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巨大化'''}}} [목차] == 신체가 커지는 것 == [[울트라맨 시리즈]]를 제외하면 대개 실컷 [[관광]]탄 인간사이즈 [[괴인]]이 커지는 것이 주요 패턴. 그래봤자 [[슈퍼전대 시리즈|전대]] [[로봇]]이나 울트라맨에게 발린다. 이로 인해 [[사망 플래그]]의 일종(…)이 되어버렸다. [[봉신연의]] 코믹스판에서 [[양전]]이 '''"거대화한 시점에서 이미 패배"'''라는 명대사를 남겼다. [[개구리 중사 케로로]]에서도 거대화는 시대에 뒤떨어진 촌스러운 침략방법이라고 했다. 그리고 우주경비대에서도 50배 이상 거대화는 금지고 위반시 침략면허 정지의 처벌을 받는다. 그러나 [[왠지 등신같지만 멋있어|촌스럽지만 남자다운]] 침략방법이기도 하다. [[성전사 단바인]]에서는 오라력의 폭주로 인해 [[오라 배틀러]]가 거대화하는 '하이퍼화'라는 현상이 나오는데, 하이퍼화한 오라배틀러에 탄 파일럿은 거의 죽었기 때문에(제릴, 토드) 여기서도 사망플래그 취급. 이는 거대화가 등장하는 거의 모든 작품에 해당하는 [[클리셰]]다. 물론 [[진격의 거인]] 같은 예외도 있긴 하다. 하지만 여기도 정작 주인공이 거대화하면 패배라는게 함정. 이러한 취급의 이유는 대부분 궁지에 몰린 인물이 [[최후의 발악]]으로 일단 크기와 힘으로 상황을 엎어보자는 심산에서 거대화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물론 승리에 다가간 인물이 쐐기를 박기 위해 거대화를 하는 경우도 있으나, 플롯상 이러한 인물들은 결국 악역을 맡게 되어 패배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거대화=패배 공식이 성립된다. 또한 대부분의 작품은 무식하게 찍어누르는 전개보다는 전술과 지략으로 흥미롭게 싸우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에, 거대화한 인물은 곧 공략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거대화에는 온갖 부정적인 설정이 달리기 마련인데, 커지면 힘과 내구만 강해질 뿐 이성을 잃거나 속도가 느려지거나 피탄 면적이 넓어져서 안 맞을 공격까지 다 맞게 되는 등 각종 패널티를 달아놓는 경우가 많다. 난공불락의 거대 메카나 괴물조차 주인공들이 안에 침투하여 회로나 내장을 파괴해서 거대한 몸체와 힘이 무색하게 무너져버리는 것도 흔한 클리셰 중 하나이며, 대우가 많이 안 좋을 경우 거대화를 해봤자 여전히 상대에게 힘에서 밀려버리거나, 쐐기를 박으려고 거대화했는데 오히려 거대화 때문에 패배 플래그가 세워져버리는 전개도 있다. 거대화가 등장하는 대부분의 작품에서는 [[질량 보존의 법칙]]을 엿바꿔먹는 경우가 부지기수인데, 거대화 변신을 하면 [[풍선]]처럼 크기만 커지는 게 아니라 그에 걸맞게 물리적인 질량 역시 커지는 묘사가 대부분이다. 당장 거대화 변신으로 키가 100배 커졌다고 해도 거대화 변신 전과 무게가 동일하다면 툭 치면 쓰러지는 풍선 거인이나 다름없게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상기한 질량 보존은 뒷전으로 제쳐놓더라도 과학적으로 따졌을 때 크기가 N배 증가하면 부피는 N의 3제곱으로 증가하며 무게는 부피에 비례하지만, 뼈와 근육의 단면적은 N 제곱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거대화한 신체가 거대화하기 이전과 신체 구성 물질 및 밀도가 동일하다는 전제 하에서는 거대화로 증가한 체중을 견디지 못하여 붕괴한다. 이렇듯 거대화는 과학적으로 따지면 오류가 넘쳐날 수밖에 없는 부분이기에 대부분의 창작물에서는 초능력이라던가, 마력이라던가, [[오버 테크놀러지]]라는 각종 [[설정]]으로 설명한다. 나름대로 충실한 설정으로 이러한 과학적 오류를 메꾸어보려는 작품도 있으며, 아예 과학적으로 말이 안 되는 부분인만큼 상세한 설정 따위는 무시하고 관련 설정을 아예 언급하지 않는 작품도 있다. 