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external/cfs7.tistory.com/4840dc7419dd3?.jpg]] || || [[뮌헨 올림픽 참사]]의 범인 중 하나인 칼리드 자와드(Khalid Jawad). || [* [[아랍어]]. Munazzamat Aylūl al-Aswad] '''منظمة أيلول الأسود''' '''Black September Organization''' (BSO) [목차] == 소개 == [[팔레스타인]]의 무장 테러단체. 이들은 [[PFLP 동시다발 하이재킹 사건|항공기 납치로 유명한]] [[공산주의]] 반군인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PFLP)에서 갈라져 나온 세력이다.[* PLO는 여러 세력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온건 사회민주주의 성향의 [[파타]], 마오주의와 좀 더 온건한 공산주의 계열인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DFLP), 그리고 진짜로 극좌파이자 [[하마스]]보다 더 무장투쟁을 좋아하는 PFLP(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이라고도 한다)가 있다.] == 상세 == [[1972년]] [[독일]]에서 이스라엘 선수단 테러 사건([[뮌헨 올림픽 참사]])을 일으킨 것으로 유명한 [[PLO]] 계열의 과격 저항 단체다. '''[[검은 9월]]'''은 요르단을 거점으로 이스라엘을 공격했던 [[PLO]]가 [[요르단]] 정부군의 토벌작전으로 큰 타격을 받은 1970년 9월을 의미한다. 그 이름은 아랍 게릴라 4명이 1970년 11월 당시 요르단의 탈 총리를 이집트 카이로의 한 호텔에서 암살하면서 스스로 '''검은 9월단'''이라 칭한 것에서 유래했다. 검은 9월단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파타]]에서 분리된 PFLP 계열의 민족주의 게릴라 조직이다.[* 그래서 뮌헨 참사 당시 [[바더 마인호프]]의 석방을 요구한 것이다. 정치적 동지이므로..] 이스라엘 정보기관의 표적이 됐던 과격 무장조직인 만큼 지도자나 조직원 등의 신원은 철저히 베일에 가려졌다. 이들은 팔레스타인 해방을 외치며 이스라엘을 대상으로 [[테러]]와 요인 [[암살]], [[하이재킹|항공기 납치사건]] 등을 저질렀다. 그리고... == [[뮌헨 올림픽 참사]] == 결국 [[1972 뮌헨 올림픽]]에서 이스라엘 선수단 2명을 죽이고 9명을 인질로 붙잡는 사건을 일으켰고 검은 9월단의 존재를 전세계에 드러냈다. 협상에 실패한 서독 경찰이 강경 대응하는 과정에서 인질 9명이 모두 숨졌고 테러범들도 사살되거나 생포됐다. 자세한 내용은 [[뮌헨 올림픽 참사]] 문서 참고. == 보복 == 뮌헨 테러사건은 이후 테러와 보복의 악순환으로 이어졌고 지금까지도 [[중동]] 분쟁의 불씨로 작용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대(對)테러 전문부대가 없어 많은 희생자를 냈다는 반성 아래 [[대테러부대|대테러 특수부대]] 창설에 나섰고 특히 테러의 무대가 됐던 [[독일]]은 [[GSG-9]], [[KSK]] 등의 [[특수부대]]를 창설했다. 게다가 [[이스라엘]] 정부도 분노하여 [[모사드]]와 이스라엘 특수부대를 동원해 조직원들을 추적하여 차례차례 암살하기 시작했다. 이에 [[PLO]] 측은 검은 9월단과 엮여서 국제적인 비난 대상이 되자 [[야세르 아라파트]] 의장은 이스라엘과 상관도 없는 국제 테러에 개입하지 않는다고 천명하여 [[1976년]]에 [[아랍연맹]]에 가입했다. 다음은 뮌헨 올림픽 참사에 대한 보복 작전인 "신의 분노 작전"(מבצע זעם האל Operation Wrath of God. 일명 : 총검 작전 Operation "Bayonet")과 "청춘의 샘 작전"(מבצע אביב נעורים Operation Spring of Youth)에서 모사드가 제거한 명단이다. - 바엘 즈바이터 : 로마의 자택에서 12발의 총격을 받고 사망. - 마흐무드 함쉬리 : 파리의 자택에서 전화에 설치된 폭탄 공격으로 사망. - 후세인 아바드 알 치크 : 키프로스의 자택에서 침대 밑에 설치된 폭탄 공격으로 사망. - 바실 알 쿠바시 : 파리에서 12발의 총격을 받고 사망. - 아부 유세프 : 이스라엘 코만도의 공격으로 베이루트에서 사망. - 카멜 애드완 : 이스라엘 코만도의 공격으로 베이루트에서 사망. - 카말 나세르 : 이스라엘 코만도의 공격으로 베이루트에서 사망. - 자이아드 무차시 : 키프로스에서 침대밑에 설치된 폭탄 공격으로 사망. - 아드벨 하미드 쉬비 : 차량이 폭발하여 사망. - 아드벨 하디 나카 : 차량이 폭발하여 사망. - 모하메드 부디아 : 운전석 밑에 설치된 폭탄 공격으로 프랑스에서 사망. - 알리 하산 살라메 : 베이루트에서 폭탄 차량 공격으로 사망. - 아드난 알 가세이 : 뮌헨 공격에 직접 참가한 자로 서독에 체포되었으나 석방되었다.[* 체포되었으나 이후 다른 검은 9월단 단원이 루프트한자 여객기를 납치하고 이들의 석방을 조건으로 협상하여 석방되었다. 사다피도 마찬가지.] 긴 도피 생활 중 한 걸프 국가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 분명 모사드에 의해 살해됐을 가능성이 높다. - 모하메드 사파디 : 뮌헨 공격에 직접 참가한 자로 서독에 체포되었으나 석방되었다. 긴 도피 생활 중 레바논에서 의문사했다. 이 역시 모사드의 소행으로 추정. [[분류:테러조직]][[분류:공산주의]][[분류:반유대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