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학과)] [include(틀:경제학)] [목차] == 개요 == {{{+1 [[經]][[濟]][[學]][[科]], Department of Economics}}} [[경제학]]을 배우는 [[학과]]. 과거에는 [[경영학과]]와 함께 [[상과대학]], 상경대학 등 통칭 상대를 구성한 경우가 많았지만, 경영학과가 미국 비즈니스 스쿨의 영향을 받아 독립된 단과대로 분리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현재와 같이 다양한 소속을 가지게 되었다. [[영국]]에서는 [[정치외교학과]], [[철학과]]와 융합하여 [[PPE]]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는 경우도 있다. 2019년 기준으로 4년제 대학에 개설된 학과 수 총 1만2천595개 중에서 경제 계열은 150개 개설된 것으로 분석됐다. 총 6천230개 학과가 개설된 전문대에서도 경영·경제 계열 학과가 479개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http://yna.kr/AKR20190910024400004|기사]] == 팁 == 경제학과는 경영학의 재무관리, 회계학 파트와 함께 '''[[문과]] 내에서 가장 [[수학]]을 많이 쓴다.''' '''수업의 대부분이 수학적 증명과 통계적 검증으로 이루어진다.''' 경제학과 진학을 고려하고 있는 경우 이 점을 반드시 유념하고 이 학문이 본인에게 잘 맞을지를 고민해보도록 하자.[* 아예 서울대학교는 대놓고 내신에서 '''미적분''', 확률과통계 이수를 권장한다. 필수는 아니지만, 이수를 안 하면, 내신평가에서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너무 겁먹을 필요는 없는 것이 학부 수준에서는 엄청난 수학을 요구하지 않는다. 배우는 수준 자체는 [[일반계 고등학교]] [[문과]] 수준의 [[미적분]]만 충실히 공부해 둬도 따라가는데 큰 어려움이 없는 정도이다. 또한, 학과에 입학하면 1학년 때 예비 과목으로 기초 수학[* [[부분적분]], [[치환적분]] 등 고등학교 이과 내용과 [[다변수함수|이변수함수]], [[행렬]] 정도를 배운다.]을 배우니, 이를 잘 습득한다면 큰 무리는 없다. 애초에 유명 경제학자들부터 수학보다는 그 이면의 의미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거듭 이야기한다. 과학적 설명을 위해 수학 의존도가 높은 것은 맞으나, 학부 수준에서 넘사벽의 수학적 논리력을 요구하는건 아니기 때문에 기초만 튼튼히 쌓으면 풀 수 있는 수준이다. 참고로 경제학과에서는 경제수학 과목이 기초 수학을 담당하고 있다. 보통 1~2학년들이 많이 듣고, 한 학기 내에 고등학교 이과 미적분, 선형대수학 기초(행렬, 벡터공간, 부분공간, 고유치, 대각화, 정사영, 이차형식 부호판정 등), 다변수함수 미분, 헤세행렬, 오목/준오목 함수, 동조함수, 다변수함수 테일러정리, 역함수정리, 음함수정리, 라그랑주 승수법, 포락선 정리, 쿤 터커 조건 등을 배운다. 대학에 따라서 미분방정식, 차분방정식, 벨만 방정식, 최적제어이론 등까지 가르치는 경우도 있다. == 교육 과정 == === 학사 과정 === 아래 과목들은 학교에 관계없이 1~2학년때 대부분이 전공필수로 배운다. * [[경제학/교과서 #s-2.1|경제학원론]](1학년 수준): 통년 과정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으며 1, 2(I, II)로 나뉜다. 학교에 따라서 미시경제학원론과 거시경제학원론으로 나누기도 하나 명칭만 다를 뿐 각각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의 원론으로 나누어 놓은 것뿐이다. * [[미시경제학]](2학년 수준): 보통 1,2로 나뉘어 통년으로 배우나 단학기인 경우도 있다. * [[거시경제학]](2학년 수준): 보통 1,2로 나뉘어 통년으로 배우나 단학기인 경우도 있다. * [[경제수학]]: [[수리경제학]]의 [[선수과목]]으로서 [[미적분]]과 [[행렬(수학)|행렬]] 등을 주로 배우나, 심화 과정으로 [[선형대수학]] 등을 배우기도 한다. * [[경제통계학]]: [[계량경제학]]의 [[선수과목]]으로서 [[통계학]] 공부와 컴퓨터([[Microsoft Excel]], [[R(프로그래밍 언어)]], [[MATLAB]], [[STATA]] 등)를 활용하는 실습을 한다. 