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삼성 갤럭시 S 시리즈)] ||<-2> [br] {{{#000,#fff {{{+5 '''Galaxy S6 edge''' }}}}}} [br] {{{#000,#fff {{{-3 '''SM-G925'''}}}}}} [br] {{{#333,#e5e5e5 {{{-1 '''NEXT IS NOW[br]눈부시게, 모든 것을 새롭게'''}}}}}} [br] [br] || ||<-2>[[파일:GS6E_BW_1.png|width=100%]]|| || {{{#abb0bc '''블랙 사파이어'''}}} || '''화이트 펄''' || ||<-2> [[파일:GS6E_GG_1.png|width=100%]] || || {{{#999383 '''골드 플래티넘'''}}} || {{{#ffffff '''그린 에메랄드'''}}}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간단 사양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프로세서''' || 삼성 엑시노스 7 Octa (7420) SoC. || ||<-2> '''디스플레이''' || 5.1인치 16:9 비율 WQHD(2560 x 1440) Super AMOLED (577 ppi) || ||<|2> '''카메라''' || '''전면 카메라''' || 500만 화소 || || '''후면 카메라''' || OIS 지원 1,600만 화소 || ||<|2> '''메모리''' || '''RAM''' || 3 GB LPDDR4 SDRAM || || '''내장 메모리''' || 32 / 64 / 128 GB UFS 2.0 규격 || ||<-2> '''배터리''' || 내장형 Li-Ion 2,600 mAh ||}}}}}}}}} || ||<-2> [[http://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G925SZGFSKC|{{{#ffffff 한국 삼성전자 SM-G925S 고객지원 사이트}}}]] || [목차] == 개요 == [[2010년]] [[갤럭시 S]]를 시작으로, 매해 상반기에 공개된 [[삼성전자]]의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플래그십 [[스마트폰]] 시리즈인 [[갤럭시 S 시리즈]]의 [[2015년]]형 모델이자 6번째 모델 중 기본 모델이다. 시리즈 코드명은 '''Zero'''로 명명되었다.[* 형제 모델인 갤럭시 S6의 경우 Zero-F, 즉 Zero Flat이기 때문에 S6 엣지가 기본 모델이다.] 한국 시각으로 [[2015년]] [[3월 1일]]에 [[삼성 언팩|삼성 갤럭시 언팩 2015]]에서 공개되었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SoC|프로세서]]||[[삼성 엑시노스/라인업(2017년 이전)#s-2.4.3|삼성 엑시노스 7 Octa (7420)]]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 [[CPU]] ||[[ARM big.LITTLE]]↓ || ||[[ARM Cortex-A57]] MP4 2.1 GHz [[CPU]][br][[ARM Cortex-A53]] MP4 1.6 GHz [[CPU]] || || [[GPU]] ||[[ARM Mali GPU#s-3.4.2|ARM Mali-T760]] MP8 772 MHz [[GPU]] || || NPU & DSP ||미탑재 || || Sensor Hub ||미탑재 || || 통신 모뎀 ||미탑재 ||}}}}}}+ [[삼성 엑시노스/통신 모뎀 솔루션#s-2.2.5.3|Samsung Exynos Modem 333]]|| ||[[메모리]]||3 GB LPDDR4 SDRAM, 32 / 64 / 128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5.1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WQHD]](2560 x 1440) Quad HD Super [[AMOLED]] (577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삼성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Super [[AMOLED]] [[Dual-Edge]] || || 부가정보 ||고릴라 글래스 4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네트워크]]||{{{#!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3CA]] Cat.9 F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근접통신||[[Wi-Fi]] [[802.11b|1]]/[[802.11a|2]]/[[802.11g|3]]/[[802.11n|4]]/[[802.11ac|5]], [[블루투스]] 4.1+LE / [[aptX]] Codec, [[NFC]], ANT+, [[삼성 페이|MST]], IR Blaster|| ||위성항법||[[GPS|GPS & A-GPS]], [[GLONASS]], [[Beidou]]|| ||[[카메라]]||전면 500만 화소, 후면 [[OIS]] 지원 1,6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배터리]]||내장형 Li-Ion 2,6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15 W)[br][[퀄컴 퀵 차지#s-3|퀄컴 퀵 차지 2.0]] (15 W) || ||<|2> 무선[br]충전 || 고속 ||미지원 || || 일반 ||Qi(WPC 1.1.2) (5 W), '''AirFuel 1.0'''[*W 자기유도 방식인 PMA와 자기공진 방식의 A4WP가 통합해서 새롭게 공개된 규격이다. 