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구(인천)의 법정동)] ||<-3>
'''{{{#000,#fff [[서구(인천광역시)|{{{#000,#fff 서구}}}]]의 [[출장소|{{{#000,#fff 출장소}}}]]}}}'''[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서구(인천광역시)|[[파일:서구(인천광역시) CI.svg|height=55]]]]||{{{#000,#fff '''{{{+1 검단출장소}}}'''[br]黔丹出張所[br]{{{-3 Geomdan Liaison Office}}}}}}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원당dong, 너비=100%, 높이=100%)]}}} || || '''[[국가|{{{#white 국가}}}]]''' || [[대한민국]] || || '''[[광역자치단체|{{{#white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white 기초자치단체}}}]]''' || [[서구(인천광역시)|서구]] || || '''[[면적|{{{#white 면적}}}]]''' || 44.03㎢ || || '''[[출장소|{{{#white 출장소}}}]]''' ||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검단로(인천)|검단로]]502번길 15 [br] ([[마전동(인천)|마전동]]) || || '''홈페이지''' || [[https://www.seo.incheon.kr/open_content/dong/?dong=ara|[[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 개요 ==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의 북쪽 지역으로 행정구역상 인천 본토의 최북단 지역이다.[* 한반도 본토로 한정했을 때만 최북단이다. 도서 지역까지 포함한다면 [[옹진군(인천광역시)|옹진군]] [[백령도|백령면]]이 인천의 최북단이다.] 경인아라뱃길로 인해 [[김포섬]]이 되었는데 김포섬 내에 있는 인천광역시 관할의 행정구역이다. 과거 [[경기도]] [[김포시|김포군]]에 속해 있다가 1995년에 서구로 편입되었다. 따라서 [[강화군]], [[옹진군]]과 함께 가장 최근에 인천광역시 관할이 된 지역이다.[* 원래는 김포군 전체를 인천에 편입하려고 했으나(강화군의 인천 편입이 그 흔적이다) 김포군의 반대 여론으로 인해 주민투표 결과 인천 편입 찬성이 더 높게 나온 김포군 검단면만 인천으로 편입하였다.] 금곡동, 마전동, 불로동, 대곡동, 원당동, 당하동, 오류동, 왕길동을 포함한다. 원래 검단이 아니었으나 [[경인 아라뱃길]]로 인해 다른 서구 지역과 단절된 [[백석동(인천광역시 서구)|백석동]]과 [[경서동]] 일부, 시천동 일부를 검단 생활권으로 보기도 한다. == 지명 유래 == [[인천광역시청]]과 [[서구청(인천광역시)|서구청]]의 설명이 서로 다르다. 인천시에서는 '검'은 신 또는 왕을 뜻하는 고대어에서, '단'은 마을을 뜻하는 고대어에서 유래하였으며, 신 또는 왕의 마을 혹은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라고 소개한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단 구간 [[스크린도어]]에 이 소개글이 붙어있다. [[http://www.seo.incheon.kr/open_content/dong/sub/history.jsp?dong=gumdan1|서구]]에서는 검단의 검(黔)은 검은색을, 단(丹)은 붉은색을 뜻하며 옛부터 이 지역이 서해안으로서 검붉은 갯벌이 많아 붙은 이름이라고 소개한다. == 역사 == * [[1914년]] [[4월 1일]]:[[경기도]] [[김포시|김포군]] 검단면, 노장면, 마산면을 검단면으로 통폐합 * [[1995년]] [[3월 1일]]:법률 제4802호[* [[https://www.law.go.kr/LSW/lsInfoP.do?lsiSeq=2642#0000|서울특별시광진구등9개자치구설치및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등에관한법률]]]에 따라 [[김포시|김포군]] 검단면이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로 편입되어 검단동으로 변경 * [[1996년]] [[6월 1일]], [[6월 15일]]:검단동이 인천통화권으로 편입 (김포 0341에서 인천 032로 변경) * [[2002년]] [[1월 1일]]:검단동이 검단1동과 2동으로 분동 * [[2005년]] [[9월 1일]]:검단1동에서 검단3동이 분동 * [[2006년]] [[9월 1일]]:검단1동에서 검단4동이 분동 * [[2013년]] [[9월 2일]]:검단1동에서 검단5동이 분동 * [[2018년]] [[7월 1일]]:각 행정동 명칭 변경 (검단1동→검단동, 검단2동→불로대곡동, 검단3동→원당동, 검단4동→당하동, 검단5동→오류왕길동) * [[2019년]] [[11월 4일]] : 당하동에서 마전동이 분동 * [[2021년]] [[6월 1일]] : 원당동에서 아라동이 분동 * [[2022년]] [[8월 31일]] : [[유정복]] 시장이 [[행정구역 개편/수도권/인천광역시#s-2.3|검단구 분구]] 계획 발표 == 교통 == [[서울특별시]]로 가는 노선이 많지 않은 [[인천광역시]]의 원도심에 비해 검단 지역은 서울이나 경기 지역으로의 진출입이 수월하다. [[김포 버스 60|60번]], [[인천 버스 78|78번]], [[김포 버스 1002|1002번]] 같이 서울로 가는 시내버스의 배차간격이 나쁘지 않다. 