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동무투전 G건담/등장 메카닉]][[분류:건담 타입]][[분류:2023년 HG 건프라]] [include(틀:G건담 주요 기체)] ||<-2> {{{#f9c139 '''GF13-009NF 건담 로즈[br]{{{-1 ガンダムローズ │ Gundam Rose}}}'''}}} || || [[파일:GF13-009NF 건담 로즈 설정화 전면.png|width=100%]] || [[파일:GF13-009NF 건담 로즈 설정화 후면.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제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형식번호''' || GF13-009NF || || '''형식''' || [[모빌파이터]] || || '''배치''' || F.C. 0059 || || '''설계''' ||<|3> [[프랑스|네오 프랑스]] || || '''제작''' || || '''소속''' || || '''파일럿''' || [[죠르쥬 드 샹드]] || || '''조종''' || 흉부 위치 콕피트, 코어 랜더 || || '''전고''' || 16.2m || || '''중량''' || 건조: 7.2 t[br]전비: 13.1 t || || '''동력''' || 초소형 핵융합로 || || '''장갑''' || 건다리움 합금 슈퍼 세라믹 복합제 || || '''장비''' || 모빌 트레이스 시스템 || || '''무장''' || 로제스 비트 {{{-2 (망토형 실드 수납)}}}[br]발칸 {{{-2 (두부 내장)}}}[br]슈발리에 사벨 {{{-2 (사이드 아머 좌측 수납)}}} || || '''디자이너''' || [[오오카와라 쿠니오]] ||}}}}}}}}} || [목차] == 개요 == [[기동무투전 G건담]]에 등장하는 네오 프랑스의 건담. 파일럿은 샹드가의 기사 [[죠르쥬 드 샹드]]. == 특징 == 독특한 형상의 머리와 실체검에 빔을 코팅해서 빔 사벨 / 실체검 양면으로 사용 가능한 슈발리에 사벨이 인상적이며 다른 건담의 사격무기 대신 로제스 비트라는 판넬 병기를 장비한다. 그의 필살기는 로제스 비트를 난사하는 로제스 스크리머. 이후 신 필살기인 로제스 허리케인은 기아나 고지에서의 고된 수련을 통해 완성했으나 갓 건담의 갓 슬래시 타이푼 한방에 우르르 박살난다. 참고로 이 로제스 비트는 사이코뮤나 유선식 같은 게 아닌 '''죠르쥬의 기합으로 컨트롤'''한다는 비범한 물건. 죠르쥬가 컨트롤 하지 않는 비활성 상태로도 로제스 비트를 직접 던져서 일종의 수류탄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상태에도 공격력이 충분해서 나중에 VS [[그랜드 건담]]전에서 총알이 떨어진 [[건담 맥스터]]가 기간틱 매그넘에 총알 대신 장탄하여 그랜드 건담의 머리를 박살내는 활약을 했다. 주인공 기체가 아님에도 주연 건담의 상징인 트리콜로 컬러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다만 알다시피 프랑스 국기도 파란색-흰색-빨간색의 트리콜로 컬러를 지니고 있기때문에 여기서 모티브를 얻었을 가능성도 매우 높다. 이러한 주인공 기체가 아님에도 트리콜로 컬러를 사용하는 건담이라는 요소는 후속작인 [[신기동전기 건담 W]]의 [[셴롱 건담]]으로 이어진다. == 작중 활약 == 첫 등장은 4화로 다른 건담과 대전 중에 도몬의 샤이닝 건담이 난입한다. 결투를 방해하는 무례한 자와는 싸우지 않겠다고 하지만 네오 프랑스의 공주가 자작 납치극을 벌이고 그 범인을 도몬으로 날조(...)한 까닭에 결국 대결하게 된다. 실력은 호각이었으나 무너져가던 [[에펠탑]]이 공주 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막다가 결국 패배하게 된다. 그렇지만 그걸 본 도몬은 일부러 머리를 파괴하지 않고 싸움을 물렸기 때문에 다시 참전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건담 파이트의 규칙상 두부(頭部)를 파괴당한 기체는 실격처리된다. 