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사적/1~100호|{{{#ffffff 대한민국의 사적}}}]]''' || || 81호 ||<|2> ← || '''82호''' ||<|2> → || 83호 || || [[교동 고분군|창녕 송현동 고분군]] || '''경주 천군동 사지''' || 서울 선잠단지 || [[파일:경주_천군동_사지_남쪽상공(북쪽으로_조망)_(고도보존육성과,_2017) 문화재청.jpg]] [목차] == 개요 == [[경상북도]] [[경주시]] [[천군동]]에 있는 절터이다. 설립 연대는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보물 제168호로 지정된 경주 천군동 동·서 삼층석탑이 있다. 경주 천군동 사지는 1963년 1월 21일에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82호로 지정됐다. == 상세 == === 경주 천군동 동ㆍ서삼층석탑 === ||<-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보물/1~200호|{{{#ffffff 대한민국의 보물}}}]]''' || || 167호 ||<|2> ← || '''168호''' ||<|2> → || 169호 || ||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 || '''경주 천군동 동ㆍ서삼층석탑''' ||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 [[파일:경주_천군동_동·서_삼층석탑_서탑_건축_2009년(출처___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jpg]] 서탑 [[파일:경주_천군동_동·서_삼층석탑_동탑_건축_2009년(출처___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청.jpg]] 동탑 == 외부 링크 == * [[https://ko.wikipedia.org/wiki/경주_천군동_사지|한국어 위키백과: 경주 천군동 사지]]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886&cid=46656&categoryId=46656|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경주천군동사지]]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54797&cid=42840&categoryId=42846|답사여행의 길잡이 2 - 경주: 천군동 절터]]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60526&cid=40942&categoryId=33380|두산백과: 경주 천군동 사지]] == 문화재청 소개글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3,00820000,37&pageNo__=5_1_1_0&pageNo=1_1_2_0|문화재청 홈페이지: 경주 천군동 사지 (慶州 千軍洞 寺址)]] >경주 보문단지 경주월드 맞은편 논 한가운데 있으며, 보물로 지정된 통일신라시대의 3층석탑 2기가 서 있다. 절의 이름과 처음 지어진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석탑이 신라의 전형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으므로 통일신라시대의 사찰로 추정하고 있다. 2기의 탑은 규모와 형식이 같으며, 서쪽에 있는 탑의 보존상태가 좀 더 양호하다. > >발굴결과 확인이 된 건물자리는 금당(법당)·강당·중문 들이며, 기둥과 기둥사이를 1칸으로 볼 때 금당은 앞면·옆면 모두 5칸, 강당은 앞면 8칸·옆면 3칸, 중문은 앞면 3칸·옆면 2칸의 건물이었음이 밝혀졌다. 전체 절터의 규모는 중문에서 강당까지 남북 79m, 동서 61m이다. > >발굴당시에 출토된 유물은 대부분이 기와 종류로서, 지붕 맨 윗부분의 양쪽 끝에 장식하였던 큰 치미(높이 58㎝)는 국립경주박물관에 진열되어 있다. >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양식인 쌍탑식의 가람배치를 따르지만 금당 좌우에 회랑이 없는 것이 특이하다. 감은사지와 보문리 사지의 석탑보다 양식상 늦은 시기로 보아 창건 연대를 8세기 후반으로 추정하고 있다. > >※(경주천군리사지 → 경주 천군동 사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분류:대한민국의 사적]][[분류:한국의 절터]][[분류:경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