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속도로, rd1=경부고속도로, other2=고속선, rd2=경부고속선)]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include(틀:수도권 전철 1호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KORAIL_White_로고.svg|height=15]]]][br]{{{#white '''{{{+2 경부선}}}''' [br] 京釜線 | Gyeongbu Lin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부선 노선도.svg|width=100%]]}}} || ||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파일:대한민국정부상징_좌우.svg|width=180]]]][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노선번호''' ||302|| || '''노선명''' ||경부본선 (京釜本線)|| || '''종류''' ||[[대한민국의 간선철도|간선철도]], [[대한민국의 일반철도|일반철도]]|| || '''영업거리''' ||441.7㎞|| || '''궤간''' ||1,435㎜|| || '''역수''' ||90|| || '''기점''' ||[[서울역]]|| || '''종점''' ||[[부산역]]|| ||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 '''신호장비''' ||[[열차자동방호장치#s-3.4|ATP]], [[열차자동정지장치|ATS]]|| || '''선로최고속도''' ||서울 - 용산: 90km/h[br]용산-구로(일반)[* 경부제1본선]: 100km/h[br]용산-구로(전철)[* 경부제3본선]: 120km/h[br]구로-가산디지털단지(일반)[* 경부제1본선]: 80km/h[br]구로-가산디지털단지(고가)[* 경부제3본선]: 90km/h[br]가산디지털단지-두정(전철)[* 경부제2본선]: 120km/h[br]가산디지털단지-수원: 135km/h[br]수원-천안: 150km/h{{{-5 (일반열차 140km/h)}}}[br]천안-대구: 135km/h[br]대구-부산: 150km/h{{{-5 (일반열차 140km/h)}}}|| || '''선로 수'''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7|6]][br]([[서울역|서울]] ↔ [[용산역|용산]]){{{-5 (2복선+2단선)}}})[br][[3복선|6]][br]([[용산역|용산]] ↔ [[구로역|구로]])[br][[복복선|4]][br]([[구로역|구로]] ↔ [[두정역|두정]])[br]([[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 ↔ [[부산역|부산]])[br] 3 [br]([[동대구역|동대구]] ↔ [[가천역|가천]]){{{-5 (1복선+1단선)}}})[br][[복선(철도)|2]][br]([[두정역|두정]] ↔ [[동대구역|동대구]])[br]([[가천역|가천]] ↔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 || '''개업일''' ||[[1905년]] [[1월 1일]]|| || '''운영노선''' ||[[KTX]][* 서울 ↔ 대전(추후 [[지제연결선]]이 개통되면 서정리로 줄어들 예정), 지천 ↔ 부산 구간 운행][br][[SRT]] (지천 ↔ 미전신호소)[br][[KTX-이음]] (서울↔용산)[br][[남도해양관광열차]] (서울 ↔ 대전조차장)[br][[서해금빛열차]] (용산 ↔ 두정)[br][[ITX-마음]][br][[ITX-새마을]][br][[새마을호]] (용산 ↔ 두정)[br][[무궁화호]][br] [[누리로]] (동대구 ↔ 부산)[br][[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 두정)[br][[화물열차]] (서울 ↔ 부산진)[br]---[[대구권 광역철도]]---[br]---[[충청권 광역철도]]---||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KA7Ov8kJsHU)]}}}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qAXDv2JSBsw)]}}} || || '''[[무궁화호|{{{#fff 무궁화호}}}]] [[대전역|{{{#fff 대전}}}]] → [[서울역|{{{#fff 서울}}}]] 전면 주행영상''' || '''[[무궁화호|{{{#fff 무궁화호}}}]] [[부산역|{{{#fff 부산}}}]] → [[동대구역|{{{#fff 동대구}}}]] 전면 주행영상''' || >우렁차게 토하는 기적 소리에 / 남대문을 등지고 떠나 나가서 >빨리 부는 바람의 형세 같으니 / 날개 가진 새라도 못 따르겠네 > >늙은이와 젊은이 섞여 앉았고 / 우리네와 외국인 같이 탔으나 >내외친소 다같이 익히 지내니 / 조그마한 딴 세상 절로 이뤘네 >---- >[[최남선]]의 [[경부철도가]][* 일본에서 유행하던 [[철도창가]]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中 '''경부선'''(京釜線, Gyeongbu Line)은 [[서울특별시]] [[서울역]]과 [[부산광역시]] [[부산역]]을 잇는 총 연장 441.7㎞ [[철도]] 노선이다. [[대한민국]] 제1 종관 철도이자 대한민국 철도의 [[대동맥]]이다. 일반열차 계통은 경부본선, KTX 계통은 [[경부고속선]]([[경부고속철도]])으로 분리되어 있다. == [[경부선/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경부선/역사)] == 역할 == [[대한민국]] 여객 수송 1위 노선으로 주요 대도시와 공업 단지는 경부선을 따라 자리잡고 있다. 특히 서울 - 대전 구간과 구미 - 부산 구간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고속철도와 광역철도를 제외한 일반선에서 유일하게 배차간격[* [[빗자루질(교통)/사례#s-5.1.1]]에도 나와있듯 이 구간은 모든 종류의 육상 대중교통이 경쟁하는데, 전부 다 터져나갈 정도로 수송량이 많다.]이 좋고, 심지어는 다른 모든 철도 노선 운행 편수를 합쳐도 못 따라온다. 이와 달리 대전 - 김천 구간은 배차간격이 좋지 못하고, [[호남선]]과 많이 비슷하다. 2022년 11월 5일 부터 [[누리로]] 열차가 다시 운행을 시작하게 되어서 [[ITX-청춘]] 열차를 제외한 모든 열차들이 운행 중이다. [[ITX-청춘]] 열차 역시 경부선에서 운행을 한 이력이 있으므로 모든 열차가 경부선에서 적어도 한 번은 운행했었다. [[대한민국 철도청]]은 경부선 중심 운행체계였다. 때문에 경부선이 안 지나가는 대도시는 철도 교통이 불편해지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충주, 상주 같은 과거 충청도, 경상도의 도시들이 몰락했고 대전, 구미, 대구, 경산, 부산 같은 도시들이 급성장했다. 경상북도 [[김천시]]와 [[구미시]][* [[구미역]]은 [[금오산역|금오산]] 구간 이설과 함께 개업하였다.] 그리고 선산군 급부상에 도움이 되었다.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 X자형 철도망 시발점이며, 동시에 [[조선]] 이래로 가장 큰 교통로였던 호남대로의 주축이던 공주, [[영남대로]]의 주축이던 충주와 상주가 쇠퇴하고, [[대전광역시|대전]]은 급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전(大田)은 원래 충청남도 회덕군 소속 리(里)의 이름으로 큰밭이라는 뜻이다. [[충주시|충주]]와 [[상주시|상주]]는 도 이름의 유래가 된 고을로 지금 대전에 준하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지금도 '온갖 동네에서 유생들이 반대해서 철도가 못 들어와 동네가 망했다'는 전승이 내려오고 있다. 지형상 경유가 불가능한 곳에서도 횡행하는 괴담이다. 그러나 부설 목적은 가능한 한 큰 가성비와 많은 수요를 포함해서 서울 - 부산 간을 잇는데 있었다. 사철이 수요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러일전쟁]]이 터지면서 일본 정부가 건설에 개입했고, 지역민들 반대는 아무런 영향도 없었다. 독립운동이 일어난 지역을 의도적으로 피했다라는 낭설도 존재했으나, [[국채보상운동]]의 진원지인 대구에는 경부선을 놓은 점을 볼 때 사실이 아니다. == 문제점 == === 선로 용량 문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의 철도 환경/문제점/선로 및 열차 운용 그리고 연착 문제)] === 심각한 적자 === 관리비용 때문에 매년 적자를 보고 있다. [[경부고속선]] 개통 전에도 대전 - 부산 구간은 엄청난 배차간격, 불량한 선형, 많은 운송량으로 인한 관리비용 때문에 적자였다. [[2018년]] [[국정감사]]를 위해 [[한국철도공사]]에서 [[이학재]]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가 공개되었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0/22/2018102201899.html|「[단독] 코레일 적자 주범이 SR?...광역철도·물류가 적자」]], 조선비즈, 2018-10-23] [[광역철도]]([[서울역|서울]] - [[천안역|천안]])는 [[2017년]] 313억원, [[화물철도]]는 [[2017년]] 1,173억원, 여객철도는 1,980억원 적자이다. 총 적자의 65.7%가 경부선 하나에서 발생했다. 유일하게 이윤이 나는 서울 - 대전 구간과 구미 - 부산 구간도 [[광역철도]]가 적자를 보아 매우 심각하다. === 좋지 않은 선형 === 경부선은 처음부터 부족한 토목기술 및 군사적 목적으로 인해 속성으로 공사하는 바람에 당대에도 선형이 불량한 편이었다. 때문에 극 초창기에는 지형지물을 피해 돌아가거나 산을 넘는 급구배 구간이 많았고, 공사용으로 부설한 임시선로를 그대로 쓰기도 했다. 그래서 부설한 지 얼마 안 된 1910년대부터 선형개량이 수행되었다. 일제강점기 말 복선화 공사로 대대적인 선형개량을 하고 나서도, 비교적 최근까지 경부선은 꾸준히 선형개량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천안 이북 등 일부 구간에 한정되었다. [[수원역]] - [[대전역]]은 그나마 좋은데, [[KTX]]가 일부 구간에서 150km/h까지 달릴 수 있다. 특히 1980년대에 표준선으로 지정되어 개량한 [[서정리역|서정리]] - [[천안역|천안]] 구간은 제한속도가 140㎞/h로 가장 높다. [[동대구역]]-[[부산역]] 구간도 아주 좋은 편은 아니지만, KTX 개통을 앞두고 개량을 거쳤기에 아래보다는 낫다. 제일 선형이 심각한 건 [[대전역|대전]] - [[구미역|구미]] 구간인데, [[추풍령]], [[소백산맥]]과 [[태백산맥]] 끝자락을 지나기 때문이다. 급곡선이 많은데 대부분 600R(곡선반경 600m, 제한속도 110㎞/h)이고, 400R(곡선반경 400m, 제한속도 90㎞/h[* 한강철교 노량진역 방향에 있는 곳은 제한속도 80km/h])도 있다. 