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성 갤럭시 Z 시리즈)] ||<-2> [br] {{{#000,#fff {{{+5 '''Galaxy Z Fold4''' }}}}}} [br] {{{#000,#fff {{{-3 '''SM-F936''' }}}}}} [br] {{{#333,#e5e5e5 {{{-1 '''제각각 플레이'''}}}}}}[br]{{{#333,#e5e5e5 {{{-1 '''Unfold your world'''}}}}}} [br] [br] || ||<-2>[[파일:SM_F936_Black-Beige_SMP.png|width=100%]]|| || {{{#959595 '''팬텀 블랙'''}}} || {{{#AFA484 '''베이지'''}}} || ||<-2>[[파일:SM_F936_Green-Burgundy_SMP.png|width=100%]]|| || {{{#959595 '''그레이 그린'''}}} || {{{#644d57 '''버건디'''}}}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간단 사양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프로세서''' || 퀄컴 스냅드래곤 8+ Gen 1 SM8475 || ||<-2> '''디스플레이''' || [메인] 7.6인치 2176 × 1812 New Infinity Flex Display (374ppi) [커버] 6.2인치 23.1:9 비율 2316 × 904 Infinity-O Display (402ppi) || ||<|3> '''카메라''' || '''커버 카메라''' || 1,000만 화소 || || '''전면 카메라''' || 400만 화소 || || '''후면 카메라''' || [초광각] 1,200만 화소 [광각] OIS 지원 5,000만 화소 슈퍼 스피드 듀얼 픽셀 [망원] 1,000만 화소 || ||<|2> '''메모리''' || '''RAM''' || 12 GB LPDDR5 SDRAM || || '''내장 메모리''' || 256 GB / 512 GB / 1 TB UFS 3.1 규격 || ||<-2> '''배터리''' || 내장형 Li-Ion 4,400mAh || }}}}}}}}} || ||<-2> [[https://www.samsung.com/sec/smartphones/galaxy-z-fold4/|{{{#fff 한국 삼성전자 SM-F936N 공식 사이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삼성전자]]에서 [[2022년]] [[8월 10일]]에 공개한 [[갤럭시 Z 시리즈]]의 4번째 인폴딩 [[폴더블 스마트폰]]이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2>[[퀄컴 스냅드래곤/8 라인업#s-2.2|퀄컴 스냅드래곤 8+ Gen 1 SM8475]] Platform.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 [[CPU]] ||[[ARM big.LITTLE]] - [[DynamIQ]]↓ || ||[[ARM Cortex-X 시리즈#s-3.1|Qualcomm Kryo]] Prime MP1 3.19 GHz + [[ARM Cortex-A 시리즈#s-4.2.1|Qualcomm Kryo]] Gold MP3 2.75 GHz + [[ARM Cortex-A 시리즈#s-4.1.1|Qualcomm Kryo]] Silver MP4 2.02 GHz || || [[GPU]] ||[[퀄컴 Adreno]] 730 900 MHz || || NPU & DSP ||[[퀄컴]] Hexagon 780 || || Sensor Hub || - || || 통신 모뎀 ||[[퀄컴 스냅드래곤/통신 모뎀 솔루션#s-2.4.7|Qualcomm Snapdragon X65 5G Modem]] ||}}}}}} || ||[[메모리]]||<-2>12 GB LPDDR5 SDRAM, 256 / 512 GB / 1 TB [[UFS]] 3.1 규격 내장 메모리 ||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2>{{{#!folding [ 메인 디스플레이 정보 ] ||7.6인치 (192.1 mm) 6:5 비율 [[해상도/목록|2176 × 1812]] New Infinity [[Infinity Flex Display]] (374 ppi)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삼성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라운드 다이아몬드 픽셀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Dynamic [[AMOLED]] 2X [[Infinity Flex Display]] (M12 유기재료) || || 부가정보 ||1-120 Hz 가변형 주사율, [[HDR]]10+ 지원, [[Ultra Thin Glass]] ||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와콤 입력 모듈 || }}}{{{#!folding [ 커버 디스플레이 정보 ] ||6.2인치 (157.3 mm) 23.1:9 비율 [[해상도/목록|2316 × 904]] [[펀치홀 디스플레이|Infinity-O Display]] (402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삼성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 참고로 [[삼성디스플레이]] 뉴스룸에서는 파란색 1개, 빨간색 1개, 초록색 2개를 하나의 서브픽셀로 취급한다.] || || 패널정보 ||Dynamic [[AMOLED]] 2X (M12 유기재료)|| || 부가정보 ||48-120 Hz 가변형 주사율, [[고릴라 글래스]] 빅터스+ ||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 ||[[네트워크]]||<-2>{{{#!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5G Network ] [[NR]] Sub-6 TDD[br]SA & NSA 방식}}}}}}{{{#!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캐리어 어그리게이션|-7CA]] Cat.20·18 FDD & [[LTE-TDD|T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WCDMA|UMTS & HSDPA & HSUPA]] & [[HSPA+]][br]↓42.2·↑5.76 Mbp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384 Kbps[br]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2>[[Wi-Fi]] [[802.11b|1]]/[[802.11a|2]]/[[802.11g|3]]/[[Wi-Fi 4|4]]/[[Wi-Fi 5|5]]/[[Wi-Fi 6|6]]/[[Wi-Fi 6|6E]], [[블루투스]] 5.2 / [[aptX]] Codec, [[NFC]] Type [[ISO/IEC 14443|A/B]], [[삼성 페이|MST]], [[UWB]]|| ||위성항법||<-2>[[GPS|GPS & A-GPS]], [[GLONASS]], [[Galileo]], [[Beidou]], [[QZSS]]|| ||[[카메라]]||<-2>{{{#!folding [ 전면/커버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전면(UDC) || 400만 화소 ||F/1.8 || 80°|| ||커버 || 1,000만 화소||F/2.2 || 85°|| }}}{{{#!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트리플 렌즈 구성 ] ||기본 ||[[OIS]] 지원 || 5,000만 화소|| 슈퍼 스피드 듀얼 픽셀|| [[위상차 검출 AF]]||F/1.8 || 85°||<|3>[[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초광각 || || 1,200만 화소|| || [[위상차 검출 AF]]||F/2.2 || 123°|| ||3배 망원 ||[[OIS]] 지원 || 1,000만 화소|| || [[위상차 검출 AF]]||F/2.4 || 36°||}}}|| ||[[배터리]]||<-2>내장형 Li-Ion 4,400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삼성전자]] [[Super Fast Charging]] (25W) [[USB PD|USB Power Delivery]] 3.0 (25W)[br][[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15W) [[퀄컴 퀵 차지]] 2.0 (15W) || ||<|2> 무선[br]충전 || 고속 ||[[삼성전자]] [[Fast Wireless Charging]] 2.0 (15W)[br][[삼성전자]] [[Fast Wireless Charging]] (10W) || || 일반 ||Qi (WPC -.