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타크래프트 리그)] [[파일:STX Cup Masters.jpg]] [목차] == 개요 ==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경상남도]][* STX의 조선소(현 케이조선)가 [[진해구|진해]]에 위치해 있다.]와 [[STX]]가 주최했던 [[e스포츠]] 유일한 컵대회. 우승컵이 [[FIFA 월드컵 트로피]]와 매우 비슷하게 생긴 것이 특이점이다. 팀 단위 리그로 진행됐으며, 전 경기 7전 4선승제 승자 연전식이다. [[위너스 리그]]와 같은 방식이라고 보면 된다. 매년 MBC GAME이 단독 중계했으며, 모든 경기가 [[프로농구]] 구단 [[창원 LG 세이커스]]의 홈 경기장인 [[창원실내체육관]]에서 펼쳐졌다. 결승전은 창원MBC[* 구 마산MBC, 현 [[MBC경남]] 창원본부. 마지막 대회가 끝나자마자 진주MBC하고 통합하여 MBC경남이 되었다.]와 [[MBC GAME]]이 동시 중계했고, [[지상파]]에서 중계되는 유일한 e스포츠 대회였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종료 후 대회가 치러졌으며, 지난 시즌 우승팀은 시드를 받아 결승전에 부전 진출했다. 그리고 공식 대회가 아니기 때문에 [[공군 ACE]]를 제외한 나머지 팀이 토너먼트를 통해 결승 진출 팀을 가리는 방식이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7 - 기간: 2007년 8월 18일 == * 우승: [[STX SouL]], 준우승: [[MBC GAME HERO]] 초회 대회인 탓에 전 대회 우승팀이 없었고, 그로 인해 주관사인 [[STX]]의 STX SouL[* 이 해에 STX가 SouL 팀을 본격적으로 인수하였다. 사실 팀명이 STX SouL이 된 것은 2006년이나, 이때는 [[네이밍 스폰서]]에 불과했다.]과 주관 방송사인 [[MBC GAME]]의 MBC GAME HERO가 초대 우승을 두고 맞붙었다. 녹화 방송으로 진행되어 마산MBC와 MBC GAME에서 방송되었다. === 결승전 === 스코어는 4:3으로 [[진영수|진XX]]가 역 3승을 이끌어낸 STX SouL의 초대 우승. 프로리그 및 팀리그에서 우승한 적이 없는 [[STX SouL]]의 첫 팀 단위 우승이다.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으로 인해 [[흑역사]]가 되었지만, [[진영수|진조작]]의 '한 여름밤의 꿈'으로 남은 대회다. 이 날 그는 낮에 열린 [[WCG]]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마재윤|마조작]]을 꺾고 바로 [[비행기]]를 타고 창원으로 이동,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고석현]], [[김택용]] 등을 모두 꺾고 팀에 우승을 안겼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7 결승전 스코어 ◆ '''{{{#red STX SouL}}}''' '''4''':3 [[MBC GAME HERO]]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파이썬(스타크래프트)|파이썬]] || T || [[서지수(프로게이머)|서지수]] || 패(2시) || 승(8시) ||<|2> T ||<|2> [[민찬기]] || || 2세트 || [[백두대간(스타크래프트)|신 백두대간]] ||<|2> Z ||<|2> [[김윤환(1989)|김윤환]] || {{{#ff0000 승}}}(7시) || 패(1시) || || 3세트 || [[타우 크로스]] || 패(1시) || 승(10시) ||<|3> P ||<|3> 박지호 || || 4세트 || [[몬티홀(스타크래프트)|몬티홀]] || P || [[김구현]] || 패(5시) || 승(11시) || || 5세트 || 파이썬 ||<|3> T ||<|3> ~~진영수~~ || {{{#ff0000 승}}}(8시) || 패(1시) || || 6세트 || 신 백두대간 || {{{#ff0000 승}}}(1시) || 패(7시) || P || 김택용 || || 7세트 || 타우 크로스 || {{{#ff0000 승}}}(10시) || 패(1시) || Z || 고석현 ||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8 - 기간: 2008년 8월 12일 ~ 2008년 8월 19일 == [[파일:/image/236/2008/08/19/1219153624_1.jpg]] * 우승: [[STX SouL]], 준우승: [[MBC GAME HERO]] 전 대회 우승팀 STX SouL, 준우승팀 MBC GAME HERO와 더불어 [[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1, 2위 팀이었던 [[삼성전자 칸]][* 프로리그 우승팀이기도 하다.]과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이 참가했다.[* 다만 프로리그 결승전은 SK텔레콤 T1이 아닌 3위 팀인 [[온게임넷 스파키즈]]가 진출했다.] 전 대회 우승팀이었던 STX SouL은 시드를 받아 결승전에 부전으로 진출했고, 전 대회 준우승팀 MBC GAME HERO는 플레이오프에 시드로 부전 진출했기 때문에 SK텔레콤 T1과 삼성전자 칸은 준플레이오프부터 올라와야 하는 상황이었다. === 준플레이오프 === 개막전 첫 경기에서 [[택뱅록]]이 나오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결과는 [[김택용]]의 승리. 그러나 이후 [[삼성전자 칸]]이 3:1까지 스코어를 벌리게 된다. 하지만 [[도재욱]]의 역 3킬에 힘입어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이 4:3의 스코어로 승리하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된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8 준플레이오프 스코어 ◆ 삼성전자 칸 3:'''4''' '''{{{#red SK텔레콤 T1}}}'''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콜로세움(스타크래프트)|콜로세움]] || P || [[송병구]] || 패(11시) || {{{#ff0000 승}}}(5시) ||<|2> P ||<|2> 김택용 || || 2세트 || [[아테나(스타크래프트)|아테나]] ||<|5> T ||<|4> [[김동건(e스포츠)|김동건]] || 승(6시) || 패(2시) || || 3세트 || [[블루스톰]] || 승(1시) || 패(7시) || Z || [[박재혁(1987)|박재혁]] || || 4세트 || [[오델로(스타크래프트)|오델로]] || 승(5시) || 패(1시) || T || [[고인규]] || || 5세트 || 콜로세움 || 패(7시) || {{{#ff0000 승}}}(11시) ||<|3> P ||<|3> [[도재욱]] || || 6세트 || 아테나 || [[이성은]] || 패(2시) || {{{#ff0000 승}}}(10시) || || 7세트 || 블루스톰 || P || [[허영무]] || 패 || {{{#ff0000 승}}} || === 플레이오프 === [[염보성]]이 3승을 하며 [[MBC GAME HERO]]의 4:2 승리를 이끌었다. 