과학적으로 말도 안 되는 것이 등장하는 비현실을 다룬 작품에서 현실 기준의 현실성을 따지는 것도 우습기 때문이다. 아니면 그냥 존재감/살기에 의한 환각으로 치부하던가. 특수촬영 기술의 관점에서 보자면, 거대화는 일종의 좋은 '''[[재활용]]''' 기법이다. 사람만한 크기의 히어로와 싸우던 [[괴인]]의 슈트를 그대로 "거대화 했다."는 설정으로 로봇 히어로와 싸우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초능력보다는 돌연변이에 가깝지만, 각종 화학 물질 오염이나 방사능 피폭의 여파로 원래는 크기가 작던 생물이 거대한 괴물로 바뀌는 클리셰도 있다. 물론 실제로는 가능성이 없는데, [[방사능 피폭]]의 경우, 이로 인한 거대화의 실제 사례는 전무하다. 거대화 능력자 중에는 신체 축소 능력도 동시에 갖고 있어서 몸 크기를 상황에 따라 자유자재로 만드는 경우도 있다. 또 귀여운 새끼 몬스터에서 성체로 변신하는 것도 거대화에 해당한다. [[거인녀]]의 경우 관련 [[성도착증]]도 있다. [[마크로필리아]] 참고. === 각종 매체에서의 거대화 === 실제로 거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풍선처럼 크기만 커지는 형태는 (★)표시. * '''[[울트라맨(종족)|울트라맨]]들'''[* [[울트라 세븐]] 이후로는 등신대 전투도 심심찮게 보이지만, 거대 히어로는 이제 울트라맨의 아이덴티티 그 자체라 더이상 빼놓고 설명할 수 없다. 단, [[ULTRAMAN(만화)]]은 제외.] * [[울트라맨]] - [[후지 아키코]](33화 한정) * [[신 울트라맨]] - 베타 시스템[* 이 영화 세계관에서의 거대화 수단. [[울트라맨(신 울트라맨)|울트라맨]]이 변신할때 쓰는 베타 캡슐뿐만 아니라 작중에서 거대화하는 외계인들은 베타 시스템을 쓴다.] * [[슈퍼전대 시리즈]]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괴인]]''' * [[닌자전대 카쿠레인저]] - [[세이카이(닌자전대 카쿠레인저)|세이카이]](7화 한정.) * [[성수전대 긴가맨]] - [[사야(성수전대 긴가맨)|사야]](39화 한정) * [[수리검전대 닌닌저]] - [[이가사키 타카하루]](26화 한정) * [[우주전대 큐레인저]] - [[사쿠마 코타로]](코구마 스카이베어)[* 오오쿠마 [[큐타마]]의 힘을 사용하여 거대화할 수 있다.] * [[가면라이더 J]] - [[가면라이더 J(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J]][* 쇼와,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 유일하게 거대화가 가능한 가면라이더이다.] *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 [[게임 에리어#s-6|에너지 아이템]] "거대화" 사용자[* 초 슈퍼히어로 대전에서 딱 한번 사용되었다. 본편에서도 [[가면라이더 크로노스]]가 사용하려 하였으나, [[가면라이더 패러독스]]의 아이템 강탈 능력에 의해 무산.] * [[가정교사 히트맨 REBORN!]] - [[필살염/속성#s-2.6|구름]] 속성의 [[필살염]] 사용자들.[* [[아이리스]]가 이끄는 사경대는 관절을 자유롭게 늘릴 수 있으며, 계승식편의 엑스트라 악역은 구름의 '증식'의 힘을 이용해 자신의 몸체를 키워 공격한 바 있다.] * [[갓핑크]] - [[핑크맨]], [[설귀]] 등 핑크맨의 얼굴 보유자. 