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권 - 만)] ||<-2> {{{#black {{{+2 '''경기만'''}}}[br]'''京畿灣 | Gyeonggi Ba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기만.pn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과 [[경기도]] 서쪽 [[한강]]의 강구를 중심으로 [[황해도]]의 [[옹진반도]] 남단 [[등산곶]]과 [[충청남도]]의 [[태안군|태안반도]] 사이에 있는 반원형의 만이다. 북한에서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91131&categoryId=44462&cid=44454|강화만]]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 상세 == 해안선 길이는 약 528km. 너비는 약 100km이며 만입은 약 60km이다. 크기에 비해 굴곡이 심하여 [[만(지리)|만]]이나 [[곶]]이 많다. 또한 [[강화도]], [[영종도]], [[덕적도]], [[교동도]], [[석모도]]등 크고 작은 219개의 섬이 있다.[* 그중 유인도는 65개] [[한강]]을 비롯해 [[임진강]], [[예성강]], [[안성천]]의 하구가 이 만으로 흘러들기도 한다. 수심이 매우 얕아 해안선에서 수십km를 나가도 40m를 넘지 않으며, 조차가 크고 갯벌이 발달해있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개경]]과 [[한양]]이 만의 배후에 입지한 관계로 해상교통과 무역이 발달하였다. 대표적인 예가 [[벽란도]]. 현재는 [[인천광역시]], [[시흥시]], [[안산시]] 등 한국 최대의 종합 공업 지대가 입지하고 있으며, 간만의 차가 심한 것을 이용하여 조력발전의 가능성도 제기되는 중. 만의 북쪽에는 그 유명한 [[NLL]]이 설정되어 있다. 성공한다면 수도권이 [[간토평야]] 정도의 크기가 될 수 있지만, 간척지는 지반이 약해서 보통 쌀 농사로 쓰인다. 괜히 [[새만금]]을 전북에 만든게 아니다. 전라도 지역이 과거부터 [[곡창지대]]로 유명했다. == 기타 == [[2015년]]에 [[세종대]] 연구소에서 경기만 대부분을 간척해 외국자본을 유치하자는 광개토 프로젝트를 제안하기도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7713143|출처]] == 관련 문서 == * [[경기도]] * [[황해]] * [[다도해]] == 둘러보기 == [include(틀:북한의 해안)] [[분류: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