이로써 MBC GAME HERO는 2년 연속 결승전에 진출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8 플레이오프 스코어 ◆ '''{{{#red MBC GAME HERO}}}''' '''4''':2 [[SK텔레콤 T1]]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콜로세움(스타크래프트)|콜로세움]] ||<|2> Z ||<|2> [[김동현(스타크래프트)|김동현]] || {{{#ff0000 승}}}(5시) || 패(1시) || T || [[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 || 2세트 || [[아테나(스타크래프트)|아테나]] || 패(9시) || 승(6시) ||<|3> Z ||<|3> [[박재혁(1987)|박재혁]] || || 3세트 || [[블루스톰]] ||<|4> T ||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 패(7시) || 승(1시) || || 4세트 || [[오델로(스타크래프트)|오델로]] ||<|3> [[염보성]] || {{{#ff0000 승}}}(1시) || 패(11시) || || 5세트 || 콜로세움 || {{{#ff0000 승}}}(11시) || 패(7시) || T || [[고인규]] || || 6세트 || 아테나 || {{{#ff0000 승}}}(9시) || 패(2시) || P || [[도재욱]] || === 결승전 === 전년도 우승팀 [[STX SouL]]이 2년 연속 4:3 스코어로 [[MBC GAME HERO]]에게 승리를 거두며 대회 연패에 성공했다. 결승전 초대 가수는 [[샤이니]].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8 결승전 스코어 ◆ '''{{{#red STX SouL}}}''' '''4''':3 MBC GAME HERO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콜로세움(스타크래프트)|콜로세움]] ||<|2> Z ||<|2> [[박성준]] || {{{#ff0000 승}}}(5시) || 패(11시) || P || [[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 || || 2세트 || [[아테나(스타크래프트)|아테나]] || 패(10시) || 승(2시) ||<|3> Z ||<|3> [[정범수(프로게이머)|정영철]] || || 3세트 || [[블루스톰]] || T || ~~[[진영수]]~~ || 패(7시) || 승(1시) || || 4세트 || [[오델로(스타크래프트)|오델로]] ||<|3> P ||<|3> [[김구현]] || {{{#ff0000 승}}}(1시) || 패(5시) || || 5세트 || 콜로세움 || {{{#ff0000 승}}}(11시) || 패(7시) || P || [[박지호(프로게이머)|박지호]] || || 6세트 || 아테나 || 패(10시) || 승(2시) ||<|2> T ||<|2> [[염보성]] || || 7세트 || 블루스톰 || Z || [[김윤환(1989)|김윤환]] || {{{#ff0000 승}}}(7시) || 패(1시) ||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 기간: 2009-08-03 ~ 2009-08-29 == [[파일:/image/236/2009/08/29/1251548492_1.jpg]] 사상 최초로 [[공군 ACE]]를 제외한 모든 팀들이 다 참가한 대회. 전년도 챔피언인 [[STX SouL]]은 결승전에 부전 진출하고, 나머지 팀들이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정규시즌 순위의 역순([[공군 ACE]] 제외)으로 차례 차례 대결하는 챌린지 리그 방식을 도입했다. 한 마디로 리그 최하위를 기록했던 [[위메이드 폭스]]는 10승을 해야 우승할 수 있었다는 얘기. * 우승: [[SK텔레콤 T1]], 준우승: STX SouL * MVP: [[박재혁(1987)|박재혁]] === 1라운드 === 10위 [[eSTRO]]가 11위 [[위메이드 폭스]]를 꺾고 2라운드 진출에 성공했다. 최대 공신은 eSTRO에서 홀로 2승을 거둔 [[신상호(프로게이머)|신상호]].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1라운드 스코어 ◆ '''{{{#red eSTRO}}}''' '''4''':3 위메이드 폭스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청풍명월(스타크래프트)|신 청풍명월]] ||<|2> T ||<|2> [[이호준(프로게이머)|이호준]] || {{{#ff0000 승}}}(5시) || 패(7시) || T || [[강정우(프로게이머)|강정우]] || || 2세트 || [[메두사(스타크래프트)|네오 메두사]] || 패(11시) || 승(7시) ||<|2> Z ||<|2> [[신노열]] || || 3세트 || [[신의 정원]] ||<|2> T ||<|2> [[박상우(1989)|박상우]] || {{{#ff0000 승}}}(5시) || 패(11시) || || 4세트 || [[황혼의 그림자]] || 패(10시) || 승(1시) ||<|3> T ||<|3> [[박성균]] || || 5세트 || [[안드로메다(스타크래프트)|안드로메다]] || Z || [[신대근]] || 패(5시) || 승(11시) || || 6세트 ||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단장의 능선]] ||<|2> P ||<|2> [[신상호(프로게이머)|신상호]] || {{{#ff0000 승}}}(9시) || 패(3시) || || 7세트 || [[콜로세움(스타크래프트)|콜로세움2]] || {{{#ff0000 승}}}(11시) || 패(1시) || P || [[박세정]] || === 2라운드 === [[eSTRO]]의 [[신재욱]]이 [[올킬#s-1]]을 해내며 eSTRO가 4:1 스코어로 [[MBC GAME HERO]]를 꺾으며 2승에 성공했다. 신재욱의 올킬은 경남-STX컵 마스터즈에서 처음으로 나온 올킬이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2라운드 스코어 ◆ '''{{{#red eSTRO}}}''' '''4''':1 MBC GAME HERO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황혼의 그림자]] ||<|5> P || [[서기수]] || 패 || 승 ||<|2> T ||<|2> [[염보성]] || || 2세트 || [[콜로세움(스타크래프트)|콜로세움2]] ||<|4> 신재욱 || {{{#ff0000 승}}} || 패 || || 3세트 || [[신의 정원]] || {{{#ff0000 승}}} || 패 || Z || [[김동현(스타크래프트)|김동현]] || || 4세트 ||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단장의 능선]] || {{{#ff0000 승}}} || 패 || T ||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 || 5세트 || [[아웃사이더(스타크래프트)|아웃사이더]] || {{{#ff0000 승}}} || 패 || Z || [[고석현]] || === 3라운드 === 최하위 [[eSTRO]]의 돌풍이 이어져 [[웅진 스타즈]]마저 잡아내고 3연승을 기록했다. 3킬을 기록한 [[신상호(프로게이머)|신상호]]가 승리의 주역이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3라운드 스코어 ◆ 웅진 스타즈 2:'''4''' '''{{{#red eSTRO}}}'''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황혼의 그림자]] || T || [[정종현]] || 패 || {{{#ff0000 승}}} ||<|2> T ||<|2> [[박상우(1989)|박상우]] || || 2세트 || [[메두사(스타크래프트)|네오 메두사]] ||<|3> P ||<|3> [[김승현(프로게이머)|김승현]] || 승 || 패 || || 3세트 || [[데스티네이션(스타크래프트)|데스티네이션]] || 승 || 패 || Z || [[신대근]] || || 4세트 ||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단장의 능선]] || 패 || {{{#ff0000 승}}} ||<|3> P ||<|3> 신상호 || || 5세트 || [[안드로메다(스타크래프트)|안드로메다]] || Z || [[김명운]] || 패 || {{{#ff0000 승}}} || || 6세트 || [[신의 정원]] || P || [[윤용태]] || 패 || {{{#ff0000 승}}} || === 4라운드 ===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핑거붐]](...)