이는 [[호남선]] [[개태사역#s-3.1|개태사 드리프트]]와 같은 곡선이다. [[경부고속철도]] 초기 계획 때 경부선 개량 및 복복선화와 고속철 별도 노선 신설인 두 안이 제시되었는데, 이때 뒷전으로 밀린 탓이다. == 고속화 및 개량공사 요구 ==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 여러 구간에서 고속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 충청도 구간 === 천안 - 청주공항간 복선전철 사업에 맞춰 [[전의역|전의]] - [[전동역|전동]] 구간 급곡선 개량도 추진되고 있다. KDI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 기준으로 약 20km/h 이상 표정속도 향상을 예상하고 있다. 예비타당성 조사도 통과했고 예산도 확보하며 장밋빛 전망이 쏟아졌다.[* [[http://www.mcnews.co.kr/sub_read.html?uid=43225|「천안-청주공항간 복선전철 '탄력'」]], 매일건설신문, 2014-12-17 [[http://www.okcb.net/sub_read.html?uid=53217|「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2017년 착공」]], 충북넷, 2014-06-26] 그러나 계획 단계에서 천안-[[서창역|서창]]간 '''복복선화'''가 함께 추진되며 사업비가 4,000억 넘게 폭증했다. 2018년 공사를 발주하려다 무산되어[*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4943|「10년 넘게 제자리걸음 천안~청주공항 전철화 사업」]], 동양일보, 2021-12-06] 결국 타당성 재조사에 들어갔다.[* [[https://www.youtube.com/watch?v=G5h9-CIJ28w|「천안-청주공항 전철 지지부진…내년 초 분수령」]], KBS대전, 2021-11-24] 완공시 서울에서 [[청주공항역|청주공항]]까지 기존 1시간 30분에서 20여 분 단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타당성 재조사에 따라 세부 운행 계획이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결국 2022년 6월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하여 전의-전동 구간의 급곡선 개량이 확정됐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630164300064?input=1195m|「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본궤도…타당성 재조사 통과」]], 연합뉴스, 2022-06-30] 사업비 폭증의 원인이었던 천안-서창간 2복선화는 무산되었다. === 경상도 구간 === 2015년 5월, 한국철도공사에서 [[동대구역|동대구]] - [[구포역|구포]] - [[부산역|부산]] 간을 고속화하겠다고 밝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5&aid=0003338685&sid1=001|「서울~부산 KTX 20분 이상 단축된다」]], 한국경제, 2015-05-23] 세부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경부고속선보다 20분 가량 단축할 수 있다는 듯하다. 그러나 정부가 검토한 적 없다고 반박하였다.[*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053141|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뉴스 > 브리핑룸 > 보도자료]]] 2016년 경부선 [[상동역(경부선)|상동]]~[[밀양역|밀양]]간 밀양강교 교량개량공사의 노반·궤도를 실시설계하였다. 2017년 12월 경부선 [[상동역(경부선)|상동]]~[[밀양역|밀양]]간 밀양강교 교량개량공사의 노반공사 계약 및 착수하였다. 또한 이 다음해에 사업실시계획이 승인되었다. 2018년부터 [[부산광역시|부산]] 내 구간 경부선 지하화 및 이설 요구가 등장했다.[*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80619000283|「[경부선 부산 도심구간 지하화] 서부산권 폐선부지 개발로 부산 균형발전 기대」]], 부산일보, 2018-06-19] [[2021년 재보궐선거]] [[부산광역시장]] 출마 후보들의 공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2019년 금호강교(지천철교) 교량개량공사가 완료되어 상행선은 6월 14일, 하행선은 8월 27일에 이설되었다. 2021년, [[창원시]]는 [[남부내륙선]]을 끌어오는 데 실패하자 기약없는 경부선 개량 대신 [[동대구-창원 고속철도]]를 요구하고 나섰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715171900052?input=1195m|「가깝고 더 편리하게…창원시 대중교통, 철도중심으로 개편」]], 연합뉴스, 2021-07-16] 2016년에 설계되어 2018년 승인된 경부선 [[상동역(경부선)|상동]]~[[밀양역|밀양]]간 밀양강교 교량개량공사가 2024년 1월에 완료될 예정이다. 기존에는 밀양강 부근에서 상행선과 하행선이 멀어졌다가 다시 가까워지는 비효율적인 교량이였지만 개량 공사로 나은 선형이 될 예정이다.[* [[https://www.kr.or.kr/boardCnts/view.do?boardID=1100515&page=2&boardSeq=1117909|국가철도공단 > 2023년 사업실명제 대상사업(목록) > 사업실명제 대상사업 > 사업실명제 > 정보마당]]] === 증속 추진 === 선형이 좋은 구간 98km에 대해 선로최고속도를 150km/h에서 200km/h로 상향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다.[* [[https://www.r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35|「"150km/h급 일반철도, 개량없이 200km/h까지 높인다"」]], 철도경제신문, 2022-10-17] == 구간 == '''[[서울역|서울]] - [[영등포역|영등포]] - [[수원역|수원]]''' - [[평택역|평택]] - '''[[천안역|천안]]''' - [[조치원역|조치원]] - [[신탄진역|신탄진]] - '''[[대전역|대전]]''' - [[영동역|영동]] - '''[[김천역|김천]] - [[구미역|구미]] - [[대구역|대구]] - [[동대구역|동대구]]''' - [[경산역|경산]] - [[밀양역|밀양]] - '''[[구포역|구포]] - [[부산역|부산]]'''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역]]에서 [[경원선]],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역]]에서 [[경인선]], [[경기도]] [[군포시]] [[금정역]]에서 [[과천선]]과 [[안산선]], [[경기도]] [[수원시]] [[수원역]]에서 [[수인선]] 및 [[분당선]], [[경기도]] [[평택시]] [[평택역]]에서 [[평택선]],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역]]에서 [[장항선]],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역]]에서 [[충북선]],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전조차장역]]에서 [[호남선]], [[경상북도]] [[김천시]] [[김천역]]에서 [[경북선]], [[대구광역시]] [[수성구]] [[가천역]]에서 [[대구선]],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역]]에서 [[경전선]], [[부산광역시]] [[동구(부산광역시)|동구]]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역]]에서 [[동해선]]과 접속한다. === 선로 현황 === 통상적으로 '경부선'이라고 얘기하는 노선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서울역|서울]] - [[부산역|부산]] 전 구간을 운행하는 선로는 '''경부본선''' 또는 '''경부1선'''으로 부르고 있다. 주로 여객열차, 화물열차가 주로 운행하고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 천안/신창 급행열차가 운행하며, 다이어에 지장이 발생하면 청량리-천안/신창 열차도 운행된다. 서울 방향이 상행, 부산 방향이 하행이다. 일제강점기에는 [[도쿄역|도쿄]] 기준으로 결정된 만큼 부산 방면이 상행, 서울 방면이 하행으로 운행되었다. 또한 경부1선은 서울에서 [[경의선]]과 직결된다. 분단 이전까지 경부-경의선이 직결하여 운행하였다. [[2022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경부2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10> {{{#ffffff 2022년 경부2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 || 운행구간 || 선로용량 || 고속열차 || 일반여객 || 전동차 || 화물열차 || 운행총계 || || 지하서울역 - 구로 || 288 || 0 || 0 || 247 || 0 || 247 || || [[구로역]] - 병점 || 187 || 0 || 0 || 154 || 0 || 154 || || 병점 - [[천안역]] || 195 || 0 || 0 || 87 || 0 || 87 || '''경부2선'''은 [[서울역|지하서울역]] - [[두정역]] 구간이다. [[천안직결선]]을 이용하여 [[장항선]]까지 직결되어 있다. 서울역 인근까지는 경부1선과 병주하다가 서울역 직전에 지하서울역으로 들어가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직결하는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완행과 청량리-천안/신창 급행열차, 화물열차 등이 운행한다. 천안을 넘어가는 화물은 천안이나 그 이전에 1선으로 전선해서 운행한다. 보통 [[오봉역]] 시종착이 많은데, 오봉역으로 가는 선로가 의왕 전후 2선 쪽에 있다 보니 여유 있는 1선을 타다가도 의왕 인근에서는 2선으로 전선해야해서 의왕역을 전후로 화물열차와 전동열차 지연이 종종 있다. 또한 경부1선이 여객열차로 인해 포화 상태일 경우 화물열차가 종종 2선을 타기도 한다. 구로에서 경인선 완행선이 경부2선에서 분기한다. 한때 [[ITX-청춘]]이 경부2선으로 운행하였으나, 전동열차 운행 선로이다 보니 지연이 발생하여 폐지되었다. 북쪽으로는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을 통해 [[경원선]]과, 남쪽으로는 [[천안직결선]]을 통해 [[장항선]]과 직결된다. 그 밖에 구로에서 경인선 완행선이 경부2선에서 분기한다. '''경부3선'''은 [[용산역|용산]] - [[구로역|구로]] 구간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인선 계통 급행열차 및 영등포 - 광명 셔틀열차, 그리고 경부선 구로 이남(주로 [[오봉역]])과 경원선 계통으로 운행하는 화물열차, [[연무대역]] - [[춘천역]](#2672)와 [[장성역]] - [[동두천역]](#2676)을 운행하는 매주 목요일에 있는 [[군용열차]]가 사용한다. 