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곤충족]]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GaleDogra-DM2-JP-VG.png]] || 한글판 명칭 ||<-4>'''게일 도그라'''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ゲール・ドグラ'''|| || 영어판 명칭 ||<-4>'''Gale Dogra'''||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숲마족 || 곤충족 || 650 || 600 || ||<-5>독인분의 회오리를 일으키며 주변을 날아다니는 나방.||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에서는 '앞면 수비 표시로 자신의 턴을 맞이할 때마다, 상대 몬스터를 100 포인트 약체화시킨다'라는 효과로 나왔다. [[궁극완전체 그레이트 모스|그레이트 모스]] 계열과 비슷한 효과로, 코스트도 낮아 꽤 쓰기 쉬운 카드였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ゲール・ドグ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게일 도그라, 일어판명칭=ゲール・ドグラ, 영어판명칭=Gale Dogra, 속성=땅, 종족=곤충족, 레벨=2, 공격력=650, 수비력=600, 효과1=①: 3000 LP를 지불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LP 코스트를 지불하여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LP 코스트 3000이라는 수치는 단순히 생각하면 [[푸른 눈의 백룡]]의 직접 공격을 받는 거나 마찬가지인데다, 이 카드 자체의 공격력도 낮아 처리할 방도가 없다면 더 큰 LP를 잃게될 수 있다. 이렇게 큰 LP 코스트가 필요하지만,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는 카드는 얼마 되지 않아 귀중한 편인데다 여러 콤보로 연계할 수 있다. 턴당 발동 횟수 제한은 없으나, LP 코스트의 사정상 듀얼 한 판에 많아도 2번 정도가 한계가 된다. 반대로 말하자면 LP만 넉넉하다면 여러 번 쓸 수 있다는 말이 된다. 경쟁 대상으로서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있는 '''원하는''' 카드를 골라서 버릴 수 있는 [[번개 제왕 자보르그|웅장한 번개 제왕 자보르그]], [[인페르노이드|인페르노이드 티에라]], [[어리석은 중장]], [[천저의 사도]] 등이 있다. 자보르그는 효과 발동을 위해서 어느 정도 수고가 필요하며 티에라는 조건을 맞추면 파괴력이 상당하지만 덱에 네헤모스/릴리스/데카트론과 허몽을 넣어야 하므로 이 카드는 사용이 간단한 편에 속한다. 중장은 이 게일 도그라를 쓰기 편한 마법으로 바꾼 버전이지만 1턴에 1장만 보낼 수 있다. [[퓨전 가드]]나 [[성공확률 0%]]과는 달리 엑스트라 덱에 있는 몬스터(싱크로, 엑시즈, 링크는 물론 엑스트라 덱으로 보내진 펜듈럼 몬스터까지)라면 융합 몬스터가 아니라도 묘지로 보낼 수가 있다. 상기 2장은 텍스트에 '융합 몬스터'라 명시되어 있지만, 이 카드는 '엑스트라 덱에서'([[마스터 룰]] 도입 이전 발매 당시에는 '융합 덱에서')라고만 적혀있기 때문. 특히 싱크로 몬스터 / 엑시즈 몬스터 / 링크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에서 묘지로 보내는 카드는 아직도 희소하다. 이 점은 나중에 [[섀도르]], [[No.18 문장조 플레인 코트]], [[아크 디클레어러]]와 같은 몬스터가 등장하면서 점점 가치가 상승하고 있다. 특히 아크 디클레어러를 묻고 [[만수의 신]] 2장분으로 쓰는 것이 강력하다. ~~ LP 뒷감당은 알아서~~비상시에는 [[구신 누토스]]를 묻어버리고 처치가 곤란한 몬스터를 제거하기도 한다. 어쨌거나 [[소닉 버드]]는 이 콤보가 발굴되며 완전 사살당했다.[[http://xezenan.blog.me/220717376138|#]] [[초량]] 덱에서도 채용해서 쓸 수도 있다. [[초량|초량기신왕 그레이트 매그너스]]를 빠르게 뽑기위해 게일 도그라의 효과로 초량기수들을 묘지로 버리는 것. 다만 게일 도그라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도 생각해야한다. 그레이트 매그너스의 바운스효과로 지켜주거나 릴리스 소재로 날려버리거나. 다량의 LP 지불이 가능한 점을 이용해 [[대역전 퀴즈]], [[자폭 스위치(유희왕)|자폭 스위치]] 덱에서 사용하거나, 묘지에 원하는 몬스터를 넣을 수 있는 점을 살려 [[팬텀 오브 카오스]]나 [[미라클 싱크로 퓨전]]의 양분으로 삼는 것도 가능. 참고로 [[슈팅 퀘이사 드래곤]]을 버려서 [[드래그니티|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등으로 장착 카드 취급으로 해서 장착한 뒤 [[더블 싸이크론(유희왕)|더블 싸이크론]]같은 걸로 터트리면 [[슈팅 스타 드래곤]]을 불러오는 미친 짓이 가능하다. 비슷하게 [[사이버 다크 드래곤]]을 쓰는 덱에서도 융합 덱에서 장착할 드래곤족을 확보하는게 가능하다. 당연히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묘지에 있는]] [[팬텀 오브 카오스|몬스터의 효과를]] [[WW(유희왕)#s-3.3.1|베끼는 카드들]]과 쓰는 것도 훌륭한 방법. 