-.-) (5W)[br]AirFuel -.- (-W) ||}}}}}}|| ||[[운영체제]]||<-2>[[안드로이드 12L]] → [[안드로이드 13|13]][br]Samsung [[One UI]] 4.1.1 → 5.0 → 5.1 → 5.1.1 || ||<|2>규격||67.1 × 155.1 × 15.8-14.2 mm (접힌 상태)||<|2>263 g|| ||130.1 × 155.1 × 6.3 mm (펼친 상태)|| ||색상[* 제품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2>'''베이지''', '''그레이 그린''', '''팬텀 블랙''', '''버건디'''[*C [[삼성닷컴]] 단독 컬러 모델에 한함.] || ||단자정보||<-2>[[USB 3.2 Gen 1x1]] [[USB Type-C|Type-C]] x 1 || ||생체인식||<-2>[[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br]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 ||기타||<-2>[[eSIM]] 연계 듀얼심 지원, [[AKG]] 튜닝 및 [[Dolby Atmos]] 기술 탑재, [[IP등급|IPX8]] 등급 [[방수]] 지원, 4,096 필압(레벨) 틸트 인식 [[S펜]] 지원, [[FM#s-2]] [[라디오]] 지원[*A FM라디오 모듈이 내장된 별도의 [[USB Type-C]] 이어폰을 연결해야 한다.]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기타 탑재 센서 정보 ] ||가속도, 기압, 자이로, 지자기, 홀, RGB 광, 근접 ||}}}}}}|| ||<-3> '''한국 내수용 이외 모델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SoC|프로세서]] ||<-2>[[퀄컴 스냅드래곤/8 라인업#s-2.2|퀄컴 스냅드래곤 8+ Gen 1 SM8475]] Platform.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 [[CPU]] ||[[ARM big.LITTLE]] - [[DynamIQ]]↓ || ||[[ARM Cortex-X 시리즈#s-3.1|Qualcomm Kryo]] Prime MP1 3.19 GHz + [[ARM Cortex-A 시리즈#s-4.2.1|Qualcomm Kryo]] Gold MP3 2.75 GHz + [[ARM Cortex-A 시리즈#s-4.1.1|Qualcomm Kryo]] Silver MP4 2.02 GHz || || [[GPU]] ||[[퀄컴 Adreno]] 730 900 MHz || || NPU & DSP ||[[퀄컴]] Hexagon 780 || || Sensor Hub || - || || 통신 모뎀 ||[[퀄컴 스냅드래곤/통신 모뎀 솔루션#s-2.4.7|Qualcomm Snapdragon X65 5G Modem]] ||}}}}}} || ||[[메모리]] ||<-2>12 GB LPDDR5 SDRAM, 256 / 512 GB / 1 TB [[UFS]] 3.1 규격 내장 메모리 ||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 ||<-2>{{{#!folding [ 메인 디스플레이 정보 ] ||7.6인치 (192.1mm) 6:5 비율 [[해상도/목록|2176 × 1812]] New Infinity | [[Infinity Flex Display]] (374 ppi)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삼성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라운드 다이아몬드 픽셀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Dynamic [[AMOLED]] 2X [[Infinity Flex Display]] (M12 유기재료) || || 부가정보 ||1-120 Hz 가변형 주사율, [[HDR]]10+ 지원, [[Ultra Thin Glass]] ||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와콤 입력 모듈 || }}}{{{#!folding [ 커버 디스플레이 정보 ] ||6.2인치 (157.3 mm) 23.1:9 비율 [[해상도/목록|2316 × 904]] [[펀치홀 디스플레이|Infinity-O Display]] (402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삼성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Dynamic [[AMOLED]] 2X (M12 유기재료) || || 부가정보 ||48-120 Hz 가변형 주사율, [[고릴라 글래스]] 빅터스+ ||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 || ||[[네트워크]] ||<-2>{{{#!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5G Network ] [[NR]] Sub-6 TDD[br]NSA&SA 방식[br][[NR]] [[mmWave]] TDD[br]SA & NSA 방식[* 일부 모델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캐리어 어그리게이션|-7CA]] Cat.20·18 FDD & [[LTE-TDD|T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WCDMA|UMTS & HSDPA & HSUPA]] & [[HSPA+]][br]↓42.2·↑5.76 Mbp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384 Kbps[br]음성 통신 지원}}}}}} || ||근접통신 ||<-2>[[Wi-Fi]] [[802.11b|1]]/[[802.11a|2]]/[[802.11g|3]]/[[Wi-Fi 4|4]]/[[Wi-Fi 5|5]]/[[Wi-Fi 6|6]]/[[Wi-Fi 6|6E]], [[블루투스]] 5.2 / [[aptX]] Codec, [[NFC]] Type [[ISO/IEC 14443|A/B]]/[[FeliCa|F]][* F는 일부 지역 한정 지원], [[UWB]] || ||위성항법 ||<-2>[[GPS|GPS & A-GPS]], [[GLONASS]], [[Galileo]], [[Beidou]], [[QZSS]] || ||[[카메라]] ||<-2>{{{#!folding [ 전면/커버 카메라 정보 - 듀얼 렌즈 구성 ] ||전면(UDC) || 400만 화소 ||F/1.8 || 80°|| ||커버 || 1,000만 화소||F/2.2 || 85°|| }}}{{{#!folding [ 후면 카메라 정보 - 트리플 렌즈 구성 ] ||기본 ||[[OIS]] 지원 || 5,000만 화소|| 슈퍼 스피드 듀얼 픽셀|| [[위상차 검출 AF]]||F/1.8 || 85°||<|3>[[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초광각 || || 1,200만 화소|| || [[위상차 검출 AF]]||F/2.2 || 123°|| ||3배 망원 ||[[OIS]] 지원 || 1,000만 화소|| || [[위상차 검출 AF]]||F/2.4 || 36°||}}} || ||[[배터리]] ||<-2>내장형 Li-Ion 4,400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삼성전자]] [[Super Fast Charging]] (25W) [[USB PD|USB Power Delivery]] 3.0 (25W)[br][[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15W) [[퀄컴 퀵 차지]] 2.0 (15W) || ||<|2> 무선[br]충전 || 고속 ||[[삼성전자]] [[Fast Wireless Charging]] 2.0 (15W)[br][[삼성전자]] [[Fast Wireless Charging]] (10W) || || 일반 ||[[Qi]] (WPC -.-.-) (5W)[br]AirFuel -.