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PC 게이밍)] ---- [include(틀:Microsoft)] ---- ||<-2> '''밸브 코퍼레이션 CEO[br]{{{+1 게이브 로건 뉴웰}}}[br]Gabe Logan Newel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게이브 뉴웰/bef.jpg|width=100%]]}}} || ||<|2> '''출생''' ||[[1962년]] [[11월 3일]] ([age(1962-11-03)]세) || ||[[콜로라도]]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신체''' ||170cm || || '''학력''' ||[[하버드 대학교]] {{{-2 ([[컴퓨터과학]] / 중퇴)}}} || || '''직업''' ||[[개발자|게임 개발자]], [[기업인]] || ||<|2> '''경력'''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Microsoft|[[파일:Microsoft 로고(1987-2012).svg|width=80]]]]}}} {{{-2 ([[1983년]]~[[1996년]])}}} || ||[[밸브 코퍼레이션|[[파일:밸브 코퍼레이션 로고.svg|width=80]]]] {{{-2 ([[1996년]]~ )}}} || || '''현직''' ||[[밸브 코퍼레이션]] CEO || ||<|2> '''가족''' ||前 배우자: 리사 뉴웰[* 결혼 전 원래 이름은 '''리사 메넷(Lisa Mennet)'''. 그녀도 [[하프라이프]] 제작을 도운 같은 직원이었으며, 오래전에 [[밸브 코퍼레이션]]을 은퇴했다. 20년 가까이 혼인 관계를 유지하다 2019년에 이혼했다. ] || ||아들: 그레이 뉴웰 외 1명 || || '''자산''' ||약 39억 달러 ^^(2023년 6월)^^[* [[포브스]] 기준. [[팀 스위니]]에 이어 [[미국]] 게임 업계 종사자 중 보유 자산 2위를 기록하고 있다. 밸브의 지분 50% 가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external/b63d81d28d8f9c59af4a0e816b951270c486fb61f9e2dad063e6c9958307fb2d.jpg|width=100%]]}}} || || '''{{{#ffffff 밈으로 자주 쓰이는 언짢은 표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attachment/게이브 뉴웰/ku-xlarge.jpg|width=100%]]}}} || || '''{{{#ffffff 2014년 1월의 셀프 카메라}}}'''[* 수염을 기른 것으로 보인다. [[레딧]]에서 [[http://theheartofracing.org/about/|자신이 후원하는 모터스포츠 자선 활동]]과 관련된 글을 올리며 [[http://www.reddit.com/r/motorsports/comments/1v85hy/the_heart_of_racing_new_team_competing_in_uscc/ceqf9m4|본인 인증을 위해 찍은 사진]]이다. 이 때 게이브 뉴웰이 남긴 말 중엔 "직원이 원하는 자동차 넘버가 뭐냐길래 '''[[밸브 코퍼레이션#밸브와 숫자 3|3이라고 하니 그건 안 된다고 하더라]]'''. 아이러니하다."가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external/static1.gamespot.com/2854490-1668860050-26997.jpg|width=100%]]}}} || || '''{{{#ffffff 2015년의 모습}}}'''[* 맨 위에 젊은 시절의 사진에 합성한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으며, 위 사진과는 달리 웃는 인상은 아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MoBOG01.jpg|width=100%]]}}} || || '''{{{#ffffff 2018년의 모습}}}'''[* 사진에서는 알기 힘들지만 17년보다 훨씬 살쪄서 상의 아래로 뱃살이 다 보일 지경이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GABEN2020.jpg|width=100%]]}}} || || '''{{{#ffffff 2020년의 모습}}}'''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게임]] 개발사 [[밸브 코퍼레이션]]의 공동 창립자이자 소유주 및 [[CEO]]이다. == 경력 == === [[마이크로소프트]] === [[하버드 대학교]]에서 [[컴퓨터과학]]을 전공하던 중, 1983년 [[마이크로소프트]]의 스카웃 제의를 받아 대학을 중퇴하고 마이크로소프트에 입사하였다. 