이 [[eSTRO]]의 돌풍을 저지시키며 다음 5라운드에 진출했다. eSTRO로서는 저력을 보여준 것에 만족해야만 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4라운드 스코어 ◆ '''{{{#red kt 핑거붐}}}''' '''4''':1 eSTRO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단장의 능선]] ||<|5> Z ||<|3> [[고강민]] || {{{#ff0000 승}}}(3시) || 패(9시) ||<|2> P || [[신재욱]] || || 2세트 || [[메두사(스타크래프트)|네오 메두사]] || {{{#ff0000 승}}}(11시) || 패(7시) || [[신상호(프로게이머)|신상호]] || || 3세트 || [[콜로세움(스타크래프트)|콜로세움2]] || 패(7시) || 승(1시) ||<|2> Z ||<|2> [[신대근]] || || 4세트 || [[청풍명월(스타크래프트)|신 청풍명월]] ||<|2> [[김재춘(프로게이머)|김재춘]] || {{{#ff0000 승}}}(5시) || 패(7시) || || 5세트 || [[신의 정원]] || {{{#ff0000 승}}}(1시) || 패(5시) || T || ~~[[신희승]]~~ || === 5라운드 ===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가 [[삼성전자 칸]]을 잡고 2연승에 성공했다. 다만 양 팀 에이스 [[이영호]]와 [[송병구]]가 나오지 않아 팬들의 불만이 있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5라운드 스코어 ◆ 삼성전자 칸 3:'''4''' '''{{{#red kt 핑거붐}}}'''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아웃사이더(스타크래프트)|아웃사이더]] ||<|2> T ||<|2> [[김동건(e스포츠)|김동건]] || 승(5시) || 패(9시) ||<|4> P || [[우정호]] || || 2세트 || [[콜로세움(스타크래프트)|콜로세움2]] || 패(1시) || {{{#ff0000 승}}}(11시) ||<|3> [[박재영(프로게이머)|박재영]] || || 3세트 || [[안드로메다(스타크래프트)|안드로메다]] || Z || [[차명환]] || 패(1시) || {{{#ff0000 승}}}(11시) || || 4세트 || [[청풍명월(스타크래프트)|신 청풍명월]] ||<|2> P ||<|2> [[허영무]] || 승(11시) || 패(5시) || || 5세트 ||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단장의 능선]] || 패(3시) || {{{#ff0000 승}}}(9시) ||<|2> Z ||<|2> [[고강민]] || || 6세트 || [[데스티네이션(스타크래프트)|데스티네이션]] ||<|2> T ||<|2> [[이성은]] || 승(5시) || 패(11시) || || 7세트 || [[메두사(스타크래프트)|네오 메두사]] || 패(6시) || {{{#ff0000 승}}}(3시) || T ||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 === 6라운드 === [[김재춘(프로게이머)|김재춘]]의 거침 없는 [[올킬#s-1]]에 힘입어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가 3연승을 달렸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6라운드 스코어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2:'''4''' '''{{{#red kt 핑거붐}}}'''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데스티네이션(스타크래프트)|데스티네이션]] ||<|3> P ||<|3> [[진영화]] || 승(11시) || 패(5시) || P || [[우정호]] || || 2세트 || [[메두사(스타크래프트)|네오 메두사]] || 승(11시) || 패(7시) ||<|5> Z || [[고강민]] || || 3세트 || [[청풍명월(스타크래프트)|신 청풍명월]] || 패(5시) || {{{#ff0000 승}}}(7시) ||<|4> 김재춘 || || 4세트 ||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단장의 능선]] ||<|3> Z || [[신동원]] || 패(9시) || {{{#ff0000 승}}}(3시) || || 5세트 || [[안드로메다(스타크래프트)|안드로메다]] || [[권수현(프로게이머)|권수현]] || 패(7시) || {{{#ff0000 승}}}(11시) || || 6세트 || [[아웃사이더(스타크래프트)|아웃사이더]] ||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 패(9시) || {{{#ff0000 승}}}(1시) || === 7라운드 === [[하이트 스파키즈]]가 ~~[[문성진]]~~의 2킬에 힘입어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를 제압하고 8라운드에 진출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7라운드 스코어 ◆ '''{{{#red 하이트 스파키즈}}}''' '''4''':3 kt 핑거붐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안드로메다(스타크래프트)|안드로메다]] ||<|2> T ||<|2> [[신상문]] || {{{#ff0000 승}}}(1시) || 패(5시) ||<|3> T || [[이영호]] || || 2세트 || [[청풍명월(스타크래프트)|신 청풍명월]] || 패(11시) || 승(5시) ||<|2>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 || 3세트 || [[데스티네이션(스타크래프트)|데스티네이션]] ||<|2> P ||<|2>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 || {{{#ff0000 승}}}(11시) || 패(5시) || || 4세트 || [[콜로세움(스타크래프트)|콜로세움2]] || 패(5시) || 승(1시) ||<|3> P ||<|3> [[우정호]] || || 5세트 || [[메두사(스타크래프트)|네오 메두사]] ||<|3> Z || [[김상욱(프로게이머)|김상욱]] || 패(11시) || 승(7시) || || 6세트 || [[신의 