그러나 네오 아메리카의 희망이었던 치보데 크로켓의 [[건담 맥스터]]나 죠르쥬 드 상드의 건담 로즈는 그들의 사정을 고려한 도몬이 일부러 머리를 파괴하지 않았기 때문에 재참전이 가능했다. 이 외에도 도몬이 상대방의 사정을 배려해주는 장면이 종종 등장한다.] 이후에는 도몬과 함께 데스아미들을 상대하기도 하고 자신의 건담파이트를 계속해 나가며 한때 DG 세포에 감염되어서 도몬과 적대하기도 하지나 셔플동맹의 희생으로 DG 세포가 소멸. 2대 셔플동맹의 일원 잭 인 다이아가 된다. == 모형화 == === [[건프라]] === ==== [[건프라#무등급|무등급]] ==== || 박스아트 || [[파일:구판 1/144 건담 로즈 박스아트.jpg|width=100%]] || [[파일:구판 1/144 건담 로즈 하이퍼 모드 Ver. 박스아트.jpg|width=100%]] || || 상품구분 || '''일반판''' || '''하이퍼 모드''' || || 스케일 ||<-2> 1/144 || || 발매 || 1994년 5월 || 1995년 3월 || || 가격 || 500엔 || 700엔 || || 링크 || [[https://bandai-hobby.net/item/2444/|제품 페이지]] || || || 리뷰 || [include(틀:국내 건프라 리뷰 표시)] [[http://dalong.net/reviews/old/g04/g04.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 [include(틀:국내 건프라 리뷰 표시)] [[http://dalong.net/reviews/old/g14/g14.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 ==== [[하이 그레이드#High Grade Future Century|HG]]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GFC 건담 로즈 박스아트.jpg|width=100%]]}}} || ||<-2> 상품구분 || [include(틀: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표시)] || ||<-2> 브랜드 || [[하이 그레이드#HG Future Century|High Grade Future Century]] || ||<-2> 스케일 || 1/144 || ||<-2> 발매 || 2023년 2월 || ||<-2> 가격 || 2,650엔 || ||<-2> 링크 || [[https://p-bandai.jp/item/item-1000182906/|제품 페이지]] || ||<|2> 리[br]뷰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http://dalong.net/reviews/cg/cgh309/cgh309_p.htm|[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https://youtu.be/vHEORTxkaaM|[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 [[https://ura-nm-design.com/post-63863/|#1]] [[http://schizophonic9.com/re7/hgfc_rose.html|#2]] [[https://gunplapocchi.com/hgfc-gundam-rose/|#3]] [[http://gundamsblog.net/ガンプラ/hg-ガンダムローズ|#4]] || 2022년 11월 22일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상품으로 공개 및 수주를 시작했다. 전신의 복잡한 색분할 대부분을 파츠 분할로 재현했으며 코어 랜더 분리 기믹, 로제스 비트 기믹, 망토 전개 기믹까지 충실히 재현되어 있다. 게다가 비트를 전시할 수 있는 이펙트 파츠와 하늘색 클리어 액션베이스 5까지 동봉되어있는 매우 호화스러운 구성이다. 발매 시기가 늦은 만큼 상대적으로 높은 퀄리티로 상품화되어 RG 갓 건담과 전시할 때도 위화감이 적은 편이다.[[https://hobby.dengeki.com/news/1749338/3/|#]] 비록 프반 한정이라는 족쇄가 달려있긴 하나 G건담 팬들 입장에서는 '''나와주는 것만으로도 고마운 입장인데다''' 제품 퀄리티도 상당한 정성을 쏟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에 매우 호의적인 편이다. 