동인천 급행열차가 경부 2선을 이용하여 지하 서울역 넘어서로 운행하지 않고 용산까지만 급행열차가 운행되는 이유이다. 넘쳐나는 수요 때문에 1호선은 완행과 급행이 합치면 시간당 엄청난 편수가 되는데, 이를 경부2선 및 종로선으로 다 받을 수 없으므로 경부3선을 이용해 용산까지 급행을 운행하는 것이다. 이 선로는 구로역 이남에서 경인2선(동인천 급행선로)으로 직결, 경부2선과 연결되어 있다. 과거 천안/신창-용산 급행이 운영되었을 때에는 경부3선으로 천안/신창-용산 급행을 받아냈으나, 천안/신창-청량리로 연장된 이후로는 경부2선을 사용한다.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한강철교 북단에서 교각이 끝나자마자 경원선이랑 평면교차를 하는데, 이촌→노량진 방면은 평면교차가 없어 큰 문제가 없지만, 이촌→노량진 방면으로는 경부3선에도 경원선에도 역주행 평면교차가 동시에 생기면서 많은 화물열차들이 경원선의 선로용량을 동시에 점유하고 있어 경부1선이나 2선에 비해서는 낫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여유로운 정도는 아니다. 추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이 개통되어서 여객열차나 경원선 경유열차, 화물열차들이 분산되어야 해결될 문제이다. 서울-용산 간에 단선이 두 가닥 있는데, 위성지도상 가장 서쪽 선로는 [[강릉선 KTX]]와 경원선에서 경의선으로 넘어가는 화물열차가 이용하는 선로이다. 해당 선로는 경원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직결되어 있으며, 여객열차는 사실상 강릉선 KTX의 전용 단선선로로 사용되고 있다. 그외에도 가운데에 서울-용산 간 강릉선 KTX가 사용하지 않는 다른 단선선로가 하나 있는데, 다이어에 지장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하거나, [[수색차량기지]]~[[고양차량기지]]~[[용산역]]으로 가는 호남(고속)/전라선 무궁화호/KTX의 회송 선로(서울역 통과열차 선로)로 이용한다. == 운행 노선 == === [[광역전철]] === [[경부선 광역전철]]은 현재 [[수도권 전철 1호선]]만 운행 중이고 [[대구권 광역철도]]와 [[충청권 광역철도]]는 공사 중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도권 전철 1호선)] ==== 충청권 광역철도(예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충청권 광역철도)] ==== 대구권 광역철도(예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구권 광역철도)] == 이용객 수 == === 연간 이용객 === '''2016년 기준''' 경부선 역의 등급별 총 이용객 숫자를 나타낸 표이다. 출처는 2016년 철도통계연보이며, 승하차 수 밑의 숫자는 전년(2015년) 대비 비율이다. 증가는 {{{#red 적색}}}, 감소는 {{{#blue 청색}}}으로 표기하였고 10% 이상 변동 시 '''볼드''' 처리한다. ||<-10> {{{#ffffff ''' 2016년 경부선 역 이용객 수 (총합)'''}}} || || ||<-4> 승차 ||<-4> 하차 || 승차+하차 || || 역 목록 || [[KTX]]+[[SRT]]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승차합계 || [[KTX]]+[[SRT]]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하차합계 || 승하차 총합 || || [[서울역|서울]] || 14,366,806 [br] {{{#red +2.0%}}} || 462,637 [br] '''{{{#blue -13.5%}}}''' || 2,750,239 [br] {{{#blue -5.9%}}} || 17,579,682 [br] {{{#red +0.04%}}} || 14,489,384 [br] {{{#red +1.8%}}} || 458,236 [br] '''{{{#blue -8.6%}}}''' || 2,716,168 [br] {{{#blue -7.1%}}} || 17,663,788 [br] {{{#red +0.06%}}} || __'''35,243,470'''__ [br] {{{#red __+0.06%__}}} || || [[용산역|용산]] || 4,277,477 [br] '''{{{#red +23.7%}}}''' || 428,313 [br] {{{#blue -0.01%}}} || 1,507,634 [br] {{{#red +0.3%}}} || 6,213,424 [br] '''{{{#red +15.3%}}}''' || 4,665,968 [br] '''{{{#red +24.4%}}}''' || 403,207 [br] {{{#red +2.2%}}} || 1,510,552 [br] {{{#red +0.4%}}} || 6,579,727 [br] '''{{{#red +16.5%}}}''' || __'''12,793,151'''__ [br] {{{#red __'''+15.9%'''__}}} || || [[영등포역|영등포]] || 87,112 [br] {{{#red +3.9%}}} || 766,250 [br] {{{#blue -4.4%}}} || 3,987,657 [br] {{{#blue -4.4%}}} || 4,841,019 [br] {{{#blue -4.3%}}} || 73,761 [br] {{{#red +9.6%}}} || 791,377 [br] {{{#red +0.08%}}} || 3,924,530 [br] {{{#blue -5.1%}}} || 4,789,668 [br] {{{#blue -4.1%}}} || __'''9,630,687'''__ [br] {{{#blue __-4.2%__}}} || || [[안양역|안양]] || - || - || 274,212 [br] {{{#blue -8.6%}}} || 274,212 [br] {{{#blue -9.3%}}} || - || - || 238,225 [br] {{{#blue -9.1%}}} || 238,225 [br] {{{#blue -9.9%}}} || __'''512,437'''__ [br] {{{#blue __-9.6%__}}} || || [[수원역|수원]] || 666,422 [br] {{{#red +4.0%}}} || 1,165,327 [br] {{{#blue -0.5%}}} || 4,750,035 [br] {{{#blue -3.6%}}} || 6,581,784 [br] {{{#blue -2.3%}}} || 691,067 [br] {{{#red +3.1%}}} || 1,191,904 [br] {{{#blue -1.2%}}} || 4,760,879 [br] {{{#blue -3.1%}}} || 6,643,850 [br] {{{#blue -2.2%}}} || __'''13,225,634'''__ [br] {{{#blue __-2.3%__}}} || || [[오산역|오산]] || - || - || 196,455 [br] '''{{{#blue -12.4%}}}''' || 196,455 [br] '''{{{#blue -12.7%}}}''' || - || - || 183,622 [br] {{{#blue -8.7%}}} || 183,622 [br] {{{#blue -9.0%}}} || __'''380,077'''__ [br] {{{#blue __'''-10.9%'''__}}} || || [[서정리역|서정리]] || - || 9 || 71,617 [br] '''{{{#blue -13.5%}}}''' || 71,626 [br] '''{{{#blue -13.5%}}}''' || - || 9 || 68,336 [br] {{{#blue -8.9%}}} || 68,345 [br] {{{#blue -8.9%}}} || __'''139,971'''__ [br] {{{#blue __'''-11.3%'''__}}} || || [[평택역|평택]] || - || 240,942 [br] {{{#red +2.0%}}} || 2,170,000 [br] {{{#red +0.95%}}} || 2,410,942 [br] {{{#red +1.1%}}} || - || 224,764 [br] {{{#red +0.77%}}} || 2,195,547 [br] {{{#red +1.1%}}} || 2,420,311 [br] {{{#red +1.1%}}} || __'''4,831,253'''__ [br] {{{#red __+1.1%__}}} || || [[성환역|성환]] || - || - || 52,504 [br] '''{{{#blue -14.4%}}}''' || 52,504 [br] '''{{{#blue -14.4%}}}''' || - || - || 59,395 [br] '''{{{#blue -12.0%}}}''' || 59,395 [br] '''{{{#blue -12.0%}}}''' || __'''111,899'''__ [br] {{{#blue __'''-13.1%'''__}}} || || [[천안역|천안]] || - || 614,977 [br] {{{#red +0.89%}}} || 2,716,434 [br] {{{#blue -7.0%}}} || 3,331,411 [br] {{{#blue -5.7%}}} || - || 596,594 [br] {{{#blue -0.86%}}} || 2,781,152 [br] {{{#blue -6.4%}}} || 3,377,746 [br] {{{#blue -5.5%}}} || __'''6,709,157'''__ [br] {{{#blue __-5.6%__}}} || || [[소정리역|소정리]] || - || - || 1,602 [br] '''{{{#red +50.8%}}}''' || 1,602 [br] '''{{{#red +50.8%}}}''' || - || - || 1,785 [br] '''{{{#red +25.7%}}}''' || 1,785 [br] '''{{{#red +25.7%}}}''' || __'''3,387'''__ [br] {{{#red __'''+36.5%'''__}}} || || [[전의역|전의]] || - || - || 61,296 [br] {{{#blue -9.9%}}} || 61,296 [br] {{{#blue -9.9%}}} || - || - || 63,461 [br] '''{{{#blue -11.6%}}}''' || 63,461 [br] '''{{{#blue -11.6%}}}''' || __'''124,757'''__ [br] {{{#blue __'''-10.8%'''__}}} || || [[조치원역|조치원]] || - || 126,843 [br] {{{#blue -6.5%}}} || 1,760,107 [br] {{{#blue -7.2%}}} || 1,886,950 [br] {{{#blue -7.1%}}} || - || 145,632 [br] {{{#blue -3.0%}}} || 1,751,242 [br] {{{#blue -7.9%}}} || 1,896,874 [br] {{{#blue -7.5%}}} || __'''3,783,824'''__ [br] {{{#blue __-7.3%__}}} || || [[부강역|부강]] || - || - || 66,612 [br] {{{#blue -4.5%}}} || 66,612 [br] {{{#blue -4.5%}}} || - || - || 62,191 [br] {{{#blue -5.8%}}} || 62,191 [br] {{{#blue -5.8%}}} || __'''128,803'''__ [br] {{{#blue __-5.1%__}}} || || [[신탄진역|신탄진]] || - || 288 || 742,292 [br] {{{#blue -6.3%}}} || 742,580 [br] {{{#blue -6.3%}}} || - || 282 || 722,192 [br] {{{#blue -6.5%}}} || 722,474 [br] {{{#blue -6.5%}}} || __'''1,465,054'''__ [br] {{{#blue __-6.4%__}}} || || [[대전역|대전]] || 5,525,102 [br] {{{#red +4.2%}}} || 522,435 [br] {{{#red +3.0%}}} || 2,621,467 [br] {{{#blue -6.7%}}} || 8,669,004 [br] {{{#red +0.56%}}} || 5,447,240 [br] {{{#red +4.6%}}} || 500,090 [br] {{{#red +2.3%}}} || 2,644,163 [br] {{{#blue -6.1%}}} || 8,591,493 [br] {{{#red +0.94%}}} || __'''17,260,497'''__ [br] {{{#red __+0.75%__}}} || || [[옥천역|옥천]] || - || 6 || 206,926 [br] {{{#blue -4.5%}}} || 206,932 [br] {{{#blue -4.8%}}} || - || 6 || 214,213 [br] {{{#blue -5.8%}}} || 214,219 [br] {{{#blue -6.1%}}} || __'''421,151'''__ [br] {{{#blue __-5.5%__}}} || || [[이원역|이원]] || - || - || 14,673 [br] '''{{{#blue -12.1%}}}''' || 14,673 [br] '''{{{#blue -12.1%}}}''' || - || - || 11,438 [br] '''{{{#blue -18.8%}}}''' || 11,438 [br] '''{{{#blue -18.8%}}}''' || __'''26,111'''__ [br] {{{#blue __'''-15.1%'''__}}} || || [[지탄역|지탄]] || - || - || 870 [br] '''{{{#blue -31.8%}}}''' || 870 [br] '''{{{#blue -31.8%}}}''' || - || - || 478 [br] {{{#blue -4.0%}}} || 478 [br] {{{#blue -4.0%}}} || __'''1,348'''__ [br] '''{{{#blue __-24.0%__}}}''' || || [[심천역|심천]] || - || - || 7,163 [br] '''{{{#blue -13.8%}}}''' || 7,163 [br] '''{{{#blue -22.3%}}}''' || - || 303 || 7,292 [br] '''{{{#blue -13.5%}}}''' || 7,595 [br] '''{{{#blue -21.4%}}}''' || __'''14,758'''__ [br] {{{#blue __'''-21.8%'''__}}} || || [[각계역|각계]] || - || - || 475 [br] '''{{{#blue -34.0%}}}''' || 475 [br] '''{{{#blue -34.0%}}}''' || - || - || 6 [br] '''{{{#blue -85.0%}}}''' || 6 [br] '''{{{#blue -85.0%}}}''' || __'''481'''__ [br] {{{#blue __'''-36.7%'''__}}} || || [[영동역|영동]] || - || 66,456 [br] '''{{{#blue -12.9%}}}''' || 579,175 [br] {{{#blue -5.9%}}} || 645,631 [br] {{{#blue -6.7%}}} || - || 55,364 [br] '''{{{#blue -18.0%}}}''' || 601,456 [br] {{{#blue -5.8%}}} || 656,820 [br] {{{#blue -7.0%}}} || __'''1,302,451'''__ [br] {{{#blue __-6.8%__}}} || || [[황간역|황간]] || - || 269 || 41,175 [br] {{{#blue -3.2%}}} || 41,444 [br] {{{#blue -4.1%}}} || - || 269 || 38,953 [br] {{{#blue -8.5%}}} || 39,222 [br] '''{{{#blue -10.1%}}}''' || __'''80,666'''__ [br] {{{#blue __-7.1%__}}} || || [[추풍령역|추풍령]] || - || - || 17,290 [br] {{{#blue -7.3%}}} || 17,290 [br] '''{{{#blue -18.2%}}}''' || - || - || 17,060 [br] {{{#blue -7.7%}}} || 17,060 [br] '''{{{#blue -18.7%}}}''' || __'''34,350'''__ [br] {{{#blue __'''-18.5%'''__}}} || || [[김천역|김천]] || - || 175,131 [br] {{{#red +2.6%}}} || 904,724 [br] {{{#blue -7.6%}}} || 1,079,855 [br] {{{#blue -6.1%}}} || - || 201,188 [br] {{{#blue -1.1%}}} || 878,233 [br] {{{#blue -8.0%}}} || 1,079,421 [br] {{{#blue -6.8%}}} || __'''2,159,276'''__ [br] {{{#blue __-6.4%__}}} || || [[구미역|구미]] || - || 503,692 [br] {{{#red +3.2%}}} || 2,038,928 [br] {{{#blue -7.6%}}} || 2,542,620 [br] {{{#blue -5.6%}}} || - || 531,536 [br] {{{#blue -3.4%}}} || 2,061,498 [br] {{{#blue -6.6%}}} || 2,593,034 [br] {{{#blue -6.0%}}} || __'''5,135,654'''__ [br] {{{#blue __-5.8%__}}} || || [[사곡역|사곡]] || - || - || 13,484 [br] '''{{{#blue -13.3%}}}''' || 13,484 [br] '''{{{#blue -13.3%}}}''' || - || - || 12,867 [br] '''{{{#blue -17.8%}}}''' || 12,867 [br] '''{{{#blue -17.8%}}}''' || __'''26,351'''__ [br] {{{#blue __'''-15.6%'''__}}} || || [[약목역|약목]] || - || - || 51,525 [br] {{{#blue -5.7%}}} || 51,525 [br] {{{#blue -5.7%}}} || - || - || 60,822 [br] {{{#blue -4.5%}}} || 60,822 [br] {{{#blue -4.5%}}} || __'''112,347'''__ [br] {{{#blue __-5.0%__}}} || || [[왜관역|왜관]] || - || 25,782 [br] '''{{{#red +124.2%}}}''' || 880,612 [br] {{{#blue -3.1%}}} || 906,394 [br] {{{#blue -1.5%}}} || - || 26,199 [br] '''{{{#red +123.4%}}}''' || 865,624 [br] {{{#blue -3.3%}}} || 891,823 [br] {{{#blue -1.7%}}} || __'''1,746,236'''__ [br] {{{#blue __-4.4%__}}} || || [[신동역|신동]] || - || - || 4,069 [br] {{{#blue -2.0%}}} || 4,069 [br] {{{#blue -2.0%}}} || - || - || 3,367 [br] '''{{{#blue -15.0%}}}''' || 3,367 [br] '''{{{#blue -15.0%}}}''' || __'''7,436'''__ [br] {{{#blue __-8.3%__}}} || || [[대구역|대구]] || - || 439,181 [br] {{{#red +3.7%}}} || 2,639,207 [br] {{{#blue -3.1%}}} || 3,078,388 [br] {{{#blue -2.2%}}} || - || 401,446 [br] {{{#red +5.2%}}} || 2,667,492 [br] {{{#blue -3.2%}}} || 3,068,938 [br] {{{#blue -2.1%}}} || __'''6,147,326'''__ [br] {{{#blue __-2.2%__}}} || || [[동대구역|동대구]] || 6,869,764 [br] {{{#red +4.7%}}} || 365,939 [br] {{{#red +5.4%}}} || 2,644,973 [br] {{{#blue -5.6%}}} || 9,880,676 [br] {{{#red +1.8%}}} || 6,782,358 [br] {{{#red +4.8%}}} || 372,529 [br] {{{#red +4.3%}}} || 2,609,288 [br] {{{#blue -4.7%}}} || 9,764,175 [br] {{{#red +2.1%}}} || __'''19,644,851'''__ [br] {{{#red __+1.9%__}}} || || [[경산역|경산]] || 53,449 [br] {{{#red +1.8%}}} || 54,605 [br] '''{{{#red +27.8%}}}''' || 1,033,910 [br] {{{#blue -3.1%}}} || 1,141,964 [br] {{{#blue -1.7%}}} || 47,076 [br] {{{#red +6.3%}}} || 39,573 [br] '''{{{#red +22.7%}}}''' || 1,026,893 [br] {{{#blue -3.0%}}} || 1,113,542 [br] {{{#blue -1.9%}}} || __'''2,255,506'''__ [br] {{{#blue __-1.8%__}}} || || [[남성현역|남성현]] || - || - || 4,906 [br] {{{#red +0.66%}}} || 4,906 [br] {{{#red +0.66%}}} || - || - || 4,566 [br] {{{#blue -3.8%}}} || 4,566 [br] {{{#blue -3.8%}}} || __'''9,472'''__ [br] {{{#blue __-1.5%__}}} || || [[청도역|청도]] || - || 14,242 [br] {{{#red +7.3%}}} || 567,855 [br] {{{#blue -5.9%}}} || 582,097 [br] {{{#blue -5.7%}}} || - || 14,218 [br] '''{{{#red +13.5%}}}''' || 577,958 [br] {{{#blue -6.4%}}} || 592,176 [br] {{{#blue -6.0%}}} || __'''1,174,273'''__ [br] {{{#blue __-5.8%__}}} || || [[상동역(경부선)|상동]] || - || - || 48,519 [br] {{{#blue -5.8%}}} || 48,519 [br] {{{#blue -5.8%}}} || - || - || 