대학원 진학 시 다음과 같은 과목을 듣는 것이 좋다. * [[수리경제학]]: [[경제수학]]보다 훨씬 고급 과목. 경제수학이 1~2학년에 개설되어 미시경제학이나 거시경제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미적분이나 행렬 등 기초적인 수학 지식을 주 내용으로 하는 데 비하여, 수리경제학이라는 이름으로 개설되는 3~4학년 과목은 대학원 1학년 수준의 미시경제학(석사)/거시경제학(석사)/계량경제학(석사)를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내용을 다룬다. * [[계량경제학]]: 현실 경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본적으로 통계학적 지식을 많이 활용하며 수리경제학과 마찬가지로 대학원 진학이나 유학이 목적이면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다. 학교에 따라 전공필수로 지정되어 있기도 하다. 1~2학년 필수과목을 듣고 나면 각론을 듣게 된다. 미시경제학 각론은 다음이 있다. * [[게임이론]] * [[산업조직론]]: 현실 경제에서의 산업 및 기업의 선택, 행동에 대해 규명한다. * [[재정학]](공공경제학): [[공공재]], 공공선택, 외부효과, 조세 등에 대해 다룬다. * [[조세론]] * [[후생경제학]] * [[노동경제학]]: 주로 노동시장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기본적으로 응용미시분야지만 거시경제 이론도 어느 정도 필요하다. * [[국제무역론]] * [[법경제학]]: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법(주로 재산권, 계약, 독과점경쟁법 등)에 대해서 다루기도 하며, 법이라는 제도를 효율성의 측면에서 경제학적으로 분석하기도 한다. * [[행동경제학]] * [[정보경제학]] 거시경제학 각론으로는 다음이 있다. * [[화폐금융론]] * [[금융경제학]] * [[경제성장론]] * [[경기변동론]] * [[경제정책론]] * [[국제금융론]] 그 외의 각론 과목으로는 다음이 있다. * [[도시개발경제학]]: 도시의 경제 구조, 각종 도시 문제 및 정책을 다룬다. * [[기술경제학]]: 기술 혁신 및 파급, 그리고 이와 관련된 국가 체제 등을 다룬다. * [[경제학설사]](경제사상사): [[애덤 스미스]]로부터 시작하여 [[존 스튜어트 밀]], [[데이비드 리카도]],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경제학자들의 사상과 학문을 배우는 과목이다. * [[경제사]]: [[경제학설사]]와는 엄연히 다른 과목으로 한국사와 세계사를 경제학적 시각으로 바라본다. 근대 경제의 발전 과정, 특히 자본주의 발달을 중점적으로 다룬다고 보면 된다. * [[협상경제학]] * [[환경경제학]] * [[농업자원경제학]] * [[비교경제체제론]] * [[마르크스 경제학]] 학교에 따라서는 [[경제학]] 이외의 과목들을 가르치기도 한다. 기초 수준으로 [[경영학원론]], [[회계원리]]([[회계학원론]]) 등을 배우기도 한다.[* 반대로 경영학과, 회계학과 같은 학과에서도 경제학원론을 전공기초 과정에 넣기는 한다. 어디까지나 기초 수준이지만.] === 대학원 === 대학원 진학 시 학사졸로 끝내는 학생과는 완전히 다른 공부가 요구된다. 대개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계량경제학을 대학원 필수과목으로 지정해놓고 있으며, 수학과 통계학의 기초를 요구한다. 이런 과목들을 수행할 수 없다면 입학을 허락받기도 힘들뿐더러 허락받아도 별 의미가 없다. * [[선수과목]]: 학부 수준의 미시, 거시, 계량을 알아야 한다. * [[수리경제학]]: 대개의 미시경제학(석사) 수준에서 교과서로 사용하는 MWG[* Mas-Colell, Andreu, Michael Dennis Whinston, and Jerry R. Green. Microeconomic theory. Vol. 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적분학]], [[선형대수학]], [[해석학(수학)|해석학]]을 알아야 한다. 