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상북도의 버스 터미널)] [include(틀:경주시의 교통)] [[파일:경주고속버스터미널.jpg]] [목차] == 개요 == [[경상북도]] [[경주시]] [[태종로(경주)|태종로]]685번길 2 ([[노서동]])에 있는 [[버스 터미널]]. [[경주시외버스터미널]]과 모퉁이를 끼고 마주한다. 실질적인 메인 스폰서는 [[금호고속]]이다. [[금호고속]]에서 대부분의 노선들을 독점 운행하며, [[고속버스 서울경부-경주|서울 ↔ 경주]] 노선에 한하여 [[금호고속]], [[천일고속]], [[한일고속]][* 참고로 [[경주시외버스터미널]] 운영업체가 과거 [[경주시 시내버스]] 운행을 했고 [[한일고속]], [[금아여행|구 신한일고속]]과 계열사였던 한일교통에서 운영한다.]과 [[공동 배차]]한다. 예전에는 [[동양고속]]과 [[코오롱고속]]도 고속터미널에 들어왔지만, 코오롱고속은 2005년에 금호고속으로 넘어갔고 동양고속은 경주에서 철수했다. 분명 [[영남]] 지방인데도 [[호남]]권 연고 업체인 [[금호고속]]이 강세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고속버스 터미널이지만 [[시외버스]] 면허 노선도 있다. 고속버스 예매는[* 서울, 부산 노선] [[https://www.kobus.co.kr|코버스]]에서 예매가 가능하고, 시외버스 예매는[* 동대구, 광주, 목포 노선] [[https://www.bustago.or.kr|버스연합회(경주고속버스로 선택)]]에서 예매가 가능하다. [[승차권]]은 영수증식 보딩패스 타입으로 나온다. 동대구, 광주, 목포행은 [[경주시외버스터미널]]과 같은 BUSTAGO 승차권으로 나온다.[* 다만 회수용 승차권 도색은 다르다.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은 연갈색인데, 경주고속버스터미널은 연보라색으로 나온다.] [[유네스코]]의 권고로 인한 문화재 보호 차원에서[* 신라 1000년동안 수도였다 보니까 시내엔 온갖 문화재와 유물이 많았고, [[일본 제국]]이 그쪽으로 철로를 뚫으면서 수많은 문화재가 훼손되었다. 버스나 도로는 유적을 피해서 깔고 다니면 그만이지만, 철도는 한 번 깔면 경로를 바꾸기 힘들기 때문에 2021년까지 유적지 위를 달리고 있었다.] 2021년 12월 28일에 [[경주역(폐역)|구 경주역]]을 [[건천읍]] 화천리의 현 [[경주역]]으로 통합했기 때문에, 이와 맞물려 주가가 높아지고 있는 [[버스 터미널]]이다. 현 [[경주역]]은 경주 시내에서 거리가 멀기 때문에 여전히 시내에 있는 터미널의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좋아지고, 경쟁력이 올랐기 때문이다. 게다가 [[경주시|경주]]의 악명높은 택시 [[바가지(경제 용어)|바가지]] 요금 때문에, 고속철도 때문에 제대로 직격타를 맞은 아랫동네 [[울산광역시|울산]]에 비하면 타격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 그러나 [[경주시외버스터미널]]과 달리 노선 수와 수요가 적기 때문에, 시외터미널만큼 지가가 높아지지는 않고 있다. == 역사 == '''1972년'''에 개업한 터미널이다. 무려 '''50년'''이 됐으며, 이로 인해 시설이 많이 낡았다. [[경주시외버스터미널]]과 다르게 향후 계획도 구체적으로 잡히지 않았다. 2010년 11월 15일에 [[시외버스 동대구-경주|동대구 ↔ 경주]] 노선과 [[시외버스 경주(고속)-부산|부산 ↔ 경주]] 노선이 고속버스 운행규정 변경으로 인한 운행 거리 미달로 시외버스로 전환되었다. 2015년 6월에 [[코오롱고속]] 시절부터 운행해 온 [[대전복합터미널|대전]] ↔ 경주 노선이 폐지됐다. 따라서 [[대전광역시|대전]]과 [[경주시|경주]]를 오고가려면 [[경주역]][* 고속터미널에서 [[경주역]]은 시내버스로 20분 걸린다. 택시는 복합할증으로 인한 바가지 요금 때문에 권하지 않는다. 신경주역에서 경주 시내로 가는 일반버스 노선들은 모두 고속터미널에 세워 준다.]으로 이동하거나,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혹은 [[동대구역]]으로 이동하여 환승해야 한다. [[http://djbusterminal.co.kr/index.php?module=Board&action=SiteBoard&sMode=VIEW_FORM&iBrdNo=6&iBrdContNo=47&sBrdContRe=0&sSearchField=&sSearchValue=&CurrentPage=1|관련 게시글]] 2017년 10월 21일 부터 동대구 - 부산완행이 동대구 - 경주고속완행과 경주고속 - 부산완행으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9회에서 2회로 감축되었으며, 2018년 1월 18일 부터 양 노선이 모두 폐지되었다. 