단순히 크기만 커지는게 아니라 길이를 늘일 수도 있고 거인화도 가능하다. * [[강식장갑 가이버]] - [[가이버 기간틱]] xd(익시드), [[조아로드]] [[카브라일 칸]]-드래고닉 버스터 모드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쿠루루(개구리 중사 케로로)|쿠루루]]가 발명한 '플래시 스푼'으로 작중 인물 대부분이 거대화 가능[* [[울트라맨]]이 패러디 된다], [[케로로]]의 [[드래곤]]화 * [[갤럭시 엔젤]] - [[밀피유 사쿠라바]](갤럭시 앤젤 Z 4화 한정) * [[근육맨]] - [[쇼노 나츠코]](9화 한정) * [[기간트#s-4]] - 파피코, 미래에서 온 시간여행자들 * [[나루토]] - '''[[인주력]]들의 완전 [[미수]]화, [[영원한 만화경 사륜안]]을 개안한 [[우치하 일족]] 전원([[스사노오(나루토)|스사노오]])''', [[아키미치 일족]].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마운트 레이디]], [[리 디스트로]], [[켄도 이츠카]][* [[손]]만 키울 수 있다.], [[기간토마키아(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기간토마키아]], [[스피너(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스피너]] * [[다카포(게임)|다카포 애니메이션]] - [[미즈코시 모에]](18화 한정) * [[도타 2]] - [[언다잉(도타 2)|언다잉]]의 살덩이 골렘, [[오거 마법사]]의 피의 갈등에 걸린 유닛, [[타이니(도타 2)|타이니]]의 성장, [[테러블레이드]]의 탈바꿈, 칠흑왕의 지팡이의 사용 효과 * [[돗키리 닥터]] - [[코이즈미 미유키]](18화 한정) * [[동방 프로젝트]] - [[이부키 스이카]]의 '미싱 파워' 시리즈★[* 설정상으로는 밀도를 낮추어 거대화하는 것이기 때문에 질량은 그대로인 풍선 같은 상태이다. 물론(?) 2차 창작에서는 거의 무시되는 설정. 사실 정식 넘버링 인게임에서도 은근 질량병기처럼 묘사되곤 한다.], [[후타츠이와 마미조|가짜]] [[토요사토미미노 미코|미코]]의 '장난은 끝이다', [[스쿠나 신묘마루]]의 '네가 커져봐라[* 플레이어를 거대화시킨다.(=피탄판정을 늘린다)]' * [[드래곤]] 전원[* 정확히는 [[폴리모프]]로 인간으로 변신한 드래곤들이 본모습으로 돌아가는 것이지만...] * [[드래곤볼]] 시리즈 - [[사이어인|거대원숭이, 황금 거대원숭이]], [[피콜로(드래곤볼)|피콜로]][* 드래곤볼 초반 손오공과 천하제일 무술대회에서 싸웠을 때 이후로는 쓴 적이 없다. 사이어인들의 거대 원숭이화처럼 전투력이 상승하는 것도 아니고 딱히 이득이 없기 때문인듯.], [[슬러그]][* 피콜로와 같은 나메크 성인. 다만, 슬러그는 돌연변이여서 나메크 성인 전체가 거대화를 할 수 있는지는 불명.], [[안닌]][* 거신술을 사용해 거대화할 수 있다.], [[바이오 브로리]] * [[마계전기 디스가이아4|디스가이아4]] - 몬스터계 유닛 두 마리의 마도합체 * [[디아블로 3]] - [[벨리알(디아블로 시리즈)|벨리알]] *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 - [[아캄(데빌 메이 크라이)|아캄]][* 포스 엣지를 이용해 스파다의 외형으로 변한 다음, 거대화를 시전했다.], ~~버질~~ * [[록맨 X 시리즈]] -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 [[록맨 에그제 Axess]] - [[레이저맨.EXE]] * 루딕스[* [[서비스 종료]] 된 [[온라인 게임]]. 대놓고 거대화가 주요 시스템이였다.] - 거대화 스킬 * [[리그 오브 레전드]] - [[초가스]]의 포식, [[룰루(리그 오브 레전드)|룰루]]의 급성장, [[자크(리그 오브 레전드)|자크]][* 현재 체력 수치에 따라 크기가 커진다. 반대로 체력이 적으면 왜소화된다.], [[말파이트]][* 방어력 수치에 따라 크기가 커진다.], 아이템 '스테락의 도전'의 효과 * [[마다가스카의 펭귄]] - [[모트(마다가스카의 펭귄)|모트]] * [[마법선생 네기마!]] - [[에반젤린 A.K. 