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폴아웃 시리즈/아이템]][[분류:폴아웃: 뉴 베가스/무기]][[분류:폴아웃 76/무기]] [목차] == 개요 == == [[폴아웃: 뉴 베가스|뉴 베가스]], 산업용 장갑 == [[파일:attachment/산업용 장갑/Industrial Hand.png|width=400]]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ndustrial_hand_icon.png|version=233ab29c7ada69e2e70c73eb4c9df92e]] ||풀 내구도 공격력 : 5 X 10 = 50 치명타 추가 공격력 : 40 연사력 : 3.2회/초 크리티컬 확률 배수 : 1배 무게 : 10 pound [[V.A.T.S.]] 소모 AP : 65 산탄도 : 0 내구도 : 1600 수리 가능 아이템 : 동종 무기 응급 수리 대응 아이템 : 격투 무기 요구 힘 : 7 요구 스킬 : 격투 75 가격 : 1600 캡 특수 능력 : '''DT와 DR 무시(엔진버그로 작동이 안됨)'''|| '''Industrial Hand''' [[폴아웃: 뉴 베가스]]의 마지막 DLC [[Lonesome Road]]에서 추가된 격투 무기. 모든 무기를 통틀어서 최강의 단일 대상 DPS를 가진 무기이다. 기본적으로 [[파워 피스트(폴아웃 시리즈)|파워 피스트]]이긴 한데, 마치 [[퀘이크 3 아레나]]의 건틀릿과 같이 장갑에 둥근 [[톱]]이 달려서 이 톱으로 상대를 공격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대전쟁 이전에는 원래 절단용 공구로 쓰였던 물건이라고 한다. 톱이라는 설정을 살려서인지 공격 시 다른 파워 피스트처럼 한대 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공격 버튼을 계속 유지하고 있으면 톱날 공격을 가한다. 폴아웃: 뉴 베가스의 모든 전기톱형 무기가 그렇듯이, DT와 DR을 무시한다. [[새터나이트 피스트|달군 새터나이트 피스트]]처럼 다양한 퍽을 적용받지도 않고, [[탄도 주먹]]처럼 한방의 위력이 강력해서 Heavy Handed 같은 재주로 큰 강화를 받을 여지도 없지만, 모든 격투 무기를 통틀어서 '''DPS가 가장 높다'''. [* 관련 퍽을 모두 적용한 상태 기준으로 331.2의 DPS를 가진다. 같은 조건에서 [[새터나이트 피스트|달군 새터나이트 피스트]]가 255.9, [[데스클로 건틀릿|어흥이의 주먹]]이 202.5니까 거의 독보적인 수준.][* 똑같이 DT/DR 무시 옵션을 가진 [[전기톱(폴아웃 시리즈)|전기톱]]이나 [[써믹 랜스]], [[리퍼(폴아웃 시리즈)|리퍼]]와 비교해봐도 이례적일 정도로 높은 공격력이다.] 대신 엔진 버그로 인해 DT/DR 무시가 적용되지 않아서 본래 위력이 나오려면 관통 일격 퍽을 필수로 찍어야 한다. 요구 스킬과 힘도 적절하며, 내구력도 높은 편이고 격투 무기 특성상 유지보수가 어렵지도 않기 때문에 [* 응급수리 퍽을 찍으면 모든 격투 무기는 상호 수리가 가능하다.] 사실상 무결점 무기라고도 볼 수 있다. 굳이 단점을 꼽아보자면 무게가 다소 무거운 편이며, 오로지 플레이어만이 사용 가능하고 [* 즉 [[베로니카 산탄젤로|세기말 격투소녀]]에게 이걸 줘서 [[무쌍난무]]를 펼칠 수는 없다는 이야기가 된다. 근데 어차피 연사형 근접무기는 NPC가 쓸 때에는 AI 특성상 높은 대미지를 기대할 수 없으니...], VATS를 사용할 수 없으며 [* VATS 사용 시 모션에 문제가 있어 휘두르기만 반복하고 대미지를 주지 못하는 버그가 있다.], 군단의 일격이나 레인저 테이크다운 같은 특수 격투 공격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 정도가 있지만 높은 DPS와 후술 할 높은 크리티컬 대미지의 장점이 워낙 확실한 관계로 위에 언급한 단점들이 큰 문제가 된다는 생각은 들지 않을 것이다. 