정원]] ||<|2> ~~[[문성진]]~~ || {{{#ff0000 승}}}(1시) || 패(7시) || || 7세트 || [[아웃사이더(스타크래프트)|아웃사이더]] || {{{#ff0000 승}}}(1시) || 패(9시) || Z || [[김재춘(프로게이머)|김재춘]] || === 8라운드 === [[하이트 스파키즈|하이트]]가 [[화승 오즈]]를 꺾고 무난하게 9라운드에 진출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8라운드 스코어 ◆ 화승 오즈 2:'''4''' '''{{{#red 하이트 스파키즈}}}'''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메두사(스타크래프트)|네오 메두사]] ||<|3> Z || [[김경모(프로게이머)|김경모]] || 패(3시) || {{{#ff0000 승}}}(11시) ||<|4> T ||<|2> [[신상문]] || || 2세트 || [[안드로메다(스타크래프트)|안드로메다]] ||<|2> [[박준오]] || 승(11시) || 패(7시) || || 3세트 || [[청풍명월(스타크래프트)|신 청풍명월]] || 패(5시) || {{{#ff0000 승}}}(1시) ||<|2> ~~[[원종서]]~~ || || 4세트 || [[아웃사이더(스타크래프트)|아웃사이더]] ||<|3> P ||<|2> [[김태균(프로게이머)|김태균]] || 승(1시) || 패(9시) || || 5세트 || [[데스티네이션(스타크래프트)|데스티네이션]] || 패(11시) || {{{#ff0000 승}}}(5시) ||<|2> P ||<|2>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 || || 6세트 ||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단장의 능선]] || [[임원기]] || 패(3시) || {{{#ff0000 승}}}(9시) || === 9라운드 ===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이 [[하이트 스파키즈|하이트]]를 4:1로 꺾고 결승전 진출을 확정지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09 9라운드 스코어 ◆ '''{{{#red SK텔레콤 T1}}}''' '''4''':1 하이트 스파키즈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아웃사이더(스타크래프트)|아웃사이더]] ||<|3> Z ||<|3> [[이승석]] || {{{#ff0000 승}}}(5시) || 패(1시) || Z || [[김상욱(프로게이머)|김상욱]] || || 2세트 || [[청풍명월(스타크래프트)|신 청풍명월]] || {{{#ff0000 승}}}(1시) || 패(11시) || T || ~~[[원종서]]~~ || || 3세트 || [[데스티네이션(스타크래프트)|데스티네이션]] || 패(5시) || 승(11시) ||<|3> Z ||<|2> ~~[[박명수(1987)|박명수]]~~ || || 4세트 || [[단장의 능선(스타크래프트)|단장의 능선]] ||<|2> T ||<|2> [[최호선]] || {{{#ff0000 승}}}(3시) || 패(9시) || || 5세트 || [[신의 정원]] || {{{#ff0000 승}}}(7시) || 패(1시) || ~~[[문성진]]~~ || === 결승전 ===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이 [[STX SouL]]의 대회 3연패를 가볍게 4:0으로 저지하면서 처음으로 우승컵을 들었다. [[박재혁(1987)|박재혁]]이 대회 최초 선봉 [[올킬#s-1]]과 결승전 올킬을 하면서 STX SouL에게 [[전패준]]이라는 대굴욕을 선사했다. 결승전은 [[창원실내체육관]]에서 진행됐으며, STX컵 마스터즈 결승 다음날 [[아발론 MSL 2009|아발론 MSL]] 결승전이 치러졌다. 다행히 STX 소속 [[김윤환(1989)|김윤환]]이 우승하면서 전날 팀의 전패준 아픔을 씻었다.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아웃사이더(스타크래프트)|아웃사이더]] ||<|2> T || --[[진영수]]-- || 패(9시) || {{{#ff0000 승}}}(1시) ||<|4> Z ||<|4> 박재혁 || || 2세트 || [[메두사(스타크래프트)|네오 메두사]] || [[이신형]] || 패(3시) || {{{#ff0000 승}}}(7시) || || 3세트 || [[청풍명월(스타크래프트)|신 청풍명월]] || Z || [[조일장]] || 패(7시) || {{{#ff0000 승}}}(1시) || || 4세트 || [[신의 정원]] || P || [[김구현]] || 패(7시) || {{{#ff0000 승}}}(5시) ||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 기간: 2010-07-26 ~ 2010-08-21 == [[파일:/image/236/2010/08/21/1282389324_1.jpg]] 전년도 대회와 마찬가지로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에서의 팀 순위를 기반으로 한 챌린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승전 초대 가수는 [[포커즈]](F.Cuz)와 [[시크릿(아이돌)|시크릿]]. || [youtube(tTUrGUWEVRw)] || || 오프닝 영상 || * 우승: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 준우승: [[STX SouL]] * MVP: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 1라운드 ===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1라운드 스코어 ◆ '''{{{#red [[eSTRO]]}}}''' '''4''':2 [[하이트 스파키즈]]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매치포인트#s-2]] ||<|5> T ||<|2> [[박상우(1989)|박상우]] || {{{#ff0000 승}}}(1시) || 패(7시) || T || [[이호준(프로게이머)|이호준]] || || 2세트 ||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 패(1시) || 승(7시) ||<|2> Z ||<|2> [[김상욱(프로게이머)|김상욱]] || || 3세트 || [[포트리스(스타크래프트)|포트리스]] ||<|3>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 || {{{#ff0000 승}}}(12시) || 패(3시) || || 4세트 || [[그랜드 라인(스타크래프트)|그랜드라인SE]] || {{{#ff0000 승}}}(5시) || 패(7시) || P ||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 || ||5세트 ||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 패(7시) || 승(1시) ||<|2> T ||<|2> [[신상문]] || || 6세트 || [[폴라리스 랩소디(스타크래프트)|폴라리스 랩소디]] || Z || [[김성대]] || {{{#ff0000 승}}}(5시) || 패(11시) || === 2라운드 === 총사령관 [[송병구]]가 생애 첫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을 