42,895 [br] {{{#blue -8.2%}}} || 42,895 [br] {{{#blue -8.2%}}} || __'''91,414'''__ [br] {{{#blue __-7.0%__}}} || || [[밀양역|밀양]] || 253,758 [br] {{{#blue -0.53%}}} || 120,439 [br] '''{{{#red +17.4%}}}''' || 915,906 [br] {{{#blue -7.0%}}} || 1,290,103 [br] {{{#blue -3.9%}}} || 282,325 [br] {{{#red +6.0%}}} || 108,882 [br] '''{{{#red +12.0%}}}''' || 940,820 [br] {{{#blue -7.7%}}} || 1,332,027 [br] {{{#blue -3.7%}}} || __'''2,622,130'''__ [br] {{{#blue __-3.8%__}}} || || [[삼랑진역|삼랑진]] || - || 2,045 [br] '''{{{#blue -23.6%}}}''' || 207,042 [br] {{{#blue -4.3%}}} || 209,087 [br] {{{#blue -4.5%}}} || - || 1,507 [br] '''{{{#blue -35.0%}}}''' || 211,672 [br] {{{#blue -4.4%}}} || 213,179 [br] {{{#blue -3.7%}}} || __'''422,266'''__ [br] {{{#blue __-4.6%__}}} || || [[원동역|원동]] || - || 1,146 || 82,905 [br] {{{#blue -7.5%}}} || 84,051 [br] {{{#blue -7.5%}}} || - || 70 || 91,226 [br] {{{#blue -4.8%}}} || 91,296 [br] {{{#blue -4.9%}}} || __'''175,347'''__ [br] {{{#blue __-6.2%__}}} || || [[물금역|물금]] || - || 24,117 [br] {{{#blue -2.8%}}} || 239,553 [br] {{{#red +6.2%}}} || 263,670 [br] {{{#red +5.3%}}} || - || 23,258 [br] '''{{{#red +18.6%}}}''' || 229,197 [br] {{{#red +6.0%}}} || 252,455 [br] {{{#red +2.0%}}} || __'''516,125'''__ [br] {{{#red __+3.7%__}}} || || [[화명역(경부선)|화명]] || - || 3 || 74,785 [br] {{{#red +0.5%}}} || 74,788 [br] {{{#red +0.49%}}} || - || 3 || 59,475 [br] {{{#blue -6.1%}}} || 59,478 [br] {{{#blue -6.2%}}} || __'''134,266'''__ [br] {{{#blue __-2.6%__}}} || || [[구포역|구포]] || 543,678 [br] {{{#blue -7.5%}}} || 211,530 [br] '''{{{#red +12.9%}}}''' || 1,023,826 [br] {{{#blue -5.1%}}} || 1,779,034 [br] {{{#blue -4.0%}}} || 592,846 [br] {{{#blue -8.0%}}} || 205,508 [br] '''{{{#red +21.1%}}}''' || 1,020,209 [br] {{{#blue -5.1%}}} || 1,818,563 [br] {{{#blue -3.7%}}} || __'''3,597,597'''__ [br] {{{#blue __-3.9%__}}} || || [[사상역(경부선)|사상]] || - || - || 34,217 [br] {{{#blue -8.1%}}} || 34,217 [br] {{{#blue -8.1%}}} || - || - || 39,496 [br] {{{#blue -6.7%}}} || 39,496 [br] {{{#blue -6.7%}}} || __'''73,713'''__ [br] {{{#blue __-7.3%__}}} || || [[부산역|부산]] || 7,463,393 [br] {{{#red +2.2%}}} || 360,849 [br] {{{#red +1.5%}}} || 1,717,285 [br] {{{#blue -3.1%}}} || 9,541,527 [br] {{{#red +1.2%}}} || 7,384,548 [br] {{{#red +2.0%}}} || 360,422 [br] {{{#red +7.9%}}} || 1,717,422 [br] {{{#blue -2.9%}}} || 9,462,392 [br] {{{#red +1.3%}}} || __'''19,003,919'''__ [br] {{{#red __+1.2%__}}} || === 일일 이용객 === '''2016년 기준''' 경부선 역의 등급별 일평균 이용객 숫자를 나타낸 표이다. 출처는 2016년 철도통계연보이다. 일평균 1만 명 이상 이용하는 경우 '''볼드'''체로 표시한다. ||<-10> {{{#ffffff ''' 2016년 경부선 역 이용객 수 (일평균)'''}}} || || 역 목록 || [[KTX]]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SRT]] || 승차 || 하차 || 승하차 || || '''[[서울역|서울]]''' || '''78,842''' || 2,516 || '''14,936''' || - || '''48,032''' || '''48,262''' || __'''96,294'''__ || || '''[[용산역|용산]]''' || '''24,436''' || 2,272 || 8,246 || - || '''16,977''' || '''17,977''' || __'''34,954'''__ || || '''[[영등포역|영등포]]''' || 440 || 4,256 || '''21,618''' || - || '''13,227''' || '''13,087''' || __'''26,313'''__ || || [[안양역|안양]] || - || - || 1,400 || - || 749 || 651 || __1,400__ || || '''[[수원역|수원]]''' || 3,709 || 6,441 || '''25,986''' || - || '''17,983''' || '''18,153''' || __'''36,136'''__ || || [[오산역|오산]] || - || - || 1,038 || - || 537 || 502 || __1,038__ || || [[서정리역|서정리]] || - || - || 382 || - || 196 || 187 || __382__ || || '''[[평택역|평택]]''' || - || 1,272 || '''11,928''' || - || 6,587 || 6,613 || __'''13,200'''__ || || [[성환역|성환]] || - || - || 306 || - || 143 || 162 || __306__ || || '''[[천안역|천안]]''' || - || 3,310 || '''15,021''' || - || 9,102 || 9,229 || __'''18,331'''__ || || [[소정리역|소정리]] || - || - || 9 || - || 4 || 5 || __9__ || || [[전의역|전의]] || - || - || 341 || - || 167 || 173 || __341__ || || '''[[조치원역|조치원]]''' || - || 744 || 9,594 || - || 5,156 || 5,183 || __'''10,338'''__ || || [[부강역|부강]] || - || - || 352 || - || 182 || 170 || __352__ || || [[신탄진역|신탄진]] || - || - || 4,001 || - || 2,029 || 1,974 || __4,003__ || || '''[[대전역|대전]]''' || '''29,581''' || 2,794 || '''14,387''' || 6,336 || '''23,686''' || '''23,474''' || __'''47,160'''__ || || [[옥천역|옥천]] || - || - || 1,151 || - || 565 || 585 || __1,151__ || || [[이원역|이원]] || - || - || 71 || - || 40 || 31 || __72__ || || [[지탄역|지탄]] || - || - || 4 || - || 2 || 1 || __4__ || || [[심천역|심천]] || - || - || 39 || - || 20 || 21 || __40__ || || [[각계역|각계]] || - || - || 1 || - || 1 || 0 || __1__ || || [[영동역|영동]] || - || 333 || 3,226 || - || 1,764 || 1,795 || __3,559__ || || [[황간역|황간]] || - || - || 219 || - || 113 || 107 || __220__ || || [[추풍령역|추풍령]] || - || - || 94 || - || 47 || 47 || __94__ || || [[김천역|김천]] || - || 1,028 || 4,871 || - || 2,950 || 2,949 || __5,900__ || || '''[[구미역|구미]]''' || - || 2,828 || '''11,203''' || - || 6,947 || 7,085 || __'''14,032'''__ || || [[사곡역|사곡]] || - || - || 72 || - || 37 || 35 || __72__ || || [[약목역|약목]] || - || - || 307 || - || 141 || 166 || __307__ || || [[왜관역|왜관]] || - || 142 || 4,771 || - || 2,476 || 2,437 || __4,913__ || || [[신동역|신동]] || - || - || 20 || - || 11 || 9 || __20__ || || '''[[대구역|대구]]''' || - || 2,297 || '''14,499''' || - || 8,411 || 8,385 || __'''16,796'''__ || || '''[[동대구역|동대구]]''' || '''36,653''' || 2,018 || '''14,356''' || '''10,313''' || '''26,996''' || '''26,678''' || __'''53,674'''__ || || [[경산역|경산]] || 275 || 257 || 5,631 || - || 3,120 || 3,042 || __6,163__ || || [[남성현역|남성현]] || - || - || 26 || - || 13 || 12 || __26__ || || [[청도역|청도]] || - || 78 || 3,131 || - || 1,590 || 1,618 || __3,208__ || || [[상동역(경부선)|상동]] || - || - || 250 || - || 133 || 117 || __250__ || || [[밀양역|밀양]] || 1,465 || 627 || 5,073 || - || 3,525 || 3,639 || __7,164__ || || [[삼랑진역|삼랑진]] || - || 10 || 1,144 || - || 571 || 582 || __1,154__ || || [[원동역|원동]] || - || - || 476 || - || 230 || 249 || __479__ || || [[물금역|물금]] || - || 129 || 1,281 || - || 720 || 690 || __1,410__ || || [[화명역(경부선)|화명]] || - || - || 367 || - || 204 || 163 || __367__ || || [[구포역|구포]] || 3,105 || 1,139 || 5,585 || - || 4,861 || 4,969 || __9,830__ || || [[사상역(경부선)|사상]] || - || - || 201 || - || 93 || 108 || __201__ || || '''[[부산역]]''' || '''39,697''' || 1,971 || 9,384 || '''13,860''' || '''26,070''' || '''25,854''' || __'''51,923'''__ || === [[수도권 전철 1호선]] === 2021년 기준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일평균 승하차 순위이다. 