맥도웰]](2기 20화 한정) * [[마법소녀 육성계획]] restart - [[첼너 마우스]] * [[마법을 쓰고 싶어!]] - [[아이카와 아카네]](11, 12화 한정) * [[마법천자문]] - [[대마왕(마법천자문)|대마왕]], [[잔혹마왕]], [[손오공(마법천자문)|손오공]], [[암흑상제]] * [[마블 코믹스]] - [[골리앗(동음이의어)#s-2.1|빌 포스터]], [[리전(마블 코믹스)|리전]], [[앤트맨]], [[자이언트맨]], [[캐시 랭]] * [[마비노기]] - [[로나]], [[키홀(마비노기)|타키]] [[골렘(마비노기)|그라나이드]] [[플라잉 소드|인차토라]] [[붉은거미(RP)|마나]] [[마스 던전#s-2|프라우]] * [[몬스터vs에일리언]] - 수잔 머피 * [[무적강인 다이탄3]] - [[메가노이드]] 사령관의 '메가보그'화[* 메가보그 육체를 먼저 만들었다가 특수장치에서 에너지를 공급받는 방식이라 경우에 따라서 다시 줄어들 수도 있다.] * [[미카룬X]] - [[쿠지라오카 미카|미카 폼]], [[미나미 룬나|일본해 폼]] * [[매드니스 컴뱃]] - Mag Agent, [[오디터]] * [[발키리 드라이브 머메이드]] - 미니미 니미 * [[벤10 시리즈]][* 오리지널에서는 [[포암즈]]와 [[웨이 빅]]이 있었으며, 에일리언 포스부터 애당초 '''거대화가 가능한 [[휴먼가우소어]]'''가 등장, 이후 얼티메이트 에일리언에서는 웨이 빅이 [[얼티매트릭스]]를 통해 진화하는 바람에 키가 더 커지고, 옴니버스에서 한 에피소드에서 벤과 싸운 [[에일리언 X|셀레스탈사피엔]]이 거대화했다.] * [[부탁해! 마이멜로디]] - [[유메노 우타]](3기 33화 한정) * [[브리가둔 마린과 메란]] - [[키사라기 모에]](21화 한정) * [[블리치]] - [[코마무라 사진]][* 본인이 거대해지는 것이 아닌 자신의 '''무기'''가 거대해진다.(...)], [[아로니로 아루루에리]], [[치농 포우]], [[야미 리야르고]], [[쿠츠자와 기리코]], [[제라드 발키리]], [[그레미 투뮤]][* [[자라키 켄파치]]의 힘을 복사해서 켄파치와 같은 근육질의 거한이 되었지만, 몸이 켄파치 수준의 힘을 버티지 못하고 자멸했다.] * 빅X - 아키라[* 아사구모 박사의 손자이자 박사의 아들인 시게루의 아들. 아사구모 박사가 만든 약에 의해 거대화한다.] * [[사랑과 용기의 피그걸 톤데부링]] - 쿠로하 케이코(48화 한정) * [[사이퍼즈]] - [[포효의 브루스]] * [[살생님 Q!]] - [[하라 스미레]] * [[서유기]] - [[손오공]][* 이랑진군하고 우마왕을 상대할 때 거대한 모습으로 변했다.] * [[섬란 카구라 시리즈]] - [[히바리(섬란 카구라)|히바리]] * [[성전사 단바인]] - 하이퍼화★ * [[소닉 로스트 월드]] - [[육귀중#s-4.6|자보크]] * [[슈퍼 단간론파 2 -안녕히 절망학원-]] - [[에노시마 쥰코|스포일러]]★[* 진짜 거대화가 아니라 얼터에고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것이다.] * [[슈퍼 마리오 시리즈]] - '''[[쿠파]]'''[* 물론 직접 거대화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대부분 [[마귀(마리오 시리즈)|마귀]]에 의해서 거대화된다. RPG 3부터는 자신이 위기에 처했을 때 거대화한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 먹으면 거대화하는 아이템은 거대버섯과 기가벨인데, 이는 거대버섯이 등장하는 게임의 모든 플레이어블 캐릭터에 공통적으로 해당.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의 밸런스 붕괴를 초래하기도 했다. 거대버섯 하나로 최종보스 쿠파도 한 방에 보낼 수 있으니. 기가벨의 경우에는 [[거다이맥스]]와 유사하게 기존 고양이마리오에서 약간 변형된 모습인 기가고양이마리오로 거대화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만 퓨리쿠파를 상대할 수 있기도 하다.][* 그 외에 TVA인 [[Super Mario Bros. Super Show!]]