발매 후 공개된 런너에서 "HG 1/144 G 건담 프레임1"라는 공용 런너가 확인되면서 추후 G 건담 시리즈의 건담들이 HGFC화되어 발매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실제로 '''기대에 보답하듯''' 2023년 11월에는 맥스터가 발매 될 예정이다. 이후에 발매된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PRETTY DERBY)|토카이 테이오]]의 프라모델과 색상 배치가 거의 일치하다 보니 다리와 케이프 장식만 바꿔 달아주는 믹싱 빌드 사례도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https://m.dcinside.com/board/gundam/1173154|#]] === [[완성형 건담|완성품]] === 후술할 액션 피규어 외에 가동 완구인 7.5인치 모빌파이터 시리즈도 발매되었다. ==== [[액션 피규어]] ==== ===== [[완성형 건담#MIA|MIA]] ===== * [[https://tamashiiweb.com/item/125|Mobile Suit In Action!! 건담 로즈]]: 2002년 7월 1일 발매, 가격 1,200엔.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크기=20)] Mobile Suit In Action!! 건담 로즈(하이퍼 모드): 2002년 발매, 가격 미상. * 배틀 대미지 버전도 존재한다. 웨더링이 되어있는데, 그랜드 건담과의 전투 당시의 대미지가 묘사 되어 있다. == 게임에서의 건담 로즈 ==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 G제네레이션 F에선 겉보기엔 잉여기체로 보인다. 슈발리에 사벨을 제외하면 MP먹고 MP에 따라 대미지가 약해지는 무장인 로제스 비트뿐인지라. 하지만 로제스 스크리머는 원하는 부분에서 십자범위내의 적의 EN을 소모시키는 병기로서 써먹기에 따라 매우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대신 그 전까지 써먹기는 힘들겠지만. [[슈퍼로봇대전 J]]에서도 등장. 여기서는 [[건담 맥스터]]와의 합체기로 [[그랜드 건담]]을 격파하던 에피소드였던 43화 당시의 그 장면이 구현되었다. 기술명은 로제스 매그넘 허리케인. [[슈퍼로봇대전 T]]에서 오랜만에 등장했으며, 조연기체 중에서도 비중이 낮다보니 전투 연출은 나쁘지않지만 G건담 패거리들 중에 유일하게 맵병기를 보유하고 있고, 맵병기 사거리도 적절한 편이라 개조와 능력치에 조금만 애정을 보태주면 격추수와 자금을 쓸고 다닐수 있다. 셔플동맹중에 고화력으로 무장한 [[갓 건담]]과 더불어 가장 사용하기 편한 유닛. ==== [[슈퍼로봇대전 A]] ==== * [[파일:SRW A Gundam Rose.png]] 건담 로즈는 원거리 공격 타입. 판넬류와 비슷한 사거리 3~6 의 로제스 비트(1700), 맵병기 사거리 1~5 의 로제스 스크리머(2000), 필살기로 사정거리 4~7 의 로제스 허리케인(2600) 이 있다. {{{#!folding 추가 설명 보기 (클릭하면 자세히 나옵니다.) * 로제스 비트는 판넬과 비슷한 무기지만, 특이하게도 격투 무기다. * 로제스 허리케인과 로제스 비트는 사정거리가 미묘한 관계(…)로 근접전은 P 무기, 슈발리에 빔 사벨(1500) 을 적극 활용하자. 발칸은 쓰레기라 선택의 여지가 없다. * 셋[* 남은 둘은 덴드로비움, 헤비암즈의 마이크로 미사일.]밖에 없는 범위 5 [[맵병기#s-5.4|착탄지정형]][[http://pds20.egloos.com/pds/202109/08/72/e0024272_6137c998c44e4.png|#]]의 맵병기 로제스 스크리머가 있어서 좋긴 한데, P 무기 아님 + 각성 없음 + 기력 올리기 어려움 + 낮은 이동력 + 낮은 명중률이라는 최악의 5단 콤보로 인해 쓰기가 어렵다. * 그래도 게임 초반부터 나오는 맵병기인지라 아래 시나리오에서 나름 동시격파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무기 개조는 필수. * 8화에서는 5명 중에서 1명이라도 격파되면 퇴각하는 [[군 젬]] 부대의 둘 이상을 격파할 수 있다.