이후 1996년까지 13년간 [[Microsoft Windows|Windows]] 개발 부서에서 주요 프로듀서로 일하며 [[Microsoft Windows|Windows]] 1.x, 2.0, 2.1의 초기 3개 버전 개발에 참여했다. 때문에 현직 경영자이면서도 개발 관련 지식이 풍부하고 기술에 대한 이해도도 높다.[* 여담이지만 마이크로소프트에서부터 3에 대한 혐오증(?)이 발현되었다는 설이 있는데, 당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할 때 만든 프로그램이 [[Windows 1.x|윈도우 1]], [[Windows 2.x|2, '''2.1''']]까지며 [[Windows 3.x|3]]을 개발하기 이전에 퇴사했기 때문.] 그러다 고객들의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들을 조사하는 일을 하게 되면서 [[Microsoft Windows|윈도우]]가 전미 컴퓨터에서 2번째로 많이 쓰이는 프로그램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1위가 바로 [[둠]]이라는 것을 알고 게임 산업에 대한 비전을 갖게 되었다.[* 다른 에피소드로는 당시 [[Microsoft Windows|윈도우]]의 이용자들 사이에서 '윈도우로는 게임 같은 거 못 하지 않느냐?' 하는 목소리가 점차 늘어나니까, 그런 얘기들을 잠잠하게 만들기 위해 그 시절 가장 기술적으로 뛰어났던 게임인 [[둠]]을 윈도우용으로 이식하는 과정에서 게임 산업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와 관계도 나쁘지 않다. TV 인터뷰에서 [[콘솔 게임기]] [[Xbox]]와 [[플레이스테이션]]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좋냐고 하자 망설임 없이 [[Xbox]]가 더 좋다고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WON1XnulqQ|#]][[https://twitter.com/_XboxNews/status/1288104739851313154|#]] === [[밸브 코퍼레이션|밸브]] 창업 === 그러던 중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일하다 사표를 내고 [[존 카맥]]의 [[퀘이크]] 프로젝트로 넘어간 동료 프로그래머 마이크 애브래시[* 2011년에 밸브에 들어왔다가 현재는 [[오큘러스|오큘러스 VR]]로 이적했다.]의 영향으로, 친구인 마이크 해링턴과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를 퇴사한 후, 그때까지 모은 돈을 모두 털어 밸브 코퍼레이션을 창업했다. == 인터넷에서의 이미지 == 한때 영미권 웹에서 가장 인기있는 [[게임 개발자]] 중 한명이었다. 인기있었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일렉트로닉 아츠|EA]]나 [[유비소프트]] 등이 비난받는 원인인 폐쇄적 [[DRM]]이나 게임을 깎아먹고 유저들을 갈취하는 수준의 [[DLC]] 같은 정책들 대신에 유저들과 활발히 소통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가격을 깎아먹고 [[Steam|스팀]] 세일이나 [[맥 OS]], [[Linux|리눅스]] 지원과 같은 [[대인배]] 혹은 [[연쇄할인마]](?) 적인 모습들을 보였기 때문. 덕분에 네티즌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로 인해 각종 인터넷 [[밈]]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는데, 그 내용은 아래 항목 참조. 하지만 2015년 4월에 [[Steam 모드 유료화 사태]]가 터지자 돈독이 올랐다는 평을 들으며 민심을 잃었고, 속이 뒤집힌 유저들이 잦은 세일로 덕본다고 굳이 들춰내지 않았던 스팀의 삽질을 까발려버렸다. 