와 [[The Adventures of Super Mario Bros. 3]]에도 쿠파와 마리오, 마리오와 [[쿠파 7인조]]가 거대해지는 연출이 나온다.] * [[시공탐정 겐시군]] - [[야마토 소라]](21화 한정) * [[신 구미호]] - [[구미호(신 구미호)|구미호]], [[이무기(신 구미호)|이무기]]를 비롯한 상급요괴 전원. * [[신만이 아는 세계]] - [[카스가 히노키]](10권, 11권 한정) * [[아이들의 장난감]] - [[쿠라타 사나]](90화 한정) * [[안녕 절망선생]] - [[키츠 치리]](2기 4화 한정) * [[어글리후드]] - [[어글리후드/등장인물#s-4.5|김엑스트라]] * [[엔드 오브 에반게리온]] - [[아야나미 레이]] * [[엘리먼트 헌터]] - [[렌 카라스]], [[키아라 피리나]](38화 한정) * [[엘프사냥꾼]] - 디알(3화 한정) * [[요시 아일랜드]] 시리즈 - 모든 보스들. * [[용신(게임)]] - 파워업 아이템으로 등장.[* 사용하면 약 10초 가량 1/6을 채울 만큼 거대해지면서 무적이 되고 특수한 샷이 나간다. [[파로디우스 시리즈]]에서도 유사하게 패러디되었으나, 해당 게임과는 다르게 거대화 상태에서는 공격을 할 수 없고 충돌로만 적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 [[우주에서 온 모자코]] - [[미나]](35화 한정) * [[원반황녀 왈큐레]] - [[하이드라(원반황녀 왈큐레)|하이드라]](2기 1화 한정) * [[원펀맨]] - '''[[마루고리]]''', [[백신맨]], [[심해왕]], [[아수라 카부토]] * [[원피스(만화)|원피스]] - [[겟코 모리아]], [[시저 클라운]], [[에넬]], [[몽키 D. 루피]][* 기어 3를 이용해 신체 부위 일부에 한정해서 거대화 가능.], [[토니토니 쵸파]], [[센고쿠(원피스)|센고쿠]], '''[[카이도]]''', 릴리 엔스토막[*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캐릭터로, 원래는 [[거인족]]이었으나 미니미니 열매를 먹고 작아져 버렸지만 잠시 본모습으로 돌아오는 것이 가능하다.][* PS2 게임인 라운드 더 랜드에서 나온 브류라는 거인족도 미니미니 열매를 먹어 몸을 줄일 수 있다.] * [[이누야샤]] - [[셋쇼마루]], [[키라라(이누야샤)|키라라]][* 동시에 비행능력을 지녀 날 수 있다.], [[개 대장]][* 정확히는 본모습으로 변하는 것이지만...]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앨리스]] * [[인크레더블 2]] - [[잭잭 파]] * [[재키찬 어드벤처]] - 제이드(시즌3 11화 한정) * [[쟈히님은 기죽지 않아!]] - 마왕, 저스티스 * [[절대무적 라이징오]] - [[이케다 레이코]](43화 한정) * [[쥬얼펫 시리즈]] - [[아사카 히나타]](쥬얼펫 선샤인 50화 한정) * [[지옥소녀]] - [[엔마 아이]](3기 14화 한정) * [[진격의 거인]] - [[아홉 거인]] * [[천원돌파 그렌라간]] - [[천원돌파]] * [[카드캡터 사쿠라]] - [[키노모토 사쿠라]][* The Big이라는 이름의 [[크로우 카드]]를 사용해 거대화할 수 있다.] * [[쿠베라]] - [[나스티카]], [[락샤사|라크샤사]]급의 [[수라(쿠베라)|수라]]들 전원, [[카사크 라조프]]를 포함한 [[브리트라]] 족 하프 전원 * 크리미 마미 VS 밍키모모 극장대결전 - 크리미 마미, [[밍키모모]] * [[터닝메카드]] - [[바벨(터닝메카드)]][* 필살기라 볼 수 있는 자이언트 프레스는 몸을 거대화시켜 상대를 짖밟는 기술이다.] * [[퇴마록]] - [[성난 큰곰]][* 강신술을 이용한 거대화.] * [[투 러브 트러블]] - [[키리사키 쿄코]](극장판 한정) * [[파로디우스 시리즈]] - 녹색 벨 * [[파워퍼프걸]] - [[그]](50년 후의 미래), [[모조조조]]([[파워퍼프걸 극장판|극장판]])[* [[케미컬X]]를 스스로 대량 투입하여 거대화. 