2017년 6월 28일에는 [[선산휴게소]] 환승이 폐지되고, 2019년 4월 10일에는 낙동강휴게소([[낙동강구미휴게소|구미(상행)]]/[[낙동강의성휴게소|의성(하행)]]) 환승이 시행된다. 조금 더 최단거리로 갈 수 있는 [[상주영천고속도로]] 경유로 인가가 바뀌기 때문이며, [[고속버스 서울경부-경주|서울 ↔ 경주]] [[고속버스]] 노선은 24km 가량 단축됐다. 2019년 3월 8일부터 [[고속버스 서울경부-경주|서울 ↔ 경주]] 노선에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의 운행을 시작했다. 2019년 12월 1일부터 [[김해국제공항]]행 금아 [[리무진버스]]가 경주고속버스터미널 대신 바로 옆의 [[경주시외버스터미널]]로 들어오게 되면서, [[김해국제공항]]행 금아 [[리무진버스]]는 더 이상 경주고속버스터미널을 경유하지 않게 되었으며 금아버스그룹이 경주고속터미널에서 철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경주고속에서 서부산권 방면 버스가 폐지되었다. 2021년 3월 1일부터 [[금아리무진]], [[아성고속]], [[천마고속]]이 운행하던 동대구-경주시외 노선과 통합하여 동대구-경주고속 노선이 배차가 7회 감회되었으며, 대신 시외버스 배차가 7회 늘어났다. 2021년 7월 1일 부터는 [[유스퀘어|광주]], [[목포종합버스터미널|목포]]행에 [[프리미엄 버스|프리미엄]]이 투입되었다가, 2022년 날짜 미상에 프리미엄이 철수했다. == 노선 == === 승차홈 === 승차홈은 아래와 같다. 한때는 광주, 목포 노선 홈인 1번과 [[김해국제공항]] 노선 홈인 5번도 사용되고 있었으나,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다. * 1번 : 없음 * 2번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3번 : 부산(무정차) * 4번 : 동대구 * 5번 : 없음 * 6번 : 광주, 목포 === 운행 노선 === ||<-3> '''{{{#ffffff 수도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2147> '''{{{#ffffff 낙동강구미휴게소[br]서울}}}''' || 일 17회 || [[금호고속]][br][[천일고속]][br][[한일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2번 승강장] 경주발 서울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2147> '''[[낙동강구미휴게소|{{{#ffffff 낙동강구미휴게소}}}]]''' || 1:10 || ₩ 6,800[br]₩ 10,300({{{#0000ff 우등}}}) || ||<#002147> '''[[서울고속버스터미널|{{{#ffffff 서울(경부)}}}]]''' || 3:30 || ₩ 20,600[br]₩ 30,500({{{#0000ff 우등}}})[br]₩ 33,700({{{#ff0000 프리미엄(월~목)}}})[br]₩ 39,600({{{#ff0000 프리미엄(금~일, 공휴일)}}})[br]₩ 33,500({{{#0000ff 심야우등}}}) || ||<#002147>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6:10}}}, 07:00, {{{#ff0000 08:00}}}, {{{#0000ff 09:00}}}, 10:00, {{{#ff0000 11:00}}}, {{{#0000ff 12:00}}}, 12:40, {{{#0000ff 13:40}}}, {{{#ff0000 14:20}}}, {{{#0000ff 15:10}}}, 16:00, {{{#0000ff 17:00, 18:00}}}, 19:00, {{{#ff0000 20:10}}}, (심야){{{#0000ff 23:00}}}|| ||<-3><(>[[고속버스 서울경부-경주]] 참조. [[프리미엄 버스]]를 제외한, 07:00 ~ 19:00 시간대에 [[낙동강구미휴게소]]를 경유한다. 일반은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경부선 [[KTX]] 및 [[SRT]]와의 경쟁으로 운행 횟수가 다소 많지 않고, 고속철 개통 후에는 점차 감회되어 배차간격도 다소 뜸하다. 만약 시간대가 맞지 않다 싶으면, 고속터미널에서 시내버스로 20분 정도 걸리는 [[경주역]]으로 가야 한다.|| }}} || ||