- (-W) ||}}}}}} || ||[[운영체제]] ||<-2>[[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12L → 13 [br]Samsung [[One UI]] 4.1.1 → 5.0 → 5.1 || ||<|2>규격 ||67.1 × 155.1 × 15.8-14.2 mm (접힌 상태) ||<|2>263 g || ||130.1 × 155.1 × 6.3 mm (펼친 상태) || ||색상[* 제품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2>'''베이지, 그레이 그린, 팬텀 블랙, 버건디[*C]''' || ||단자정보 ||<-2>[[USB 3.2 Gen 1x1]] [[USB Type-C|Type-C]] x 1 || ||생체인식 ||<-2>[[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br]얼굴인식 - 전면 카메라 인식 방식 || ||기타 ||<-2>[[eSIM]] 연계 듀얼심 지원, [[AKG]] 튜닝 및 [[Dolby Atmos]] 기술 탑재, [[IP등급|IPX8]] 등급 [[방수]] 지원, 4,096 필압(레벨) 틸트 인식 [[S펜]] 지원, [[FM#s-2]] [[라디오]] 지원[*A]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기타 탑재 센서 정보 ] ||가속도, 기압, 자이로, 지자기, 홀, RGB 광, 근접 ||}}}}}} || }}}}}}}}} || }}} == 상세 == 2019년 [[갤럭시 폴드]]를 시작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종인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탑재[* 폴더형 [[스마트폰]]을 [[스마트폴더]]라 지칭하듯 시장에서는 [[폴더블 스마트폰]]이라 표현되고 있다.]한 [[삼성전자]]의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시리즈인 [[갤럭시 Z 시리즈]] 소속 스마트폰이다. 한국 시각으로 2022년 8월 10일 오후 10시에 [[삼성 갤럭시 언팩/2020년 이후#s-5.3|삼성 갤럭시 언팩 2022]]에서 공개되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전작인 [[갤럭시 Z 폴드3]]를 베이스로 하되 기존 디자인을 다듬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인폴딩 구조로 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접혀 있다. 이는 [[갤럭시 폴드]]와 동일하며 실제로 폼팩터 자체는 [[갤럭시 폴드]]를 따르고 있다. 특히, 내부 디스플레이는 전작과 동일하게 [[펀치홀 디스플레이|펀치홀 디자인]]을 적용하지 않은 채 우측 패널 상단 정중앙에 [[UDC|디스플레이 아래에 카메라를 넣어]] 뉴 [[인피니티 디스플레이]](New-Infinity Display)를 적용했다. 기본 색상은 팬텀 블랙, 베이지, 그레이 그린, 버건디 총 4종이다. 사양은 AP로 [[퀄컴 스냅드래곤/8 라인업#s-2.2|퀄컴 스냅드래곤 8+ Gen 1 SM8475]]를 사용한다. [[ARM Cortex-X2]] 싱글코어 [[CPU]]를 빅 클러스터로 구성하고 [[ARM Cortex-A710]] 트리플코어 [[CPU]]를 미드 클러스터로 구성하며 [[ARM Cortex-A510]] 쿼드코어 [[CPU]]를 리틀 클러스터로 구성해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DynamIQ]] 방식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퀄컴 Adreno]] 730 [[GPU]]를 사용한다. 생산 공정은 [[TSMC]]의 4nm FinFET (EUV) 공정이다. [[RAM]]은 LPDDR5 SDRAM 방식이며 12 GB 단일 용량이다. 내장 메모리는 [[UFS]] 3.1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저장공간은 256 GB, 512 GB, 그리고 1 TB으로 삼원화되었다. 이는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으로는 최초로 1 TB 내장 메모리를 탑재한 것이다. 다만, micro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불가능하다. 메인 디스플레이는 7.6인치 6:5 비율의 Dynamic [[AMOLED]] 2X 방식의 [[Infinity Flex Display]]이다.[* 4:3 비율인 [[해상도/목록|QXGA]] 해상도에 비해 가로와 세로가 확장된 해상도로, [[삼성전자]]는 이를 [[해상도/목록|QXGA+]]라고 명명해서 홍보하고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위해 개발된 초박형 구조의 유리 소재인 [[Ultra Thin Glass]] 강화 유리를 적용했다. 또한, 저전력 [[LTPO 디스플레이|LTPO]] 기술을 사용해 1Hz부터 최대 120Hz까지 자동으로 조절되는 가변식 주사율과 240Hz의 터치 샘플링 레이트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HDR10+]]를 지원하며 디스플레이의 색조 표현력이 크게 향상되어 [[DCI-P3]] 색역을 만족한다. 커버 디스플레이는 6.2인치 23.1:9 비율 2316 × 904 해상도의 Dynamic [[AMOLED]] 2X 패널로 48Hz부터 최대 120Hz까지 자동으로 조절되는 가변식 주사율과 240Hz의 터치 샘플링 레이트를 제공한다. 지원 이동통신의 경우, 3GPP의 Rel.15를 만족하는 [[NR]]과 [[LTE]] Cat.24 모델이 있다. 모바일 AP에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뎀이 내장형으로 적용되었으며 [[퀄컴 스냅드래곤/통신 모뎀 솔루션#s-2.4.7|퀄컴 스냅드래곤 x65 모뎀]]이 모바일 AP에 탑재되었다. 6GHz 이하 주파수 대역 기준으로 최대 다운로드 속도 및 최대 업로드 속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초고주파 대역 기준으로 다운로드는 최대 10Gbps를 보장하고 최대 업로드 속도는 최대 알려지지 않았다.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과 초고주파 대역을 동시에 지원하거나 둘 중 하나를 취사선택해 지원한다. 그리고 [[LTE]]가 보조해줘야 사용이 가능한 NSA 방식과 [[LTE]]의 보조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SA 방식을 동시에 지원한다. 전자는 지원 LTE 레벨은 Cat.24로 다운로드는 최대 3Gbps를 보장하고 업로드는 최대 422Mbps를 보장한다. 근접통신으로 Wi-Fi는 [[Wi-Fi]] 1/3/[[802.11n|4]]/[[Wi-Fi 6|6]]을 2.4GHz 주파수에서 지원하고 [[Wi-Fi]] 2/[[802.11n|4]]/[[802.11ac|5]]/[[Wi-Fi 6|6]]을 5GHz 주파수에서 지원한다. 추가적으로 6GHz 주파수를 지원하는 [[Wi-Fi 6|Wi-Fi 6E]]를 지원한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4,400 mAh이다. 또한, USB Power Delivery 3.0 규격 기반인 삼성전자 [[Super Fast Charging]] 규격, 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규격, 퀄컴 퀵 차지 2.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그리고 Qi 규격과 AirFuel 규격의 자기유도 방식인 무선충전 기술 및 삼성전자 [[Fast Wireless Charging]] 규격의 자기유도 방식인 [[고속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특히, 기기 자체가 무선충전기가 되어 다른 기기에 무선충전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무선 배터리 공유 기능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삼성 아이소셀]] S5KGN3 센서의 5000만 화소 [[카메라]]를 85도의 화각으로 설정한 기본 카메라로 탑재하고 별도로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삼성 아이소셀]] S5K3K1 센서를 1000만 화소 [[카메라]]로 크롭하여[* 3K1 센서는 11MP CIS] 36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망원 카메라로 탑재하며 [[소니 엑스모어]] RS IMX258 센서를 1200만 화소 [[카메라]]로 크롭해서 123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초광각 카메라로 탑재하여 이 셋으로 트리플 렌즈를 구성했다. 그리고 AF 트래킹을 지원하고 기본 카메라는 "슈퍼 스피드 듀얼 픽셀" 기술을 활용한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하며 망원 카메라도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전면 [[카메라]]는 [[소니 엑스모어]] IMX374 센서의 1000만 화소 [[카메라]]를 85도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또한, 조리개값은 F/2.2이다. 