특히 [[레딧]]에 나타나서 해명한답시고 한 '돈이 커뮤니티를 움직인다' 발언이 정말 치명적이어서, 결국 그 뒤론 그냥 여느 기업가와 다름없는 취급이다. 이 사건 이후 게이브 뉴웰은 평소에 하지도 않던 인터뷰를 하거나 17년에 레딧에서 AMA를 하는 등, 이미지 쇄신에 힘쓰고 있다. 과거에 아무것도 안해도 알아서 추앙해주던 시절과 비교되는 모습이다. == [[밈|인터넷 밈]] == === Gaben === 게이브 뉴웰은 유저들 사이에서 Gaben(게이븐, 게이벤)이라는 애칭으로 불리고 있다. 이 Gaben이라는 애칭은 게이브 뉴웰이 [[팀 포트리스 2]]의 개발자 [[코멘터리]]에서 자신의 [[이메일]] 주소인 gaben@valvesoftware.com의 gaben[* Gabe N.을 붙여쓴 것으로 추정]을 단어 그대로 게이븐이라고 발음했는데, 이것이 별명으로 굳어져 버리게 된 것. 뉴웰 자신도 이것을 알았는지 [[포탈 2]] 코멘터리부터는 Gaben이라고 발음하지 않고 한 글자 씩 띄어서(G-A-B-E-N. 지 에이 비 이 엔.) 발음을 하고 있다.[* --당연하겠지만,-- 이 지 에이 비 이 엔도 필수요소화 되어서 인간 관악기로서의 의무를 충실히 다하고 있다. [[https://soundcloud.com/rig/super-gaben-world|요런 식으로.]]] [[http://youtu.be/-OLCRx9Ql7E|관련 영상]] [[하프라이프: 알릭스]]에서는 gabe-n(게이브 엔)으로 발음했다. ==== [[인간 관악기]] ==== 사실상 Gaben이라는 표현이 유명해진 계기. 인터넷에서 활동하는 리믹스 아티스트 Mastgrr가 팀 포트리스 코멘터리의 Gaben 음성을 [[http://www.last.fm/music/Mastgrr/Gaben%3A+Episode+3|리믹스 한 앨범을 만들었는데]], 이 중 Fatboy Slim의 'Fucking in Heaven' [[http://www.youtube.com/watch?v=XmKJOdRf_3s|이라는 노래]]의 리믹스가 [[http://www.youtube.com/watch?v=8tsHkpesBdY|유튜브에 올라온 뒤]]부터 Gaben을 이용한 인간 관악기나 [[YouTube Poop]] 영상들이 활발히 만들어지게 되었다. [[http://www.youtube.com/watch?v=R9Yd4Fyq1qo|게이브 뉴웰은]] [[하프라이프 3|엄청난 것]][[마리사는 엄청난 것을 훔쳐갔습니다|을 지연시켰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B9rrS32ctQk|Faster Stronger]] [[Harder, Better, Faster, Stronger|Better Gaben]] [[http://www.youtube.com/watch?v=TWLM7o_EXt0|게이븐]] [[저스틴 비버|비버]]. [[http://www.youtube.com/watch?v=pZaY1jV96jI|Old Gabe Newell had a farm]]. 동요 'Old McDonald had a farm'의 패러디 [[http://www.youtube.com/watch?list=PL5081C056D2A2C547&v=aYgXSGNpLSA&feature=player_detailpage#t=25s|게이브랜드]]. [[식스 플래그]] 광고 패러디. [[http://www.youtube.com/watch?v=hsGJlfADTOQ&feature=player_detailpage#t=8s|게이븐]] [[강남스타일|스타일]]. Youtube Poop 작품. [[https://www.youtube.com/watch?v=zhjlfc13KNA|콜라보레이션 게이븐 뉴웰 생일 익스트림]] 11월 3일 게이븐 생일맞이로 만들어진 콜라보레이션 [[https://www.bilibili.com/video/av15998635/|비리비리]]와 [[http://www.nicovideo.jp/watch/sm32215891|니코니코동화]]에도 등록되었다. === 뚱뚱한 체격 === ||[[파일:external/images-cdn.9gag.com/agyj6En_700b.jpg|width=300]]|| || [[스팀]]은 이렇게 탄생되었다.[* 과거 CD로 게임을 하던 시기 게이브 뉴웰이 게임을 하려고 하다 CD를 떨어뜨렸는데 살 때문에 허리를 굽힐 수 없어 스팀을 만들었다는 우스갯소리다. 사진 속 인물을 뉴웰 본인으로 아는 사람도 있지만 다른 사람이다.] || 보다시피 [[비만|뚱뚱한 체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련 농담도 많이 존재한다. 