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ffffff {{{+1 겐로쿠 대지진}}}}}}|| ||<:>{{{#ffffff 발생일시}}}||<-2><(>[[1703년]] [[12월 31일]]|| ||<:>{{{#ffffff 진앙}}}||<-2><(>[[일본]] [[간토]] 남부 지역 부근|| ||<:>{{{#ffffff 규모}}}||<-2><(>'''M,,L,, {{{#brown 8.2}}}''' / '''M,,w,, {{{#brown 8.5}}}''' || ||<:>{{{#ffffff 최대진도}}}||<-2><#B50068>{{{#fff '''7'''[* 일본에서 진도 7이 신설된 것은 1949년으로 1703년 겐로쿠 대지진 당시엔 진도 7이 없었지만 편의상으로 표기한다.][br][[가나가와현|{{{#fff 가나가와현}}}]], [[치바현|{{{#fff 치바현}}}]]}}}|| ||<:>{{{#ffffff 쓰나미}}}||<-2><(>'''7m 이상'''|| ||<:><|4>{{{#ffffff 사상자}}}||<(>사망자 6,700명 이상 || ||<(>이재민 수만 명 이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1703년 12월 31일(음력 11월 23일) 오후 2시경에 [[일본]]에서 일어난 [[지진]]. 진앙지는 보소 반도 남단의 [[치바현]] 노지마키와로, 현대식 지진 규모로는 8.1 정도이리라 추정한다. 1923년에 일어난 [[관동대지진]]과 비교하면 피해지역이나 유형이 흡사하여 관동 대지진 이전의 관동지진(도쿄 [[수도직하지진]])으로 분류한다.[* 당시 사가미 트로프가 파열되었는지는 일본 학계의 주요한 떡밥이다.] == 피해 == 기록에 따르면 [[수도(도시)|수도]] [[에도]]에는 그리 큰 피해는 없었으나, 에도성의 각 성문과 영주들의 에도 내 저택들, 나가야와 마치야 등에서 건물피해가 일부 있었다. [[히라츠카시]]와 [[시나가와구]]에서는 지면이 액상화하여 아침이 되면 오수가 길거리에 널려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진앙지 보소 반도를 중심으로 사가미만과 보소 반도 남단으로 피해가 심각했으며 지진으로 인한 화재가 사가미국(오늘날의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성에서 일어나 오다와라성 천수각이 소실되었다. 이외에도 관동 각지역에서 화재가 일어나 가옥 약 8천 호가 파괴되고 사망자 약 2300여 명, 이재민 약 3만 7천여 명이 생겼다고 추정한다. 또한 보소 반도에는 지진 해일([[쓰나미]])도 발생해 아타미에는 파도 높이가 7 m로 추정되는 해일이 밀려들었다. 가옥 500여 호 중 10여 호만 남기고 모조리 파괴되었을 만큼 피해가 막심했으며, 가마쿠라에서는 쓰루가오카하치만 신궁에까지 해일이 밀려들어왔다고 한다. 이토에서는 해일이 강을 거슬러와 피해가 있었으며 구주쿠리에서 약 5 m, [[요코하마시]]에 약 3 m, 에도에도 1 m 높이 해일이 일었다고 한다. 또한 소나무로 유명한 리쿠기엔은 지진해일로 발생한 염해로 거의 모든 소나무가 말라죽었고,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 때에야 겨우 원상복구되었다. == 기타 == 이 지진이 일어난 그해 3월에 [[추신구라]] 사건을 일으킨 아코호번 무사 46인을 할복시킨 일이 있어서 세간에는 '''추신구라 사건의 무사들의 원혼이 이 대지진을 불렀다'''는 유언비어가 퍼졌다. 여론이 심각해지자 막부는 유언비어 유포를 엄금하는 포고령을 내렸다. 이 당시 도쿠가와 막부의 신료였던 아라이 하쿠세키는 지진을 체험한 일화를 회고록에 기록하였다. 그리고 4년뒤 '''[[호에이 대지진|엄청난 지진]]'''과 [[후지산]]이 대폭발하는데.. 지진이 일어나기 1년전에 [[백두산]]이 분화하였다. == 이전, 이후의 타임라인 == || 발생일자 || 추정최대진도 || 추정규모 || 발생지 || 사상자 || 비고 || 출처 || || 1643. 7. 24. || '''VIII~X''' || '''M7.4''' || [[1643년 울산 대지진|울산광역시 인근 해안]] || 불명 || 쓰나미 발생 || 조선왕조실록[br]한국기상기록집[br]NOAA || || 1668. 7. 25. || '''XII''' || {{{#brown '''M8.5'''}}} || 중국 산둥성 || 사망자 42,758명 || '''진도 XII''' || NOAA || || 1668. 7. 31. || '''VI''' || '''M6.4''' || 황해 || 불명 || || 김소구 교수 논문[*A 김소구, 1982년, '한반도와 그 인접지역의 지진'] || || 1681. 6. 12. || '''VIII''' || '''M6.5''' || [[1681년 양양 대지진|강원도 양양군 인근 해안]] || 불명 || || 한국기상기록집[br]KMA 지진연구소 논문[*B 2002년, '1681년 6월 12일, 17일, 그리고 26일 양양-삼척 근해에서 발생한 지진기록의 분석'] || || 1681. 6. 26. || '''VIII~IX''' || '''M7.5''' || [[1681년 양양 대지진|강원도 양양군 인근 해안]] || 불명 || 쓰나미 발생 || KMA, NGDC || || 1703. 12. 31. || '''7''' || {{{#brown '''M8.2'''}}} || 일본 보소 반도 남서쪽 바다 || 사망자 5,233명 || 쓰나미 발생[br]최대높이 10.50m || NOAA || || 1707. 10. 28. || '''7''' || {{{#8000bb '''M9.3'''}}} || [[호에이 대지진|일본 난카이 해역]] || 사망자 5,000여 명 || 쓰나미 발생[br]최대높이 '''25.70m''' || NOAA || ※1668년 4월과 1702년에는 백두산이 분화하였고, 1707년 호에이 대지진 이후에는 후지산이 폭발하였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지진/19세기 이전)] * [[호에이 대지진]] * [[1643년 울산 대지진]] * [[1681년 양양 대지진]] [[분류:지진/일본]][[분류:18세기 이전 지진]][[분류:진도7]][[분류:가나가와현의 사건사고]][[분류:치바현의 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