여기에 내부 카메라가 별도로 탑재되었는데 [[소니 엑스모어]] IMX471 센서의 400만 화소 [[카메라]]를 80도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또한, 조리개값은 F/1.8이다. [[USB Type-C]] 입출력 단자는 [[USB 3.2 Gen 1x1]] 이며 3.5mm 단자가 존재하지 않으며 사운드 출력도 USB 단자가 대신한다. 또한 [[갤럭시 S22]] 라인업에 적용된 신규 X축 [[진동 모터]]가 폴드4를 시작으로 Z 폴드 시리즈에도 확대 적용된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측면 전원 버튼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방수/방진 등급은 플립과 함께 전작처럼 IPX8 등급을 지원한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12L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12.1.0이다. == 기능 == * 모션 및 제스처 * 화면 관련 들어서 화면 켜기, 두 번 눌러 화면 켜기, 스마트 스테이[* 전면 카메라를 사용해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동안 화면이 자동으로 꺼지지 않는 기능이다.], 두 번 눌러 화면 끄기 * 기타 스마트 알림, 간편 무음 전환, 손으로 밀어서 캡쳐, 밀어서 전화 또는 메시지 발신 * [[삼성 월렛]] (대한민국에는 [[삼성 페이]] 업데이트로 적용) [[삼성 페이]]에서 제공하는 디지털화된 개인 정보, 결제 정보, 자산을 관리하는 앱 지갑 플랫폼이다. 신분증, 신용카드, 디지털 ID, 학생증, 차 키, 영화 티켓, 비행기 티켓 등을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된 정보를 [[삼성 KNOX|삼성 Knox]]가 제공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보안 솔루션을 통해 보호한다. 갤럭시 Z 폴드4는 메인 스크린을 닫은 상태에서도 커버 스크린을 통해 결제를 할 수 있다. * 자연스러운 색상 모드(자동 컬러 매니지먼트) 표시되는 콘텐츠에 따라 DCI-P3 색역과 sRGB 색역 중 하나에 맞춰서 정확한 색상 표현이 가능해졌다.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파일:Galaxy Z Fold4_Fingerprint sensor on the side key.webp|width=100%]]}}}|| || '''갤럭시 Z 폴드4의 [[삼성전자/생체인식|지문인식]] 센서(측면 버튼)''' || * [[삼성전자/생체인식|지문인식]] 센서 측면 전원 버튼에 있는 지문 인식으로 잠금을 해제하거나 [[삼성 페이]], [[삼성 패스]], 금융 서비스, 그 밖에도 많은 인증에 쓸 수 있다. * [[Always On Display]]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황에서도 시계나 [[삼성 캘린더]], 전화 그리고 메시지 등 삼성전자가 기본적으로 내장한 [[삼성전자의 앱|애플리케이션]]의 알림을 디스플레이에 띄워둘 수 있다. 주변 밝기에 따라 표시된 시계의 밝기도 바뀐다. 번인 현상 방지를 위해 송출된 화면이 1분마다 1픽셀씩 이동하며 1시간 주기로 무작위의 위치로 움직인다. * [[Bixby]] [[삼성전자]]의 인공지능 비서이다. * [[RAM Plus]] 스마트폰 내부 저장 용량을 사용하여 2/4/6/8GB 램[* One UI 4.1 부터 Ram Plus 용량을 8GB까지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게 된다.]을 압축 파티션으로 확보해서 가상 메모리를 추가로 확보해준다. * [[eSIM]]을 이용한 [[듀얼 SIM]] 지원 장착된 물리 [[SIM]]과는 별도로 [[eSIM]]를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두 회선을 번갈아 사용 가능하다. === [[갤럭시 에코시스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갤럭시 에코시스템)] * [[퀵 쉐어]] (Quick Share) Wi-Fi Direct의 개선 기능으로 해당 기능을 지원하는 갤럭시와 파일 공유를 빠르게 할 수 있다. * [[다른 기기로 자동 전환]] [[갤럭시 버즈 시리즈]]의 [[오토 스위치]]를 통해 여러 갤럭시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한 태스크가 발생하는 갤럭시에 [[갤럭시 버즈 시리즈|갤럭시 버즈]]를 자동으로 바꿔 연결해서 쓸 수 있다. * [[다른 기기에서도 전화/문자하기]] [[갤럭시 에코시스템]]에서 다른 갤럭시에서도 전화나 문자를 받고 보낼 수 있는 기능이다. * 다른 기기에서 앱 이어서 사용 [[갤럭시 에코시스템]]에서 앱의 최근 실행 앱을 삼성 계정을 거쳐서 다른 갤럭시에도 공유하는 기능이다. 갤럭시의 [[삼성 갤럭시/스마트폰|폰]]과 [[갤럭시 탭 시리즈|탭]] 사이에 최근 앱을 이어서 쓸 수 있다. [[삼성 갤럭시/스마트폰|폰]]과 [[삼성 갤럭시/스마트폰|폰]], [[갤럭시 탭 시리즈|탭]]과 [[갤럭시 탭 시리즈|탭]] 사이도 가능하다. * Windows와 연결 [[One UI]]의 Link to Windows(Windows와 연결)와 [[One UI Book]], Windows의 Link to Phone(휴대폰과 연결)을 통해서 무선(Wi-Fi, 블루투스) 또는 유선으로 휴대전화/태블릿을 연결해서 PC상에서 휴대전화의 파일을 드래그해서 가져올 수 있고, 모바일 앱을 미러링할수도 있다. * [[삼성 DeX]] 여러 갤럭시 사이에 유무선 연결로 화면을 연결하거나 파일을 공유한다. 화면 연결은 미러링 방식과 디스플레이 확장 방식을 지원한다. 디스플레이를 송출할 수 있는 모니터나 TV에도 화면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된 화면에서 [[삼성 갤럭시]]를 PC 본체로 활용하여 일반 PC와 비슷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 * [[SmartView]] [[삼성 갤럭시]]를 옆면에 갖다대면 [[SmartThings]]의 SmartView와 연결되어 자동 페어링이 되어서, [[삼성 갤럭시]]의 화면을 미러링하여 볼 수 있다. NFC 기능이 있는 [[삼성 갤럭시]]에서 사용할 수 있고, HDMI 케이블이 없어도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Galaxy Wearable]] * [[SmartThings]] 전자기기를 통합 관리해 스마트 홈을 구축하는 IoT 플랫폼이다. [[삼성전자]]가 출시한 스마트 TV, [[패밀리허브]]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등 여러 제품을 지원하고, 다른 회사의 제품도 연결 가능하다. * [[SmartThings Find]] [[갤럭시 에코시스템]]에 있는 모든 [[삼성 갤럭시]]를 [[SmartThings Find#갤럭시 파인드 네트워크|갤럭시 파인드 네트워크]](Galaxy Find Network)에 연결해서 갤럭시끼리의 로컬 통신이 이뤄지게 하여 갤럭시들 사이의 위치 정보를 자체적으로 동기화한다. 갤럭시들이 주변 탐색을 도와줘서, 나의 갤럭시를 찾아낼 수 있다. === 폴더블 디스플레이 === * App continuity 커버 디스플레이로 구동하던 애플리케이션을 기기를 펼치면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 [[Ultra Thin Glass]] (UTG) 강화유리 기반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소재이다. 갤럭시 Z 폴드4에는 크기 192.1 mm[* 메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직각화해 측정한 크기는 192.1 mm이며, 직각화하지 않고 측정한 크기는 188.6 mm.[[https://www.samsung.com/sec/smartphones/galaxy-z-fold4/#disclaimer2|#]]]의 더욱 개선된 [[Ultra Thin Glass]]가 겹겹이 들어갔다. ==== [[Flex Mode]]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lex Mode)] [[Flex Mode]]를 지원한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Z 플립4]]와 갤럭시 Z 폴드4의 출시에 맞춰 메타, 구글 등의 회사와 협업하여 다음과 같은 앱에 [[Flex Mode]]가 더 들어가게 되었다. 