문제는 '''거대화하고도 파워퍼프걸들보다 약해서 얻어터졌다.'''], [[파워퍼프걸(파워퍼프걸)|파워퍼프걸]][* 모조조조가 거대화 시킨 에피소드가 있다.] * [[팬티 & 스타킹 with 가터벨트 시리즈]] - [[아나키 스타킹]] * [[페어리 테일(만화)|페어리 테일]] - [[마카로프 드레아]], [[브랜디쉬 뮤]][* 축소도 가능하다.] * [[포켓몬스터]] - [[다이맥스]]와 이의 파생형인 거다이맥스★ * [[폭염의 용제]] - [[그레이슨 다카르]] *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 - [[제이크(어드벤처 타임)]] * [[하늘의 유실물]] 시계 태엽의 엔젤로이드 - [[미츠키 소하라]](초반 한정) * [[하이스쿨 D×D]] - [[수르트 세컨드]], [[라드라 브네]] * [[DC 코믹스]] - 엘라스티 걸, 자이겐타, [[아톰(DC 코믹스)|아톰]] * [[아치 코믹스|Archie's Weird Mysteries]] - 베로니카 롯지[* 고전영화 Attack of 50 Foot Woman의 패러디 에피소드. 베로니카가 딜턴의 발명품을 잘못 건드려 서서히 거대화되는데, 정작 본인은 자기는 항상 평소 그대로고 주변의 나머지 사람들과 환경이 바뀌는 거라고 믿어 화를 키웠다.] * [[MELTY BLOOD]] - [[토오노 아키하/구판|자이언트 아키하]] * [[Totally Spies]] - [[클로버(Totally Spies)|클로버]], [[맨디(Totally Spies)|맨디]](85화 한정) * [[THE 대미인]] - [[후타바 리호]] * [[UG☆얼티메이트 걸]] - [[코하루노 실크]], [[모로보시 츠보미]], [[오오토리 비비안]] * [[\#컴파스 전투섭리분석시스템]] - [[풋내기 용사]][* 크기가 커지는 것은 맞지만, 커진 크기도 작기 때문에 애매하다.], [[피에르 더 사깃꾼냐기 퍽키네티 랏라 라 러블리오라 드래곤액터 히데요시 맥시밀리엄 좋아해칼로리 뵤루른드 쫀뜩쫀득 마리오제 마르게리타 윌프레드 탱글 탱글프스키 77세|피에르 77세]] * ~~[[소울칼리버]] 시리즈 - 발바로스(소울칼리버의 힘으로 거대화), 아스타르소(소울칼리버4 엔딩에서 소울엣지의 힘으로 거대화)~~ * [[Fate 시리즈]] - [[폴 버니언(Fate 시리즈)|폴 버니언]], [[셋쇼인 키아라]], [[킹프로테아]] * [[SF 서유기 스타징가]](한국명 별나라 손오공) - [[잔 쿠고]][* 2기에서 추가된 능력. 반대로 축소도 가능해졌다.] == [[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 [include(틀:분즈 사이클)] || '''영어판 명칭''' || '''Giant Growth''' ||<|5>[[파일:Giant Growth.jpg]]|| || '''한글판 명칭''' || '''거대화''' || || '''마나비용''' || {{{#000 {G} }}}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순간마법 || ||<-2> 생물을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은 턴종료까지 +3/+3을 받는다. || 녹색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카드 중 하나로 순간마법인 점을 이용하여 전투시 약한 크리처로 상대방의 거대크리처를 때려잡거나 저지불가능한 크리처에 걸어주는 등(마나 하나로 3점을 깎는 셈이니) 여러가지로 쓸모 있어 생물싸움이 주가 되는 덱이면 필수로 들어가는 카드. 특히 [[독덱]]의 경우 사실상 무려 추가 3독을 먹이는게 가능하니, 이런 류의 증폭류 주문은 독덱에서 상당히 인기를 끌었다. 