더해서 [[광역버스(인천)|광역버스]]인 [[인천 버스 1100|1100번]], [[인천 버스 1101|1101번]], [[인천 버스 9501|9501번]], [[인천 버스 9802|9802번]]도 서울 접근성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확실히 [[계양구]], [[부평구]]와 함께 인천 원도심보다 서울의 위성도시 성격이 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검단과 [[청라국제도시]]를 제외한 서구의 서울행 대중교통, 특히 시내버스는 절망 그 자체이다. [[검암역]]이 있는 검암경서동이 그나마 서울 접근성이 좋으며, 나머지 동네는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문서의 단점 항목을 참고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 철도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검단오류역]], [[왕길역]], [[검단사거리역]], [[마전역]], [[완정역]], --[[독정역]]--[* 1, 2번 출구가 당하동에 있지만, 주소는 서곶 지역인 [[백석동(인천광역시 서구)|백석동]]이다.] === 경유 버스 === ||<-2> 운행 버스 || || [[광역버스|{{{#fff 광역버스}}}]] || [[인천 버스 1100|1100]]ㆍ[[인천 버스 1101|1101]]ㆍ[[인천 버스 9501|9501]]ㆍ[[인천 버스 9802|9802]] || || [[직행좌석버스|{{{#fff 직행좌석버스}}}]] || [[김포 버스 1004|1004]] || || [[좌석버스|{{{#fff 좌석버스}}}]] || [[인천 버스 308|308]]ㆍ[[인천 버스 310|310]]ㆍ[[인천 버스 800|800]] || || [[급행버스|{{{#fff 급행버스}}}]] || [[인천 버스 급행97|급행97]] || || [[간선버스|{{{#fff 간선버스}}}]] || [[인천 버스 1|1]]ㆍ[[인천 버스 17|17]]ㆍ[[인천 버스 30|30]]ㆍ[[인천 버스 66|66]]ㆍ[[인천 버스 70|70]]ㆍ[[인천 버스 71|71]]ㆍ[[인천 버스 75|75]]ㆍ[[인천 버스 76|76]]ㆍ[[인천 버스 77|77]]ㆍ[[인천 버스 78|78]]ㆍ[[인천 버스 79|79]]ㆍ[[인천 버스 87|87]]ㆍ[[인천 버스 92|92]]ㆍ[[인천 버스 93|93]] || || [[지선버스|{{{#fff 지선버스}}}]] || [[인천 버스 순환83|순환83]]ㆍ[[인천 버스 인천e음87, 인천e음88|인천e음87ㆍ인천e음88]]ㆍ[[인천 버스 인천e음89|인천e음89]] || || [[시내버스|{{{#fff 일반시내버스}}}]] || [[김포 버스 1|1]]ㆍ[[김포 버스 60|60]]ㆍ[[김포 버스 90|90]]ㆍ[[김포 버스 90-1|90-1]]ㆍ[[김포 버스 841|841]]ㆍ[[김포 버스 1002|1002]] || || [[공영버스|{{{#fff 공영버스}}}]] || [[인천 버스 대곡5|대곡5]] || === 도로 === * [[봉수대로]] * [[원당대로]] * 가람로 * 가현로 * 가현산로 * 거월로 * [[검단로(인천)|검단로]] * 검단천로 * 고산로 * [[고산후로]] * [[단봉로]] * 독정로 * 두루물로 * [[드림로]] * [[마전로(인천)|마전로]] * 마중로 * 봉화로 * [[불로로]] * 사월로 * [[서곶로]] * [[오류로]] * [[완정로]] * [[청마로(인천)|청마로]]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환경 ==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오류동, 왕길동, 백석동, 검암동, 경서동과 [[김포시]] [[양촌읍]] 일대에 세계 최대 규모의 쓰레기 매립장인 [[수도권 매립지]]가 위치한다. 당초 [[2016년]]으로 사용이 종료될 예정이었으나 쓰레기 매립량의 감소로 아직 공간이 남아있어 [[2025년]]까지 사용이 연장되었다. 악취 제거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아직도 가끔씩, 특히 비가 내리면, 쓰레기 매립장으로부터 올라오는 악취 냄새가 난다. 여러 택지지구(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가 소규모로 개발되었고, 2020년 기준으로 검단신도시의 개발로 인한 연담화가 아직 완료되지 않아 각 택지지구 사이를 도보로 이동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 검단 지역은 2018년 기준으로 불과 1, 2년 전까지만 해도 논밭에서 경작이 이루어지고 중간 중간 난개발된 소규모 중소공장지대, 수도권매립지로 들어가는 덤프트럭들을 수요로 하는 대형차량정비소들이 난립했으나, 2017년 후반기에 이르러 [[검단신도시]]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전부 철거되어 여러 공사장으로 바뀌어 방음벽이 설치되었다. 