기록하며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2라운드 스코어 ◆ '''[[삼성전자 칸|{{{#red 삼성전자 칸}}}]]''' '''4''':0 [[eSTRO]]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폴라리스 랩소디(스타크래프트)|폴라리스랩소디]] ||<|4> P ||<|4> 송병구 || {{{#ff0000 승}}}(11시) || 패(5시) || P || [[유병준(프로게이머)|유병준]] || || 2세트 ||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 {{{#ff0000 승}}}(5시) || 패(1시) || Z || [[김성대]] || || 3세트 || [[그랜드 라인(스타크래프트)|그랜드라인SE]] || {{{#ff0000 승}}}(1시) || 패(7시) ||<|2> T || [[박상우(1989)|박상우]] || || 4세트 || [[매치포인트#s-2]] || {{{#ff0000 승}}}(1시) || 패(7시) ||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 || === 3라운드 === [[손찬웅]]이 3킬을 하며 [[화승 오즈]]가 승리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3라운드 스코어 ◆ '''{{{#red 화승 오즈}}}''' '''4''':1 [[삼성전자 칸]]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2> T ||<|2> [[손주흥]] || {{{#ff0000 승}}}(1시) || 패(5시) || Z || [[유준희#s-1]] || || 2세트 ||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 패(5시) || 승(1시) ||<|2> P ||<|2> [[송병구]] || || 3세트 || [[폴라리스 랩소디(스타크래프트)|폴라리스랩소디]] ||<|3> P ||<|3> 손찬웅 || {{{#ff0000 승}}}(11시) || 패(5시) || || 4세트 || [[포트리스(스타크래프트)|포트리스]] || {{{#ff0000 승}}}(9시) || 패(5시) || Z || [[차명환]] || || 5세트 || [[매치포인트#s-2]] || {{{#ff0000 승}}}(7시) || 패(1시) || P || [[허영무]] || === 4라운드 === [[김명운]]이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에 성공하며 [[웅진 스타즈]]가 승리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4라운드 스코어 ◆ '''{{{#red 웅진 스타즈}}}''' '''4''':2 [[화승 오즈]]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매치포인트#s-2]] || P || [[윤용태]] || 패(7시) || 승(1시) ||<|4> Z ||<|3> [[이제동]] || || 2세트 ||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5> Z || [[한상봉]] || 패(1시) || 승(5시) || || 3세트 || [[포트리스(스타크래프트)|포트리스]] ||<|4> 김명운 || {{{#ff0000 승}}}(12시) || 패(3시) || || 4세트 || [[폴라리스 랩소디(스타크래프트)|폴라리스랩소디]] || {{{#ff0000 승}}}(11시) || 패(5시) || [[방태수]] || || 5세트 || [[그랜드 라인(스타크래프트)|그랜드라인SE]] || {{{#ff0000 승}}}(7시) || 패(1시) ||<|2> T || [[백승혁]] || || 6세트 ||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 {{{#ff0000 승}}}(7시) || 패(1시) || [[구성훈]] || === 5라운드 ===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5라운드 스코어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3:'''4''' '''{{{#red 웅진 스타즈}}}'''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매치포인트#s-2]] || P || [[진영화]] || 패(7시) || {{{#ff0000 승}}}(1시) ||<|3> T ||<|3> [[노준규]] || || 2세트 ||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5> Z || [[신동원]] || 패(1시) || {{{#ff0000 승}}}(11시) || || 3세트 || [[그랜드 라인(스타크래프트)|그랜드라인SE]] ||<|4>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 || 승(5시) || 패(1시) || || 4세트 ||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 승(11시) || 패(5시) ||<|4> Z || [[임정현(프로게이머)|임정현]] || || 5세트 || [[폴라리스 랩소디(스타크래프트)|폴라리스랩소디]] || 승(5시) || 패(11시) ||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 || 6세트 || [[포트리스(스타크래프트)|포트리스]] || 패(9시) || {{{#ff0000 승}}}(12시) ||<|2> [[김명운]] || || 7세트 || 매치포인트 || P || [[장윤철]] || 패(1시) || {{{#ff0000 승}}}(7시) || === 6라운드 ===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이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을 해냈다. 김민철의 올킬은 경남-STX컵 마스터즈에서 두 번째로 나온 선봉 올킬이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6라운드 스코어 ◆ [[위메이드 폭스]] 0:'''4''' '''{{{#red 웅진 스타즈}}}'''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2> Z || [[이예훈]] || 패(7시) || {{{#ff0000 승}}}(5시) ||<|4> Z ||<|4>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 || 2세트 || [[포트리스(스타크래프트)|포트리스]] || [[신노열]] || 패(6시) || {{{#ff0000 승}}}(9시) || || 3세트 || [[그랜드 라인(스타크래프트)|그랜드라인SE]] || T || [[박성균]] || 패 || {{{#ff0000 승}}} || || 4세트 ||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 P || [[이영호(프로토스)|이영호]]P || 패(5시) || {{{#ff0000 승}}}(1시) || === 7라운드 ===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7라운드 스코어 ◆ [[MBC GAME HERO]] 2:'''4''' '''{{{#red 웅진 스타즈}}}'''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폴라리스 랩소디(스타크래프트)|폴라리스랩소디]] ||<|2> T ||<|2> [[염보성]] || 승(11시) || 패(5시) || T || [[노준규]] || || 2세트 || [[그랜드 라인(스타크래프트)|그랜드라인SE]] || 패(5시) || {{{#ff0000 승}}}(7시) ||<|5> Z ||<|3>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 || 3세트 || [[포트리스(스타크래프트)|포트리스]] || P || [[박수범(프로게이머)|박수범]] || 패(9시) || {{{#ff0000 승}}}(3시) || || 4세트 || [[매치포인트#s-2]] ||<|2> Z ||<|2> [[고석현]] || 승(1시) || 패(7시) || || 5세트 ||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 패(7시) || {{{#ff0000 승}}}(11시) ||<|2> [[김명운]] || || 6세트 ||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 T ||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 패(1시) || {{{#ff0000 승}}}(11시) || === 8라운드 ===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가 3킬을 기록하며 [[STX SouL]]이 승리했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8라운드 스코어 ◆ '''{{{#red STX SouL}}}''' '''4''':2 [[웅진 스타즈]]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매치포인트#s-2]] || T || [[김동건(e스포츠)|김동건]] || 패(1시) || 승(7시) ||<|2> T ||<|2> [[정종현]] || || 2세트 ||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5> Z ||<|2> [[김윤환(1989)|김윤환]]Z || {{{#ff0000 승}}}(7시) || 패(5시) || || 3세트 || [[포트리스(스타크래프트)|포트리스]] || 패(12시) || 승(9시) ||<|2> Z ||<|2>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 || 4세트 ||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3> 김현우 || {{{#ff0000 승}}}(11시) || 패(5시) || || 5세트 || [[그랜드 라인(스타크래프트)|그랜드라인SE]] || {{{#ff0000 승}}}(1시) || 패(7시) || P || [[윤용태]] || || 6세트 || [[폴라리스 랩소디(스타크래프트)|폴라리스랩소디]] || {{{#ff0000 승}}}(5시) || 패(11시) || Z || [[김명운]] || === 9라운드 ===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9라운드 스코어 ◆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 2:'''4''' '''{{{#red STX SouL}}}'''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폴라리스 랩소디(스타크래프트)|폴라리스랩소디]] ||<|3> P || [[김대엽]] || 패(11시) || {{{#ff0000 승}}}(5시) ||<|2> P ||<|2> [[김구현]] || || 2세트 || [[그랜드 라인(스타크래프트)|그랜드라인SE]] ||<|2> [[박재영(프로게이머)|박재영]] || 승(5시) || 패(11시) || || 3세트 || [[매치포인트#s-2]] || 패(7시) || {{{#ff0000 승}}}(1시) ||<|4> Z ||<|2> [[조일장]] || || 4세트 || [[포트리스(스타크래프트)|포트리스]] ||<|3> T ||<|2>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 || 승(12시) || 패(5시) || || 5세트 ||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 패(11시) || {{{#ff0000 승}}}(1시) ||<|2> [[김윤환(1989)|김윤환]]Z || || 6세트 || [[투혼(스타크래프트)|투혼]] || [[이영호]] || 패(11시) || {{{#ff0000 승}}}(7시) || === 결승전 ===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이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에 성공하며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이 2년 연속 우승에 성공했다. 정명훈의 올킬은 경남-STX컵 마스터즈 결승전에서 두 번째로 나온 올킬이다. [[STX SouL]]은 2년 연속 준우승에 머물렀다. ▶ 경남-STX컵 마스터즈 2010 결승전 스코어 ◆ '''{{{#red SKT T1}}}''' '''4''':1 STX SouL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폴라리스 랩소디(스타크래프트)|폴라리스랩소디]] || P || [[정윤종]] || 패(11시) || 승(5시) ||<|2> P ||<|2>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 || || 2세트 || [[포트리스(스타크래프트)|포트리스]] ||<|4> T ||<|4>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 {{{#ff0000 승}}}(6시) || 패(12시) || || 3세트 || [[심판의 날(스타크래프트)|심판의 날]] || {{{#ff0000 승}}}(11시) || 패(1시) ||<|2> Z || [[김윤환(1989)|김윤환]]Z || || 4세트 || [[매치포인트]] || {{{#ff0000 승}}}(7시) || 패(1시) || [[조일장]] || || 5세트 || [[그랜드 라인(스타크래프트)|그랜드라인SE]] || {{{#ff0000 승}}}(1시) || 패(11시) || P || [[김구현]] || == STX컵 마스터즈 2011 - 기간: 2011-08-01 ~ 2011-08-27 == [[파일:1314440941_1_0_20110827194206.jpg]] 1년 사이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으로 인해 [[하이트 스파키즈]]는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에 합병[* 정확히는 [[온게임넷]] 모기업 [[온미디어]]가 [[CJ그룹]]으로 인수되면서 합병된 것.]되고, [[eSTRO]]는 해체되어 두 팀이나 사라진 탓에 9팀[* 왜 10팀이 아니라 9팀이냐면, 공군은 원래 이 대회에 불참하기 때문이다.]이 되어 재작년 대회와 작년 대회에서 2연속 사용하던 챌린지 리그 형식을 버리고 전년도 챔피언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은 시드로 자동으로 결승전에 진출한 상태에서 나머지 팀은 토너먼트를 하는 형태로 바뀌었다. 그리고 2011년 8월 6일에 치러질 예정이었던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상하이]] 결승이 취소되고 8월 19일에 국내에서 하는 걸로 연기됨에 따라 컨디션 문제와 전력 노출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가 기권을 선언하여 kt 롤스터는 온 스덕들에게 경남-STX컵 마스터즈 파탄내려고 결단했느냐는 욕을 먹었다. [[이지훈(e스포츠)|이지훈]] 감독의 [[트위터]]에 따르면 구단과 선수들을 위한 것이며, [[2군]] 선수들을 내보내는 것은 상대팀 [[위메이드 폭스]]에 대한 예의가 아니라 생각해서 결정한 것이라고 하였다. 