하였다. * [[박용근]]([[LG 트윈스]]) * [[배민관]]([[LG 트윈스]]) * [[백용환]]([[KIA 타이거즈]]) * [[여건욱]]([[SK 와이번스]]) * [[양지훈]]([[삼성 라이온즈]]) * [[오현근]]([[두산 베어스]]) * [[정현석]]([[한화 이글스]]) - 입단 첫 해부터 4번타자를 맡아 팀의 창단 첫 우승에 기여했고, 2년차에는 주장을 역임하면서 2012 시즌 퓨처스리그 '''최다안타(118개), 득점 1위(63점), 타율 1위(.358), 장타율 1위(.573)'''를 기록했다. === 5기(2012~2013) === * [[최인영]]([[LG 트윈스]]) * [[강병의]]([[LG 트윈스]]) * [[구본범]]([[한화 이글스]]) * [[김회성]]([[한화 이글스]]) * [[김다원(야구선수)|김다원]]([[KIA 타이거즈]]) * [[문선엽]]([[삼성 라이온즈]]) * [[백창수]]([[LG 트윈스]]) * [[신희섭(야구)|신희섭]](前 [[삼성 라이온즈]]) * '''[[오태곤|오승택]]'''([[롯데 자이언츠]]) * [[오정복]]([[NC 다이노스]]) - 경찰청 입대가 확정되었을 때는 삼성 소속이었지만 이후 열린 [[한국프로야구 2차 드래프트|2차 드래프트]] 때 NC에 지명되었다. * [[윤도경]]([[두산 베어스]]) * [[윤중환]]([[SK 와이번스]]) * [[윤지웅]]([[LG 트윈스]]) - 경찰청 입대가 확정되었을 때는 넥센 소속이었지만 이후 입대 직전에 FA [[이택근]]의 보상선수로 LG에 지명되어 LG 소속으로 입대. * [[이광근(1989)|이광근]](건국대학교) * [[이우찬|이영재]]([[LG 트윈스]]) * [[이인행]]([[KIA 타이거즈]]) * '''[[장성우]]([[롯데 자이언츠]])''' - [[강민호]]에 밀려 주전을 차지하지 못하다 2015시즌 도중 [[kt wiz]]로 이적했다. * '''[[장원준]]'''([[롯데 자이언츠]]) - 입대 시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역대 경찰청 입대 선수중 최대어. 경찰청에서도 ~~전천후 노예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FA 대박으로 [[두산 베어스]]로 이적. * [[정범수(야구선수)|정범수]]([[넥센 히어로즈]]) * [[정회찬]]([[넥센 히어로즈]]) * [[허유강]]([[한화 이글스]]) - 경찰청 합격자 명단에서 "허유'''광'''"으로 표기되었다. === 6기(2013~2014) === * [[김재율]]([[LG 트윈스]]) * [[나성용]]([[LG 트윈스]]) * [[박기민]]([[NC 다이노스]]) * [[박민규(야구선수)|박민규]]([[삼성 라이온즈]]) * [[안규성]]([[넥센 히어로즈]]) * [[양훈]]([[한화 이글스]]) * [[오준혁]]([[한화 이글스]]) - '18년 kt wiz 이적 * [[우병걸]]([[삼성 라이온즈]]) *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kt wiz]]) - [[유승안]] 감독의 차남으로 복무 기간 동안 아버지와 아들이 같은 팀에서 활동했다. '18년 KIA 타이거즈 이적 * [[임기준]]([[KIA 타이거즈]]) * [[임진우]]([[삼성 라이온즈]]) * [[장영석]]([[넥센 히어로즈]]) * [[진야곱]]([[두산 베어스]]) * [[황윤호]]([[NC 다이노스]]) - '18년 KIA 타이거즈 이적 === 7기(2014~2015) === * '''[[강승호]]'''([[LG 트윈스]]) * '''[[강진성]]'''([[NC 다이노스]]) * [[김경태(1991)|김경태]]([[한화 이글스]]) * [[김성호(1989)|김성호]]([[롯데 자이언츠]]) * [[김인태(야구선수)|김인태]]([[두산 베어스]]) * '''[[배영섭]]'''([[삼성 라이온즈]]) - 2015년 주장. * [[성의준]]([[삼성 라이온즈]]) * [[박상원(1994년 2월)|박상원]]([[삼성 라이온즈]]) * '''[[신재영]]'''([[넥센 히어로즈]]) - 제대후 16년 프로 데뷔 첫승 및 첫 15승을 기록했다. 