그래도 아직까지 다른 지역에 비해 곳곳에 자연이 남아있어 쾌적한 느낌을 준다. == 주변 시설 == === 아파트 === * 불로동 * [[대광로제비앙|㈜대광건영]] 검단 대광로제비앙 센트럴포레 : 2022년 2월 입주 * [[제일건설(주)|제일건설]] [[제일풍경채 검단|제일풍경채 검단 I]] : 2024년 11월 입주예정. * [[현대건설]] / [[코오롱글로벌]] / 국원건설 / 원광건설 / 선두종합건설 / 풍창건설 [[힐스테이트 검단 웰카운티]] : 2025년 1월 입주예정. *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불로 포레스트]] : 2025년 1월 입주예정. * [[제일건설(주)|제일건설]] [[제일풍경채 검단|제일풍경채 검단 II]] : 2025년 4월 입주예정. * [[제일건설(주)|제일건설]] [[제일풍경채 검단|제일풍경채 검단 III]] : 2025년 6월 입주예정. * [[동부건설]] / 신성건설 안단테 인천검단 AA21블럭 : 2025년 6월 입주예정. * [[우미건설]] [[검단신도시 우미 린 클래스원]] : 2025년 9월 입주예정. * [[금강주택]] 검단신도시 금강펜테리움 3차 센트럴파크 : 2025년 11월 입주예정. * [[중흥건설]] 검단신도시 중흥S-클래스 : 2025년 12월 입주예정. * [[호반건설]] 검단신도시 호반써밋 V : 2026년 3월 입주예정. * [[대방건설]] 인천검단신도시 디에트르 더 에듀 : 2026년 5월 입주예정. * 원당동 * [[DL E&C]] / [[계룡건설산업]] / [[금호건설]] [[e편한세상 검단 어반센트로]] : 2024년 2월 입주예정. * [[유승한내들|유승종합건설]] 인천 서구 원당동 유승한내들 : 입주미정. * 당하동 * [[대우건설]] 인천 당하 푸르지오 : 2005년 1월 입주. * [[한국토지주택공사]] / [[삼부토건]] / [[시티건설]] / 동화E&C / 태영종합설비 인천검단 LH36단지 : 2023년 6월 입주. * 오류동 * [[금호건설]] 왕길역 금호어울림 에듀그린 : 2025년 2월 입주예정. * [[동부건설]] / 원광건설 검단 16호 공원 개발사업 : 입주미정. * 왕길동 * [[대우건설]] [[왕길역 로열파크씨티 푸르지오]] : 2024년 9월 입주예정. == 행정동 및 법정동 == === 검단동 (舊 검단1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검단동}}}'''[br]黔丹洞 | Geomda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geomdan,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560156 || || '''관할 법정동''' || 마전동, 금곡동 || || '''하위 행정구역''' || 45통 173반 || || '''면적''' || 8.10㎢ || || '''인구''' || 33,007명[*A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4,074.9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신동근]] ,,(재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6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명주(1974)|김명주]] ,,(초선),, || ||<-2> '''서구의원 | 바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송승환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심우창(정치인)|심우창]] ,,(4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홍순서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검단로529번길 14[* 마전동 927-4] || || [[https://www.seo.incheon.kr/open_content/dong/?dong=gumdan1|검단동 행정복지센터]] || 옛 김포군 검단면의 중심지로, 인천광역시 서구에 편입된 이후 검단1동주민센터와 검단출장소가 같은 건물(구 김포군 검단면사무소)을 사용하다가 인구증가에 따른 행정동 개편으로 검단1동주민센터가 검단동행정복지센터로 명칭이 바뀌면서 [[http://kko.to/l7TMIgljT|분리]]되었다. [clearfix] ==== 금곡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금곡동}}}'''[br]金谷洞 | Geumgo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금곡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826011800 || || '''관할 행정동''' || 검단동 || || '''면적''' || 4.35㎢ || 옆의 마전동과 함께 옛 김포군 검단면 시절부터 가장 번화한 상업지구(검단사거리)를 이루고 있다. 이 주변은 과거 [[김포시|김포군]] 검단면의 면사무소 소재지였기도 하며 지금도 서구청 검단출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2016년 버스 개편 이전까지 [[영풍운수]]의 차고지가 있던 곳으로 인천 버스 노선 중 현재는 폐선된 [[인천 버스 77|77번]] 등의 기점이 있던 곳이다. 이곳과 왕길동, 마전동을 포함한 검단사거리 주변 영역은 과거 검단면의 중심지었던 역사의 연장선으로 '''검단''' 혹은 '''검단사거리'''로 통한다. 관내에 금곡초등학교가 위치하고, 일부가 검단1도시개발사업구역(메트로파크 시티6)으로 지정돼 있다. 인천 본토에서 [[계양산]] 다음 가는 높은 산 중에 하나인 가현산(215m)이 대곡동의 경계에 위치한다. 북쪽으로 [[김포시]] [[양촌읍]]과 접한다. 지명 유래는 옛날 풍수지리학자가 이 마을을 지나가다가 마을 뒷산에 쇳돌이 매장되어 있을 것이라고 한 후부터 ‘금곡리’라 했다고 전해진다. 