주관 방송사인 MBC GAME이 [[MBC M|2012년 2월을 끝으로 폐국되면서]] 이 대회가 마지막 대회가 되었다.[* 이후 STX도 몰락하였고, 그 여파로 STX SouL도 해체된다.] || [youtube(xMGoLbZjG5g)] || || 예고 영상 || * 우승: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 준우승: [[화승 오즈]] * MVP: [[정윤종]] === 8강전 === ==== 8강 1회차 ==== [[신대근]]의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에 힘입어 [[STX SouL]]이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6강 플레이오프 탈락의 한을 풀었다. 참고로 마지막 세트에 당연히 [[송병구]]가 나오겠지라고 기대했던 스덕들은 해맑게 웃으며 어설픈 걸음걸이로 나와 인사하는 [[한지원(프로게이머)|한지원]]을 보자마자 멘붕에 빠졌고 악플을 쏟아냈다. ▶ STX컵 마스터즈 2011 ◆ [[삼성전자 칸]] 1:'''4''' '''{{{#red STX SouL}}}'''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태양의 제국(스타크래프트)|신 태양의 제국]] ||<|2> P ||<|2> [[유병준(프로게이머)|유병준]] || 승(5시) || 패(1시) || T || [[이신형]] || || 2세트 ||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 브레이커]] || 패 || {{{#ff0000 승}}} ||<|4> Z ||<|4> [[신대근]] || || 3세트 || [[벨트웨이|네오 벨트웨이]] || T || [[김준엽(프로게이머)|김준엽]] || 패 || {{{#ff0000 승}}} || || 4세트 ||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피의 능선]] || P || [[허영무]] || 패(1시) || {{{#ff0000 승}}}(7시) || || 5세트 || [[아즈텍(스타크래프트)|네오 아즈텍]] || Z || 한지원 || 패(4시) || {{{#ff0000 승}}}(12시) || ==== 8강 2회차 ==== 깜짝카드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이 2킬을, [[박준오]]가 2킬을 하며 [[이제동]]이 나오지 않고 화승이 승리하며 4강에 진출했다. ▶ STX컵 마스터즈 2011 ◆ [[웅진 스타즈]] 2:'''4''' '''{{{#red 화승 오즈}}}'''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라만차]] ||<|2> Z ||<|2>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 승(1시) || 패(5시) || T || [[구성훈]] || || 2세트 || [[태양의 제국(스타크래프트)|신 태양의 제국]] || 패(1시) || {{{#ff0000 승}}}(5시) ||<|3> P ||<|3>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 || 3세트 || [[아즈텍(스타크래프트)|네오 아즈텍]] || P || [[신재욱]] || 패(4시) || {{{#ff0000 승}}}(12시) || || 4세트 ||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피의 능선]] ||<|2> Z ||<|2> [[김명운]] || 승(1시) || 패(7시) || || 5세트 || [[벨트웨이|네오 벨트웨이]] || 패(11시) || {{{#ff0000 승}}}(7시) ||<|2> Z ||<|2> [[박준오]] || || 6세트 ||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 브레이커]] || T ||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 패(11시) || {{{#ff0000 승}}}(7시) || ==== 8강 3회차 ==== 한두열의 활약으로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가 4강에 진출했다. ▶ STX컵 마스터즈 2011 3회차 ◆ '''{{{#red CJ 엔투스}}}''' '''4''':1 [[MBC GAME HERO]]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얼터너티브(스타크래프트)|얼터너티브]] ||<|3> Z ||<|3> [[한두열]] || {{{#ff0000 승}}}(6시) || 패(12시) || P || [[박수범(프로게이머)|박수범]] || || 2세트 || [[태양의 제국(스타크래프트)|신 태양의 제국]] || {{{#ff0000 승}}}(1시) || 패(11시) || Z || [[고석현]] || || 3세트 ||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피의 능선]] || 패(7시) || 승(1시) ||<|2> P ||<|2> [[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 || || 4세트 || [[아즈텍(스타크래프트)|네오 아즈텍]] ||<|2> P ||<|2>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 || {{{#ff0000 승}}}(12시) || 패(8시) || || 5세트 || [[라만차]] || {{{#ff0000 승}}}(7시) || 패(1시) || T || [[염보성]] || ==== ~~8강 4회차~~ ==== 프로리그 결승이 취소되고 연기된 상태에서 전력 노출과 한반도 지역에 영향을 끼지고 있는 태풍 무이파 때문에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 선수들의 귀국이 하루 늦춰진 8일 밤으로 미뤄졌고, 이에 선수들의 체력적 문제가 따른다는 이유로 KT가 기권했고 [[위메이드 폭스]]가 4강에 진출했다. === 4강 === ==== 4강 1회차 ==== [[이신형]]이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 직전까지 갔으나, [[이영호]]를 [[장윤철|이긴 사나이]]가 캐리어로 막았다. 