팀내 에이스를 자리하고 있다. 2016 KBO리그 신인왕. * [[양성우(야구선수)|양성우]]([[한화 이글스]]) * '''[[이천웅]]'''([[LG 트윈스]]) - 경찰청의 간판 타자로 활약하더니 16년 주전 외야수 자리를 차지한다. * [[이형범]]([[NC 다이노스]]) * '''[[임찬규]]'''([[LG 트윈스]]) * [[임치영]]([[SK 와이번스]]) * '''[[장현식]]'''([[NC 다이노스]]) - KIA로 트레이드된 이후 불펜으로 활약하고 있다. * [[최윤석]]([[한화 이글스]]) - 경찰청 입대가 확정되었을 때는 SK 소속이었지만 이후 열린 [[한국프로야구 2차 드래프트|2차 드래프트]] 때 한화에 지명되었다. * [[한승택]]([[KIA 타이거즈]]) - 경찰청 입대가 확정되었을 때는 한화 소속이었지만 이후 FA [[이용규]]의 보상 선수로 KIA에 지명되었다. * [[홍재호]]([[KIA 타이거즈]]) === 8기(2015~2016) === * [[김도현(야구선수)|김도현]]([[SK 와이번스]]) * [[김사훈]]([[롯데 자이언츠]]) * [[김태우(1989)|김태우]]([[NC 다이노스]]) * '''[[신본기]]'''([[롯데 자이언츠]]) * [[송윤준]]([[LG 트윈스]]) * '''[[안치홍]]'''([[KIA 타이거즈]]) * [[윤영삼]]([[넥센 히어로즈]]) * [[이경록(야구선수)|이경록]]([[KIA 타이거즈]]) * [[이성곤]]([[두산 베어스]]) - 23년 현재 한화 이글스 소속 * [[이현동(야구선수)|이현동]]([[삼성 라이온즈]]) * '''[[전준우]]'''([[롯데 자이언츠]]) - 8기 지원자 중 최연장자다. 2016년 주장. * --[[정대현(좌완투수)|정대현]]([[넥센 히어로즈]])--[* 정병곤이 불합격되면서 추가로 합격했지만 20인 외 지명으로 두산에서 KT로 옮긴 뒤 면담을 거쳐 입대를 연기했다.] * --[[정병곤]]([[삼성 라이온즈]])--[* 당초 합격자 명단에 들었었지만 본인의 실수로(정병곤 문서 참조.) 합격이 취소되었다. 그 대신 [[정대현(좌완투수)|정대현]]이 추가 합격했다.] * [[홍상삼]]([[두산 베어스]]) * [[황영국]]([[한화 이글스]]) === 9기(2016~2017) === * [[김기현(1989)|김기현]]([[한화 이글스]]) * [[김태훈(1992)|김동준]]([[넥센 히어로즈]]) * [[김재성(야구선수)|김재성]]([[LG 트윈스]]) * [[박규민]]([[SK 와이번스]]) - 2016년 시즌 후 수술을 받으면서 [[의병 제대]]했다. * [[박정수(야구선수)|박정수]]([[KIA 타이거즈]]) * [[박준태(1991)|박준태]]([[KIA 타이거즈]]) * [[박찬도]]([[삼성 라이온즈]]) - 2017년 주장. * [[변시원|변진수]]([[두산 베어스]]) * [[양원혁]]([[LG 트윈스]]) * [[윤형준|윤대영]]([[LG 트윈스]]) - 입대 확정 당시는 NC 소속이었으나 2차 드래프트에서 LG에 지명되었다. * [[이상민(야구선수)|이상민]]([[넥센 히어로즈]]) * [[이윤학]]([[KIA 타이거즈]]) - 경찰청 입대가 확정되었을 때는 kt 소속이었지만 이후 2차 드래프트에서 KIA에 지명되었다. * [[이인복(야구선수)|이인복]]([[롯데 자이언츠]]) * [[이종석(야구선수)|이종석]]([[KIA 타이거즈]]) * [[이지찬]]([[kt wiz]]) * [[임재현(야구선수)|임재현]]([[SK 와이번스]]) * [[장승현]]([[두산 베어스]]) * [[조지훈(야구선수)|조지훈]]([[한화 이글스]]) * [[홍정우]]([[삼성 라이온즈]]) === 10기(2017~2018) === 10기는 특이하게 1차와 2차로 선발이 나뉘었다. 