기본판 카드 이미지는 생쥐가 거대해지는 모습이었지만, Return to Ravnica에 재판된 버전은 거인으로 변한 사람의 그림자로 일러가 바뀌었다. Scars of Mirrodin때 감염 붙은 생물을 이용한 BG [[독덱]]에 등장해서 간만에 T2 컨스덱에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으나, 얼마 안되어서 카우-고 덱이 득세해서 좋다 말았다... 결국 [[Jace, the Mind Sculptor|제느님]]과 [[돌모루 신비주의자|미스틱]]은 T2 금지먹었지만. 분즈 사이클 카드 중에서는 유일하게 스탠에서 살아남으면서 가장 재판 빈도가 높은 카드이다.[* 치유약은 스탠에서도 써먹지 못할 구린 성능때문에 퇴출, [[어둠의 의식]]은 밸런스 조정과 함께 마나펌핑 포지션이 적색으로 옮겨지면서 퇴출, [[벼락]]은 그 엄청난 가성비와 하늘을 찌르는 채용률로 인해 M12를 마지막으로 더이상 사실상 스탠다드 퇴출 상태, 그리고 Ancestral recall은 [[파워 나인|설명이 필요없는...]]] M12에는 거대화가 1G 마나로 +4/+4 불리는 [[폭풍성장]]으로 대체되었다가, T2에서 Scars of Mirrodin 블럭이 로테이션 아웃되자 Return to Ravnica에서 재등장.~~독덱 견제?~~ ~~그런데 Magic 2013 때의 T2 환경에는 [[원한]]이 있는데...~~ 그리고 Magic 2015에서부터 다시 폭풍성장과 자리바꿈하며 퇴출되었다가 [[플레인즈워커 전쟁]]에서 또 재판되면서 이번엔 폭풍성장이랑 같이 사용할 수도 있게 되었다. 아래 항목의 [[판타지 마스터즈]]의 거대화와 많이 비슷하달까 이쪽이 오리지널. Planar Chaos에서는 적색버전인 Brute Force가 등장했다. (발비 R. 성능은 거대화와 완전히 같다) || '''영어판 명칭''' || '''Brute Force''' ||<|5>[[파일:external/www.cardkingdom.com/122032_1.jpg|width=230]]|| || '''한글판 명칭''' || '''-''' || || '''마나비용''' || {R}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순간마법 || ||<-2>생물 한 개를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은 턴종료까지 +3/+3을 받는다.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Planar Chaos || 커먼 || Invasion 블록의 Planeshift에는 Gaea's Might라는 변형이 있는데, 이쪽도 발비 G의 순간마법으로, 이쪽은 자신한테 있는 '기본 대지 종류'만큼의 공격력과 방어력을 올려준다. 즉 숲만 있을 때는 +1/+1밖에 안 되지만 5종의 기본대지를 다 갖췄을 때는([[듀얼 랜드]]류도 가능) +5/+5까지 가능하다. Shards of Alara 블록의 Conflux에 있는 Might of Alara도 Gaea's Might와 이름을 제외한 모든 것이 같다. || '''영어판 명칭''' || '''Gaea's Might''' ||<|5>[[파일:external/www.cardkingdom.com/47080_1.jpg|width=230]]|| || '''한글판 명칭''' || ''가이아의 힘'' || || '''마나비용''' || {G}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순간마법 || ||<-2>영토―생물을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은 턴종료까지 당신이 조종하는 기본 대지 유형 한 개당 +1/+1을 받는다.