환승역의 경우 1호선(경부선)이 아닌 다른 노선의 승하차객은 제외한다. ||<-10> {{{#ffffff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 ||<-10> {{{#005daa '''노선 총합'''}}} || || 역수 || 구간 || 역당 일평균 이용객 || 일평균 승하차량 || 2021년 승하차량 || 최다 이용역 || 최저 이용역 || || '''38개''' || '''서울 ↔ 두정''' || '''18,796명''' || '''714,263명''' || '''260,500,138명''' || 영등포 || 직산 || || 9개 || 서울 ↔ 구로 || 27,544명 || 247,900명 || 90,483,654명 || 영등포 || 서울역(경부선) || || 15개 || 가산디지털단지 ↔ 수원[* 광명 포함] || 22,840명 || 342,606명 || 125,051,352명 || 수원 || 광명 || || 14개 || 세류 ↔ 두정[* 서동탄역 포함] || 8,840명 || 123,757명 || 44,965,132명 || 병점 || 직산 || ||<-10> {{{#005daa '''일일 이용객 수'''}}} || || 역수 || 구간 || 10만명 이상 || 5만명~10만명 || 2만명~5만명 || 1만명~2만명 || 1만명 이하 || || 38개 || '''서울 ↔ 두정''' || 없음 || '''3개역'''[* 용산, 영등포, 수원] || '''10개역'''[* 노량진, 대방, 구로, 가산디지털단지, 독산, 안양, 금정, 성균관대, 병점, 평택] || '''11개역'''[* 남영, 신길, 금천구청, 석수, 관악, 명학, 군포, 의왕, 화서, 오산, 서정리] || '''14개역'''[* 서울역(경부선), 신도림, 광명, 당정, 세류, 서동탄, 세마, 오산대, 진위, 송탄, 평택지제, 성환, 직산, 두정] || ||<-10> {{{#ffffff '''수도권 전철 1호선(경부선)'''}}} || ||<-10> {{{#005daa '''역별 순위'''}}} || || 순위 || 역명 || 일평균 승하차량 || 2021년 승하차량 || || '''1위''' || '''[[영등포역|{{{#373a3c,#dddddd 영등포}}}]]''' || '''66,687명''' || '''24,340,717명''' || || 2위 || [[용산역|{{{#373a3c,#dddddd 용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의 환승역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1호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수도권 전철 경의선|경의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중앙선]]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 58,173명 || 21,233,044명 || || 3위 || [[수원역|{{{#373a3c,#dddddd 수원}}}]] || 50,130명 || 18,297,499명 || || 4위 || [[금정역|{{{#373a3c,#dddddd 금정}}}]][* [[수도권 전철 4호선]]과의 환승역이지만 출입구 게이트를 1호선이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4호선 이용객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 43,630명 || 15,925,027명 || || 5위 || [[가산디지털단지역|{{{#373a3c,#dddddd 가산디지털단지}}}]] || 43,610명 || 15,917,753명 || || 6위 || [[안양역|{{{#373a3c,#dddddd 안양}}}]] || 38,419명 || 14,023,044명 || || 7위 || [[구로역|{{{#373a3c,#dddddd 구로}}}]] || 31,452명 || 11,479,949명 || || 8위 || [[노량진역|{{{#373a3c,#dddddd 노량진}}}]] || 30,201명 || 11,023,229명 || || 9위 || [[독산역|{{{#373a3c,#dddddd 독산}}}]] || 27,867명 || 10,171,332명 || || 10위 || [[병점역|{{{#373a3c,#dddddd 병점}}}]] || 23,945명 || 8,740,021명 || || 11위 || [[성균관대역|{{{#373a3c,#dddddd 성균관대}}}]] || 23,442명 || 8,556,506명 || || 12위 || [[평택역|{{{#373a3c,#dddddd 평택}}}]] || 21,437명 || 7,824,515명 || || 13위 || [[대방역|{{{#373a3c,#dddddd 대방}}}]] || 21,008명 || 7,668,069명 || || 14위 || [[금천구청역|{{{#373a3c,#dddddd 금천구청}}}]] || 19,560명 || 7,139,577명 || || 15위 || [[오산역|{{{#373a3c,#dddddd 오산}}}]] || 17,027명 || 6,214,792명 || || 16위 || [[석수역|{{{#373a3c,#dddddd 석수}}}]] || 15,564명 || 5,680,754명 || || 17위 || [[남영역|{{{#373a3c,#dddddd 남영}}}]] || 15,268명 || 5,572,689명 || || 18위 || [[의왕역|{{{#373a3c,#dddddd 의왕}}}]] || 14,619명 || 5,336,051명 || || 19위 || [[명학역|{{{#373a3c,#dddddd 명학}}}]] || 14,381명 || 5,249,124명 || || 20위 || [[군포역|{{{#373a3c,#dddddd 군포}}}]] || 12,221명 || 4,460,524명 || || 21위 || [[화서역|{{{#373a3c,#dddddd 화서}}}]] || 12,204명 || 4,454,382명 || || 22위 || [[관악역|{{{#373a3c,#dddddd 관악}}}]] || 11,970명 || 4,369,198명 || || 23위 || [[신길역|{{{#373a3c,#dddddd 신길}}}]] || 11,661명 || 4,256,430명 || || 24위 || [[서정리역|{{{#373a3c,#dddddd 서정리}}}]] || 11,183명 || 4,081,634명 || || 25위 || [[당정역|{{{#373a3c,#dddddd 당정}}}]] || 9,835명 || 3,589,823명 || || 26위 || [[두정역|{{{#373a3c,#dddddd 두정}}}]] || 9,500명 || 3,467,648명 || || 27위 || [[송탄역|{{{#373a3c,#dddddd 송탄}}}]] || 7,486명 || 2,732,316명 || || 28위 || [[신도림역|{{{#373a3c,#dddddd 신도림}}}]] || 6,802명 || 2,482,648명 || || 29위 || [[서울역|{{{#373a3c,#dddddd 서울역(경부선)}}}]] || 6,649명 || 2,426,879명 || || 30위 || [[성환역|{{{#373a3c,#dddddd 성환}}}]] || 6,309명 || 2,302,664명 || || 31위 || [[오산대역|{{{#373a3c,#dddddd 오산대}}}]] || 5,586명 || 2,038,727명 || || 32위 || [[평택지제역|{{{#373a3c,#dddddd 평택지제}}}]] || 5,225명 || 1,906,984명 || || 33위 || [[광명역|{{{#373a3c,#dddddd 광명}}}]] || 5,153명 || 1,880,758명 || || 34위 || [[세류역|{{{#373a3c,#dddddd 세류}}}]] || 5,018명 || 1,831,693명 || || 35위 || [[세마역|{{{#373a3c,#dddddd 세마}}}]] || 4,372명 || 1,595,728명 || || 36위 || [[진위역|{{{#373a3c,#dddddd 진위}}}]] || 2,466명 || 899,935명 || || 37위 || [[서동탄역|{{{#373a3c,#dddddd 서동탄}}}]] || 2,340명 || 853,943명 || || 38위 || [[직산역|{{{#373a3c,#dddddd 직산}}}]] || 1,300명 || 474,532명 || == 기타 == * [[안양시|안양]] 서리재고개 인근에서 [[이토 히로부미]]가 [[원태우]]에 의해 암살당할 뻔 하였다. 하지만 주치의가 재빨리 응급처치를 진행해 무사히 살아남았다. [[수원시|수원]]에서 사냥을 마친 후 열차를 타고 서울로 이동 중 봉변을 당했다고 한다. 이는 안중근 의사 의거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이토 히로부미는 이 일로 자신의 얼굴이 드러나는 것을 극히 꺼려서 안중근 의사도 이토 히로부미의 얼굴을 몰랐다고 한다. 그러나 운 좋게도 누군가 이름을 불러서 의거에 성공했다. [[안양역]] 에스컬레이터 좌측 벽, 즉 롯데리아 맞은편에 기념판이 붙어 있다. [[관악역]] 근처 운전면허학원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면 있는 던졌다고 추정되는 곳에도 세워져 있다. * [[충북선]], [[호남선]], [[경북선]], [[경전선]]같은 지선들이 [[부산역]] 방향에서 분기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도쿄역|도쿄]] 기준으로 상하행이 결정된 만큼 서울 방향이 하행이었다. [[부관연락선]]을 경유하는 [[도쿄역]]과의 연계를 우선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광복 이후로는 별도로 [[삼각선]]을 이용해 [[서울역]]과 직결이 이루어졌다. 특히 [[KTX]] 개통 이후 호남선이 맞바꿔져서 [[대전역]] - [[서대전역]] 구간이 [[대전선]]으로 불리게 되었다. * 서울시 [[용산구]]/[[동작구]]/[[영등포구]]/[[구로구]]/ [[금천구]]와 경기도 [[안양시]]/[[군포시]]가 [[서울역|서울]] - [[당정역|당정]] 간 지하화를 요구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경부선 전철 지하화 문제]] 문서를 참조하라. 