게이브 뉴웰이 [[하프라이프 2|에피소드 3]]를 먹어서 발매가 되지 않는거라느니, worth the weight(몸무게의 가치가 있다.)[* '기다릴 가치가 있다'는 말의 wait와, weight의 발음이 같다는것을 이용한 말장난.]라느니, ~~[[이오시프 스탈린|양만의 질이 있다는지]]~~ [[헤비(팀 포트리스 2)|헤비]]와 [[레프트 4 데드/특수 감염자|부머]]는 게이브 뉴웰의 모습을 본딴 거라느니...[* 부머의 경우, 진짜 게이브 뉴웰의 모습을 한 부머가 한마리 등장하며 헤비의 경우 [[https://wiki.teamfortress.com/wiki/Gabe_Glasses|게이브의 안경]]이라는 이름의 아이템이 나왔다. 끼면 수염을 기른 현재의 모습과 상당히 비슷하다(...).] 게다가 게이브를 비롯한 밸브 직원들이 [[http://www.youtube.com/watch?v=YR0WN55p_zI|회사 스낵 바를 소개하는 영상]]이 나왔다. [[파일:external/pbs.twimg.com/CPvUebHUEAAkg7Y.jpg]] [[파일:external/67.media.tumblr.com/tumblr_lyb82cZMon1qc2c08o1_250.jpg]] [[파일:external/info-android.com/38e79aeea85314541da3b393a524dfc6a6431ae9.jpg]] 사실 초기에는 평범하게 호리호리한 체격이었지만, --밸브가 커지면서-- 그의 몸이 날이 갈 수록 비대해지기 시작했다. 젋었을 시절 [[피터 그리핀]]과 비슷한 체격과 외모 덕분에 닮은꼴로 많이 엮였으나, 수염을 기르고 외모에 주름이 많아지자 밈이 확 식어버렸다. === It's just me, Gabe Newell === [youtube(yyJ48-BYb7s)] 한 번은 게이브 뉴웰이 인터넷 코미디 그룹 Mega64의 [[락밴드(게임)|락밴드 - 비틀즈]] 관련 스케치에 찬조출연한 적이 있었는데,[* Mega64 멤버들이 길거리를 뛰어다니며 비틀즈 노래를 불러제끼다 우연히 뉴웰과 만나게 된다.] 이때 그의 대사가 "I'm Gabe Newell"과 "Ah, nope. It's just me, Gabe Newell"이었다. 이 뭔가 뜬금없는 것 같은 대사는 인기를 끌어 Gaben과 같은 유행어가 되고 많은 패러디를 낳게 되었다. 급하면 1분부터 보자.--정작 유저들은 [[밸브 코퍼레이션#s-9.2|세 사람]] 앞에 서있다는 반응이다-- === Are you ready for a miracle === [[https://m.youtube.com/watch?v=bUo1PgKksgw|이 밈의 근원]] 원곡은 패티 라벨의 'Are you ready for a miracle'.위 영상을 시작으로 하여 많은 패러디가 생겼다.주로 스팀 세일이 임박했을 때 쓰이는 밈.조용한 상황에서 갑자기 게이브가 튀어나오고 노래가 나오는 형식으로 짧게 나오는 영상들이 대부분이다.아래는 그 예시. [[https://www.youtube.com/watch?v=5FbCjJ30ggM|2013 스팀 여름 세일 현황]] [[https://m.youtube.com/watch?v=nSDtx01sibI|2014 스팀 여름 세일 현황]] [[https://m.youtube.com/watch?v=QJW_ML5aE9E|2016 스팀 여름 세일 현황]] [[https://www.youtube.com/watch?v=5fA2yV2i04c|2017 스팀 여름 세일 현황]] == 기타 == [[마이 리틀 포니]]가 유행했을 당시, 자신이 [[브로니]]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xbox/139/read?articleId=741426&bbsId=G003&itemId=3&pageIndex=1|라는 사실을 밝혀 화제가 되기도 했다]]. 가장 좋아하는 포니를 묻는 질문에는 처음에 [[레인보우 대쉬]][[http://i.imgur.com/gQF7H.png|라고 답했다가]] 나중에 다른 인터뷰에서는 [[핑키 파이]][[http://www.youtube.com/watch?v=dJ3IpH3VcAU|라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포니(혹은 브로니)를 싫어하는 스티머''' 입장에서는 이 사실에 대해 부정하고 있었다. 심지어 '''"[[포확찢|게이브 뉴웰은 포니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없다.]]"'''라는 루머까지 퍼트린 걸 보면, 그 당시 포니 이미지가 상당히 안 좋은 지를 알 수 있었다. 