거시경제학(석사)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분방정식]]을 알아야 한다. * [[경제통계학]]: 계량경제학 과목을 위해서는 통계학개론과 수리통계학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박사 수준에서는 코스웍에서도 전공필수 과목의 과제가 통계 패키지(STATA, R)나 프로그래밍 언어(GAUSS, [[MATLAB]])의 형태로 주어진다. 위에 써 놓은 건 어디까지나 '전공필수 과목을 통과해서 코스웍을 끝낼 수 있다'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이고, 자기 관심분야와 수준에 따라서 공부 범위가 천지차이가 된다. 자세한 건 사전조사를 하면서 교수님과 상의해야 한다. 경제학과의 경우 경영학과 등과 달리 의외로 대학원이 생각보다 적다. 애당초 경제학과 자체가 웬만큼 수준이 있는 종합대학이거나 지역거점대학에만 존재한다. 더욱이 학부과정만 존재하고 대학원 과정이 개설되지 않는 경제학과를 갖고 있는 대학들도 더러 있다. 기본적으로 엘리트 학문적인 성격이 있는 셈이다. === 유학 === 미국 명문대 한 곳의 1년 정원이 25~30명 정도밖에 안 되고 (박사과정 전체 100~110명) Top 20 수준의 대학에 진학하는 한국 학생이 1년에 15~20명 정도밖에 안 되기 때문에 이런 기준에 맞추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외국 명문대 경제학 박사과정의 경쟁률은 40:1을 넘을 때도 있다. [[https://www.econ.berkeley.edu/grad/admissions/profile|UC 버클리]]에서 밝힌 기존 합격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전공 [[평점]] 3.8/4.0 이상. 대학원 과목 또는 학부 고학년 과목 수강. 수강한 과목의 난이도도 고려함.[* 연구와 아무 관계 없는 과목들은 학점이 좋든 많이 들었든 좋게 평가하지 않음.] * 수학 A- 이상: 해석개론 (우수반)[* honors: 학점도 좋고 입학성적이 우수한 학생들만 모아서 우수반을 편성하는 경우가 많다. 영국에서 '1:1'이나 'first class'라고 하는 것도 비슷한 개념.] 또는 실해석학. * 학부 수준 미시, 거시, 계량에서 A- 이상: 우수반 또는 수학을 많이 쓰는 강의 우대. * 영어: [[TOEFL]] [[iBT]] 90 이상 또는 [[IELTS]] 7.0 이상 * 독립된 연구 역량이 증명됨. 예를 들면 우수 졸업논문으로 선정된다든지, 추천서를 써준 교수와 학교 교과과정 밖에서 독립된 연구를 진행했다든지. * 추천서에서 매우 강력한 추천 * Quantitative GRE 163 이상 (상위 15% 가량) 대개 무슨 과목을 [[선수과목]]으로 요구하는지 적어놓고 있다. 미적분학, 미분방정식, 선형대수학, 해석학, 수리통계학-확률론 정도다. 이 과목들은 코어 과목을 공부하는 데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때문에 입학에 유리하다. == 진로, 취업률 분석 == [[취업/문과]] 문서도 참조. 학문자체는 순수학문으로 분류되지만, 실용학문적 성향이 강한데다가 '''상경계'''로 묶여 취업률이 문과 중에서 높은 편이다. 상경계는 [[경영학과]] [[회계학과]] 포함), [[통계학과]], 경제학과, [[무역학과]], [[세무학과]] 등 상업과 경제에 관한 학과들을 묶어 말하는 것이다. 이들 학과와 함께 경제학과는 배치표 상에서나 입결 면에서 인문사회계열 학과 중 최상위권이다. * 제조업/서비스업(금융권 포함) 취업 - 경제학과의 전공과 관련된 직무는 [[금융권]] 및 [[재무]] 직무다. 최소 '''[[평점]] 3.0/4.5 이상, [[TOEIC Speaking]] 레벨 6 이상 or [[OPIc]] IM2 이상'''이 필요하고, 일부 기업의 경우 출신 대학에 따라 암묵적으로 다른 기준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 [[공무원]], [[공공기관]] - 경제학이라는 학문의 특성상,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재경직, [[한국은행]] 경제직, [[금융감독원]] 경제직 등 거시적인 경제정책을 다루는 곳이 전공지식을 가장 많이 살린다고 볼 수 있다. - 5급 공채의 많은 직렬에서 출제된다. 