삼성전자는 [[Flex Mode]]를 쓰는 카메라 앱과 거기서 비롯되는 사용자 경험을 '''Flex Cam'''으로 정의하고 있다. * 넷플릭스 * 인스타그램 * 페이스북 * 페이스북 메신저 * 왓츠앱 * 크롬 * 구글 미츠 ==== [[프리스탑 힌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프리스탑 힌지)]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파일:기어식힌지.gif|width=100%]]}}}|| || '''Original gear-based construction'''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파일:새로운힌지.gif|width=100%]]}}}|| || '''Newly designed slim hinge''' || 갤럭시 Z 폴드4는 [[갤럭시 폴드]]부터 [[갤럭시 Z 폴드3]]까지 사용됐던 경첩은 기어 부품을 사용해 서로 맞물리는 구조였지만 갤럭시 Z 폴드4부터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장치가 기어 대신 들어가도록 구조가 변경됐다. 구조가 변경됨으로써 [[경첩]]이 더욱 얇아졌다. === 카메라 === * 커진 픽셀의 크기 픽셀의 크기를 1㎛에서 1.8㎛로 키워 카메라 렌즈로부터 더 많은 데이터를 받아들여 후처리 프로세싱을 할 수 있다. 어두울 때에도 사진의 디테일이 좋아진다. ||<-2>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파일:Under Panel Camera Plus(UPC Plus).png|width=100%]]}}}|| ||<-2>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파일:UPC Plus.png|width=100%]]}}}|| ||<:>'''갤럭시 Z 폴드3의 UDC'''||<:>'''갤럭시 Z 폴드4의 UDC'''|| * Under Panel Camera Plus(UPC Plus) 갤럭시 Z 폴드4에 적용된 UPC Plus 기술을 통해 픽셀배열을 변경해 실질적으로 해상도가 1.4배 향상되는 효과를 얻었다 * [[Expert RAW]] ==== 나이토그래피 ==== 나이토그래피(Nightography)는 저조도 환경에서의 사진 품질 개선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이다. 사진 촬영 시, 멀티프레임 프로세싱을 통해 연속으로 이미지를 촬영하여 문제가 발생한 사진을 제외한 나머지 사진을 합성하여 선명하게 만들어준다. 여기에 AI 기반 ISP 알고리즘을 통해 사진 내 사물인식을 하여 모양, 색, 디테일을 개선한다. 동영상 촬영 시, OIS와 VDIS를 동시에 이용하여 프레임 하나하나 당 듀얼 트랙 이미지 안정화를 통해 최적의 보정 값을 찾아낸다. 여기에 주변광의 미세한 변화에 따라 가변 프레임을 적용하여 카메라 노출 값을 늘리고 줄인다. 특히, 영상 프레임이 24fps 아래로 떨어지면, 좋은 품질의 프레임을 찾아내어 최대 12개까지 합성한다. 왜곡을 보정하고, 저조도에서 밝고 선명하며 부드러운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 친환경 소재 적용(Galaxy for the Planet) === ||
{{{#!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파일:Galaxy Z Flip4_Galaxy for the Planet.jpg|width=100%]]}}}{{{#!wiki style="margin-bottom: -5px; margin-left: -10px; margin-right: -10px; margin-top: -5px" [[파일:Galaxy Z Fold4_Galaxy for the Planet_Eco friendly meterials.jpg|width=100%]]}}}|| [[삼성전자#친환경 정책|삼성전자의 친환경 정책]]인 'Galaxy for the Planet'에 따라, 친환경 소재가 적용되어 있다. * 폐어망 소재를 약 20% 함유한 재활용 소재가 볼륨/측면(전원) 버튼 안쪽 지지대 역할을 하는 키 브래킷(key bracket)과 디스플레이 커넥터 캡에 적용되었다. * 포스트 컨슈머 재료, 즉, 소비자가 제품을 쓰고 난 후, 더 이상 쓰기가 불가능해졌을 때의 폐기물을 재활용한 소재가 위쪽 스피커 모듈과 전원 및 볼륨 키 내부, 브라켓 연결부에 적용되었다. * 100% 재활용 용지가 박스 패키징과 포장재에 적용되었다. * 패키지의 부피를 [[갤럭시 폴드]]과 비교해서 52.8% 줄였다. 제품 운송 중의 탄소 배출량이 한 해에 약 1만톤 이상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 PCM, 바이오 기반 물질 등 국제 안전 인증기관인 UL이 인증한 친환경 소재가 모든 커버 케이스에 적용되었다. == 주변 기기 및 액세서리 == === [[삼성전자/액세서리 목록|액세서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삼성전자/액세서리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QEX4AhziTs,width=700,height=400)]}}} || || '''Galaxy Z Fold4: Introducing Galaxy Z Fold4 Cases ǀ Samsung''' || == 출시 == === 한국 시장 === 기기 공개와 동시에 [[삼성닷컴]]에 [[https://www.samsung.com/sec/smartphones/galaxy-z-fold4/|마이크로 사이트]]가 개설되었다. 해당 사이트를 통해 한국 시장에는 기본 색상인 팬텀 블랙, 그레이 그린, 베이지 총 3종의 색상이 출시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https://news.samsung.com/kr/%ec%82%bc%ec%84%b1%ec%a0%84%ec%9e%90-%ea%b0%a4%eb%9f%ad%ec%8b%9c-z-%ed%94%8c%eb%a6%bd4%c2%b7%ea%b0%a4%eb%9f%ad%ec%8b%9c-z-%ed%8f%b4%eb%93%9c4-%ec%a0%84%ea%b2%a9-%ea%b3%b5%ea%b0%9c|출고가]]는 256GB 내장 메모리 모델이 [[갤럭시 Z 폴드3|전작]]과 동결된 199만 8천700원, 512GB 내장 메모리 모델은 전작보다 소폭 상승하여 211만 7천700원으로 책정되었다. 이번에 처음 출시되는 1TB 내장 메모리 모델은 236만 1700원으로 책정되었다. === 한국 시장 이외 === == 특별판 모델 == === 갤럭시 Z 폴드4 [[Juun. J]] 에디션 === [[파일:갤럭시 Z 폴드 4 juun.j 에디션.webp|width=700px&align=center]] 출고가는 2,198,700원으로 책정되었다. 구성품은 갤럭시 Z 폴드 4 팬텀 블랙 256GB, [[Juun. J]] 가죽 케이스, [[Juun. J]] 테마 쿠폰, 펜 파우치와 멀티백으로 구성했다. 해당 폰을 구매한 사람들에게는 JUUN.J 테마를 준다.[* 구매하면 패키지 내에 있는 쿠폰 코드를 이용해 받을 수 있다.] === 갤럭시 Z 폴드4 국가대표 에디션 === [[파일:z폴드4국대.jpg|width=700px&align=center]] 9월 19일, [[KT]]와 [[대한축구협회]]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카타르 월드컵]]을 기념하여 대표팀을 응원하기 위해 콜라보한 모델로, 총 50대 한정판매한다. 출고가는 2,750,000원으로 책정되었다. 구성품은 갤럭시 Z 폴드4 베이지 512GB, [[갤럭시 워치5 프로]] 그레이 티타늄 45mm, 친필 사인 유니폼, 카메룬전 1등석 티켓 2매, KFA 디자인 케이스, 워치 스트랩, KFA 디자인 레디백, 스티커 팩, 전용 테마와 워치 페이스로 구성했다. === 갤럭시 Z 폴드4 [[원신]] 에디션 === [[파일:갤럭시 Z 폴드4 원신 에디션.jpg|width=700px&align=center]] [[G-STAR]] 2022 기념으로 게임 [[원신]]과 콜라보한 [[감우]] 에디션이 공개되었다. [[https://m.ruliweb.com/news/board/1004/read/2220636?|#]] [[HoYoverse]] 부스 이벤트 참가자 몇명에게 무료 증정되었으며, 이후 2022년 12월 21일부터 2023년 1월 3일까지 [[Galaxy Store]] 모바일 이벤트샵에서 한정판매한다. 12월 21일 오후 12시 갤럭시 스토어에서 한정판매 오픈 직후 서버가 마비되었으며, 14분만에 준비된 재고 물량이 모두 소진되어 [[https://www.etnews.com/20221221000228|완판]]됐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안드로이드 12L을 기본으로 탑재한 [[스마트폰]]이며 안드로이드 8.0 오레오의 기능 중 하나인 [[Treble]]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다. [[삼성전자]]는 기기 출시상 분류에 맞춰서 소프트웨어 지원 내역을 공개하고 있다. 기기명이 아닌 기기 출시상 분류를 따르는 이유는 동일한 기기명을 가진 단일 모델을 공급한다 하더라도 유통 과정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구분을 할 수 있게 조치해뒀기 때문이다.[* 이는 [[Apple|애플]]이나 [[LG전자]] 등 다른 제조사들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각 기기의 박스 패키징에 부착된 시리얼 넘버를 확인하지 않는 이상 [[Apple|애플]]과 [[LG전자]]는 일반 사용자가 평상시에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삼성전자]]는 기기 고객지원 사이트의 URL에서 차이점을 찾아 구분할 수 있다.] ||