물론, 요즘 포니 유행이 멸종된 오래인 시점에서는 이와 관련된 이야기는 더 이상 나오지 않는 편.] 그의 덕심을 보여 주는 것으론 [[팀 포트리스 2]]의 풍서니콘, 유니콘 모자, [[도타 2]] [[예지자]]의 [[빛의 수호자]] 예언 대사가 있다. 2012년 포브스지에서는 [[http://www.forbes.com/sites/davidewalt/2012/03/07/valve-gabe-newell-billionaire/|그를 백만장자 순위 854위에 랭크하기도 했다.]] 2017년 기준으로 미국의 부자 순위 134위이다.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자신이 [[닥터후]]의 [[http://kotaku.com/5975194/gabe-newell-has-a-theory-about-doctor-who-its-fascinating-and-confusing|팬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또한 [[클라라 오스왈드]]에 대한 이론을 내놓기도 했는데, 원문 출처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상당히 혼란스러운 이론이다. [youtube(EiZyed21uGg)] 2012년 11월 3일 게이브 뉴웰의 생일을 맞아 [[4chan]]의 게임 관련 게시판 [[v(4chan)|/v/]] 유저들이 [[밸브 코퍼레이션]] 본사로 찾아가 직접 뉴웰에게 [[팀 포트리스 2|Mann Co. 보급상자와 열쇠]],[* 위 비디오에는 나오지 않지만 게이브에게 열쇠가격 2달러 49센트(게임상에서의 실제 가격)를 제시하기도 했고, 안에는 솔져 모자가 들어있었다.] 그리고 포스터를 증정하기도 했다. [[도검|칼]]에 관심이 많으며, [[http://www.geekwire.com/2013/check-gabe-newells-insane-knife-collection/|엄청난 칼 컬렉션을 자랑하는]] [[칼덕후]]이기도 하다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스킨|(...)]] 또한 [[차덕후]]이기도 해서 위의 사진에서도 언급되었듯 레이싱 관련 자선단체를 후원하기도 하며, [[http://www.reddit.com/r/motorsports/comments/1v85hy/the_heart_of_racing_new_team_competing_in_uscc/ceqdk5d|평소 출퇴근용 자가용이]] [[포르쉐 911]] 엔진을 장착한 2014년형 [[포르쉐 카이맨]]이다.[* 뻘짓같아 보이지만, 사실 이쪽이 더 성능이 좋다. 911은 엔진이 많이 뒤로 간 RR 구조이기에 무게중심이 뒤로 쏠려있어, 성능에서 MR 구조인 카이맨에 비해 부족하다. 이를 포르쉐는 카이맨의 엔진 사양을 고의로 낮추고 911의 사양을 최대한 높임으로써 911을 플래그십으로 유지하는 것. 맘먹고 튜닝하자면 사실 밸런스 좋은 카이맨이 911보다 더 잠재성이 높다.] 과거엔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S65 AMG]]를 탔지만 자신의 애완견 [[저먼 셰퍼드]]가 차 안에 똥을 싸지르는 바람에 바꿨다. 밸브가 개발한 게임들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작품은 [[포탈 2]]라고 말하며 그 이유를 밝힌 적이 있는데, [[하프라이프]]와 [[하프라이프 2]]의 경우 자신이 개발 과정에 깊게 관여했기 때문에 그걸 다시 생각하면 수많은 시행착오와 그로 인한 후회로 고통스러웠던 개발 과정이 계속 떠오르는 반면에 [[포탈 시리즈]]는 본인이 개발에 상대적으로 덜 관여했기 때문에 완성된 하나의 게임을 한발짝 물러서서 있는 그대로 평가할 수가 있다고. [[하프라이프: 알릭스]]는 포탈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본인이 개발에 덜 관여했는지 밸브가 생각해낸 최고의 작품이라고 칭하면서 자랑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Geek A Week 팟캐스트에서 [[미야모토 시게루]]의 게임들을 좋아한다고 [[http://mynintendonews.com/2012/04/07/valve-founder-gabe-newell-loves-miyamoto-and-super-mario-64/|밝히기도 했다.]] 만약에 지구에 종말이 찾아온다면 [[닌텐도 64]]와 [[슈퍼 마리오 64]]를 챙길 것이라는 발언을 한 적도 있다. 