이 마을에서는 일제강점기 말까지 금을 채굴하였으며 광복 후에도 많은 철을 채광한 바 있다. [* 금곡동 산 200번지 일대가 그 자리이다.] 1914년 행정구역의 폐합에 따라 신리, 좌동을 병합하여 금곡리라 했다. [clearfix]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금곡동, version=45)] ==== 마전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마전동}}}'''[br]麻田洞 | Majeo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마전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826011300 || || '''관할 행정동''' || 검단동, 당하동, 마전동 || || '''면적''' || 5.11㎢ || 조선시대 말까지는 마산면이었다. 이 지역에서 삼을 많이 지배했기 때문에 마전(麻田)이라고 불린다. 마전동은 크게 3개의 부분으로 나뉜다. 마전택지개발지구(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지역, 검단사거리 주변의 검단택지개발지구(검단신도시와 다름) 지역, 그리고 [[마전역]]이 위치하는 옛 검단4동, 행정동 마전동에 속한 검단2택지개발지구(구 검단2신도시와 다름) 지역이 그것이다. 법정동상으로는 다 같은 마전동이나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마전지구는 산지 사이의 좁은 영역에 남북으로 긴 권역을 가지고 있다. 지구의 중심으로 가현천이 흐르며, 9개의 아파트 단지와 연립주택이 분포하는데, 다른 택지지구보다 많이 한산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그러나 마전지구의 북쪽 끝에 마전지구버스차고지가 있어 [[인천 버스 17|17번]], [[인천 버스 76|76번]], [[인천 버스 78|78번]], [[인천 버스 9501|9501번]], [[인천 버스 1101|1101번]]버스가 이곳에서 출발하여 교통은 꽤 좋은 편에 속하며 앉아서 가는 것에 유리하다는 장점도 존재한다. 마전지구는 기온이 낮은 편인데, 김포 원도심이나 검단사거리 일대와 비교했을 때 기본적으로 2도 가량 차이가 난다. 겨울에는 춥고 여름에는 서늘한 편. 11년 겨울엔 여기서도 소주가 얼어터지는 일이 있었다. 이처럼 기온이 낮은 이유는, 지형적으로 산지가 많아 한기가 많이 내려오기 때문이라고 한다. 마전지구 내에 인천마전고등학교와 인천검단초등학교가 존재한다. 검단사거리를 경계로 왕길동과 금곡동과 접하는 검단1택지지구 지역은 검단1동행정복지센터와, [[서구청(인천광역시)|서구청]] 검단[[출장소]], 검단농협, 검단우체국, 검단도서관, 복지회관 등의 존재하는 검단의 명실상부한 중심 지역이다. 이곳 또한 위에서 서술한 대로 '''검단''' 혹은 '''검단사거리'''로 통칭된다. 검단로를 중심으로 북쪽으로 목화아파트, 한일아파트, 장미아파트 등이 있고, 남쪽으로는 비교적 새로 지어진 검단 힐스테이트 1/2차와 검단 아이파크가 있다. 또한 영화관, 도서관, 수영장 등 여러 편리 시설이 있는 검단복지회관이 위치해 있다. 관내에 검단고등학교와 [[검단중학교]], 인천능내초등학교가 있다. 검단사거리역에서 1,2번 출구를 나와 바로 완정로만 지나면 마전동이지만 아슬아슬하게 포함되지 않는다. 행정동 마전동에 속하는 마전동에는 [[마전역]]이 위치한다. 마전동 영남탑스빌 아파트(당하동의 당하탑스빌아파트와 별도)과 동아아파트, 검단금호아파트와 당하풍림아이원3차 등 아파트와 연립주택이 존재한다. 외곽으로 [[롯데마트 검단점]]도 있으며, 마전역 앞에는 검단 유일의 사우나가 있는 목욕탕인 스파렉스가 있다. 관내에 마전중학교와 인천완정초등학교가 있다. 행정구역상 당하동에 속하는 마전동에는 검단택지개발지구와 당하택지개발지구의 일부가 위치한다. 해당 위치에 검단경찰서와 검단소방서가 신설될 예정이다. 근처에 산지가 존재해서 그런지, 묘지공원이 여러 개 모여있는 곳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황해도 실향민 묘지공원과 인천 호남향우회 묘지공원이 여기 있다. [clearfix] === 불로대곡동 (舊 검단2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불로대곡동}}}'''[br]不老大谷洞 | Bullodaego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불로대곡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560157 || || '''관할 법정동''' || 대곡동, 불로동 || || '''하위 행정구역''' || 28통 119반 || || '''면적''' || 10.79㎢ || || '''인구''' || 23,361명[*A] || || '''인구밀도''' || 2,165.0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신동근]] ,,(재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6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명주 ,,(초선),, || ||<-2> '''서구의원 | 바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송승환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심우창 ,,(4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홍순서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검단로 