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과학의 범위)] [목차] == 개요 == Big Science 막대한 예산, 인원, 자원이 들어가는 과학기술 개발 연구/프로젝트이다. 일개 연구소에서 다루기에는 어림도 없으며 최소 국가급 이상의 예산지원과 수많은 연구소 및 단체가 협력을 통해 비로소 달성할 수 있는 연구이다. == 상세 == 해당 연구 및 계획이 완료되면, 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꾸거나 해당 인프라를 두고두고 써먹으면서 종극적으로는 실 생활에서도 영향이 갈 만큼 중요하다. 그러나 높은 예산과 인적자원, 무엇보다 진행되는 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에 인내심이 바닥난 정치권에 의해서 취소 되는 경우가 많고, 나라의 경제가 어려워 먹고살기 힘들면 추진되기 힘들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높은 예산으로 인해 현재는 국가 하나도 감당하기 어려워 국제 공동으로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바로 가시성 있는 성과와 수익성까지 나오는 경우 일개 회사가 추진하는 경우도 있다. 가령 [[상업 승무원 수송 프로그램]]이나 [[위성 통신 시스템]] 처럼 일개 회사가 우주개발에도 뛰어드는 경우가 있다. 또한 기술의 발달로 더이상 거대과학으로 분류되지 않는 과학도 있다. 가령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같은 생물의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는 과거엔 슈퍼컴퓨터가 동원되고 수많은 생물학자들이 달라붙어 노가다식 반복작업으로 수행했으나, 현재는 일반 대학교 랩실 하나에서 수행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해졌다. 가시거리 내 천문관측도 중세까지는 국가주도의 사업으로 행하거나 거부, 종교기관이 막대한 자금을 들여서 수행했으나 지금은 개인이 30만원 짜리 [[망원경]] 하나로도 할 수 있을만큼 간편해졌다. 과학기술 분야에 전문성을 갖추지 않은 일반인, 심지어 어느 정도의 전문성이 있더라도 해당 거대과학과 직접 연관이 없는 분야를 다루는 사람들은 특정 거대과학의 내용을 이해하기 매우 어렵다. 더 나아가 특정 거대과학에 직접 참여하는 사람이라도 그 거대과학의 전모를 모두 파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대한 유명한 사례가 아폴로 우주비행사 [[켄 매팅리]]의 일화이다. 계속되는 훈련 도중, 켄 매팅리는 발사 타워 상층부에 가게 되었다. 그는 거기서 어떤 패널을 담당하는 기술자와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는데, 대화 중에 그 기술자는 "나는 [[새턴 로켓|이 로켓]]이 몇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엄청난 양의 연료가 어떻게 지구 중력에서 탈출하는 힘을 만들어 내는지, 항행 시스템이 어떻게 우주선을 달로 인도하는지 전혀 모른다" 라는 말을 했다. 켄 매팅리는 당연하게도, 아폴로 계획의 핵심 부서에서 일하는 기술자가 이런것도 모르나? 라는 생각을 하며 불안해하고 있었다. 켄 매팅리는 바로 그 기술자들이 발사하는 거대한 불덩어리 로켓을 타고 우주로 날라가야 하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바로 그때, 그 기술자는 "(아폴로 계획의 다른건 모르지만) 내 앞에 있는 이 패널은 전적으로 자기 책임이며, 패널 안에 들어간 전자부품들을 완전히 이해하고 완벽하게 작동시키는 것이 내 일이다. 최소한 아폴로 계획이 내가 맡은 패널 때문에 실패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라고 켄 매팅리에게 장담했다. 바로 이 에피소드는 거대과학의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줌과 동시에, 아폴로 계획에 종사했던 수많은 종사자들이 자신의 업무에 얼마나 뛰어난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나타내는 사례이다. 이상, 리처드 와이즈먼, 우리는 달에 가기로 했다, 리더스북, p. 163. 