[[https://doc.samsungmobile.com/SM-F936N/KOO/doc.html|단말기 자급제]] || [[https://doc.samsungmobile.com/SM-F936N/SKC/doc.html|SK텔레콤]] || [[https://doc.samsungmobile.com/SM-F936N/KTC/doc.html|KT]] || [[https://doc.samsungmobile.com/SM-F936N/LUC/doc.html|LG U+]] || ==== [[안드로이드 12|12]] 마이너 업데이트 ==== 정식 출시 이전인 2022년 8월 2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안드로이드 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2이며 빌드 번호는 AVHH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2년 7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단말기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2년 8월 30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안드로이드 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2이며 빌드 번호는 AVHI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2년 7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2년 9월 2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안드로이드 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2이며 빌드 번호는 AVIA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2년 9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블루투스 연결, WiFi, 화면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2년 10월 19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안드로이드 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2이며 빌드 번호는 AVJ5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2년 10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실험실 세부 메뉴에 '플렉스 모드 패널'을 켜거나 끌 수 있는 선택 가능 버튼이 추가되었으며 단말 동작 및 보안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2년 10월 31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안드로이드 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2이며 빌드 번호는 AVJ7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2년 10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단말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 [[안드로이드 13|13]] ==== 2022년 10월 18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안드로이드 13 베타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삼성 멤버스를 통해 대상자를 선착순으로 신청받았고, OTA 방식으로만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Samsung One UI 5의 베타 테스트 역시 동시에 진행된다. 2022년 10월 26일, 삼성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삼성 멤버스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One UI 5 업그레이드가 2022년 11월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2022년 11월 17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안드로이드 13, One UI 5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3이며 빌드 번호는 BVK5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2년 11월 1일이다. 2022년 12월 15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안드로이드 1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3이며 빌드 번호는 BVL9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2년 12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단말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 및 보안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2년 12월 29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KT 모델에 대해 안드로이드 1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3이며 빌드 번호는 BVL9로 이전 업데이트와 동일하고 기저대역 버전만 BVL1에서 BVL9로 업데이트 되었다. 또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2년 12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단말 동작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이후 2023년 1월 5일, 단말기 자급제, SK텔레콤, LGU+ 모델에 대해서도 동일한 내용의 업데이트가 배포되었다. 