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대학별 역사)] [include(틀:경성대학교)] [목차] == 개요 == [[경성대학교]]의 역사를 정리한 문서이다. == 상세 == 일제시대 [[신사참배]], 황민화운동, 민족정신말살에 앞장서고 일본침략전쟁에 적극 협력한 [[친일파]] [[목사]] 김길창(金吉昌)이 해방 이후 교육자 양성을 목적으로 1955년 6월에 경남사범대숙으로 서구 서대신동 3가 184번지에서 개교하였다. 경남서대신동은 야간부 4년제였고 4개학과(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수학과, 가정학과)가 최초로 설치되었다. 서대신동에서 1963년 중구 대청동으로 1차 이전하여 한성여자실업초급대학으로 개편하였고 1966년 영도구 영선동으로 캠퍼스로 2차 이전 이후 1973년 현재의 남구 대연동 캠퍼스로 3차 이전하였다. 그러므로 현재의 대연동 캠퍼스는 경성대 캠퍼스 이전 역사에서 4번째 캠퍼스이다. 1979년 부산산업대학으로 승격되어 11개 학과를 설치하였다. 1983년 9월에는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어 5개 [[단과대학]]에 39개 학과 2,230명을 모집하였다. 1984년에는 부산산업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6년 [[10.28 건국대 항쟁]] 직후 법정대학 행정학과에 재학 중이었던 [[진성일]] 열사의 학내 분신자살사건이 계기가 되어 경성대학교는 부산지역 내 [[학생운동]]을 주도하는 운동권 강성 대학으로 변화하였다. 1988년 부산산업대학교에서 현재의 [[경성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8년 [[부산신학교]]를 흡수통합하여 신학대학과 신학대학원을 운영하였으나 2004년 신학과 야간과정 폐지에 이어 2021년 신학과 자체를 폐과하였고 2022년에는 신학대학원도 폐지하여 더 이상 운영하지 않는다. 2010년대 초중반 대학평가에서 두 차례 안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2012학년도에는 [[정부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선정되어 1년간 정부재정지원이 제한된 적이 있다.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는 C등급을 받아 7% 정원 감축 권고를 받았다. [include(틀:경성대학교의 역대 대학구조조정 결과)] 교직원들과 재단 간의 갈등이 상당하여 교수 120명과 재단간 임금관련 소송전을 치른 적도 있고 2019년 부산지역 대학 중 최초로 교수노조가 창설되었다. 2022년에는 재단의 일반적인 학과조교제 폐지, 실험실습비 삭감 등에 맞서 학과장 교수 전체가 보직사퇴서를 제출 하였다. 아직까지도 대학 내부적으로 상당한 갈등을 겪고 있다. 설립 이후 부산 소재 대학들 중에서 캠퍼스 이전 및 교명 변경이 가장 잦았으며, 대학 설립 이후부터 현재까지도 역사적으로나 내부적으로 우여곡절과 사건사고가 많은 상황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경성대학교, version=731, paragraph=1.1)] [[분류:경성대학교|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