814 (불로동 313-13) || || [[https://www.seo.incheon.kr/open_content/dong/?dong=gumdan2|불로대곡동 행정복지센터]] || 2018년부터 검단2동에서 불로대곡동으로 행정동 명칭이 바뀌었다. [clearfix] ==== 대곡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대곡동}}}'''[br]大谷洞 | Daego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대곡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826011700 || || '''관할 행정동''' || 불로대곡동 || || '''면적''' || 5.40㎢ || 큰 골짜기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한골, 황골, 황곡 또는 대곡(大谷)이라고 부른다. 원래는 검단2신도시 계획지구로 편입되어 있었으나, 검단2신도시가 좌초되는 상황을 겪으면서 지구 지정이 해제되었다. 지금은 취소된 계획이지만 만일 [[중앙대학교]] 검단캠퍼스가 성사되었다면 이곳에 위치할 예정이었다. 지금은 소규모 공장지대와 자연촌락, 경작지가 분포한다. 북동쪽으로는 [[김포시]] [[장기동(김포)|장기동]]의 장기지구와 접한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인천 도심지(강화군 및 옹진군 제외)중에서 가장 최북단에 위치한 동이다. 추후 검단신도시와 김포 한강신도시를 연결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도 [[일산신도시]]와 [[자유로]] 및 [[강변북로]]로 가는 [[일산대교]] 진입이 용이한 위치에 있다. [clearfix] ==== 불로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불로동}}}'''[br]不老洞 | Bullo-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불로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826012100 || || '''관할 행정동''' || [[불로대곡동]] || || '''면적''' || 5.41㎢ || [[조선]] 말까지 [[마산면]]([[마산동]])에 속한 마을이었다. 전설에 따르면 동네 앞산인 만수산에 삼산을 비롯한 각종 약초가 많이 자라 어느 노인이 이 산에서 채취한 약초와 산삼으로 나물로 해 먹은 후로 장수하였으며, 그 후 만수산에 불로초가 있다는 소문이 퍼지며 이 마을을 불로마을로 부르게 되었다는 지명 유래가 있다.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 갈매리와 목지리를 병합하여 불로리가 되었고 검단면으로 편입되었다. 관내에 불로지구가 조성되어 있고 불로지구 남쪽으로 [[검단신도시]]가 들어설 예정이다. 불로지구에 퀸스타운이라 불리는 동성아파트, 신명아파트, 길훈아파트, 월드아파트 등의 택지지구가 조성되어 있으며, 학교는 불로초등학교, 목향초등학교가 있다. 불로지구의 서편으로 갈산천이 흐른다. 불로지구의 주변으로 용해산, 황화산 등의 동네야산이 있으며, 마전동과의 경계에 지명의 유래인 만수산이 존재한다. 이 지역에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지선이 불로지구를 통과하여 김포시([[걸포북변역]])를 거쳐 고양시 일산서구([[킨텍스역]], [[일산역]])까지으로 가는 계획이 있으며,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검단연장선이 이 곳을 거쳐간다. 해당 역은 1호선과 2호선의 환승역으로 가능성이 있다. 교육 면에서 이 지역의 아이들은 김포 원도심과의 위치가 근접해 버스를 이용하여 김포시 사우지구에 위치한 학원가를 이용하기도 한다. 또한 문화적인 측면에서는 쇼핑을 할 때에도 서구 당하동에 있는 [[이마트 검단점]]보다는 바로 근처에 있고 버스도 많이 다니는 김포시 감정동에 있는 홈플러스 김포점에 가는 등 사실상 [[김포시]] 불로동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할 정도. 일산대교 진출입로가 근접해 있어 자가용 차량을 이용하여 [[일산신도시]]의 문화 생활권을 같이 누릴 수 있다. 불로동 주민들은 생활권 자체가 인천 원도심보다는 검단사거리 인근 상업지구, 김포시 일대 생활권에 가까우며, 아예 일산신도시, 서울특별시 강서구 일대로 나가는 주민들도 적지 않다.[* 여담으로 [[흔한남매]]가 이곳에 거주'''했'''다.] [clearfix] === 원당동 (舊 검단3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원당동}}}'''[br]元堂洞 | Wondang-dong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560158 || || '''관할 법정동''' || 당하동, 원당동 || || '''하위 행정구역''' || 25통 116반 || || '''면적''' || 2.62㎢ || || '''인구''' || 23,108명[*A] || || '''인구밀도''' || 8,819.85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신동근]] ,,(재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6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명주 ,,(초선),, || ||<-2> '''서구의원 | 바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송승환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심우창 ,,(4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홍순서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고산로 24 (원당동 853-1) || || [[https://www.seo.incheon.kr/open_content/dong/?dong=gumdan3|원당동 행정복지센터]] || 2018년부터 검단3동에서 원당동으로 행정동 명칭이 바뀌었다. [clearfix] ==== 원당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원당동}}}'''[br]元堂洞 | Wond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원당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826011500 || || '''관할 행정동''' || 원당동, 아라동 || || '''면적''' || 3.36㎢ || 조선 초기에 이 마을에 있었던 원당(元堂)이라는 제사당이 지명의 유래이다. 한편 일설에는 옛 북성산 밑이라 산림이 울창하여 수목이 풍부하였으므로 이 곳에서 생산되는 좋은 목재로 집을 지었기 때문에 ‘원당’이라고 하였다는 말도 전해진다. 관내에 원당지구가 있으며, 원당지구 내에서는 [[원당대로]]를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당하동과 원당동이 나뉘어진다. 대한항공 사원아파트(KAL아파트)가 오래 전부터 존재한다(1998년 완공). 그리고 [[2004년]]부터 원당동 금호어울림2차아파트와 원당동 대림e편한세상, LG자이아파트 등의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현재는 주위로 여러 연립주택, 개인주택이 분포한다. 검단 원당동, 불로동 그리고 [[계양구]] [[동양동]] 일원에서 택지 개발 중 발굴된 선사 유적을 전시하는 검단선사박물관이 원당지구에 존재한다. 원당지구의 동편으로 고산과 금정산이 있으며 과거에는 자연 촌락과 농경지가 존재했는데 지금은 모두 검단신도시 개발로 인하여 공사장으로 변하였다. 관내에 인천창신초등학교와 원당중학교, [[원당고등학교|인천원당고등학교]]가 있고, 신도시 개발지구 쪽으로 서구영어마을[* 인천영어마을과는 다르다. 이곳은 과거에 창신초등학교 구교사였다.]도 존재한다. 동쪽으로 [[김포시]] [[풍무동]]과 접하며 [[원당대로]]로 이어져 있다. 검단신도시는 원당지구를 둘러싼 모양으로 개발되기 때문에 인천도시공사 검단사업소도 이곳에 존재한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검단 연장구간 건설 확정에 따라 북쪽 검단신도시 2단계 상업지구에 동명을 딴 [[원당역(인천)|원당역]]이 신설된다. [clearfix] === 당하동 (舊 검단4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당하동}}}'''[br]堂下洞 | Dangha-dong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560159 || || '''관할 법정동''' || 마전동, 당하동 || || '''하위 행정구역''' || 28통 136반 || || '''면적''' || 2.38㎢ || || '''인구''' || 26,912명[*A] || || '''인구밀도''' || 11,307.5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신동근]] ,,(재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5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순학]] ,,(초선),, || ||<-2> '''서구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남원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용갑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영철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청마로167번길 19[* 당하동 1097-4] || || [[https://www.seo.incheon.kr/open_content/dong/?dong=gumdan4|당하동 행정복지센터]] || 2018년부터 행정동명이 검단4동에서 당하동으로 개명된다. [clearfix] ==== 당하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당하동}}}'''[br]堂下洞 | Dangha-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당하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826011400 || || '''관할 행정동''' || 원당동, 당하동, 아라동 || || '''면적''' || 5.37㎢ || 과거 제림산에 제사당이 있었고 당 아래쪽에 부락이 있었다 하여 당하동(堂下洞)이다. 당하동은 크게 당하택지개발지구와 원당택지개발지구(당하동)로 나뉜다. 당하지구에 [[완정역]]과 [[독정역]][* 1번출구와 2번출구가 당하동에 있다. 