의경 지원 자격 기준의 강화로 문신을 한 선수들이 면접 과정에서 탈락하면서 우선 10명을 선발한 뒤 2차 선발 때 해당 선수들에게 다시 기회를 부여했다. 그러나 선발이 3차까지 계속되고 3차 선발에서 뽑힐 선수가 1명이라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이대은]]을 위한 특혜가 아니냐라는 논란이 거셌다. 결국 이를 의식했는지 이대은과 박준표를 같이 합격시켰다. * [[김영환(야구)|김영환]] ([[kt wiz]]) * [[김재현(1991)|김재현]] ([[삼성 라이온즈]]) * '''[[김태진(1995)|김태진]]''' ([[NC 다이노스]]) * '''[[박준표]]''' ([[KIA 타이거즈]]) * [[박진우(야구선수)|박진우]] ([[NC 다이노스]]) - 복무 도중 2017년 11월 22일에 시행된 [[2018년 KBO 리그 2차 드래프트]]서 NC에 지명받아 원 소속 팀으로 복귀하게 됐다. * '''[[배정대]]''' ([[kt wiz]]) * [[윤승열]] ([[한화 이글스]]) * '''[[이대은]]''' (前 [[치바 롯데 마린즈]]) - 입단 당시에는 무소속이었으며, 전역 후 KT의 2차 1라운드 지명을 받아 KBO에 데뷔했다. * [[이현석(야구선수)|이현석]] ([[SK 와이번스]]) * [[이흥련]] ([[두산 베어스]]) - 경찰 야구단 입대가 확정되었을 때는 [[삼성 라이온즈|삼성]] 소속이었지만 [[KBO FA 제도|FA]] [[이원석(1986)|이원석]]의 보상 선수로 2016년 11월 27일 두산에 지명되었다. * [[임서준]] ([[NC 다이노스]]) * '''[[임지열]]''' ([[넥센 히어로즈]]) * '''[[정수빈]]''' ([[두산 베어스]]) * [[조한욱]] ([[SK 와이번스]]) * [[한승혁(좌완투수)|한승혁]] ([[롯데 자이언츠]]) * [[홍성민]] ([[롯데 자이언츠]]) * '''[[홍창기]]''' ([[LG 트윈스]]) === 11기(2018~2019) === 전년도의 문신 문제와 이대은 특혜 논란으로 선발이 길어졌던 것과는 달리 이번에는 한꺼번에 20명을 선발했다. 2017년 11월 10일 네이버 [[라디오볼]] 방송에 따르면 정유라 사건의 여파로 성적은 물론 서류전형, 체력검사 등이 강화되었고 구단별 안배는 더 이상 없다고 한다. 2018년 신규모집이 중단됨에 따라 마지막 멤버가 되었다. * [[고장혁]]([[KIA 타이거즈]]) * [[김명찬]]([[KIA 타이거즈]]) * [[김민수(1998년 3월)|김민수]]([[롯데 자이언츠]]) * [[김성한(1992)|김성한]]([[삼성 라이온즈]]) * [[김주현(1993)|김주현]]([[한화 이글스]]) * [[김진호(야구선수)|김진호]]([[NC 다이노스]]) * '''[[김태군]]'''([[NC 다이노스]]) * [[김태현(야구선수)|김태현]]([[NC 다이노스]]) * [[김호령]]([[KIA 타이거즈]]) * [[박재욱(야구선수)|박재욱]]([[LG 트윈스]]) * [[서예일]]([[두산 베어스]]) * [[송우현]]([[키움 히어로즈]]) * [[이성규]]([[삼성 라이온즈]]) * [[이진영(1997)|이진영]]([[KIA 타이거즈]]) * [[임대한]]([[삼성 라이온즈]]) * [[전용훈]]([[두산 베어스]]) * [[조병욱]]([[kt wiz]]) * [[천원석]]([[LG 트윈스]]) * [[최재원(야구선수)|최재원]]([[LG 트윈스]]) * [[한승지]]([[kt wiz]]) == 관련 문서 == * [[아산 무궁화]] * [[의무경찰]] [[분류:경찰 야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