<-3> '''{{{#ffffff 호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39b43> '''{{{#ffffff 광주[br]목포}}}''' || 일 3회(금,토,일 광주)[br]일 2회(나머지 요일 광주 및 상시 목포) || [[금호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6번 승강장] 포항발 목포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39b43> '''[[유스퀘어|{{{#ffffff 광주(유스퀘어)}}}]]''' || 3:30 || ₩ 28,100({{{#0000ff 우등}}})[br]₩ 36,600({{{#ff0000 프리미엄}}}) || ||<#039b43> '''[[목포종합버스터미널|{{{#ffffff 목포}}}]]''' || 4:30 || ₩ 36,800({{{#0000ff 우등}}})[br]₩ 47,800({{{#ff0000 프리미엄}}}) || ||<#039b43> '''{{{#ffffff 운행시각표}}}''' ||<-2><(>{{{#ff0000 09:40}}}, {{{#0000ff 15:20^^(금,토,일 / 광주종착)^^, 16:40}}}|| ||<-3><(>[[시외버스 포항-목포]] 참고. 전회 우등버스로 운행되며, 시외우등 할인이 적용된다. 2019년 11월 18일 기준 경주에서는 광주행, 목포행 모두 시외버스티머니 앱으로 발권이 가능하다. 2016년 6월 1일부터 이 노선은 [[금호고속]] 2팀(직행부)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이므로 [[티머니]] [[E-Pass]]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수동으로 검표한다. 하루 2회 뿐이므로 만약 시간대가 맞지 않는다면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에서 환승하는 게 낫다. 2023년 8월 2일 부터 프리미엄 투입이 시작되었고, 비슷한 시기 주말증회가 부활했다. 단, 증회분은 광주까지만 운행한다. || }}} || ||
<-3> '''{{{#ffffff 영남권}}}''' || || '''{{{#ffffff 행선지}}}''' || '''{{{#ffffff 운행횟수}}}''' || '''{{{#ffffff 운수회사}}}''' || ||<#0062bc> '''{{{#ffffff 부산}}}''' || 일 8회 || [[금호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3번 승강장] 경주발 부산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부산종합버스터미널|{{{#ffffff 부산(노포동)}}}]]''' || 0:50 || ₩ 7,7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8:50, 10:30, 11:50, 13:50, 17:00, 17:50, 19:50, 20:50}}}|| ||<-3><(>[[시외버스 경주(고속)-부산]] 참고. [[전환시외]]이며 [[금호고속]]에서 단독 운행 중이다. 경주고속버스터미널과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이 서로 붙어 있기 때문에 [[시외버스]]와 경쟁 관계에 있으나, 배차에서 크게 밀린다. 대신 [[고속버스]]는 [[시외버스]]와 동일한 운임에 28인승 우등버스를 투입했던 시절이 있어[* 경주시외발 부산동부행도 과거 28인승 서비스우등을 투입하기도 했으나 1일 2회로 매우 적었고 2023년 2월 부터 75%의 배차가 28인승 버스가 들어가고 우등할증을 받기 시작하며 서비스우등이 사라졌다.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사상]]행 시외버스도 우등을 투입하긴 하는데, 이쪽은 짤없이 전회우등할증을 받아서 요금 측면에서도 그나마 소수 일반이 있는 부산동부행이 우위다. 그러나 사상터미널은 원도심과 서부산권에서의 접근성이 매우 좋아서 이쪽에서는 우등할증(서울 노선과 달리 30% 다 받는다)을 그냥 다 내더라도 사상행 노선을 이용하는 편이다.], 편한 좌석을 원한다면 [[금호고속]]을 타는 게 낫다. 그러나 평일에 부산으로 이동하거나 막차시간 이후에는 시외버스를 이용하거나 [[경주역]]으로 가야 한다. 심야시간대에는 [[두실역]]에서 중간 하차가 가능하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현재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운행시간대가 유동적이므로 시간대가 맞지 않은 경우 바로 옆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해야 한다. 