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 [include(틀:경북대학교의 인문대학)]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60303, #E60000, #E60000, #a60303)" {{{+2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br]慶北大學校 日語日文學科[br]'''KNU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 || '''설립''' ||'''1979년 3월''' || || '''학과장''' ||'''이자호 교수''' || ||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대학로(대구)|대학로]]80 대학원동 415호|| ||<-2>[include(틀:지도, 장소=경북대학교 대학원동, 높이=180px, 너비=100%)]|| || '''링크''' ||[[https://japan.knu.ac.kr/|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소개 == [[파일:경북대학교-일어일문학과.jpg|align=center]] 일본의 언어와 문학, 문화, 역사, 정치 등을 배운다. == 전공 수업 == 1학년 학생들은 교양수업과 일어Ⅰ·Ⅱ, 일본문학의 이해 등의 수업을 듣는다. 본격적인 전공 공부를 시작하기에 앞서 일본어 기초를 다진다. 2학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일본수필, 일본희곡 등 수업에서 일본 문학을 심화 학습하고, 일본어 문법 과목을 통해 일본어를 체계적으로 배운다. 이처럼 1~2학년 때는 일본어 기초, 문법, 회화, 문학 위주로 배운다. 3~4학년 때는 일본 역사, 정치, 지리, 경제, 사회, 문화 등 일본학 여러 분야에 대해서 배운다. == 교수진 == === 이준섭 교수 === * 일본고전문학, 일본근세문학(게사쿠, 희곡) 전공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받고, 일본 [[도쿄대학]]에서 박사수료를 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일본문학개론, 일본명문명가, 일본문화세미나, 일본희곡, 일본문학사, 일본표상문화론,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 대학원 강의과목: 한일비교문학연습1, 일본극문학연습1, 일본전통문화연구, 일본고전시가연구, 일본근대극문학연구 === 채수도 교수 === * 일본근대사, 일본정치사 전공 *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주오대학]]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일어Ⅰ·Ⅱ, 전공일본어1·2, 일본학개론, 일본의 이해, 일본시사이해 * 대학원 강의과목: 일본역사1, 일본학연습1·2, 일본근대사, 일본학특강 === 이자호 교수 === * 일본어사, 일본어휘, 일본사전론, 일본어교육 전공 * 고려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전공일본어2, 일본어학개론, 일본어문법, 일본고전상식, 일본어어휘론, 일본어사 * 대학원 강의과목: 일본어학연구1·2, 대조 비교언어학연구, 일본어학연구방법론, 일본어사료연구, 일본어형성론연구 === 조헌구 교수 === * 일본근현대소설 전공 *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받고, 일본 [[주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일본문학개론, 일본소설론, 일본문학의 이해, 일본문학세미나, 일본명문명가, 일본어교재 연구 및 지도법, 일본어 논리 및 논술지도 * 대학원 강의과목: 일본소설연구, 일본문예비평연구, 한일비교문학연습1, 일본현대문학연습2, 일본문학의 서사학연구 === 장유리 교수 === * 일본문화학, 근대일본의 대중문화, 일본 잡지·미디어 전공 *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받고, 일본 [[나고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전공 일본어 초급, 전공일본어1·2, 일본미디어리터러시, 일본사회문화, 일본시사이해, 일본의 이해, 일본IT산업론, 일본어교육론, 일본어교재 연구 및 지도법 * 대학원 강의과목: 일본학특강, 일본사회특강, 일본도시론, 일본학연습2 === 야하라 마사히로(矢原 正博) 교수 === * 일본어회화 전공 * 학부 강의과목: 일본어회화1·2·3·4, 일본어 논리 및 논술지도 * 원어민 교수님이다. === 이현진 교수 === * 일본어교육 전공 *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수도대학도쿄(현 [[도쿄도립대학]])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학부 강의과목: 일본어교재연구 및 지도법 * 대학원 강의과목: 일본어교육특강 == 교환학생 제도 == 교환학생 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매년 겨울에 히로시마시립대학에 3주간 어학연수를 갈 수 있는데 경비도 부담해줘서 큰 부담 없이 갈 수 있다. == 진로 == 전공수업을 듣다가 진로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학과에서 취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졸업생들은 기업, 은행, 금융권, 언론사, 여행사 등 사회 각계로 진출하며, 번역가나 통역사로 활동하기도 한다. 일본에 있는 기업 또는 국내에 있는 일본계 기업에 취업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공을 더 깊이 있게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이 증가하는 추세다. 꼭 일어일문학을 전공하지 않더라도, 일본의 역사, 문화, 정치, 경제 등을 배우기 위해서 대학원에 진학하기도 한다. == 주요 동문 == * 김현주: 한밭대학교 일본어과 교수 * 박려옥: 제주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 손정아: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 이승영: 광운대학교 글로벌교양학부 교수 * 장근수: 상명대학교 한일문화콘텐츠학과 교수 * 장유리: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 장진영: 계명대학교 Tabula Rasa College 교수 * [[정정숙]]: [[육군부사관학교]]장 (육군 소장 / 여군 36기 출신[* [[학사장교]] 18기와 동기급이다.], 보병) * 조헌구: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 채수도: 경북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 츠네요시 미호코: [[YBM]] 동성로 일본어 강사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경북대학교/학부/인문대학,version=207)] [[분류:경북대학교]][[분류:인문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