그전에 2011년경에도 슈퍼 마리오 64를 좋아한다고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nin/159/read?articleId=464025&bbsId=G003&itemGroupId=35|밝혔고]], 2014년에 레딧에서 진행한 [[AMA]]에서도 밸브의 게임들을 제외한 것들 중엔 [[슈퍼 마리오 64]]를 가장 좋아한다고 밝힌 걸 보면 무진장 좋아하는 모양이다.[* 그러나 [[슈퍼 마리오 갤럭시]]에 대해서는 불호에 가까운 반응을 보였는데 레벨 디자인적 측면에서 마리오 64의 샌드박스형 디자인과는 정반대의 선형적 디자인을 채택한 것이 그 이유인 듯. [[https://docs.google.com/document/d/1uCBMD2tpM7oE-NTZCzKRToP31_PcF0uB_7c-bToh928/mobilebasic|#]]][* 이런 발언을 한 것과는 반대로, 밸브는 닌텐도 플랫폼으로 작품을 출시한 적이 없었다. 2022년에 [[포탈 시리즈]] 합본을 [[닌텐도 스위치]]에 이식한 것이 최초.] 그러다 한 인터뷰에서 미야모토가 [[Portal(게임)|포탈]]이 참 흥미로운 게임이라고 언급하며, 그는 [[성공한 덕후|성덕]]이 되었다. 또한 여러 인터뷰에서 [[미야모토 시게루]]를 언급하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디자인하는 그의 개발 방식을 밸브도 본받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 결과 나온 것이 다름 아닌 [[밸브 인덱스]]와 [[하프라이프 알릭스]]의 조합. [[https://www.destructoid.com/valve-making-three-full-games-for-vr-wants-to-advance-the-platform-417983.phtml?__cf_chl_jschl_tk__=317a9272f1d08ab04772695f2bd7dd0b5a121d2a-1584870426-0-Ae0wvPDg-yM5Do5Ic5HSV6q4TJh04S0fnHKEfKi5iiChn5wAKAAWXLqTLVT-N0QFoENb99EJG9L1pYEOsfBynaOm4xDwZQCY_G2dUBkEc_dGq8kQ2ysibQXqunJDGh8t1H9g5kErkExA7BhSZ0ZO_Oy-_t5CLzdgzWy1pxGWUvH0NkJ9QZZsOXbz30BmPvsY_BFq3P8Ndv5IGF6UODQk89yc3TxZv0bK5G5RN7V6rMKm0jKCA30IFW5gBectnc9kS-v-vWU0GfwWie1gX4q8hZEWNDcaPTNRXfvSyIluPrdGpLmBSOL7p_jxkvUE_aJUn0p6bAKGc9dkY-cZFoi-FPWB5TWMLwtVRrt-se5ny5Z4PYBjjEgm6V8AZYrUGwIqXA|#]] [[https://nintendoeverything.com/valves-gabe-newell-says-the-company-is-jealous-of-nintendos-ability-to-create-hardware-and-software-together/|#]] [[포켓몬스터]]에 대해서도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지구상에서 가장 거대한 엔터테인먼트 프랜차이즈이며 가장 모범적인 [[미디어 믹스]] 전략을 보여주었다고. [[https://nintendoeverything.com/valve-boss-has-plenty-of-praise-for-pokemon/|#]] 각막 내피세포에 이상이 생기는 '''푹스이영양증'''을 앓았던 적이 있었다. 다행이 지금은 완쾌되었다고 한다. 정치 성향은 [[민주당(미국)|민주당]] 지지자. 2019년에도 [[조 바이든]]에게 2,800달러를 후원했다. [[https://www.opensecrets.org/donor-lookup/results?name=gabe+newell&__cf_chl_captcha_tk__=4780c4941b62edaa791672d3d80056615274c0cf-1604828073-0-AVqLZojSmFsqrhm2AtK4V_NvZOCaRjcqrcKUQNNZsJt077n5aafkw74OnaE3HWc5xgBVnG64a3hwUDea1TRKszwXjWs0lEoFKjrsAGQGQKDHrDKAdviDJb0WvYlMsCqwe2ZXBLC-yqOuSnSnsVlFMZz_wPI-PowTeiS1FWPZx7LKRkrFiZl8DBIQkSmPYyCp8oMTBilN-K37hFI6MAEtzc9kw8_pmLPjl9MGb-fsw69DpdjfBtISCI0