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국립공원)] ||<-4>
'''{{{#000 [[파일:국립공원 심볼.svg|height=20]] [[대한민국|{{{#000 대한민국}}}]] [[국립공원|{{{#000 제2호 국립공원}}}]]}}}'''[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경주로고2.png|height=100]]||{{{#000 '''{{{+1 경주}}}'''[br]慶州[br]{{{-1 Gyeongju}}}}}}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주국립공원, 너비=100%, 높이=250)]}}} ||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안내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파일:경주국립공원 안내지도.png|width=100%]]}}}}}}}}} || || '''위치''' ||<-2> [[경상북도]] [[경주시]] || || '''좌표''' ||<-2> 북위 35° 52′ 2.75″[br]동경 129° 13′ 21.23″ || || '''면적''' ||<-2> 136.55㎢ || ||<-3> '''경주국립공원''' || || '''지정일''' ||<-2> [[1968년]] [[12월 31일]] (2호) || || '''관리''' ||<-2> [[국립공원공단|[[파일:국립공원공단 CI.svg|width=100]]]] || ||<|4> '''사무소''' ||<-2> [[경상북도]] [[경주시]] [[천북남로]] 12 ([[신평동(경주)|신평동]])[br]{{{-2 054) 778-4100}}} || ||<-2> [[경상북도]] [[경주시]] 진티길 6-14 ([[진현동]])[br]{{{-2 054) 774-7615 (토함산 분소)}}} || ||<-2>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작원3길 51 (천포리)[br]{{{-2 054) 774-7617 (건천분소)}}} || ||<-2> [[경상북도]] [[경주시]] [[산업로(울산)|산업로]] 3504-24 ([[동방동]])[br]{{{-2 054) 771-7616 (남산분소)}}} || || '''깃대종''' || [[파일:원앙.gif|width=100]][br]{{{-2 {{{#000 원앙}}}}}} || [[파일:파인트리.gif|width=100]][br]{{{-2 {{{#000 파인트리}}}}}} || || '''홈페이지''' ||<-2> [[http://www.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SubMain.do?parkId=121900&parkNavGb=park&menuNo=7020085|[[파일:경주로고2.png|width=35]]]] [[http://www.knps.or.kr/front/portal/safe/acsCtrList.do?menuNo=8000340|실시간 탐방통제정보]][br][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yeongju_knp, 크기=20)]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경주시]] 일대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국립공원|국립공원]]으로, 유일한 [[사적]]형 국립공원이다. 1968년 12월 31일에 [[지리산]]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구성 == 경주국립공원은 다도해해상, 한려해상과 함께 비연속적인 공원 중 하나이며 총 8지구로 구성되어 있다. * [[토함산]] 지구 1968년 12월 31일 지정, 1995년 12월 [[세계유산]]으로 등재. 경주 시가지 남동쪽 [[보덕동]] 일대에 위치한다. [[불국사]], [[석굴암]] 등이 있다. * [[남산(경주)|남산]] 지구 1968년 12월 31일 지정, 2000년 11월 [[세계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로 등재. 경주 시가지 남쪽 배동 일대에 위치하며, 경주국립공원 중 유일하게 경주역사유적지구에 포함되어 있다. [[포석정]], [[경애왕릉]], [[헌강왕릉]] 등이 있다. 산에 불상과 탑이 많다. * 대본 지구 1968년 12월 31일 지정. 경주 시가지 동쪽 [[감포읍]] 대본리, [[문무대왕면]], [[양남면]] 일대에 위치한다. [[감은사|감은사지]], [[이견대]], [[문무대왕릉]](대왕암) 등이 있다. * 서악 지구 1971년 11월 17일 지정. 경주 시가지 서남쪽 서악동 일대에 위치한다. 선도산, [[무열왕릉]], [[법흥왕릉]], [[진흥왕릉]], [[서악동 고분군]] 등이 있다. * [[화랑]] 지구 1971년 11월 17일 지정. 경주 시가지 서쪽 [[충효동(경주)|충효동]] 일대에 위치한다. [[송화산]], [[흥무대왕]]릉 등이 있다. * [[소금강산|소금강]] 지구 1971년 11월 17일 지정. 경주 시가지 북동쪽 [[용강동(경주)|용강동]] 일대에 위치한다. [[소금강산]], [[탈해왕]]릉 등이 있다. * [[단석산]] 지구 1971년 11월 17일 지정. 경주 시가지 서쪽 [[건천읍]] 일대에 위치한다. * 구미산 지구 1974년 12월 26일 지정. 경주 시가지 서쪽 [[건천읍]] 일대에 위치한다. 주의할 점이 있다면 [[세계문화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를 구성하는 [[경주 월성|월성]]지구, [[대릉원]]지구, [[황룡사]] 지구, [[명활산성]]지구는 국립공원이 아니다. == 입실 통제 == [[태풍]]이나 [[대설주의보]], [[호우주의보]], [[강풍주의보]] 이상이 뜨면 입산이 통제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태풍 [[힌남노]] 당시에는 일부 등산로가 입산통제 되기도 했다. [[분류:대한민국의 국립공원]][[분류:경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