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0년 출생]][[분류:노보시비르스크 주 출신 인물]][[분류:러시아의 축구선수]][[분류: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은퇴, 이적]][[분류: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은퇴, 이적]][[분류:FC 살류트 벨고로드/은퇴, 이적]][[분류:FC 안지 마하치칼라/은퇴, 이적]][[분류:FC 크라스노다르/은퇴, 이적]][[분류: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현역]][[분류:FC 오렌부르크/은퇴, 이적]][[분류:FC 루빈 카잔/은퇴, 이적]] [include(틀: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eorgiyZotov.png|width=100%]]}}} || ||<-2> '''{{{#fff 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No. 31}}}''' || ||<-2> '''{{{#064893 게오르기 안드레예비치 조토프 [br] (Георгий Андреевич Зотов)}}}''' || || {{{#ffffff '''생년월일'''}}} ||[[1990년]] [[1월 12일]] ([age(1995-05-25)]세) || || {{{#ffffff '''국적'''}}}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러시아]] || || {{{#ffffff '''출신지'''}}} ||[[소련]] [[RSFSR]] [[노보시비르스크]] || || {{{#ffffff '''신체'''}}} ||175cm, 72kg || || {{{#ffffff '''포지션'''}}} ||[[라이트백]] || || {{{#ffffff '''주발'''}}} ||오른발 || || {{{#ffffff '''유소년 클럽'''}}} ||[[FC 스파르타크 노보시비르스크]] (~2006)[br][[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2006~2007) || || {{{#ffffff '''소속 클럽'''}}}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008~2012)[br][[FC 노보쿠즈네츠크]] (2013)[br][[FC 살류트 벨고로드]] (2013)[br][[FC 메탈루르흐 도네츠크]] (2013~2014)[br][[FC 안지 마하치칼라]] (2014~2015) [br][[FC 쿠반 크라스노다르]] (2016) [br][[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2017~2020)[br]→ {{{-1 [[FC 오렌부르크]] (2019~2020 / 임대)}}} [br] [[FC 루빈 카잔]] (2020~2022) [br] [[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2022~) || [목차] == 개요 == 러시아의 축구선수. 현재 [[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에서 뛰고 있다. == 클럽 경력 == 스파르타크 노보시비르스크의 유스를 졸업해 16살의 나이에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아카데미에 입단하나, 이후 로코모티프 모스크바의 팜클럽으로 이적하여 3부리그에서 106경기 11골의 성적을 기록한다. 2013년 1월에는 2부리그 승격팀인 노보쿠즈네츠크에 들어가 11경기를 뛰었다. 이후, 2013년 여름에 노보쿠즈네츠크가 재정난으로 해체되며 살류트 벨고로드로 자유계약으로 이적하게 되었다. 총 7경기를 뛰었다. 2013년 8월 30일에 살류트의 감독인 세르게이 조토프가 메탈루르흐 도네츠크의 감독직으로 옮기자, 그를 따라 이적하여 3년 계약을 맺었다. 2016년 2월 6일에 쿠반 크라스노다르에 입단하였다. 주전 수비수로 활약한 그는 2017년 2월 4일에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하였다. 2019년에 오렌부르크로 한 시즌 임대를 간 뒤, 자유계약으로 방출되었다. 2020년 8월 17일, 루빈 카잔과 계약을 맺었다. 2022년 8월에 자유계약으로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로 이적하였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