재경직의 경우 5과목 중 3과목을 경제학으로 응시할 수 있다. (경제학, 재정학, 선택과목-국제경제학) 국제통상직도 유리하다. 일반행정직의 경우 1과목만 경제학으로 응시하게 되나 경제학은 보통 비전공자에게는 비교적 난해한 과목으로 여겨지기에 행정고시 일행직에서도 경제학과 출신이 비교적 유리한 부분은 있다. -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에서도 경제학이 필수과목으로 들어간다. - 국가직 7급 [[공무원 시험]] 일반행정직에서도 경제학이 필수과목이다. 단, 지방직(서울시 포함) 7급 행정직은 지방자치론(지방행정학), 지역개발론 등으로 대체 가능한 선택과목으로 출제된다. 국가직 7급의 경제학은 지방직 7급에 비해 난이도가 높다. - 9급 공무원 통계직 시험의 선택과목이다. 합격에 유리한 다른 과목을 선택할 수 있어서 경제학을 안 선택하는 게 낫지만 2022년 이후에는 필수과목이다. 범위는 7급과 동일하지만 비교적 쉽게 출제된다. * 자격증 - 문과 [[전문직]] 시험에서 출제된다. [[세무사]], [[대한민국 공인회계사|공인회계사]], [[감정평가사]], [[보험계리사]] 등이 경제학 지식을 요구하고 있다. == 다른 학과와의 차이 == * [[경영학과]]와 많이 혼동하곤 한다. [[경영학]] 문서에 둘의 차이에 대한 항목이 있다. * [[농업경제학]](식품자원경제학,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과는 코어 과목은 똑같으며 상호간 대학원 진학도 자유롭다. 농업경제학과 학생이 경제학과처럼 수업을 듣고 싶다면 3~4과목만 제외하고 거의 똑같이 맞출 수 있다. 다만 이쪽은 농업/환경/자원 분야에의 응용을 많이 배운다는 차이점이 있다. * [[수학과]]나 [[통계학과]]에서도 경제학과 대학원에 많이 온다. 미시경제학 / 계량경제학 쪽 전공을 깊이 할 경우 경제학과 출신보다 수학과 출신이 더 유리한 경우도 있다고 한다. 경제학에 상당한 발전을 가져온 학자들 중 흔히 천재로 지목되는 수학자들이 상당히 많다. [[존 내시]]도 수학자면서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다. == 개설 대학 == 이름이 경제학과가 아님에도 경제학사를 수여하는 학과가 많다. [[농업경제학과]](식품자원경제학과), [[소비자학과]] 등이 대표적인데 해당 내용은 각 문서를 참고바란다. === 수도권 === 국공립대학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경제학부|경제학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학부/정경대학|정경대학]] 경제학부 * [[인천대학교]] 경제학과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경제학과 사립대학 *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 [[가톨릭대학교]] 경제학과 * [[강남대학교]] 경제학과 *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학부/정경대학|정경대학]] 경제학과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정경대학|정경대학]] 경제학과 *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학부/경상대학|경상대학]] 경제학과 *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학부/경영경제대학|경영경제대학]] 경제학과 * [[대진대학교]] [[대진대학교/학부/글로벌산업통상대학|글로벌산업통상대학]] 글로벌경제학과 *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 [[동덕여자대학교]] 경영경제학부 경제학전공 * [[명지대학교]] [[명지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 [[상명대학교]] [[상명대학교/학부/경영경제대학|경영경제대학]] 경제금융학부 *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학부/경제대학|경제대학]] 경제학과 * [[서울여자대학교]] 경제학과 *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경제학전공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학부/경제대학|경제대학]] 글로벌경제학과, 경제학과 * [[성신여자대학교]] 경제학과 *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학부/경영경제대학|경영경제대학]] 경제학과 * [[수원대학교]] 경제학부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학부/경제통상대학|경제통상대학]] 경제학과, 금융경제학과 *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 [[연세대학교]] * [[연세대학교/학부/상경대학|상경대학]] 경제학부 * [[연세대학교/학부/언더우드국제대학|언더우드국제대학]] 언더우드학부 경제학전공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이화여자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경제학과|경제학과]] * [[인하대학교]] 경제학과 *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학부/경영경제대학|경영경제대학]] 경제학부 *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상경대학|상경대학]] 경제학부 * [[한신대학교]]경제학과 * [[한성대학교]] [[한성대학교/학부/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기업·경제분석트랙, 경제금융투자트랙 *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부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경제학부 * [[홍익대학교]] 경제학부 === 관동권 === 국립대학 * [[강릉원주대학교]] 경제학과 * [[강원대학교]] * [[강원대학교/학부/경영대학|경영대학]] 경제·정보통계학부 경제학전공 * [[강원대학교/학부/인문사회디자인스포츠대학|인문사회디자인스포츠대학]] 글로벌인재학부 경제금융전공 사립대학 * [[상지대학교]] 사회적경제학과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학부/글로벌창의융합대학|글로벌창의융합대학]] 사회과학부 경제학전공 * [[한림대학교]] 경제학과 === 호서권 === 국립대학 *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학부/인문사회과학대학|인문사회과학대학]] 경제통상학부 경제학전공 *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 [[충북대학교]] [[충북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 [[한밭대학교]] 경제학과 사립대학 * [[건국대학교 GLOCAL캠퍼스]] [[건국대학교/글로컬캠퍼스/학부/인문사회융합대학|인문사회융합대학]] 경제통상학과 *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학부/공공정책대학|공공정책대학]] 경제학과 * [[대전대학교]] 경제학전공 * [[목원대학교]] 경제학과 * [[순천향대학교]] 경제금융학과 * [[청주대학교]] 경제학과 * [[한남대학교]] 경제학부 === 영남권 === 국립대학 *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학부/경상대학|경상대학]] [[경북대학교/학부/경상대학/경제통상학부|경제통상학부]] *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 [[부경대학교]] 경제학부 * [[부산대학교]] 경제학부 * [[안동대학교]] 경제학과 *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영경제학부 국제무역전공·경제전공 사립대학 * [[경남대학교]] 경제금융학과 * [[경성대학교]] 경제금융물류학부 경제금융학전공 *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경제통상학부 경제금융학전공 * [[대구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경제금융전공 * [[동아대학교]] [[동아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 [[동의대학교]] [[동의대학교/학부/상경대학|상경대학]] 경제금융보험재무부동산학부 경제학전공 * [[부산외국어대학교]] 경제금융학과 * [[신라대학교]] 경제학과 * [[영남대학교]] [[영남대학교/학부/경영대학|경영대학]] 경제금융학부 * [[울산대학교]] 사회과학부 경제학전공 === 호남권 === 국립대학 * [[군산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부 경제학전공 * [[목포대학교]] 경제학과 * [[순천대학교]] 경제무역학부 경제학전공 * [[전남대학교]] [[전남대학교/학부 및 대학원/경영대학|경영대학]] 경제학부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학부/상과대학|상과대학]] 경제학부 사립대학 * [[원광대학교]] 경제금융학과 * [[전주대학교]] 경제학과 * [[조선대학교]] 경제학과 === 제주권 === 국립대학 *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학부/경상대학|경상대학]] 경제학과 == 출신 인물 == * 경제학자: [[김상조]], [[김수행]], [[서승환]], [[송병락]], [[신영복]], [[왕규호]], [[이승훈(1945)|이승훈]], [[이준구(교수)|이준구]], [[이효수]][* [[영남대학교]] 총장 역임], [[정갑영]][* [[연세대학교]] 총장 역임],[[게리 베커]] * 공무원: [[홍남기]], [[이석준(공무원)|이석준]] * 군인: [[박정택]] * 기업가: [[구본준]], [[구자홍]], [[남상태]], [[박삼구]], [[정몽준]], [[정용진]], [[존 보글]], [[일론 머스크]] * 만화가: [[박시백]] * 아나운서: [[이지수(아나운서)|이지수]], [[박신영(방송인)|박신영]], [[조수빈]],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장성규]] * 아이돌: [[무토 토무]], [[미야다테 료타]], [[사쿠라이 쇼]], [[와타나베 쇼타]] * [[왕실]]: [[막시마 소레기에타]]([[네덜란드]]), [[마사코 황후]] * 외교관: [[김평일]] * 정치인: [[가메이 시즈카]], [[구마가이 도시히토]], [[기시 노부오]], [[김정일]][* 정치경제학과 출신이라 정치외교학과 출신으로 볼 수도 있다.] [[김종대(1966)|김종대]], [[니사카 요시노부]], [[다무라 노리히사]], [[다케시타 와타루]], [[데이비드 캐머런]], [[로널드 레이건]], [[마쓰시마 미도리]], [[박재완]], [[서병수]], [[스즈키 에이케이]], [[야마다 다로]], [[야마모토 고이치]], [[안동선]], [[유시민]], [[오치 다카오]], [[요시카와 다카모리]], [[이노세 나오키]], [[이노우에 가즈노리]], [[이노우에 잇세이]], [[이부키 분메이]], [[이시하라 히로타카]], [[임종룡]], [[장덕수]], [[정한용]], [[최경환(1955)|최경환]], [[최지은]], [[하시모토 도루]], [[홍종학]] * 기업가 겸 정치인: [[도널드 트럼프]] * 경제학자 겸 정치인: [[류성걸]], [[유경준]], [[유승민]], [[윤창현]], [[윤희숙]], [[이혜훈]], [[정운찬]], [[조순]], [[한승수]] * 학원인: [[김진욱(강사)|김진욱]], [[황종휴]], [[김판기]] * 프로게이머: [[김가을(e스포츠)|김가을]] * [[게이머]]: [[도파(인터넷 방송인)|정상길]] * 게임캐스터: [[허준(게임 캐스터)|허준]] * 코미디언: [[김인석]], [[정선희]] * 범죄자: [[김경준]] * 가수: [[버벌진트]], [[성진환]], [[로꼬]], [[이찬원]] * 배우: [[오지명]], [[이훈]], [[차인표]], [[허예창]] * 모델: [[이현이]] * 야구선수: [[데이비드 헤일]], [[양준혁]] * 인터넷 방송인: [[식빵(인터넷 방송인)]], [[슈카(인터넷 방송인)]] * 마술사: [[최현우(1978)]] == 관련 문서 == * [[사회과학대학]] * [[상과대학]] * [[정경대학]] * [[경제학]] * [[경제학/교과서]] * [[경제학/시험]] [[분류:학과]][[분류: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