gOYCvDqrBXM3kfKLUSjdMUJHYQk0-coS4LeBx1tp0Xlb-mQCQ5oL7dgeq5mArcHYdMxTL_ovRu8I1PX2t4mJ3wFAmvBQ5Pntpwff0qhruIfxuuVky6LqM8gwWXxzdCsMtjcFcV1XXtcy3nMfFRLYyXbSvUZVenP4SRLcAwoUYUuxuVbBDD0_fl7cmmnIGiOb1NWUuBrIxnog10hF3T75T7uHM1Q8ck8HKHEjEcQ8y2UFRRaU-J3rVDxd5WpDycCQ1F7SM_yY8uGPqrb7D9pMqa5bTVzbLGAj3wDcFJz1XysX7QtISI3auxgmZJHtk8SfU0P1B-m7wf26gv8au3jiAE_euYWkfoNQNQmloCatM_WlyLuJoi3pm|#]] 그를 풍자하려는 목적의 [[http://store.steampowered.com/app/407420/|게이브 뉴웰 시뮬레이터]]라는 인디게임이 그린라이트에 올라왔는데 밴을 먹을거라는 예상과 달리 의외로 순탄하게 통과되었다. 그런데 정작 게임성이 함량미달이라, 지탄을 받고 잊혀졌다. '복합적'이긴 한데 부정적인 평이 좀 더 우세하다. 2017년 1월 17일 오후 6시부터 7시까지 레딧에서 한 시간동안 질문을 받는 AMA를 가졌고 한 시간동안 쏟아진 몇 천개의 질문 중 41개에 답글을 올렸다. '''자신이 후회하는 일들, 앞으로의 방향성, 그리고 [[레프트 4 데드]] 후속작 떡밥'''을 던지고 AMA는 막을 내렸는데... 매번 게임을 디자인할 때마다 미처 다 완성시키지 못한 게임들을 내보내는 듯 해서 마음이 그다지 편치않다고 했다. 특히 그 중에 [[하프라이프]]는 아쉬운 점이 비교적 많은 게임이라고... 특히 하프라이프에서 가장 지루하다고 평가되는 젠 챕터는 정말 후회스럽다고 밝혔다. 밸브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그 것을 새로 내보낼 게임에 적용시켜 게임 시장의 혁명을 주도하는 것을 주 목표로 하고 있고, 그러므로 제대로된 기술이나 새로운 개념의 내러티브를 만들기 전엔 [[패키지 게임]]을 만드는걸 꺼린다고 한다. AMA 막바지에서 레포데는 여러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하나로 겹쳐지는 내러티브를 만드는데 가장 적합한 게임이라고 떡밥을 던짐으로써 레딧 유저들은 밸브의 다음 게임은 레포데가 될 것이라는 가설에 다시 한번 불을 붙혔다. 또한 밸브 뉴스 네트워크라는 유명 유튜버의 인터뷰 제안을 게이브 뉴웰이 받아들이면서 올해는 한달이 다 가기도 전에 밸브가 그 어느 해보다도 개방적으로 게이머들과 소통한 해가 되었다. 다만 이런 움직임은 모드 유료화 사태 때 각인된 이미지를 씻으려는 의도가 다분히 보인다면서 불쾌해하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그가 언급한 레포데 1, 2는 캐릭터와 스토리를 제외하면 완벽히 똑같은 게임이고 그의 철학에 완전히 상반되는, 실패작이나 다름없는 게임인데 왜 굳이 얘기했는지 알 수 없다. 또한 '그 발언'을 언급하는 수백개의 질문이 AMA에서 나왔는데 자신에게 불리하다 생각했는지 전부 쌩까버리고 이상한 답변만 고른 점이 수상한 점. 특히 질문들이 게이머보단 개발자의 시선으로 치우쳐진 게 많아 조작을 의심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결국 좋은 반응보다는, 자신의 철학이니 혁신이니 하는 정도의 립서비스는 어느 개발자나 다 하는 것인데, 그렇게 뻔한 얘기만 할 거면 뭐하러 이런 저질 AMA나 했냐면서 여전히 자본주의의 돼지라고 까는 사람들이 대다수이다. 한번 박힌 미운털은 뽑기 어렵다는 것만 증명한셈. 설상가상으로 8월에 공개된 [[아티팩트(게임)|차기작]]이 [[도타 2]] 브랜드에 기반한 [[TCG]] 장르임이 밝혀지고, 밸브를 퇴사한 시나리오 작가가 '''[[하프라이프 3]]'''의 시나리오를 공개해 '''하프라이프 3가 나오지 않을 것임을 확인사살하면서''' 더 비난을 받게 되었다. 밸브는 이제 팬들의 염원에 대한 부응도, 독창성도 없는 게임 개발사가 되었다는, 아니, 애초에 이제 게임 개발사가 아닌 스팀이나 운영하는 '게임 유통사'라고 불러야 하는게 더 정확하다는 분노 섞인 평가도 많다. 2018년 8월에는 [[도타 2]]의 아나운서 팩을 녹음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EGMccdFWDw|트리플 킬을 말하지 못하는 부분이 킬링파트.]] 3을 말하라고 하자 이해를 못하겠다고 하다가 어떻게든 말하기 싫어서 '''당신은 둘보다 많고 넷보다 적은 사람을 죽였습니다.'''