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주시의 교통)] ||<-3><:> {{{#0047a0 {{{+1 '''경주 나들목'''}}}[br]{{{-2 '''慶州 나들목'''}}}[br]{{{-2 '''Gyeongju Interchan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경주 요금소'''[br]{{{-2 Gyeongju Tollgate}}}}}}}}} || || [[구서IC|{{{#!wiki style="font-size:13px; color: #585858" 부산 방면}}}]][[활천IC]][br]← 11.0 km || [[경부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1.svg|height=23]]{{{#!html
경부선}}}]] {{{#ffffff '''{{{+1 9}}}'''}}} || [[양재IC|{{{#!wiki style="font-size:13px; color: #585858" 서울 방면}}}]][[건천IC]][br] 10.4 km → || ||<-3> {{{-1 {{{#0047a0 ◀ [[경주휴게소]](부산방향)}}}}}} || ||<-3> {{{-1 {{{#0047a0 [[건천휴게소]](양방향) ▶}}}}}} || ||<-3> [include(틀:지도, 장소=경주IC,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경상북도]] [[경주시]] [[율동(경주)|율동]] || ||<-3> {{{#fff '''관리기관'''}}} || || [[경부고속도로|{{{#fff 경부선}}}]] ||<-2> [[한국도로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지사 || ||<-3> {{{#fff '''개통'''}}} || ||<-3> [[1969년]] [[12월 29일]][*A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9122900209203013|大邱-釜山개통]], 동아일보, 1969-12-29] || ||<-3> {{{#fff '''접속도로'''}}} || ||<-3>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35)]([[서라벌대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부고속도로]] 9번.''' [[경상북도]] [[경주시]] [[서라벌대로]] 484 ([[율동(경주)|율동]])에 위치한 [[경부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경주시]]에서 유래했다. 요금소가 한옥 형식으로 지어진 것이 특이점이다.[* 한옥형 요금소는 [[광주대구고속도로]] 20번 나들목인 [[함양IC]], [[호남고속도로]] 25번 나들목인 [[전주IC]], [[남해고속도로]] 29번 나들목인 [[함안IC]]에도 있다.] [[대구포항고속도로]] 개통 전과 도로 정비 전까지는 [[포항시|포항]]에 가려면 영천 금호교차로에서 포항, 청송 방면으로 올라가거나, 경주IC로 가야 했다. == 구조 == 다른 나들목들이 말단부에 입체/평면교차로가 설치되는 것에 반해 말단이 [[서라벌대로]]와 직결되어 있다. 다만 여기에서는 간접 연결되는 [[반구대로]] 구간도 편의상 함께 작성함. 개통 초기부터 나들목이 거의 개량되지 않았으나 [[경부고속도로]] 확장과 맞물려 [[하이패스]] 편의를 위해 2018년 요금소를 경주 방면으로 170m 가량 이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개량하면서 트럼펫 형태의 방향이 바뀌었다. === [[양재IC|서울]] 방향(상행선) === * 진출 가능: [[서라벌대로]] 경주시내 방향, [[반구대로]] 내남 방향. * 진입 가능: [[서라벌대로]] 경주시내 방향, [[반구대로]] 내남 방향. === [[구서IC|부산]] 방향(하행선) === * 진출 가능: [[서라벌대로]] 경주시내 방향, [[반구대로]] 내남 방향. * 진입 가능: [[서라벌대로]] 경주시내 방향, [[반구대로]] 내남 방향. == 역사 == * [[1969년]] [[12월 29일]] [[경부고속도로]] [[구서IC|부산]] ~ [[동대구JC|대구]] 구간이 개통함에 따라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A] 당시 행정구역은 월성군 내남면 율리였다(1973.7.1 경주시편입) * 2012년부터 진행된 [[영천JC|영천]]-[[언양JC|언양]] 간 확장공사와 맞물려 경주 나들목도 개량공사가 이루어졌다. 나들목의 [[입체교차로#s-2.1|트럼펫 구조]]가 기존과 45° 축을 중심으로 반전되었다. 부산 방향 진출입로는 원래는 진출로가 좌회전형이고 진입로가 P턴형이었지만, 개량 후에는 진출로가 P턴형이고 진입로가 좌회전형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추석쯤 톨게이트 구조물이 기존 전광판과 광고판이 위치했던 북동쪽으로 170m가량 이동된 지점으로 이설되었다. 주행 안전을 위한 조처로 보인다.[* [[http://dmaps.kr/dqfkj|위성 지도]]를 참고하면, 하이패스 설치 초기인 2007년에는 다른 요금소처럼 1차로에 하이패스 시설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이후 부산/울산 방면에서의 하이패스 차로 진입 시 위험 때문인지 3~4차로로 이전한 바 있다. 개량 후에는 다른 나들목들처럼 하이패스 차로가 1~2차로로 옮겨졌다.] 양식은 기존과 동일한 한옥 양식. 이후 기존에 사용하던 경주TG 구조물은 철거되었으나, 예전 사무실은 철거되지 않았다. == 여담 == * 휴가철만 되면 인파가 몰리면서 시내방향으로 램프부터 정체가 시작되는 경우가 잦다. 고속도로를 빠져나온 교통량이 분산되지 못하고 톨게이트 바로 앞의 [[반구대로]]와 교차하는 나정교삼거리, [[포석로]]와 교차하는 오릉네거리에서 신호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오후 4시가 넘으면 시내방향으로 일부 구간이 정체가 시작되면서 [[경주시외버스터미널]]까지 '''15분'''이나 걸리는 경우가 잦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시간에 대구나 구미 방면 등으로 연계를 할 경우 반드시 경주IC에서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까지의 시간이 최소 '''20분'''정도는 남아있는 것이 수월하다.] 그러나 강변도로가 개통함에 따라 더 나아졌다. * 외동~내남간 [[7번 국도]] 우회로가 개통하고 [[오토밸리로]]가 개통하면서, [[울산광역시]] 동·북구 지역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경주IC가 맡고 있다. [[울산IC]]로 진출하여 울산 시가지를 뚫는 것보다 훨씬 빠르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경부고속도로의 구간)]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분류:경부고속도로]][[분류:서라벌대로]][[분류:경주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