[* 군 젬 = 부스터 / 골 = 프로페런트 탱크S / 가난 = 리페어 킷 / 진 = 카트리지 / 리 스 민 = 비상식] * 지상 루트 10화와 화성 루트 33화에서는 둘 중 어느 한쪽이라도 격파되면 서로 합체하는 [[메가노이드]] [[쌍둥이]] 자매, 리사와 아이사를 합체 전에 맵병기로 동시에 격파할 수 있다. * 지상 루트 12화에서는 [[포우 무라사메|포우]]와 [[로자미아 바탐|로자미아]] 둘 중 한 명이라도 HP가 4500 이하가 되거나 격추되면 다른 한쪽도 퇴각하지만, 맵병기로 동시격추가 가능하다.[* 포우 = 하이브리드 아머 / 로자미아 = 대형 매거진] * 필살기인 로제스 허리케인(2600) 은 사거리가 4~7 로 매우 긴 대신, 셔플동맹 필살기 중 가장 약하다. 최소 사거리가 4라서 적이 조금만 접근해도 못 쓰는게 제일 큰 문제. * 셔플동맹 멤버 중 가장 키우기 힘든 유닛이다. 적진에 빠르게 달려가서 적들을 격파하는 걸 좋아하는 사람과는 맞지 않는 유닛. * AP 에선 건담 로즈의 풀개조 보너스가 '이동 후 모든 무기 사용 가능' 이라서 쓰기 매우 편해졌다.}}} || {{{#!folding [ 건담 로즈 상세 스펙 펼치기 · 접기 ] ||<-10> [[파일:SRW A Empty.png|width=675]] || ||<-2><|5> [[파일:SRW A Gundam Rose.png|width=170]] ||<-3> 기체명 || HP || EN || 운동성 || 장갑 || 한계 || ||<-3><|2> [[건담 로즈|건담 로즈S]][br](8화B[* 주인공이 지상에 남을 경우][br]{{{#red or}}} 13화) || 5500 || 180 || 110 || 1500 || 320 || || {{{#green 7500}}} || {{{#green 330}}} || {{{#green 160}}} || {{{#green 2750}}} || {{{#green 470}}} || ||<-2> 지형 || 이동력 || 파츠 || 사이즈 ||<-3> 특수능력 || ||<-2> 공- 육A 해A 우A || {{{#red 육6}}} || 2 || M || 합체 || [[파일:SRW A Sw.jpg|width=20]] || || ||<-2> 무기 || 공격력 || 사거리 || 명중 || 크리 || 잔탄 || EN || 기력 || 조건 || ||<|2> 사격 ||<|2> 발칸 P || 1000 ||<|2> 1 ~ 2 ||<|2> +30 ||<|2> {{{#red -20}}} ||<|2> 20 ||<|2> ||<|2> ||<|2> || || {{{#green 2250}}} || ||<|2> {{{#red 격투}}} ||<|2> 슈발리에 사벨 P || 1500 ||<|2> 1 ||<|2> +15 ||<|2> ||<|2> ||<|2> ||<|2> ||<|2> || || {{{#green 2750}}} || ||<|2> {{{#red 격투}}} ||<|2> 로제스 비트 || 1700 ||<|2> 3 ~ 6 ||<|2> +20 ||<|2> +10 ||<|2> 9 ||<|2> ||<|2> ||<|2> || || {{{#green 2950}}} || ||<|2> {{{#red 격투}}} ||<|2> 로제스 스크리머[br](M) || 2000 ||<|2> 1 ~ 5 ||<|2> ||<|2> +10 ||<|2> ||<|2> 60 ||<|2> 120 ||<|2> || || {{{#green 3250}}} || ||<|2> {{{#red 격투}}} ||<|2> 로제스 허리케인 || 2600 ||<|2> 4 ~ 7 ||<|2> +20 ||<|2> +20 ||<|2> ||<|2> 60 ||<|2> 120 ||<|2> [[슈퍼 모드]] || || {{{#green 5100}}} ||}}} || === [[/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건담 로즈/SD건담 캡슐파이터 온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