하지만 [[변현제|사랑의 배터리토스]]가 승리하면서 [[STX SouL|STX]]가 준결승에 진출했다. ▶ STX컵 마스터즈 2011 4강 1회차 ◆ '''{{{#red STX SouL}}}''' '''4''':1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브레이커]] ||<|4> T ||<|4> 이신형 || {{{#ff0000 승}}}(5시) || 패(1시) ||<|2> T || [[조병세(프로게이머)|조병세]] || || 2세트 || [[벨트웨이|네오 벨트웨이]] || {{{#ff0000 승}}}(7시) || 패(5시) || ~~[[정우용]]~~ || || 3세트 || [[이카로스(스타크래프트)|이카루스]] || {{{#ff0000 승}}}(9시) || 패(6시) || Z || 한두열 || || 4세트 || [[아즈텍(스타크래프트)|네오 아즈텍]] || 패(12시) || 승(4시) ||<|2> P ||<|2> [[장윤철]] || ||5세트 || [[얼터너티브(스타크래프트)|얼터너티브]] || P || [[변현제]] || {{{#ff0000 승}}}(12시) || 패(6시) || ==== 4강 2회차 ==== [[구성훈]]이 깔끔한 경기력으로 3킬, 이후 [[박준오]]가 마무리해 [[화승 오즈|화승]]도 준결승에 진출했다. ▶ STX컵 마스터즈 2011 4강 2회차 ◆ '''{{{#red 화승 오즈}}}''' '''4''':1 [[위메이드 폭스|FOX]]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벨트웨이|네오 벨트웨이]] ||<|4> T ||<|4> [[구성훈]] || {{{#ff0000 승}}}(11시) || 패(5시) || T || [[박성균]] || || 2세트 ||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피의 능선]] || {{{#ff0000 승}}}(1시) || 패(7시) ||<|2> Z || [[이영한]] || || 3세트 ||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 브레이커]] || {{{#ff0000 승}}}(11시) || 패(1시) || [[신노열]] || || 4세트 || [[태양의 제국(스타크래프트)|신 태양의 제국]] || 패(11시) || 승(5시) ||<|2> T ||<|2> [[전태양]] || || 5세트 || [[얼터너티브(스타크래프트)|얼터너티브]] || Z || [[박준오]] || {{{#ff0000 승}}}(12시) || 패(6시) || === 준결승전 === 2011 STX컵 마스터즈에서 첫 풀세트 접전이 펼쳐졌다. 결국 [[화승 오즈|화승]]이 세트스코어 4:3으로 승리하고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과의 결승전을 치르게 되었다. ▶ STX컵 마스터즈 2011 준결승 ◆ [[STX SouL]] 3:'''4''' '''{{{#red 화승 오즈}}}'''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태양의 제국(스타크래프트)|신 태양의 제국]] ||<|2> T ||<|2> [[이신형]] || 승(5시) || 패(11시) || P || [[백동준]] || || 2세트 ||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브레이커]] || 패(1시) || {{{#ff0000 승}}}(11시) ||<|4> Z ||<|2> [[이제동]] || || 3세트 || [[라만차]] ||<|2> Z ||<|2> [[김현우(프로게이머)|김현우]] || 승(5시) || 패(1시) || || 4세트 || [[아즈텍(스타크래프트)|네오 아즈텍]] || 패(8시) || {{{#ff0000 승}}}(12시) ||<|2> [[박준오]] || || 5세트 || [[피의 능선(스타크래프트)|신 피의 능선]] ||<|3> T ||<|2> [[김도우(프로게이머)|김도우]] || 승(1시) || 패(7시) || || 6세트 || [[얼터너티브(스타크래프트)|얼터너티브]] || 패(12시) || {{{#ff0000 승}}}(6시) ||<|2> T ||<|2> [[구성훈]] || || 7세트 || [[벨트웨이|네오 벨트웨이]] ||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 패(5시) || {{{#ff0000 승}}}(1시) || === 결승전 ===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신인왕 [[정윤종]]이 선봉으로 나서서 [[화승 오즈|화승]]을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해버리는 대파란이 일어났다. 정윤종의 올킬은 경남-STX컵 마스터즈 사상 3번째의 선봉 올킬이었다. [[SK텔레콤 T1]]은 정윤종의 활약으로 3년 연속 우승해 STX컵 마스터즈 우승 트로피를 영구히 소유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이 경기가 [[MBC GAME]]에서 중계된 마지막 생방송 경기였다.[* 공식전 마지막 생방송 중계는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결승전이 맞지만, 비공식전을 포함하여 중계된 진짜 마지막 경기는 이 결승전이다.] ▶ STX컵 마스터즈 2011 결승전 경기 결과 ◆ '''{{{#red SK텔레콤 T1}}}''' '''4''':0 [[화승 오즈]] || 세트 || 맵 || 종족 || 선수 ||<-2> 결과 || 종족 || 선수 || || 1세트 || [[라만차]] ||<|4> P ||<|4> 정윤종 || {{{#ff0000 승}}}(11시) || 패(1시) || P || [[김유진(프로게이머)|김유진]] || || 2세트 ||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써킷브레이커]] || {{{#ff0000 승}}}(1시) || 패(11시) ||<|2> Z || [[이제동]] || || 3세트 || [[아즈텍(스타크래프트)|네오 아즈텍]] || {{{#ff0000 승}}}(12시) || 패(4시) || [[박준오]] || || 4세트 || [[얼터너티브(스타크래프트)|얼터너티브]] || {{{#ff0000 승}}}(12시) || 패(6시) || T || [[구성훈]] || == 역대 [[올킬(스타크래프트)|올킬]] 일지 == || 순서 || 소속팀 || 선수 || 상대팀 || 대회 || || 1 || [[eSTRO]] || [[신재욱]] || [[MBC GAME HERO]] ||2009년 2라운드 || || 2 ||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 || [[김재춘(프로게이머)|김재춘]] ||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2009년 6라운드 || || 3 ||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텔레콤 T1]] || [[박재혁(1987)|박재혁]] || [[STX SouL]] ||2009년 결승전 || || 4 || [[삼성전자 칸]] || [[송병구]] || eSTRO ||2010년 2라운드 || || 5 ||<|2> [[웅진 스타즈]] || [[김명운]] || [[화승 오즈]] ||2010년 4라운드 || || 6 ||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 || [[위메이드 폭스]] ||2010년 6라운드 || || 7 || SK텔레콤 T1 ||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 || STX SouL ||2010년 결승전 || || 8 || STX SouL || [[신대근]] || 삼성전자 칸 ||2011년 8강 || || 9 || SK텔레콤 T1 || [[정윤종]] || 화승 오즈 ||2011년 결승전 || == 기타 == 이 리그에서 [[이영호]]는 2전 0승 2패, [[윤용태]]는 3전 0승 3패,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는 4전 0승 4패를 기록했다. 이영호는 말할 것도 없이 개인리그는 물론 팀리그도 극강인 '''역대 최고의 [[스타크래프트]] 게이머'''임에도 1승 한 번 못했으며, 윤용태와 이재호는 각각 3판, 4판 중에서 '''본인의 특기인 저그전'''만 2~3판 붙었는데도 1번도 이겨보질 못했다. [[분류:스타크래프트/대회/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