승강장은 끝머리를 제외하면 백석동 소재.]이 존재한다. 당하지구 완정역 앞 완정사거리를 중심으로 우리은행, 하나은행 검단지점이 있고 스타벅스 등 여러 프랜차이즈도 입점하였다. [[독정역]] 근처로는 [[이마트 검단점]]과 메가박스가 입점하였다. 검단 힐스테이트 5차, 6차 아파트, 당하푸르지오 아파트, KCC스위첸 아파트, 당하 태평아파트, 당하탑스빌아파트[* 등기상 명칭은 '영남,신대진,성웅아파트'로 일종의 [[컨소시엄 아파트]]이다. 자세한 내용은 [[공동주택/목록/서구(인천)]] 문서 참조.], 검단 SK뷰 아파트가 이곳에 있다. 또한 검단 지역의 가장 큰 종합병원인 검단 탑병원이 존재한다. 관내에 [[인천세무고등학교]]와 인천당하중학교와 인천당하초등학교, 그리고 백석동에서 이사 온 인천백석초등학교가 존재한다. 인천영어마을이 당하동 원당지구 동편 옛 경문직업전문학교 자리에 있다.[* 현재 인천영어마을 건물을 사용했던 경문실용전문학교는 재단법인 팔봉전산직업훈련원이 모체이며, 1984년 설립한 이래로 이제는 약 40년이 다 되어가는 매우 오래된 건물이다.] 당하동 원당지구는 [[원당대로]]를 사이로 원당동과 나뉘며, 원당 금호어울림1차아파트, 풍림아파트 등 택지지구와 상업지구가 존재하고, IBK기업은행 지점이 존재한다. 관내에 인천발산초등학교와 인천원당초등학교가 존재한다. 당하동의 원당지구와 당하지구 사이 [[드림로]]를 따라서 황해도민묘지 등 공동묘지가 꽤 많이 분포되어있다. 여담으로, 공공/행정시설이 '''행정복지센터를 제외하면 전무하다.''' [[교육지원청]]이나 [[구청]], [[세무서]], [[대한민국 법원|법원]]같은 큰 시설을 말하는 것이 아닌 [[우체국]], [[파출소]] 등의 생활밀접시설도 전혀 없다. 등기 하나를 보내려고 해도 원당지구나 검단사거리까지 가야 한다. 2021년 경 검단 지역을 관할하는 검단경찰서와 검단소방서가 신설될 예정이었으나,[* 2019년 쯤 지도에는 2021년 예정이라고 적혀있었으나 2022년 현재 삭제됨] 검단소방서는 2023년에 신설되었고, 검단경찰서는 2026년 개설 예정이다. 예정지의 주소는 (법정동) 마전동이지만 당하동 행정복지센터 관할이며, 당하택지개발지구 바로 옆에 있다. 관내에 [[무덤]]이 매우 많다. 대도시인 서울, 인천과 가까우면서도 오랫동안 농촌 지역으로 남아 인구가 적었기 때문이다.[* 서울의 [[망우리공원|망우리 묘원]]과 [[고양시]] [[벽제동]] 묘원, [[파주시]] 용미리 묘원 등도 이 지역과 비슷한 케이스인데 묘지 조성 당시에는 시가지에서 멀리 떨어진 교외였다가 수도권이 확장 개발되면서 묘지 인근까지 주거지역이 들어섰다.] 인천기독교장로회묘지와 [[천주교 인천교구]] 하늘의 문 묘원[* [[천주교 인천교구]] 소속 성직자들이 선종하면 이 곳에 묻히게 된다. 2016년 선종한 前 인천교구장 [[최기산]] 주교와 2020년 선종한 '인천 민주화 운동의 대부' 김병상 몬시뇰의 묘소도 여기에 있다.]이 위치해 있으며 법정동으로는 마전동이지만 인천지구 황해도민묘지도 이들 묘지와 바로 붙어있어 묘지공원 클러스터(...)를 이루고 있다. 이외에도 곳곳에 소규모 묘지가 산재해 있다. 2013년에는 어느 가문의 [[선산]] 바로 앞에 아파트가 들어서서 '그레이브 뷰', '조상복합'이라는 조롱을 받으며 [[https://www.insight.co.kr/news/295136|유명해지기도]] 했다. [clearfix] === 오류왕길동 (舊 검단5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오류왕길동}}}'''[br]梧柳旺吉洞 | Oryuwangg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오류왕길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560160 || || '''관할 법정동''' || 오류동, 왕길동 || || '''하위 행정구역''' || 35통 126반 || || '''면적''' || 17.11㎢ || || '''인구''' || 24,706명[*A] || || '''인구밀도''' || 1,443.95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신동근]] ,,(재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5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순학 ,,(초선),, || ||<-2> '''서구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남원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용갑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영철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봉화로 42 (왕길동 692-5) || || [[https://www.seo.incheon.kr/open_content/dong/?dong=gumdan5|오류왕길동 행정복지센터]] || 2018년부터 검단5동에서 오류왕길동으로 행정동 명칭이 바뀌었다. [clearfix] ==== 오류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오류동}}}'''[br]梧柳洞 | Oryu-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오류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826011900 || || '''관할 행정동''' || 오류왕길동 || || '''면적''' || 12.72㎢ || 조선조 중엽 이전, 이 마을에는 오동나무숲이 많았으며, 그 옆에 버드나무 한 그루가 서 있어 이들 나무 이름을 따서 ‘오류리’라 칭하였다고 전하다. 1914년 행정구역폐합에 따라 반월촌, 봉화촌, 대촌을 병합하여 오류리라고 했다. 