2023년 2월 13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One UI 5.1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3이며 빌드 번호는 CWB1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3년 2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갤럭시 S23]] 시리즈에 최초로 적용된 One UI 5.1 기능 다수가 추가되었으나 누끼따기 등 일부 기능은 추가되지 않았다. 2023년 4월 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안드로이드 1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3이며 빌드 번호는 CWCC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3년 4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누끼따기 기능이 추가돠는 등 카메라 및 갤러리 기능이 개선되었고 단말 동작 및 보안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3년 6월 1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안드로이드 1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3이며 빌드 번호는 CWE6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3년 6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긴급 SOS 사용성이 향상되었고 단말 동작 및 보안 관련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3년 8월 2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F936N의 [[One UI 5.1.1]]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3이며 빌드 번호는 DWH5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23년 8월 1일이다. === [[One UI 베타 프로그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One UI 베타 프로그램)] ==== [[One UI 5 베타 프로그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One UI 5 베타 프로그램)] ===== [[One UI 5 베타 프로그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One UI 5 베타 프로그램)] ===== [[One UI 5.1.1 베타 프로그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One UI 5.1.1 베타 프로그램)] ==== [[One UI 6 베타 프로그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One UI 6 베타 프로그램)] == 충전 기술 지원 == [include(틀:Super Fast Charging)] [include(틀:Adaptive Fast Charging)] [include(틀:Fast Wireless Charging 2.0)] [include(틀:Fast Wireless Charging)] * [[Super Fast Charging]] * [[Adaptive Fast Charging]] * [[Fast Wireless Charging#Fast Wireless Charging 2.0|Fast Wireless Charging 2.0]] * [[Fast Wireless Charging]] == 평가 == [include(틀:하위 문서, top1=갤럭시 Z 폴드4/주요 IT전문매체별 평가)] [include(틀:평가/DxOMark/삼성용2, 모델명=Samsung Galaxy Z Fold4, 카메라_점수=124, 카메라_링크=https://www.dxomark.com/samsung-galaxy-z-fold4-camera-test/, 셀피_점수=TBA, 셀피_링크=, 오디오_점수=TBA, 오디오_링크=, 디스플레이_점수=133, 디스플레이_링크=https://www.dxomark.com/samsung-galaxy-z-fold4-display-test/, 배터리_점수=TBA, 배터리_링크=, )] [include(틀:주요 IT전문매체 평가 추이, 모델=갤럭시 Z 폴드4, 매체평균점수=84.36, 매체수=46, 경쟁모델1=Xiaomi Mix Fold 2, 경쟁모델2=OPPO Find N, 경쟁모델3=Huawei Mate X2, 동시리즈1=갤럭시 Z 플립4, 동시리즈점수1=82.00, 과년도1=갤럭시 Z 폴드3, 과년도점수1=81.90, 과년도2=갤럭시 Z 플립3, 과년도점수2=81.19, )] > '''강력한 멀티태스킹'''[br] > '''장점''' > 새로운 비율의 외부 화면은 일반적인 용도에 더 적합함. > IPX8 등급의 방수 기능을 갖춘 유일한 폴더블 제품임. > 디스플레이는 폴더블 경쟁 제품보다 약 2배 더 밝으며 기존 디스플레이와 동등함. > 폴더블에 대한 화면 테스트에서 인상적인 배터리 수명을 보여줌. >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멀티태스킹 기능과 [[S펜|S-Pen]] 지원을 갖춘 풍부한 기능의 소프트웨어. >카메라 시스템은 의미 있는 단계를 밟고 있음. 커버 디스플레이를 통한 독특한 셀카 기능은 그 자체로 전문가가 될 수 있음. > [br] >'''단점''' > 힌지 사이의 틈에 변화 없음 - 틈이 여전히 남아있음. 주름도 여전히 잘 보임. > 충전 속도가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경쟁사들보다 뒤쳐져 있음. > [[갤럭시 S22]]가 갤럭시 Z 폴드4와 거의 동일한 카메라 시스템으로 갤럭시 Z 폴드4 출고가의 절반도 되지 않음. >---- > - [[https://gsmarena.com/samsung_galaxy_z_fold4-review-2468p4.php|gsmarena]] ('''4.5 / 5''')[* [[갤럭시 Z 폴드3]]는 4.4/5] == 흥행 == === 제품 발매 전 === 2022년 8월 10일 복수의 언론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삼성전자 내부에서의 금년도 폴더블폰 판매량 목표치'''는 1500만대이다. 구체적으로 갤럭시 Z 폴드4가 500만대, [[갤럭시 Z 플립4]]를 1000만대로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2년 8월 10일 시장조사기관 Omdia는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신제품의 출하량'''을 1100만대로 전망했다. 해당 수치는 3세대 [[갤럭시 Z 시리즈]]의 출하량보다 50% 이상 많지만, 삼성전자 내부 기대치인 1500만대를 밑도는 수치이다. [[https://www.tip3x.com/2022/08/10/samsung-expected-to-ship-11-million-galaxy-z-fold-4-flip-4-folding-screen-phones-this-year-omdia/|Tip3X]] 2022년 8월 11일 KB증권은 리서치를 통해 '''2022년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을 기존 전망치인 1800만대보다 낮은 1500만대로 전망했다. '''신제품의 비중'''은 1000만대 수준이다. 출고가를 인하했던 전작과 달리 올해 신제품들의 가격이 동결된 점, 차별화 포인트가 제한적인 점, 판매촉진 활동 여력이 제한적일 것으로 점이 전망치 산정에 반영됐다. 2022년 8월 11일 삼성전자 MX 사업부장 노태문 사장은 '갤럭시 언팩 2022' 행사에서 폴더블폰 판매 1000만대 이상을 달성해 글로벌 폴더블폰 대중화의 원년이 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더불어 전작과 달리 철저한 품질관리, 양산 검증, 공급망 관리, 물류 혁신 등을 통해 갤럭시 Z 폴드4 | Z 플립4의 초기 공급량도 충분히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https://news.samsung.com/kr/%EC%82%BC%EC%84%B1%EC%A0%84%EC%9E%90-%EA%B0%A4%EB%9F%AD%EC%8B%9C-z-%ED%8F%B4%EB%93%9C4-%E2%88%99-z-%ED%94%8C%EB%A6%BD4%EB%A1%9C-%ED%8F%B4%EB%8D%94%EB%B8%94%ED%8F%B0%EC%9D%98-%EC%A7%84%EC%A0%95|삼성전자 뉴스룸]] === 사전 판매 기간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역대 삼성 갤럭시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사전 예약 기간 판매량)] 2022년 8월 16일 갤럭시 Z 폴드4와 Z 플립4의 사전판매(사전예약)이 개시됐다. 