참조.] == 해당되는 연구 == * 각종 군사 기술 전반 * 각국의 [[미사일 방어 체제|탄도탄, 위성 방어체계]] * 각국의 [[핵개발]] * [[맨해튼 계획]] * [[소련의 핵개발]] * [[영국의 핵개발]] * [[프랑스의 핵개발]] * [[중국의 핵개발]] * [[인도의 핵개발]] * [[파키스탄의 핵개발]] * [[스웨덴의 핵개발]] * [[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 - 지역항법이 아닌 전지구적 위성항법 체계만 포함 * [[GPS]] * [[글로나스]] * [[갈릴레오]] * [[유인우주선|유인 우주 탐사/개발]] * [[아폴로 계획]] * [[소유즈 계획]] * [[아르테미스 계획]] * [[우주정거장]] * [[국제우주정거장]] * [[루나 게이트웨이]] * [[우주 탐사]]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 [[거대 마젤란 망원경]] * [[TMT]] * [[E-ELT]] * [[대형 망원경 프로그램]] * [[전파 망원경]] * [[중력파]] [[천문학]](Gravitational-wave astronomy) * [[LIGO]] * [[KAGRA]] * [[Virgo]] * [[인간 두뇌 프로젝트]](Human Brain Project) *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 [[슈퍼컴퓨터]] * [[데이터 센터]] * [[해저 케이블]] * [[위성 통신 시스템]] * [[핵물리학]]과 [[입자물리학]] * [[가속기]] * 양성자 가속기 * [[LHC]] * FCC - 유럽에서 진행중인 [[LHC]] 4배 규모의 입자가속기, 28조원이 소요되어 2040년까지 완성할 계획이다. * CEPC - 중국에서 진행중인 [[LHC]] 4배 규모의 입자가속기. * 중이온 가속기 * [[RAON(중이온가속기)]] * [[핵융합]] 실험 및 [[핵융합 발전]] * [[ITER]] * [[KSTAR]] * [[이스트|EAST]] * 중성미자 검출기 * [[중성미자#s-5|아이스큐브]] - 미국의 세계최대 중성미자 검출기 * [[중성미자#s-5|아이스큐브 2]] - 2023년 완공시 세계최대 중성미자 검출기겸 천체망원경 * [[중성미자#s-5|바이칼-GDV]] - 현재 세계에서 2번째, 확장시 세계최대 중성미자 검출기겸 천체망원경 * [[카미오칸데]](カミオカンデ) * [[슈퍼 카미오칸데]] * [[하이퍼 카미오칸데]] : 일본의 차세대 중성미자 검출기 * [[벨 실험]] * 거대 [[레이저]] 시설([[핵융합]], 재료과학, 군사실험 등 여러 물리실험을 위한 대규모 레이저 시설) * NIF(National Ignition Facility) - 미국의 500테라와트급 대규모 레이저 시설 * ELI(Extreme Light Infrastructure) - 유럽연합의 대규모 레이저 시설 * LIL(Laser Integration Line) - 프랑스의 거대 규모 레이저 시설 * XCELS(Exawatt Center for Extreme Light Studies) - 러시아의 엑사와트급 대규모 레이저 시설 * LFEX(Laser for Fast Ignition Experiment) - 일본의 페타와트급 거대 규모 레이저 시설 * SULF(Superintense Ultrafast Laser Facility) - 중국의 거대 규모 레이저 시설 == 실패하거나 중단된 연구 == * [[오가스]] - 1960년대 컴퓨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정부24|전자정부]]/[[인터넷 쇼핑|전자상거래]] 체계, 당시 컴퓨터 기술의 한계로 취소되었다. * 초전도 초대형 입자가속기(SSC) - 텍사스에서 1993년부터 [[LHC]] 두배 크기로 제작중이던 입자가속기, 예산이 110억 달러나 들어 미국 물리학자들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취소되었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2/11/2009121100096.html|#]] * [[바이오스피어 2]] - 생태연구로 고립된 환경을 구현하고자 했지만 실패했다. 국가나 기업도 아니고 개인이 주도한거라 예산문제로 금방 중단되었다. * [[니고연구]] * [[우란프로옉트]] [[분류:거대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