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지속 마법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BF(유희왕))] [[파일:黒い旋風.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검은 선풍, 일어판명칭=(くろ)旋風(せんぷう), 영어판명칭=Black Whirlwind, 효과1=①: 자신 필드에 "BF(블랙 페더)" 몬스터가 일반 소환되었을 때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보다 낮은 공격력을 가지는 "BF(블랙 페더)"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지속 마법 발동! 검은 선풍!''' >---- >크로우(유희왕 듀얼링크스) 실질적으로 1턴에 1번 [[BF(유희왕)|BF]]의 패를 늘려주는 카드. 보통 선풍이라고 부른다. 이게 깔린 상태의 BF와 깔리지 않은 상태의 BF의 전개력 차이는 엄청나다. 새벽의 시로코나 칠흑의 엘펜과의 상성은 좋아서 모든 레벨 4 이하의 BF 몬스터를 [[서치]]할 수 있다. [[BF-달그림자의 카르트]]를 가져와 상대에게 압박을 줄수도 있고, [[BF-질풍의 게일]]/[[BF-흑창의 블래스트]]/BF-미풍의 브리즈... 등등 자체 특수 소환 가능한 BF 몬스터를 소환해 서치하면 단번에 필드의 총 화력이 증가한다. 서치 범위도 유연하고 어드밴티지도 확실하다. 게다가 1턴에 1번 제한이 없어서 이 카드가 2장 있는 상태에서 BF 몬스터를 일반 소환하면 1장째의 검은 선풍의 효과로 1장, 2장째의 검은 선풍의 효과로 1장, 한번에 2장의 몬스터를 서치할 수 있다. 거기에 일반 소환권을 추가로 주는 [[BF-별그림자의 노퉁]]까지 합세하면 배로 늘어난다. 보통은 자기보다 공격력이 낮은 몬스터를 가져오지만 [[속성 필드 마법|다크 존]], [[해피(유희왕)|해피의 사냥터]], [[일족의 결속]] 등의 공격력 상승 카드와 병행하면 자신을 가져오는 사기 플레이도 가능.[* 듀얼 링크스에서는 캐릭터 스킬로 해피의 사냥터나 산 등을 발동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플레이가 패시브처럼 가능해진다.] 반대로 [[강자의 고통]] 등이 있으면 서치 범위가 좁아진다. 효과 해결시에 소환된 BF 몬스터가 필드에 앞면 표시로 있지 않으면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에는 주의. 일반 소환 후 소환 무효/파괴계 함정에 당하면 뼈아프다. [[신의 경고]]는 물론이고 [[나락의 함정 속으로]], [[강제 탈출 장치]], 심지어 [[달의 서]]까지 맞아도 아웃. 이유는 효과 처리시에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패에 이 카드만 있고 BF 몬스터가 없는 경우도 난감하다. 이유는 [[유니온 격납고]]하고는 달리 이 카드 자체가 어드밴티지를 벌어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후 [[트라이브 포스]]에서 재록되었는데, 9기 텍스트에선 공격력을 언급하는 부분이 "~발동할 수 있다." 뒤에 나오게 되면서 공격력을 확인하는 절차가 발동 후에 효과 처리의 시점에서라고 알 수 있게 되었다. BF에 새로 추가된 BF-독풍의 시문 덕분에 활용도가 올라갔다. 서치의 핵이면서도 그동안 서치수단이 없어서 일반 부스팅으로만 뽑는 불안정한 카드였는데 독풍의 시문을 통해 확정으로 서치가 가능해졌다. 거기에 독풍의 시문으로 이 카드를 발동한 후 독풍의 시문을 일반 소환할 수 있고 심지어 이게 효과로 인한 일반 소환이라 추가로 1장 더 일반 소환이 가능해서 공격력 1600 이하의 몬스터를 서치한 후에도 추가로 일반 소환하는게 가능해 1턴에 2장까지 서치가 가능해졌다. 이 효과로 서치시 엔드 페이즈에 묘지로 보내지고 1000 데미지를 받는 점이 조금 아쉽지만 충분히 활용도가 좋아졌다. [[BF-별그림자의 노퉁]]이 일반 소환권을 1회 늘려주다보니, 1턴에 3번 발동되는 일도 드물지 않다. 묘지의 [[BF-정예의 제피로스]]의 효과로 선풍을 패로 되돌리는 것으로 재활용 가능하지만, 검은 날개의 선풍이란 경쟁자가 생겨난지라 고민을 좀 해봐야한다. BF의 핵심이지만 그 위력이 충격적으로 강했던 만큼 결국 2010/9/1일자로 제한. 하지만 갈수록 [[인잭터|더 강한]] [[아티팩트|사기]] [[정룡|덱들]]이 늘어나면서 제재가 풀리기 시작해, 같이 제한을 먹은 달그림자의 카르트는 2013/3/1 금제에서 무제한이 되었고, 이 카드도 2013/9/1 금제에서 준제한으로 내려왔다. 그리고 '''TCG'''에선 아예 이 카드도 무제한. 14/07 OCG 리미트 레귤레이션에서 4년만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이 카드가 BF 덱 이외의 덱에서 쓰일 가능성(범용성)이 거의 없고, BF 덱이 현역 덱들에 밀려 영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기에 당연한 수순. 5D's 시기에는 [[BF-대패의 바유]] 위주의 묘지 BF와 비교하여 일반적인 비트 다운 방식의 BF를 선풍 BF라고 불렀다. 2010/3/1일자로 [[이차원에서의 매장]]이 제한되어[* 현재는 무제한] 묘지 BF가 몰락하여 비교할 일이 없어진 후에도, 서치 수단도 없는 선풍이 제한을 먹고 난 뒤에도 그랬다. 과거도 그랬고 지금도 BF덱의 전개와 서치의 핵심을 담당하고 있는 카드이지만 정작 BF덱의 사용자인 크로우는 5D's 때는 물론 ARC-V에 와서도 이 카드를 단 한번도 사용한 적이 없다. 5D's의 라이딩 듀얼은 마법 카드를 스피드 스펠 말고는 사용하지 않아서 그렇다지만 라이딩 듀얼의 이러한 제약이 사라진 ARC-V에 와서도 크로우가 이 카드를 사용하는 일은 없었다. 다만 [[듀얼 터미널]](아케이드 게임기) / [[유희왕 듀얼링크스]] 등의 게임 작품에서는 크로우의 전용 음성을 넣어주고 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장렬한 전투]] || RGBT-KR05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장렬한 전투|RAGING BATTLE]] || RGBT-JP05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DUELIST EDITION Volume 3 || DE03-JP143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 || [[장렬한 전투|Raging Battle]] || RGBT-EN05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Turbo Pack || TU01-EN005 || [[슈퍼 레어]] || 미국 || || || Gold Series 3 || GLD3-EN045 || [[노멀]] || 미국 || || || Duelist League 15 || DL15-EN015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