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경인일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한국지방신문협회 회원사)] [include(틀:경인지역의 언론사)] [include(틀:가천길재단)] }}} || ||<-3> {{{#!wiki style="margin: 3px -10px" [[파일:경인일보 제호.svg|width=100]]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경인일보 아이콘.png|height=50]]||{{{#004E96 '''주식회사 {{{+1 경인일보}}}'''[br]{{{-1 株式會社}}} 京仁日報[br]{{{-1 The Kyeongin Ilbo}}}}}} || }}} || ||<-2>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설립''' ||<|2>[[1945년]] [[10월 7일]],,,([age(1945-10-07)]주년),,, || ||<-2> '''창간''' || ||<-2> '''본사 소재지'''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99 ([[인계동]]) || ||<-2> '''대표자''' ||배상록 || ||<-2> '''임원진''' ||'''회장''' [[이길여]] '''부회장''' 우제찬 '''부회장''' 김화양 '''발행 · 편집인 · 대표이사 사장''' 배상록 '''인천본사 사장''' 이영재 || ||<-2> '''업종명''' ||신문 발행업 || ||<-2>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2> '''기업규모''' ||[[중소기업]] || ||<-2> '''임직원''' ||141명 ,,(2022년 12월),, || ||<-2> '''매출액''' ||180억 2,792만원 ,,(2022년 연간),, || ||<-2> '''영업이익''' ||2억 5,134만원 ,,(2022년 연간),,|| ||<-2> '''순이익''' ||-4억 4,602만원 ,,(2022년 연간),,|| ||<|2> '''사이트''' || '''홈''' ||[[http://m.kyeongin.com/| [[파일:경인일보 아이콘.png|width=20]]]] || || '''SNS''' ||[[https://www.facebook.com/kyeonginilb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instagram.com/kyeongin_news/reel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m.post.naver.com/my.naver?memberNo=24167781|[[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0]]]] || ||<|4> '''유튜브''' || '''링크''' ||[[https://www.youtube.com/@kyeonginilbo|[[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 '''구독자''' ||4.4만명 || || '''조회수''' ||23,257,196회 || || '''가입일''' ||[[2013년]] [[4월 24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광역시]]와 [[경기도]]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의 지방신문이다. 경인일보의 뿌리는 ‘대중일보’로 이후 1973년 경기매일신문, 연합신문, 경기일보가 통합해 경기신문으로 제호를 변경했다. 그리고 1982년 3월 현재의 제호인 경인일보로 바꿔 오늘에 이른다. 노조는 [[민주노총]] [[언론노조]] 소속이다. == 사시 == >'''위국정론, 지역발전, 문화창달''' == 지배구조 == ||<:> {{{#fff '''주주명'''}}} ||<:> {{{#fff '''보유주식수'''}}} ||<:> {{{#fff '''지분율'''}}} || ||<:> [[경기고속]] ||<:> 332,000 ||<:> 17.50% || ||<:> [[SM상선]] ||<:> 326,383 ||<:> 17.21% || ||<:> [[이길여]] ||<:> 281,992 ||<:> 14.87% || ||<:> 남우 ||<:> 257,773 ||<:> 13.58% || ||<:> [[영안모자]] ||<:> 150,000 ||<:> 7.91% || ||<:> 기타주주 ||<:> 548,675 ||<:> 28.93% || ||<:> 총계 ||<:> 1,896,823 ||<:> 100.00% || ||<-3><:> 경인일보 주요 주주 목록[br](출처: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00325000864|2019년 감사보고서]]) || == 사옥 == == 로고 == == 역사 == [[파일:경인일보 제호 연혁.jpg]] 1945년 창간된 '경기매일신문'(창간 당시 제호 '대중일보', 1960년 제호 변경)과 1954년 창간된[* 일간지로서의 창간은 1960년.] 연합신문(창간 당시 제호 '주간인천', 1970년 제호 변경), 1966년 창간된 경기일보(현재 경기일보와는 무관)가 1973년 통폐합되어 만들어졌다. 통합 당시 제호는 '경기신문'이었으나 1982년 인천시가 직할시로 승격하며 경기도에서 분리되자 경기와 인천을 아우른다는 뜻으로 '경인일보'로 제호를 바꾼 것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통합 당시 유신정권에 로비를 열심히 한 연합신문이 존속법인이 되었고, 신문 지령 또한 연합신문의 것을 계승하였는데, 2015년 노조의 요구로 전신을 경기매일신문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하였다. 법인 설립일을 대중일보 설립일인 1945년 10월 7일로 변경 신고했고, 지령 또한 대중일보-경기매일신문을 계승하는 쪽으로 재합산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경인일보 지령으로 합산하던 인천신문-연합신문의 지령은 폐기되었다.] 그리고 창간 70주년 기념 홍보를 했는데, 언론통폐합 특혜로 탄생한 경인일보가 피합병 언론사의 역사를 주워먹고 자신의 역사로 포장하는 것은 역사 왜곡이라는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25589|비판]]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 기획·특집기사 == == 자매지 및 정기발행물 == *비즈엠 == 주관 대회 == == 역대 사주 == === 통합 전 === ==== 경기매일신문 ==== * 송수안 (1945~1946/1950~1973) * 고주철 (1946~1950) ==== 연합신문 ==== ===== 회장 ===== * 이현수 (1971~1973) ===== 사장 ===== * 임영균 (1954~1960) * 허합 (1960~1969) * [[이현수]] (1969~1971) * 홍대건 (1971~1973) ==== 경기일보 ==== * 황광수 (1966~1971) * 홍복원 (1971~1973) === 통합 후 === ==== 명예회장 ==== * [[남평우]] (1990~1992) ==== 회장 ==== * 성백응 (1994~1999) * [[이길여]] (1999~ ) ==== 사장 ==== * 홍대건 (1973~1980) * [[박상복(1934)|박상복]] (1980~1987) * 김장소 (1987) * 심명구 (1987~1988) * 김병철 (1988~1989) * 신관선 사장대행 (1989) * 임상규 (1989~1993) * 김건영 (1993~1994) * 정진기 (1994~1997) * 우제찬 (1997~2001/2002~2006/2017(대행)) * 김명수 (2001~2002) * 송광석 (2006~2017) * 김화양 (2017~2020) * 배상록 (2020~ ) == 발간 및 보급 지역 == * [[인천광역시]] * [[경기도]] [[분류:한국의 신문]] [[분류:지방신문]] [[분류:가천길재단]] [[분류:1945년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