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r5BChvs2h5g&feature=youtu.be|모든 대사]] 하프라이프 1에서, [[https://youtu.be/3rNrNsamyIw|게이브 뉴웰의 외모로 도배된 방]]이 있다. 이 방에 들어가기 위해 noclip(벽 뚫기 및 날기) 치트가 필요하다. [youtube(I0zXkwLs_lo)] 2020년 3월 18일의 [[하프라이프: 알릭스]] 출시 기념으로 오랜만에 [[IGN]]과 29분 분량의 인터뷰를 가졌다. 최근에는 [[VR]]뿐만이 아니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에도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 기술만 현실된다면 다른 종류의 엔터테인먼트는 전부 멸종될" 것이라고... ~~[[하프라이프 3]]를 하려면 자기의 뇌를 먼저 마개조해야만 할지도~~ [youtube(BVjPUExAqaY)]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창궐]] 당시 [[뉴질랜드]]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었는데, 미국에서 대규모 확산의 조짐이 보이고 뉴질랜드에서 출입국 봉쇄를 시작하면서 귀국하지 못하고 뉴질랜드에 남았고, 뉴질랜드 영주권까지 취득하게 되면서 아주 눌러앉게 되었다. 뉴질랜드의 지역 방송에도 간간히 출연하여 모습을 비추고 있는 중이다. 지금은 다시 밸브 본사로 돌아왔다. 한 인터뷰에서는 차세대 콘솔 중 어느 쪽이 더 낫냐는 질문에 본인은 [[엑스박스 시리즈 X]]를 더 좋아한다고 대답하기도 했다. [youtube(9Dy-KWjp-m0)] 2022년 2월, [[스팀 덱]]의 정식 출시 기념으로 본인이 직접 회사 주변에 있는 최초 구매자들에게 스팀 덱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했다. === 패러디(?) === || [[파일:external/static.giantbomb.com/1865054-do6xu.jpg|width=100%]] || || [[다니엘 래드클리프]]와 [[존 레논]]이 살찌면 게이브가 된다는 드립의 짤.[* 실제로도 위의 마른 시절 사진을 보면 해리 포터 시절의 다니엘과 상당히 유사하고 [[스티븐 호킹]]의 어렸을적 모습과도 닮았다. 최근엔 수염을 기르면서 존 레논과 더 닮아지고 있다.] || [[파일:attachment/게이브 뉴웰/1.jpg|width=500]] [[파일:attachment/게이브 뉴웰/2.jpg|width=500]] [[파일:attachment/게이브 뉴웰/3.jpg|width=500]] [[하프라이프 3]] 언급하거나 놀림거리로 삼는다면 개발 기간을 늘리겠다는 '협박' 메세지. '''물론 이는 당연히 가짜 자막 합성이다.''' [[https://youtu.be/jxfUmndo74Q|영상 원본]]은 [[도타 2]] 프로팀인 [[나투스 빈체레]]의 채널에 올라온 인터뷰로, 도타 2 커뮤니티에 대한 내용이다. 최근 [[https://www.youtube.com/channel/UCYSvX0lqo-ZinYNQSHVCqlQ|The Chalkeaters]]가, [[하프라이프: 알릭스]] 출시 1주년을 기념하여 [[https://youtu.be/jpw2ebhTSKs|하프라이프 3를 기대하는 팬 영상]]을 만들었으며 '''게이브 뉴웰이 첫번째 장면과 마지막 장면에 실제로 직접 출연한다.'''[* 물론 게이브 뉴웰이 노래 부르는 씬은, [[https://www.youtube.com/thestupendium|The Stupendium]] 이라는 다른 성우가 부른다.] 그리고, [[GLaDOS]] 성우로 유명한 [[엘렌 맥클레인]]이 직접 성우로 출연했다. ==== 관련 문서 ==== * [[Steam/할인#s-6]] * [[밸브 코퍼레이션]] * [[Steam]] [[분류:미국의 게임 개발자]][[분류:1962년 출생]][[분류:미국의 남성 기업인]][[분류:콜로라도 주 출신 인물]][[분류:밸브 코퍼레이션]][[분류:Steam]][[분류:Microsoft]][[분류:하버드 대학교 출신]][[분류:인터넷 밈/기업인]][[분류:인터넷 밈/미국]][[분류:미국의 프로그래머]][[분류:마이크로소프트/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