이후 인천광역시에 속하며 오류동이 되었다 오류동과 왕길동에 걸쳐서 조성된 오류지구에 아파트가 현재 많이 준공돼있는 상태. 풍림, 현대건설, GS등의 건설회사가 지은 단지들이 있다. 그러나 현재 오류지구의 상업지대는 아직 미개발 상태이다. 원래는 버스 노선이 부실하여 교통이 불편했으나 지금은 1100, 1101등의 노선의 더 확충되어 많이 불편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검단오류역]]이 존재한다. [[수도권 매립지]], [[한국환경공단]]이 이곳에 있으며, 검단산업단지도 이곳에 위치한다. [[경인 아라뱃길]]의 인천터미널물류단지도 이곳에 속한다. 관내에 학교로는 인천단봉초등학교가 있다. 북쪽으로 [[김포시]] [[양촌읍]] 학운리와 접한다. [clearfix] ==== 왕길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왕길동}}}'''[br]旺吉洞 | Wangg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구 왕길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2826012000 || || '''관할 행정동''' || 오류왕길동 || || '''면적''' || 5.00㎢ || 조선조 중엽에 어느 풍류객이 이 마을을 '旺吉'이라고 작명하여야 이 마을에 덕(德)이 있고 생활이 풍요로울 것이라고 하여 '왕길' 마을이라 칭하게 되었다고 전한다. 왕길 또는 외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소왕길리, 안동포, 동사곶리를 병합하여 왕길리라 칭했다. 검단사거리의 서남쪽으로 [[검단사거리역]]과 [[왕길역]]이 이곳에 속한다. 이곳도 앞서 여러번 말한대로 금곡동, 마전동 일원과 함께 '''검단'''혹은 '''검단사거리'''로 통한다. 검단 먹거리타운과 롯데시네마가 있는 검단지역 최대의 상업지구이다. 다만 먹거리타운은 밤이 깊어지면 치안이 불안정한 곳이고, 롯데시네마는 관리가 되지 않아 멀리서 보면 폐건물과 다름이 없어 보인다. 특히 롯데시네마 건물은 [[2017년]]까지 검단사거리 맞은 편에 건설되던 중 건축이 중단되어 몇 년이나 흉측스럽게 방치됐었던 정곡빌딩과 함께 검단사거리의 경관을 해치는 주요 요인으로 평가된다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현재는 정곡빌딩이 완축되었다. KT검단지사와 검단지구대, 검단119안전센터가 있다. 검단에서 가장 오래된 종합병원인 온누리병원부터 검단사거리까지 완정로를 따라 수많은 개인의원이 들어서 있고, 완정로 너머엔 보건소가 있다. 관내에 인천왕길초등학교가 있다. 안동포사거리 동편 오류지구 남쪽으로 검단3도시개발사업구역과 왕길1도시개발사업구역이 지정 돼 있다. [clearfix] === 마전동 === ||<-2> '''[[서구(인천광역시)|{{{#000000,#dddddd 서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마전동}}}'''[br]麻田洞 | Majeon-dong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서구 || || '''행정표준코드''' || 3560199 || || '''관할 법정동''' || 마전동 || || '''하위 행정구역''' || 22통 125반 || || '''면적''' || 1.13㎢ || || '''인구''' || 21,978명[*A] || || '''인구밀도''' || 19,449.5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서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신동근]] ,,(재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5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순학 ,,(초선),, || ||<-2> '''서구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남원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용갑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영철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완정로10번길 14[* 마전동 1008-8] || || [[https://www.seo.incheon.kr/open_content/dong/?dong=majeon|마전동 행정복지센터]] || 2019년 11월 4일부터 당하동(행정동)에서 분동되었다. [[파일:마전동분동.jpg]] === [[아라동(인천)|아라동]] === [[검단신도시]] 입주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2021년 6월 1일부터 원당동(행정동)에서 분동되었다. == 관련 문서 == * [[검단신도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구, version=360)] [[분류:서구(인천)의 행정구역]][[분류:검단신도시]][[분류:출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