그러나 이는 무산되었고 국토부는 이 골칫거리를 날려버리려고 [[경부고속선]] 서울 도심구간 지하화를 발표했다. * 부산도 비슷한 요구가 존재한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박민식]] 후보는 [[동대구역|동대구]] - [[사상역(경부선)|사상]]간 고속선 개량을 추진하면서 부산 관내 지역 지하화를 주장했다. 2020년 10월에는 [[더불어민주당]]이 한국형 [[뉴딜]] 정책 일환으로 구포 - 부산진간 지하화를 추진하겠다는 기사가 나왔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100519275351479|「[단독] 與 “‘경부선 지하화’ 예타 뛰어넘어 바로 추진”」]], 부산일보, 2020-10-05] * 구상 중인 [[한일 해저터널]]이 이용하게 된다면 절연구간이 탄생할 수도 있고, 열차 운행 횟수도 더욱 늘어나게 된다. * [[북한]]은 전구간을 명목상 [[평부선]] 일부분으로 취급하고 있다. 평부선의 '평부'는 [[평양역|평양]]의 '평'과 [[부산역|부산]]의 '부'를 의미한다. 물론 실제로는 [[군사분계선|휴전선]]에서 끊기기 때문에 운행하는 평부선은 [[평양역|평양]] - [[개성역|개성]] 구간이다. * 통일 이후 [[경의선]]과 직결하거나 부산 - 서울 - 신의주 철도 노선을 부의선이라는 하나의 노선으로 통합시켜 KTX 및 일반 간선열차를 연장시키고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수도권 전철 경의선]] 서울 - 문산 - (개성) 구간과 직결 운행하자는 주장이 있다. * 오래된 노선이기 때문에 건널목이 많았지만, 계속된 입체화로 현재는 천안 - 대전 구간, [[연화역|연화건널목]]을 제외하면 폐쇄되었다. 2004년 당시 수원-천안 2복선화 및 전철화 공사 진척에 의거 경기도 평택시 소재 철도건널목이 일괄 폐지되었다. * 지나는 곳 중에 절반이 인구 50만 이상인 [[대도시]]이다. 각각 [[서울특별시]], [[안양시]], [[수원시]], [[화성시]], [[평택시]], [[천안시]], --[[청주시]]--, [[대전광역시]] ,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등이다. 이 중 화성시에는 전철만 정차하고, 청주시는 역이 없으므로 생략하여야 하지만, 충북 청주시-청원군 통합 이전 및 세종특별자치시 승격 직전인 2012년 06월 30일까지는 경부선 [[부강역]], [[매포역]]이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소재였고 2012년 07월 01일 기준으로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으로 편입됐다. 대도시 중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구간에만 6개가 있다. * [[경부고속도로]]와 마찬가지로 서울 방면에서 하행으로 내려갈 때 처음으로 등장하는 '''군'''이 충청북도 옥천군이고, 경부선 구간을 지나는 군은 [[옥천군]]과 [[영동군]], [[칠곡군]], [[청도군]] 단 네 곳이다. 즉, 서울~대전 구간은 모두 '''시'''이다. * 서울 - 부산을 잇는 세 노선(경부선,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선) 중 이 노선만 일반철도 노선번호 2번(302번, 구 22번)을 부여 받았는데, 경부선보다 더 먼저 개통한 [[경인선]]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호국의 다리]]는 옛 경부선 철교였다. 1945년 복선화 이전 단선 경부선 시절 사용된 철도 교량이었다. * 경부선 내 [[부강역]], [[약목역]], [[신동역]]은 공식 개역일과 당대 기록 간 괴리가 있다. 1907년 통감부 철도관리국 연보에 따르면 늦어도 1906년부터 이 세 역이 거리표에 등재되어 여객을 취급한 기록이 있고, 1909년 1월에 작성된 순종황제의 남부지방 순행으로 인한 열차운행 변경 공지에서도 이 역들이 등장한다.[* [[https://db.history.go.kr/item/level.do?setId=1&totalCount=1&itemId=jh&synonym=off&chinessChar=on&page=1&pre_page=1&brokerPagingInfo=&types=r&searchSubjectClass=&position=0&levelId=jh_099r_0080_0080&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8%8B%A5%E6%9C%A8&searchKeywordConjunction=AND|한국사 데이터베이스 > 자료일람 > 주한일본공사관기록 & 통감부문서 > 統監府文書 9권 > 八. 韓國皇帝南巡關係書類, 韓國皇帝西南巡幸關係書類 > (8) [巡幸 예정 변경 통보\]]]] 위 3개 역의 공식 개업일은 부강역은 1909년 11월, 약목역과 신동역은 9년 후인 1918년이다. ==# [[한국철도공사/역명코드|역명코드]] #== || '''{{{#98e1eb 역명코드}}}''' || '''{{{#98e1eb 한글}}}''' || '''{{{#98e1eb 한자}}}''' || '''{{{#98e1eb 로마자}}}''' || '''{{{#98e1eb 비고}}}''' || || 0001 ||<#003da5>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서울역|{{{#fff 서 울}}}]] || 서 울 || Seoul || 고속[br]정차 || || 0820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남영역|남 영]] || 南 營 || Namyeong || || || 0104 ||<#003da5>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용산역|{{{#fff 용 산}}}]] || 龍 山 || Yongsan || 고속[br]정차 || || 0251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노량진역|노량진]] || 鷺梁津 || Noryangjin || || || 0821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대방역|대 방]] || 大 方 || Daebang || || || 0822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신길역|신 길]] || 新 吉 || Singil || || || 0002 ||<#003da5>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영등포역|{{{#fff 영등포}}}]] || 永登浦 || Yeongdeungpo || 고속[* [[수원경유 KTX]]][br]정차 || || 0823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신도림역|신도림]] || 新道林 || Sindorim || || || 0824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구로역|구 로]] || 九 老 || Guro || || || 0825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 || 加山디지털團地 || Gasan Digital Complex || || || 0887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독산역|독 산]] || 禿 山 || Doksan || || || 0252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衿川區廳 || Geumcheon-gu Office || || || 0826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석수역|석 수]] || 石 水 || Seoksu || || || 0827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관악역|관 악]] || 冠 岳 || Gwanak || || || 0135 ||<#f55839>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안양역|{{{#fff 안 양}}}]] || 安 養 || Anyang || 정차 || || 0828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명학역|명 학]] || 鳴 鶴 || Myeonghak || || || 0829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금정역|금 정]] || 衿 井 || Geumjeong || || || 0301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군포역|군 포]] || 軍 浦 || Gunpo || || ||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당정역|당 정]] || 堂 井 || Dangjeong || || || 0302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의왕역|의 왕]] || 義 王 || Uiwang || || || 0830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성균관대역|성균관대]] || 成均館大 || Sungkyunkwan Univ. || || || 0831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화서역|화 서]] || 華 西 || Hwaseo || || || 0003 ||<#003da5>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수원역|{{{#fff 수 원}}}]] || 水 原 || Suwon || 고속[* 수원 경유 KTX 및 고속선 불통시 광명역 기능 대체][br]정차 || || 0614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세류역|세 류]] || 細 柳 || Seryu || || || 0303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병점역|병 점]] || 餠 店 || Byeongjeom || || ||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세마역|세 마]] || 洗 馬 || Sema || || ||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오산대역|오산대]] || 烏山大 || Osan Univ. || || || 0141 ||<#f55839>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오산역|{{{#fff 오 산}}}]] || 烏 山 || Osan || 정차 || ||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진위역|진 위]] || 振 威 || Jinwi || || || 0225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송탄역|송 탄]] || 松 炭 || Songtan || || || 0243 ||<#f55839>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서정리역|{{{#fff 서정리}}}]] || 西井里 || Seojeong-ri || 정차 || || --0553--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평택지제역|평택지제]] || 平澤芝制 || PyeongtaekJije || --고속--[* [[수서평택고속선]] 한정] || || 0004 ||<#c30e2f>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평택역|{{{#fff 평 택}}}]] || 平 澤 || Pyeongtaek || 정차 || || 0248 ||<#f55839>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성환역|{{{#fff 성 환}}}]] || 成 歡 || Seonghwan || 정차 || || 0279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직산역|직 산]] || 稷 山 || Jiksan || || || 0615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두정역|두 정]] || 斗 井 || Dujeong || || || 0005 ||<#c30e2f> [[천안역|{{{#fff 천 안}}}]] || 天 安 || Cheonan || --고속--[* 고속선 불통시 천안아산역 기능 대체][br]정차 || || 0142 || [[소정리역|소정리]] || 小井里 || Sojeong-ri || || || 0006 ||<#f55839> [[전의역|{{{#fff 전 의}}}]] || 全 義 || Jeonui || 정차 || || 0304 || [[전동신호장|전 동]] || 全 東 || Jeondong || || || 0616 || [[서창신호장|서 창]] || 瑞 倉 || Seochang || || || 0007 ||<#c30e2f> [[조치원역|{{{#fff 조치원}}}]] || 鳥致院 || Jochiwon || --고속--[* 고속선 불통시 오송역 기능 대체][br]정차 || || 0305 || [[내판신호장|내 판]] || 內 板 || Naepan || || || 0008 ||<#f55839> [[부강역|{{{#fff 부 강}}}]] || 芙 江 || Bugang || 정차 || || 0306 || [[매포역|매 포]] || 梅 浦 || Maepo || || || 0009 ||<#f55839> [[신탄진역|{{{#fff 신탄진}}}]] || 新灘津 || Sintanjin || 정차 || || 0307 || [[회덕역|회 덕]] || 懷 德 || Hoedeok || || || 0617 || [[대전조차장]] || 大田操車場 || Daejeonjochajang || || || 0010 ||<#003da5> [[대전역|{{{#fff 대 전}}}]] || 大 田 || Daejeon || 고속[br]정차 || || 0237 || [[세천역|세 천]] || 細 川 || Secheon || || || 0022 ||<#f55839> [[옥천역|{{{#fff 옥 천}}}]] || 沃 川 || Okcheon || 정차 || || 0300 ||<#f55839> [[이원역|{{{#fff 이 원}}}]] || 伊 院 || Iwon || 정차 || || 0308 ||<#f55839> [[지탄역|{{{#fff 지 탄}}}]] || 池 灘 || Jitan || 정차 || || 0248 ||<#f55839> [[심천역|{{{#fff 심 천}}}]] || 深 川 || Simcheon || 정차 || || 0309 ||<#f55839> [[각계역|{{{#fff 각 계}}}]] || 覺 溪 || Gakgye || 정차 || || 0011 ||<#c30e2f> [[영동역|{{{#fff 영 동}}}]] || 永 同 || Yeongdong || 정차 || || 0128 ||<#f55839> [[황간역|{{{#fff 황 간}}}]] || 黃 澗 || Hwanggan || 정차 || || 0133 ||<#f55839> [[추풍령역|{{{#fff 추풍령}}}]] || 秋風嶺 || Chupungnyeong || 정차 || || 0499 || [[신암역|신 암]] || 新 岩 || Sinam || || || 0226 || [[직지사역|직지사]] || 直指寺 || Jikjisa || || || 0012 ||<#c30e2f> [[김천역|{{{#fff 김 천}}}]] || 金 泉 || Gimcheon || --고속--[* 고속선 불통시 김천구미역 기능 대체][br]정차 || || 0310 || [[대신역|대 신]] || 大 新 || Daesin || || || 0311 || [[아포역|아 포]] || 牙 浦 || Apo || || || 0013 ||<#c30e2f> [[구미역|{{{#fff 구 미}}}]] || 龜 尾 || Gumi || --고속--[* 고속선 불통시 김천구미역 기능 대체][br]정차 || || 0312 || [[사곡역|사 곡]] || 沙 谷 || Sagok || || || 0230 ||<#f55839> [[약목역|{{{#fff 약 목}}}]] || 若 木 || Yangmok || 정차 || || 0014 ||<#c30e2f> [[왜관역|{{{#fff 왜 관}}}]] || 倭 館 || Waegwan || 정차 || || 0313 || [[연화역|연 화]] || 蓮 花 || Yeonhwa || || || 0223 ||<#f55839> [[신동역|{{{#fff 신 동}}}]] || 新 洞 || Sindong || 정차 || || 0314 || [[지천역|지 천]] || 枝 川 || Jicheon || || || 0506 ||<#003da5> [[서대구역|{{{#fff 서대구}}}]] || 西大邱 || Seodaegu || 고속 || || 0023 ||<#c30e2f> [[대구역|{{{#fff 대 구}}}]] || 大 邱 || Daegu || 정차 || || 0015 ||<#003da5> [[동대구역|{{{#fff 동대구}}}]] || 東大邱 || Dongdaegu || 고속[br]정차 || || 0315 || [[고모역|고 모]] || 顧 母 || Gomo || || || 0735 || [[가천역|가 천]] || 佳 川 || Gacheon || || || 0024 ||<#003da5> [[경산역|{{{#fff 경 산}}}]] || 慶 山 || Gyeongsan || 고속[br]정차 || || 0316 || [[삼성역(경부선)|삼 성]] || 三 省 || Samseong || || || 0317 ||<#f55839> [[남성현역|{{{#fff 남성현}}}]] || 南省峴 || Namseonghyeon || 정차 || || 0016 ||<#c30e2f> [[청도역|{{{#fff 청 도}}}]] || 淸 道 || Cheongdo || 정차 || || 0318 || [[신거역|신 거]] || 新 巨 || Singeo || || || 0272 ||<#f55839> [[상동역(경부선)|{{{#fff 상 동}}}]] || 上 東 || Sangdong || 정차 || || 0017 ||<#003da5> [[밀양역|{{{#fff 밀 양}}}]] || 密 陽 || Miryang || 고속[br]정차 || || 0620 || [[미전신호소|미 전]] || 美 田 || Mijeon || || || 0018 ||<#c30e2f> [[삼랑진역|{{{#fff 삼랑진}}}]] || 三浪津 || Samnangjin || 정차 || || 0215 ||<#f55839> [[원동역|{{{#fff 원 동}}}]] || 院 洞 || Wondong || 정차 || || 0224 ||<#c30e2f> [[물금역|{{{#fff 물 금}}}]] || 勿 禁 || Mulgeum || 정차 || || 0210 ||<#f55839> [[화명역(경부선)|{{{#fff 화 명}}}]] || 華 明 || Hwamyeong || 정차 || || 0019 ||<#003da5> [[구포역|{{{#fff 구 포}}}]] || 龜 浦 || Gupo || --[[벡스코역|벡스코]][* 시험용 전산망 한정, 영업용 전산망에는 구 우일역에 반영되어 있다.]--[BR]고속[br]정차 || || 0143 ||<#f55839> [[사상역(경부선)|{{{#fff 사 상}}}]] || 沙 上 || Sasang || 정차 || || 0144 || [[부산진역(경부선)|부산진]] || 釜山鎭 || Busanjin || || || 0020 ||<#003da5> [[부산역|{{{#fff 부 산}}}]] || 釜 山 || Busan || 고속[br]정차 || == [[경부선/역 목록|역 목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경부선/역 목록)] == 지선 철도 == [include(틀: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 노선번호 || 노선명 || 기종점 || 철도거리 || 역수 || || 30201 || [[용산삼각선]] || 삼각선(경부선)↔삼각선(경원선) || 0.5㎞ || - || || 30202 || [[구로삼각선]] || 삼각선(경부선)↔삼각선(경인선) || 1.2㎞ || - || || 30203 || [[구로기지선]] || [[구로역|구로]](경부선)↔[[구로차량사업소|구로기지]](경부선) || 1.4㎞ || - || || 30204 || [[남부화물기지선]] || [[의왕역|의왕]]↔[[오봉역|오봉]] || 3.0㎞ || 2 || || 30205 || [[수인선]][* 명목상 지선이다. 수원역에서 서로 교차할 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경부선과는 [[안산선]]을 통해 간접 연결되어 있다.] || [[수원역|수원]]↔[[인천역|인천]] || 52.3㎞ || 27 || || 30206 || [[병점기지선]] || [[병점역|병점]]↔[[서동탄역|서동탄]] || 2.2㎞ || 2 || || 30207 || [[천안직결선]] || [[두정역|두정]]↔[[천안역|천안]] || 3.1㎞ || 2 || || 30208 || [[오송선]] || [[서창신호장|서창]]↔[[오송]] || 4.6㎞ || 2 || || 30209 || [[대전선]] || [[대전역|대전]]↔[[서대전역|서대전]] || 5.7㎞ || 2 || || 30210 || [[대구선]] || [[가천역|가천]]↔[[영천역|영천]] || 29.0㎞ || 8 || || 30211 || [[미전선]] || [[미전신호소|미전]]↔[[낙동강역|낙동강]] || 1.6㎞ || 2 || || 30212 || [[가야선]] || [[사상역(경부선)|사상]]↔[[범일역(동해선)|범일]] || 8.3㎞ || 4[* 임시승강장 포함] || || 30213 || [[양산화물선]] || [[물금역|물금]]↔[[양산화물역|양산화물]] || 3.5㎞ || 2 || || 30214 || [[부강화물선]] || [[부강역|부강]]↔[[부강화물역|부강화물]] || 2.9㎞ || 2 || || 30215 || [[신동화물선]] || [[신동역|신동]]↔[[신동화물역|신동화물]] || 4.7㎞ || 2 || || 30216 || [[평택선]] || [[창내신호장|창내]]↔[[평택역]] || 8.8㎞ || 3 || || 30217 || [[평택삼각선]] || [[신대신호소|신대]]↔분기점 || 2.2㎞ || 1 || || 30218 || [[평택직결선]] || [[신대신호소|신대]]↔분기점 || 2.1㎞ || 1 || 경부선에는 총 18개의 지선이 있으며 지선이 가장 많은 철도 노선이다. == 관련 문서 == * [[경부고속선]] [[분류:경부선]][[분류:로그 누락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