만약에 관련 퍽을 다 찍은 상태라면, 웬만한 몹은 베리 하드 난이도에서도 가져다 대자마자 썰어버리는 엄청난 위력을 자랑한다. 그렇지 않고 죽이는데 시간이 좀 걸릴 정도로 스킬/퍽이 되지 않는다면 초근접으로 접근하는 특성상 상대의 근접 공격에 맞아서 공격이 끊기기도 하는데, 사실 이 무기를 얻을 때 정도 되면 이미 관련 퍽은 다 찍은 지 오래일 레벨일 것이므로 큰 상관은 없다. 이 위력의 비밀은 연사형 근접무기의 공격 방식 때문인데, 50이란 대미지를 1초당 3.2회 받는 게 아니라 50이란 대미지가 10번 쪼개져서 5씩 빠르게 10번 초당 3.2회씩 박는다는 것이다, 이것뿐만이면 별 차이 없지만 보통 근접 연사 무기는 저 공격 형식을 염려해서인지 공격 속도가 보통 1회/초에다가 크리티컬 대미지가 10분의 1 정도이다 쪼개진 횟수만큼 크리티컬 들어가는 횟수도 커지기 때문인데 이 무기는 사실상 초당 32번 히트하는 거나 다를 바 없고 크리티컬 대미지도 10분의 1 정도가 아닌 40이란 수치이기 때문에 크리티컬 관련 퍽을 찍을 때마다 엄청나게 강해지는 걸 볼 수 있다. 전타 크리티컬이 뜰 경우 초당 32*40=1280의 추가대미지를 입히며 향상된 치명타(Better Critical) 퍽과 죽다 살아났네(Just Lucky I'm Alive) 퍽이 있으면 1.5*1.5*1280=2880라는 미친 수준으로 강화가 가능하다. 참고로 그 다음으로 강한 어흥이의 주먹은 전타크리 기준 초당 437으로 독보적인 차이다. 물론 치명타 배율이 1배라 전타 크리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저런대미지는 줄수 없지만 여전히 정신나간 대미지인건 마찬가지. 다만 전기톱형 무기가 다 그렇듯이, 근접 무기지만 딱히 후려 패는 모션도 없을뿐더러 그냥 손을 내밀고 전진하는 게 다라서 탄도 주먹처럼 펑펑 터진다거나, 다른 파워 피스트 계열처럼 꽤 높은 충격량으로 죽을 때 멀리 날려 보내거나 하는 묵직한 느낌은 기대할 수 없다. 하드코어 모드에서는 주의해서 써야 한다. 배달부에게서 먼 곳을 지지는 써믹 랜스와 달리 배달부 바로 앞을 갈아버리기 때문에, 까딱하면 등 뒤에서 튀어나온 동료가 순식간에 갈려버리는 경우가 많다. DPS가 워낙 엄청나서 '아차!"하고 공격을 멈출 새도 없이 동료가 고깃덩어리가 되어버리기 일쑤이므로 조심스럽게 써야 한다. == [[폴아웃 76]] == [[파일:FO76WL_Gauntlet.png|width=400]] || 스폰 레벨 || 40/50 || || 종류 || 격투무기 || || 공격력 || 45/50 || || 공격속도 || 중간 || || 소모AP || 40 || || 무게 || 6.6 || || 가격 || 금괴 더미 x 250 || '''Gauntlet''' 설계도는 [[파운데이션(폴아웃 76)|파운데이션]]의 사무엘이 우호평판부터 판매하고 있다. 무기 자체 데미지는 게임내 모든 언암드 무기중 가장 높다. === 개조 목록 === || 톱날 부착 || 적중시 출혈 효과 || || 전기 충격 || 에너지 피해 추가 || 개조는 기본 옵션인 톱날과 전기 충격 개조 단 두개이다. 개조 부품이 많이 없는데다 방어구 관통 개조가 없는것이 아쉬운 부분. 다만 3레벨 기준으로 방어력을 75% 무시하는 절개퍽이 있기에 큰 단점은 아니며 오히려 언암드 무기중에서는 가장 깡뎀이 높은 무기이기 때문에 DPS는 높게 나오는 편. 게다가 생산에 전설적인 모듈이 2개 밖에 소모되지 않기에 다른 언암드 무기보다 좀 더 빨리 종결옵션을 셋팅할 수 있다. === 기타 === 전기충격 개조를 하게되면 뉴 베가스에 등장한 전기 충격 장갑과 비슷해지며 해당 개조는 게임상으로는 탄약을 소모하지는 않지만 실제로는 사용하는지 모델링상에는 에너지 셀이 붙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