사전 예약 기간은 2022년 8월 16일부터 2022년 8월 22일로, 총 진행기간은 7일이다. [[https://news.samsung.com/kr/%EC%82%BC%EC%84%B1%EC%A0%84%EC%9E%90-%EA%B0%A4%EB%9F%AD%EC%8B%9C-z-%ED%94%8C%EB%A6%BD4%C2%B7%EA%B0%A4%EB%9F%AD%EC%8B%9C-z-%ED%8F%B4%EB%93%9C4-%EC%82%AC%EC%A0%84-%ED%8C%90%EB%A7%A4-%EC%8B%A4|삼성전자 뉴스룸]] 복수의 매체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와 자급제 채널을 통한 갤럭시 Z 폴드4 | Z 플립4의 사전판매량'''은 전작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3세대 [[갤럭시 Z 시리즈]]의 사전판매량이 지난해 폴더블폰 판매량인 약 800만대의 11%를 차지했고, 삼성전자의 4세대 [[갤럭시 Z 시리즈]]의 판매 목표량을 과년도의 두 배 수준인 1600만대로 설정했으므로 업계에서는 '''4세대 [[갤럭시 Z 시리즈]]의 사전판매량'''을 약 100만대 안팎으로 예상하고 있다. ||<-5> '''{{{+1 [[역대 삼성 갤럭시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사전 예약 기간 판매량|{{{#fff 사전 예약 기간 판매 추이}}}]]}}}'''[br]'''갤럭시 Z 폴드4 | Z 플립4''' || || {{{-1 사전 예약 기간}}}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1 사전 예약 기간[br]판매량}}}}}}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1 사전 개통[br] 첫 날 개통량}}}}}} || {{{-1 [[단말기 자급제|{{{#ffffff 자급제}}}]][br] 비중}}} || || {{{-2 2022년 8월 16일[br]~[br]2022년 8월 22일[br](7일)}}} || {{{-2 '''약 97만대'''}}} || {{{-2 '''TBD'''}}} || {{{-2 TBD}}} || ||<-5> {{{#!wiki style="margin:-0px -11px;" {{{#!folding [ 역대 시리즈 추이 ] [include(틀:역대 삼성 갤럭시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사전 예약 기간 판매량)] }}}}}} || ||<-5> {{{-3 * α는 사전 예약 기간 자급제 판매량 반영분을 지칭 * 삼성전자가 공식적으로 밝힌 수치량은 '''강조표기''' * 삼성전자가 공식적으로 밝힌 내용을 근거로한 추정치는 ___밑줄표기___}}}|| 2022년 8월 23일 삼성전자는 갤럭시 Z 폴드4 | Z 플립4의 사전판매에서 약 97만 대가 예약됐다고 언론을 통해 밝혔다. === 제품 정식 발매 후 === 2022년 9월 28일 하나금융투자에서 발간한 에 따르면, 삼성 [[갤럭시 Z 시리즈]] 4세대의 출시월 판매량은 145만대이다. 구체적으로 갤럭시 Z 플립4가 93만대, 갤럭시 Z 폴드4가 52만대이다. 129만대의 동기간 누적 판매량을 보였던 [[갤럭시 Z 시리즈]] 3세대보다 높은 수치이다. [[https://www.hanaw.com/main/research/research/download.cmd?bbsSeq=1271787&attachFileSeq=1&bbsId=&dbType=&bbsCd=2220|하나금융투자]] 2023년 3월 28일 하나금융투자에서 발간한 에 따르면, 삼성 [[갤럭시 Z 시리즈]] 4세대의 7개월 누적 판매량은 734만대이다. 구체적으로 갤럭시 Z 플립4가 455만대, 갤럭시 Z 폴드4가 280만대이다. 764만대의 동기간 누적 판매량을 보였던 [[갤럭시 Z 시리즈]] 3세대보다 낮은 수치이다. [[https://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industry/industry/2023/03/28/handset_memo_230329.pdf|#]] 2023년 5월 30일 하나금융투자에서 발간한 에 따르면, 삼성 [[갤럭시 Z 시리즈]] 4세대의 9개월 누적 판매량은 832만대이다. 구체적으로 갤럭시 Z 플립4가 516만대, 갤럭시 Z 폴드4가 316만대이다. 875만대의 동기간 누적 판매량을 보였던 [[갤럭시 Z 시리즈]] 3세대보다 낮은 수치이다. [[https://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industry/industry/2023/05/30/handset_memo_230531.pdf|#]] 2023년 6월 29일 하나금융투자에서 발간한 에 따르면, 삼성 [[갤럭시 Z 시리즈]] 4세대의 10개월 누적 판매량은 870만대(플립 540만대, 폴드 330만대)를 기록해 [[갤럭시 Z 시리즈]] 3세대의 909만대(플립 601만대, 폴드 308만대)보다 낮은 수치이다. [https://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industry/industry/2023/06/28/handset_memo_230629.pdf|#]] 2023년 7월 28일 하나금융투자에서 발간한 에 따르면, 삼성 [[갤럭시 Z 시리즈]] 4세대의 11개월 누적 판매량은 906만대(플립 561만대, 폴드 345만대)를 기록해 [[갤럭시 Z 시리즈]] 3세대의 939만대(플립 617만대, 폴드 322만대)를 하회했다. [[https://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industry/industry/2023/07/28/handset_memo_230728.pdf|#]] 2023년 8월 29일 하나금융투자에서 발간한 에 따르면, 삼성 [[갤럭시 Z 시리즈]] 4세대의 12개월 누적 판매량은 931만대(플립 576만대, 폴드 355만대)를 기록해 [[갤럭시 Z 시리즈]] 3세대의 965만대(플립 632만대, 폴드 332만대)를 하회했다. [[https://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industry/industry/2023/08/29/handset_memo_230829.pdf|#]] == 여담 == * [[갤럭시 Z 플립4]]와 함께 eSIM이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지원된다. 그 전에는 대한민국의 제도 문제로 인해 대한민국 이외 지역에만 eSIM을 지원하였다. * 이제까지 갤럭시 폴드 시리즈는 어둡고 중후한, 나쁘게 말하면 올드한 느낌의 컬러만 출시되었는데 처음으로 베이지 컬러가 출시되며 디자인 측면에서 더 트렌디해졌다는 평이 있다. * [[갤럭시 S23]] 시리즈에 이어 게이밍 퍼포먼스를 광고하는 공식 CF에선 [[원신]]이 등장하였다.[[https://youtu.be/WSgIlvB_3jk|#]] * [[갤럭시 폴드]] 부터 모든 폴드 시리즈는 5G로만 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작인 [[갤럭시 Z 폴드3]]까지 네이밍에 5G가 포함되었지만 상반기에 출시된 [[갤럭시 S22]] 시리즈와 같이 네이밍에 5G가 빠지기 시작한 세대이다. === 공식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ZN9-pn7cPM,width=700,height=400)]}}} || || '''Galaxy Z Fold4: Unveiling | Samsun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fu0KSfmCUU,width=700,height=400)]}}} || || '''Galaxy Z Fold4: Pre-Order Film | Samsun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hKf0IQ8GKs,width=700,height=400)]}}} || || '''Galaxy Z Fold4: Launch Film | Samsung''' || == 논란 및 문제점 == === (한국향 한정) 빈약한 5G 주파수 지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NR, 문단=4.6)] eSIM이 가능해지면서 다양한 통신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지만 한국향의 경우 해외에서 정상적인 5G 이용에 어려움이 있을 정도로 지원하는 5G 주파수가 적다. === 기타 문제점 === * 갤럭시 폴드4 초기 불량일 경우에도 무상A/S나 교환이 불가능한 논란이 있었다. * [[UDC]]가 아직 거슬린다는 평이 많다. * 밝기 상승과 화면 수명 연장을 위해 화면과 유리 사이의 편광판 하나를 제거했는데 이 때문에 UDC옆에 있는 조도센서가 보인다. * 접었을 때 화면 사이에 공간이 있다. * 같은 GN3를 쓰는 기기들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로 화이트 밸런스문제가 있다. * 극히 일부 기기에서 힌지 부분에 끈적이는 물질이 발생, 여닫는 게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 [[/공개 전 루머|공개 전 루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갤럭시 Z 폴드4/공개 전 루머)] [[분류:삼성 갤럭시 Z 시리즈]][[분류:인공지능 디바이스(Bixby)]][[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