요금과 소요시간이 동일하고 배차간격이 훨씬 짧다. 우등할증이 진행되고 통합이 된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노선과는 다르게 부산 노선은 우등할증을 시행하지 않았고 통합도 안됐다.[* 우등할증이야 마음만 먹으면 가능하지만 통합은 시외노선은 동대구와 다르게 부산발은 여전히 [[포항터미널|포항]] 까지 가기 때문에 통합이 불가능하다.] 2022년 2월부터 주말에만 운행하다가 어느 순간부터 평일에도 운행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평일/주말 둘 다 5회 운행한다. 2023년 5월 1일 부터 [[너프|요금 정상화]]가 시행되었다. 정확히는 전회 30% 우등할증을 받게 되어 '싼 요금으로 편히 간다'라는 메리트는 사라졌다. || }}} || ||<#0062bc> '''{{{#ffffff 동대구}}}''' || 일 14회 || [[금호고속]] || ||<-3> {{{#!folding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
<-3> '''{{{#ffffff [4번 승강장] 경주발 동대구행}}}''' || || '''{{{#ffffff 경유지}}}''' || '''{{{#ffffff 소요시간}}}''' || '''{{{#ffffff 운임}}}''' || ||<#0062bc> '''[[용계정류소|{{{#ffffff 용계}}}]]''' || - || ₩ 8,000({{{#0000ff 우등}}}) || ||<#0062bc>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ffffff 동대구}}}]]''' || 0:50 || ₩ 7,500({{{#0000ff 우등}}}) || ||<#0062bc> '''{{{#ffffff 운행시각표}}}''' ||<-2><(>{{{#0000ff 07:00, 08:30, 09:40, 10:40, 11:40, 12:40, 13:40, 14:40, 15:40, 16:40, 17:40, 18:40, 19:40, 21:00}}} || ||<-3><(>[[시외버스 동대구-경주]] 참조. [[전환시외]]이며 [[금호고속]]에서 단독 운행 중이다. 경주고속버스터미널과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이 서로 붙어 있기 때문에 [[시외버스]]와 경쟁 관계에 있으나, 배차에서 크게 밀린다. 대신 [[금호고속]]은 [[시외버스]]와 동일한 운임에 28인승 우등버스를 투입하므로, 편한 좌석을 원한다면 [[금호고속]]을 타는 게 낫다. 그러나 막차시간 이후에는 시외버스를 이용하거나 [[경주역]]으로 가야 한다. 중고생 할인이 적용된다. 주의. 용계서 하차시에는 티머니GO에서 발권이 불가능하고 BUSTAGO 에서만 발권이 가능하다. || }}} || 위 표는 노선 일람이다. [[시외버스 동대구-경주|동대구 ↔ 경주]] 노선은 [[경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시외버스]]와 경쟁이 붙는 바람에, 전회 [[우등석|우등고속]]만 투입 중이다. [[금호고속]]이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에서 대대적으로 선전 중.[* [[금호고속]]은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에서 "일반 요금으로 우등! [[경주시|경주]]는 [[금호고속]] 우등!"을 [[똥꼬쇼|승차장에 대놓고 광고하고 있다.]] ~~차급이 그닥인 게 함정.~~]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노선 역시 시외버스와 요금이 같아 [[시외버스 동대구-경주|동대구 ↔ 경주]] 노선처럼 우등을 투입해 차별화를 하고있지만, 시외버스보다 횟수가 적은데다 주말에는 일반고속이 투입되는 경우도 있는지라... [[고속버스]] 터미널이지만,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공존하는 노선도 존재한다. 이 시외버스는 이른바 고속도로 위의 완행버스라고 불리는 [[전환시외]] 노선으로, [[아성고속]]/[[천마고속]]에서 담당한다.