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겨울왕국)]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겨울왕국/국내 상영)] [목차] == 개요 == [include(틀:전 세계 애니메이션 영화 흥행 순위)] 북미 수익 '''4억 73만 8009달러''', 해외 수익은 '''8억 7348만 1000달러'''로 이를 합친 '''총 수익은 12억 7421만 9009달러'''[*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12억 9000만'''달러 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ighest-grossing_animated_films|링크]] 근거도 명확해 box office mojo 가 틀렸을 가능성이 있다. ]이다. 전체 애니메이션 중에서 '''북미에선 역대 4번째로 높은 흥행 성적'''[* 2위인 라이온 킹의 3D 재개봉 수입을 제외하면 3위]을 기록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가장 흥행한 애니메이션'''이 되었다.[* 전체 애니메이션 중에서 역대 북미 흥행 1위는 '슈렉 2' 로 4억 4122만 달러를 벌었다. 겨울왕국 이전에 전 세계에서 가장 흥행한 애니메이션 1위는 '토이스토리 3' 로 총 10억 6031만 달러를 벌었다.][* 그런데 정작 주요국 중 겨울왕국이 역대 애니 1위인 국가는 한국 빼고 거의 없다. 본토인 미국에선 [[슈렉]] 2의 벽을 못 넘었고, 한국보다 더 흥한 일본에도 역대 일본 애니 1위이자, 당시 역대 박스오피스 1위였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못 넘었고, 프랑스에서는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를, 독일에서는 [[정글북(애니메이션)|정글북]]을 이기지 못 했고, 중국에서는 [[쿵푸팬더 2]]를, 영국에선 [[토이 스토리 3]]를 넘지 못했다] 그리고 개봉 당시엔 '''전 세계 역대 박스오피스 5위'''까지 올랐으나 이후 2015년에 개봉한 《[[분노의 질주: 더 세븐]]》, 《[[쥬라기 월드]]》,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등에 역전을 허용해서 2016년 기준 전체 영화 중에서는 9번째로 높은 흥행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3월 14일에 개봉한 일본을 제외한 [* 일본은 전통적으로 [[디즈니]], [[픽사]] 작품의 흥행이 잘 되는 편이였으며~~물론 마블은 그런 거 없다~~, [[토이스토리]] 3는 1억 2660만 달러라는 가공할 수익을 벌어다주기도 했다. 그리고 일본은 일반적으로 [[할리우드]] 작품을 ~~자기들 애니가 더 중요해서~~다른 국가들보다 늦게 개봉하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해외 국가에선 이미 종영 단계를 밟았으며 일본에선 개봉 첫 주에 973만 달러를 벌어들이는 등 흥행의 청신호를 킨 상태.(일본 이전에 북미 제외 흥행국 1위였던 한국의 개봉 첫 주 수익인 890만 달러보다 높은 수익이다)[* 일본에서는 개봉 6주 시점에 천만 관객을 돌파했으며 역대 박스오피스 3위에 등극했다. 이로 인해 일본은 이전 해외 흥행국 1위인 한국을 앞지르고 북미 제외 흥행국 1위로 올라섰다.] 이러한 일본의 폭발적인 흥행에 힘입어 '''역대 애니메이션 흥행 1위'''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이 기록은 후속편이 계승하면서 역대 애니메이션 흥행 2위로 기분좋게 내려오게 된다. 이로써 '''역대 애니메이션 흥행 순위 1,2위에 나란히 겨울왕국 시리즈가 랭크되는 기염을 토하게 되었다.''' 이 작품의 폭발적인 흥행으로 이 시리즈로 시작된 겨울왕국 프랜차이즈는 라푼젤부터 슬슬 시동건 '''디즈니 리바이벌의 대표격'''으로 꼽히고 있으며(디즈니 르네상스에서 대략 라이온킹 위치) 2편마저 1편보다 더 흥행해서 향후 몇년 간 디즈니 르네상스가 그래왔던 것처럼 애니메이션 부문의 밥줄 대표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엘사 드레스를 여러 번 갈아입힌다 학부모들 애도..-- 결국 1편의 신드롬에 힘입어 2편까지 제작되었고 폭발적인 흥행에 성공한 것이나 다름 없으니... == 목록 == === [[/개봉 1~17주차|개봉 1~17주차]] === [[/개봉 1~17주차]] === [[/개봉 18~26주차|개봉 18~26주차]] === [[/개봉 18~26주차]] === [[/개봉 27주차 이후|개봉 27주차 이후]] === [[/개봉 27주차 이후]] == 기타 == 미국의 박스오피스 통계 전문 사이트 [[http://www.boxofficemojo.com|박스오피스 모조]]에서 발표한 흥행 예상 성적표에 따르면 겨울왕국의 자국(미국)의 예상 성적은 1억 8천만 달러였으나 최종적으로 약 4억 달러의 흥행 성적을 내서 '''+119%'''라는 엄청난 초과치를 달성했다. 때문에 박스오피스 모조는 자신들의 겨울왕국 흥행 예상 성적표에 '''F''' 점수(낙제점)를 매겼다. 또한 "(개봉 전에) 겨울왕국이 3억 달러를 넘길 것이라고 한 사람이 있었다면 우리는 그들을 '''미친 놈'''이라고 했을 것이다."라는 코멘트를 통해 당황스러움을 [[http://www.boxofficemojo.com/news/?id=3797&p=.htm|표했다]]. 2014년 7월 16일 일본에서 블루레이가 발매, 일본내 블루레이 최초로 발매 첫주 100만장(104.6만장. 오리콘 발표) 판매라는 위업을 달성하였다. 발매 첫날 판매량만 66만장에 달한다.이는 지난 2010년에 발매된 '[[에반게리온 신극장판]] 파' 블루레이 첫날 46만 5천장을 판매 기록을 깨버린 것. 그리고 7월 2주째까지 무려 181만장이 팔리면서 일본 애니 역대 판매 1위 기록까지 넘을 전망이며 8월 3일까지 250만장이 팔렸다. 8월 18일 부로 300만 장 이상 판매량을 넘었다. 그리고.... 최종판매 460만장을 넘기며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 거둔 430만장 판매기록까지 넘어서며 일본 역대 애니메이션 판매량을 넘어섰다. 애니메이션 왕국인 일본의 블루레이 및 DVD 종합 판매성적 1위 자리를 미국 애니가 차지한 것. 참고로 '''2014년 발매된 모든 일본 애니메이션의 DVD/Blu-ray 판매고를 다 합쳐도 겨울왕국의 반도 안된다.''' 일본 내 인기에 힘입어, 디즈니 캐릭터로서는 이례적으로 미키 마우스에 이어 넨도로이드 버전의 엘사가 제작되었다. [[겨울왕국/관련 상품|관련 항목]] 참조. 1년에 걸쳐 이어진 열풍에 힘입어 겨울왕국의 블루레이판이 [[아바타(영화)|아바타]]를 넘고 '''역대 최고의 블루레이 판매 타이틀'''이 되었다. 총 7,314,949장 판매. [[http://www.the-numbers.com/alltime-bluray-sales-chart|#]] == 관련 문서 == * [[겨울왕국 2/흥행]] [[분류:겨울왕국]][[분류:흥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