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Planeshift || 커먼 || ||<-2> [[도미나리아 유나이티드]] || 커먼 || || '''영어판 명칭''' || '''Might of Alara''' ||<|5>[[파일:external/www.cardkingdom.com/126371_1.jpg|width=230]]|| || '''한글판 명칭''' || '''-''' || || '''마나비용''' || {G}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순간마법 || ||<-2>Domain - 생물 한 개를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은 턴종료까지 당신이 조종하는 기본 대지 종류 만큼의 +1/+1을 받는다.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Conflux || 커먼 || New Phyrexia에서는 Mutagenic Growth라는 변형이 나왔는데, 발비가 피렉시안 마나로 바뀌어서 G 대신 생명점 2점을 지불해도 쓸 수 있지만 능력도 약화되었다. (+2/+2로) || '''영어판 명칭''' || '''Mutagenic Growth''' ||<|5>[[파일:external/www.cardkingdom.com/184292_1.jpg|width=230]]|| || '''한글판 명칭''' || '''-''' || || '''마나비용''' || {P|G} ||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 || 순간마법 || ||<-2>({P|G}는 G나 생명점 2점 중 어느 쪽으로도 지불할 수 있다) 생물 한 개를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은 턴종료까지 +2/+2을 받는다. || ||<-2> '''[[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 || '''희귀도''' || ||<-2> New Phyrexia || 커먼 || == [[판타지 마스터즈]]에서 거대화 == [[파일:/pmf/200810/10/12/e0040412_48ee9d8448324.jpg]] 숲 언커먼 마법. 필드에 올라가잇는 자기 1,2레벨(=위니) 유닛 전체가 적용대상이다. 1, 2렙 위니의 AP와 HP를 2배로 뻥튀기 시킨다. [[킬러픽시]]한테 적용되면 최소 AP6이상의 방어무시 직접 데미지가 되고, 2렙 커먼 [[팬더]]가 적용되면 노코인 HP가 무려 10. 공격력이 3이상인 유닛이 있다면 공턴에 쓸만하고, 체 적당히 높은 위니 2마리만 있어도 방턴은 안심. 적용대상이 위니인지라, 위니만 한가득 넣어 빠른 장악을 노리는 덱에서 자주 쓰이기도 한다. 여기까지는 그냥 평범한 1턴용 카드에 불과하지만, 이 카드의 무서운 점은 '아이템' 이 박힌 상황에서도 곱하기가 된다는 것. 일반적으로 언커먼 아이템카드 거목의뿌리와 같이 사용된다. ## http://211.233.57.195/FM_image/fm/Shop/CardMarket/L_images/I136L.jpg 마찬가지로 숲덱 1렙 위니 '자이언아메바' 와 같이 사용되면, 공3, 방2, 체5 에다가, 앞코인 확률 5% 추가에 *2가 되니 기본적으로 공6 방4 체10이 되고, 코인 한번 제대로 떠주면 공18 방12 체30의 괴물이 탄생한다. == [[유희왕]]에서의 거대화 == [[거대화(유희왕)]] 문서 참조. == [[하스스톤]]에서의 거대화 == [[드루이드(하스스톤)/카드일람/2019년]] 문서의 3.3.1 문단 참조. [[분류:초능력]][[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매직 2014 코어 세트]][[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Scars of Mirrodin]][[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Shards of Ala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