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를 출발해 [[경부고속도로]]상의 정류장에 정차하고 중간에 경주고속버스터미널을 들렀다가 다시 고속도로에 진입해 고속도로상의 정류소를 경유한 후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으로 가는 노선인데, 2017년 10월 21일에 경주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완행과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 경주 완행으로 분리됐고 양쪽 모두 1일 2회로 크게 감축됐으며 계속되는 이용률 부진으로 인해 2018년 1월에 폐지됐다. [[유스퀘어|광주]]는 [[광주광역시]]를 뜻한다. [[광주종합터미널|경기도광주]]로 가려면 [[경주시외버스터미널]]로 가야 하며, 여기서 광주 달라고 하면 100% 광주광역시행 표를 끊어준다. ===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 [[김해국제공항]]: 2019년 12월에 경주고속버스터미널 경유에서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경유로 바뀌었다. [[대전복합터미널|대전복합]]: 2015년 6월에 [[코오롱고속]] 시절부터 운행한 유서깊은 노선인 대전 ↔ 경주 고속버스 노선이 폐지되었다.[* [[고속버스 대전복합-포항|대전 ↔ 포항]] 노선 역시 [[포항역]]에 [[KTX]]가 뚫리자 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하더니, 2020년 10월 [[동양고속]]의 철수로 3회로 처절히 몰락했다. 결국 2023년 6월부터 운행 중단에 들어갔다.] 폐지 이후 경주에서 대전으로 가려면 [[경주역]]으로 이동하여 [[KTX]], [[KTX-산천]], [[SRT]]를 이용해야 한다. [[시외버스 동대구-경주|동대구 ↔ 경주]] 노선으로 동대구터미널로 이동해서 [[고속버스 대전복합-동대구|대전 ↔ 동대구]] 노선으로 환승하는 방법도 있으나, [[고속버스 대전복합-동대구|대전 ↔ 대구]] 노선이 1일 2회로 대거 감회되어 연계가 어렵다. 아랫동네로 다니는 [[고속버스 대전복합-울산|대전 ↔ 울산]] 노선도 있으나, 이 노선도 고속철도의 여파로 1일 3회뿐이다. 내남고속도로, 인보, 언양고속도로, 통도사고속도로, 석계고속도로, 양산고속도로,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완행)]], 건천직행, 영천고속도로, 대창, 진량: 2017년 10월 21일에 이용률 부진으로 동대구-경주완행, 경주-부산완행으로 분리되었다가 2018년 1월 18일에 최종 폐지되었다. 내남이나 건천으로 갈 사람은 시내버스[* 내남은 [[경주 버스 500|500번]], 건천은 [[경주 버스 300|300번]]이나 [[경주 버스 350|350번]].]를 이용해야 하며, 언양으로 갈 승객은 [[경주시외버스터미널|옆]]에서 [[시외버스 김해-포항|김해행]]이나 [[시외버스 창원-포항|창원행]]을 타고 언양에서 내려야 하며, 통도사로 가는 승객들은 언양행 버스를 타고 시내버스나 [[시외버스 부산-울산|시외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석계는 언양행 버스를 타고 시내버스로 갈아타야 하며, 양산은 [[시외버스 마산-포항|마산행]]이나 창원행을 타고 [[양산시외버스터미널|양산]]에서 내려야 한다. 영천은 [[경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영천행 버스를 이용하거나 [[경주역]] 혹은 [[서경주역]]에서 무궁화호를 타야 한다. 대창은 영천에서 내려 시내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진량은 경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경산시외버스정류장|경산행 버스]]를 타고 진량에서 내려야 한다. == 그 외 == 경주고속버스터미널은 [[경주시|경주]] 시내권에서 [[경주역]]으로 가는 대표적인 통로 중 하나로, [[경주역]]으로 가는 경주 일반버스 노선들은 모두 경주고속버스터미널에 정차한다. 이는 [[경주시|경주]] 관광의 팁 중 하나인데, '''[[경주시|경주]] 택시가 바가지 요금으로 악명높기 때문이다.''' [[경주역]]에서 [[보문관광단지]] 및 [[불국사]]를 잇는 좌석버스 [[경주 버스 700|700번]]은 [[불국사]]방향만 경주고속버스터미널에 정차하며, [[경주역]]방향은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건너편의 [[경주 버스 10, 11|10/11번]] 기점 쪽에 정차한다. 2023년에 신설된 좌석버스 노선인 [[경주 버스 710|710번]]과 [[경주 버스 711|711번]]도 경주고속버스터미널에 정차한다. [[분류:경주시의 버스 터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