현재 가장 유력한 활용법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상기한 대로 [[아크 디클레어러]] 2장을 묻고 [[만수의 신]] 2장분으로 활용하는 것 또는 '''[[섀도르]] 덱에서 아프카로네 덤핑'''이다. 이로서 [[퍼펙트 디클레어러]]나 [[얼티미트 디클레어러]]를 초반에 의식 소환하고, 그대로 상대를 견제하는 스타일의 덱에서 주로 채용되고 있다. 상황에 따라 [[구신 누토스]]를 덤핑하여 발동되는 제거 효과를 이용해서, 특수 소환 봉인 등 성가신 효과를 가진 카드를 치운 뒤 의식 소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섀도르에선 필카와도 같은 위치인데, 이는 아프카로네를 덤핑하면 덱에서 섀도르크를 서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낮은 공격력에 따른 리스크는 특수 소환한 이 카드를 링크 소재로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를 [[링크 소환]]하거나, 알미라지를 다시 링크 소재로 삼아 [[시큐어 가드너]]를 꺼내는 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밖에도 여러가지 콤보를 고안할 수 있지만, 상기한 것 이외의 활용법은 LP 코스트에 합당한 제압력을 얻지 못해 그다지 유효하다고 하기 힘든 것이 많다. 또한 서치하기 힘든 대신 마법 카드라 이 카드보다 막기 힘든 [[어리석은 중장]]이라는 경쟁 상대도 존재하며, [[드래그마]] 축을 사용할 경우 [[천저의 사도]]라는 대체제도 존재하지만, 천저의 사도가 제한을 먹어서 필수로 채용하게 된다. 덱에 맞는 쪽을 우선하는 것이 좋겠지만, [[디클레어러]] 덱이라면 둘 다 써보는 것도 좋겠다. [[데블 프랑켄]]과 마찬가지로 효과가 무효화되기라도 했다간 아까운 LP만 날리는 꼴이 되니 주의. 또한 묘지로 보낸 몬스터가 제외되거나 바운스되는 경우도 주의할 것. 종족을 사이킥족으로 바꾸면 [[두뇌개발 연구소]], [[염동 증식 장치]]로 LP 코스트를 무시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대량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수 있으며, [[PSY프레임로드 Ω]]를 곁들이면 무한 루프도 가능. 상기 2장은 서치가 가능하며, 종족 변경도 [[리프로도쿠스]]로 해낼 수 있으니 시도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등장 당시에는 이 효과로 묘지로 보내진 몬스터를 대상으로 [[죽은 자의 소생]] 등을 활용하라는 목적으로 디자인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소생 제한 룰]]이 추가된 지금은 그런 거 없다. 게다가 저 당시 소생 계열 카드도 얼마 없어서 별로 쓰이지도 않았다. 한국에서는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4]]'에 수록된 카드라서 구하기 꽤나 어렵다. 일판도 토너먼트 팩 외에는 1기 카드로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후 일본 현지에서는 2017년에 스페셜 팩으로 약 9년만에 다시 재판되었다.[* 2017년 8월 5일부터 액수와는 상관없이 1번의 계산에 500엔 이상 구입시 1팩씩 선착순으로 증정한 팩. 즉, 다수의 팩을 얻기 위해선 한꺼번에 큰 액수의 상품을 구입하는 것이 아닌 상품을 개별로 구입해야 다수의 팩을 얻을 수 있다.] [[사이버류의 후계자]]에서 재록 확정. 이젠 구하기 매우 쉬운 카드가 되었다. [[유희왕 태그 포스]]에서는 이 카드를 이용해서 [[하나된 소망]]의 발동 조건을 채우기도 한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부스터(유희왕)|BOOSTER6]] || -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7 Vol.4]] || TP04-JP005 || [[노멀]] || 일본 || 절판 || || SPECIAL PACK || 17SP-JP001 || [[노멀]][br][[슈퍼 레어]] || 일본 || 절판 || || [[사이버류의 후계자|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サイバー流の後継者-]] || SD41-JP021 || [[노멀]] || 일본 || || || [[절대적인 힘|Absolute Powerforce]] || ABPF-EN090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사이버류의 후계자|Structure Deck: Cyber Strike]] || SDCS-EN021 || [[노멀]] || 미국 || ||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Vol.4]] || TP04-KR00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br]절판 ||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8 Vol.1]] || AE12-KR007 || [[레어]] || 한국 || 절판 || || [[사이버류의 후계자|스트럭처 덱 사이버류의 후계자]] || SD41-KR021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어리석은 중장]] === === [[천저의 사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