정확히 말하면, 기기 공개 당시에는 PMA 1.0 규격으로 알려졌으나, PMA와 A4WP가 [[http://www.etnews.com/20150107000194|통합]]하면서 AirFuel가 되었고 동시에 [[http://www.samsungmobilepress.com/resources/galaxy-s6-edge/techspecs|규격 명칭도 수정]]되었다.] (- W) ||}}}}}}|| ||[[운영체제]]||[[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5.0 → 5.1 (Lollipop) → 6.0 (Marshmallow) → 7.0 (Nougat)[br][br][[삼성 터치위즈]] 네이쳐 UX 4.0 Zero UX → 4.0 Noble UX → 4.0 Hero UX → [[Samsung Experience]] 8.0|| ||규격||70.1 x 142.1 x 7 mm, 132 g|| ||색상[*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블랙 사파이어''', '''화이트 펄''', '''골드 플래티넘''', '''그린 에메랄드''', 아이언맨 레드|| ||단자정보||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생체인식||[[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기타||심장 박동 인식 센서 내장, [[SoundAlive]] 기술 탑재, 지상파 HD [[DMB]][* 기존 [[DMB]] 서비스는 기본 지원. HD [[DMB]] 서비스는 펌웨어 업데이트 이후 추가 지원.] 및 고화질 스마트 [[DMB]] 지원|| ||<-2>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SoC|프로세서]] ||<-2>[[삼성 엑시노스/라인업(2017년 이전)#s-2.4.3|삼성 엑시노스 7 Octa (7420)]] [[SoC]].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 [[CPU]] ||[[ARM big.LITTLE]]↓ || ||[[ARM Cortex-A57]] MP4 2.1 GHz [[CPU]][br][[ARM Cortex-A53]] MP4 1.6 GHz [[CPU]] || || [[GPU]] ||[[ARM Mali GPU#s-3.4.2|ARM Mali-T760]] MP8 772 MHz [[GPU]] || || NPU & DSP ||미탑재 || || Sensor Hub ||미탑재 || || 통신 모뎀 ||미탑재 ||}}}}}} +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외장 통신 모뎀 확인 ] ||<|2> '''{{{#ffff00 선택[br]탑재}}}''' ||[[삼성 엑시노스/통신 모뎀 솔루션#s-2.2.5.3|Samsung Exynos Modem 333]] || ||[[Qualcomm Snapdragon X7 LTE Modem]] ||}}}}}} || ||<-2>[[메모리]] ||<-2>3 GB LPDDR4 SDRAM, 32 / 64 / 128 GB '''[[UFS]] 2.0''' 규격 내장 메모리 || ||<-2>[[디스플레이|디스[br]플레이]] ||<-2>5.1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WQHD]](2560 x 1440) Quad HD Super [[AMOLED]] (577 ppi){{{#!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 공급사 ||[[삼성디스플레이]] || || 픽셀배열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 || || 패널정보 ||Super [[AMOLED]] [[Dual-Edge]] || || 부가정보 ||고릴라 글래스 4 ||}}}}}}[br]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2>[[네트워크]] ||<-2>{{{#!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 '''기본지원''' ||<-6> 없음 || || '''{{{#ffff00 선택지원}}}''' || [[LTE]][[-3CA]] Cat.9 FDD[br][[VoLTE]] 지원 || [[LTE]] Cat.9 [[TD-LTE|TDD]] || [[LTE]][[-3CA]] Cat.6 FDD[br][[VoLTE]] 지원 || [[LTE]] Cat.6 [[TD-LTE|TDD]] || [[AXGP]] || [[WiBro Evolution]]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 '''기본지원''' ||<-2> 없음 || || '''{{{#ffff00 선택지원}}}'''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 [[TD-SCDMA]][br]음성 통신 지원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 '''기본지원''' ||<-2> 없음 || || '''{{{#ffff00 선택지원}}}'''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 ||<-2>근접통신 ||<-2>[[Wi-Fi]] 1/2/3/4/5, [[블루투스]] 4.1+LE / [[aptX]] Codec, [[NFC]]/[[FeliCa]][*A 지원 기기 추가 지원.], ANT+, [[삼성 페이|MST]], IR Blaster || ||<-2>위성항법 ||<-2>[[GPS|GPS & A-GPS]], [[GLONASS]], [[Beidou]] || ||<-2>[[카메라]] ||<-2>전면 500만 화소, 후면 [[OIS]] 지원 1,6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2>[[배터리]] ||<-2>내장형 Li-ion 2,600 mAh {{{#!wiki style="margin: 0 5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충전 기술 정보 ] ||<-2> 유선고속충전 ||[[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15 W)[br][[퀄컴 퀵 차지#s-3|퀄컴 퀵 차지 2.0]] (15 W) || ||<|2> 무선[br]충전 || 고속 ||미지원 || || 일반 ||Qi(WPC 1.1.2) (5 W), '''AirFuel 1.0'''[*W] (- W) ||}}}}}} || ||<-2>[[운영체제]] ||<-2>[[안드로이드(운영체제)/버전|안드로이드]] 5.0 → 5.1 (Lollipop) → 6.0 (Marshmallow) → 7.0 (Nougat)[br][[삼성 터치위즈]] 네이쳐 UX 4.0 Zero UX → 4.0 Noble UX → 4.0 Hero UX → [[Samsung Experience]] 8.0 & [[NTT 도코모 Live UX]][*A] || ||<-2>규격 ||<-2>70.1 x 142.1 x 7.0mm, 132 g || ||<-2>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2>'''블랙 사파이어''', '''화이트 펄''', '''골드 플래티넘''', '''그린 에메랄드''', 아이언맨 레드, 로즈 || ||<-2>단자정보 ||<-2>USB 2.0 micro Type-B x 1, 3.5 mm 단자 x 1 || ||<-2>생체인식 ||<-2>[[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 ||<|2>기[br]타 || '''국제''' ||<|2> 심장 박동 인식 센서 내장, [[SoundAlive]] 기술 탑재 ||[[FM#s-2]] [[라디오]] 지원 || || '''{{{#ff0000,#ff0000 일본}}}''' ||[[원세그]] TV 및 풀세그 TV 지원 || }}}}}}}}} || }}} *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 - [[http://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G925SZDASKO/|한국 내수용 SM-G925S 기준]] * 4G [[LTE]]-FDD Band 1, 2, 3, 5, 7, 8, 17, 20, 26 * 3G [[WCDMA]] 850, 1900, 2100 MHz * 2G [[GSM]] 900, 1800, 1900 MHz == 상세 == 전작인 [[갤럭시 S5]]가 디자인 부분에서 엄청난 혹평을 받으며 [[삼성전자]]의 위기까지 끌고 오면서, 차기작의 성공 여부에 [[삼성전자]] 무선 사업부 및 계열사의 운명이 달리게 되었다. 때문에 프로젝트 명칭도 초심으로 돌아가자는 의미의 'Zero'로 명명되었다. 평판 모델이라 할 수 있는 [[갤럭시 S6]]의 프로젝트 명칭이 'Zero-F'[* Flat. 즉, 평판의 약어로 F를 사용했다.]로 정해졌기에 정식 발매명만 보면 이 쪽이 파생 모델 같겠지만, 원래 계획 상 [[진 주인공]]은 이 쪽이다.[* 엣지 디스플레이를 본격적으로 밀기 위해 원래 [[갤럭시 S6]]를 '갤럭시 S6 플랫'으로 출시하고, [[갤럭시 S6 엣지]]를 '갤럭시 S6'로 출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혼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정식 발매명은 현재의 명칭으로 출시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도 기존 계획은 남아있기에 엣지 모델과 플랫 모델을 5:5 수준의 비율로 생산 할 예정이라고 한다. 본래 비율은 3:7비율로 생산예정이었으나 엣지 모델의 폭발적 반응으로 5:5 비율로 변경하였다.] 기본 색상은 블랙 사파이어, 화이트 펄, 골드 플래티넘, 그린 에메랄드[* 형제 모델인 [[갤럭시 S6]]에는 없는 색상이다.]로 총 4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삼성 엑시노스 7]] Octa (7420)을 사용한다. [[ARM Cortex-A57]] 쿼드코어 [[CPU]]와 [[ARM Cortex-A53]] 쿼드코어 [[CPU]]에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ARM Mali]]-T760 옥타코어 [[GPU]]를 사용한다. 또한, 생산 공정은 삼성 팹의 '''14nm FinFET LPE''' 공정으로, 이는 14nm/16nm 공정에서 생산되는 최초의 모바일 AP다.[* 20nm HKMG 공정의 경우, 동급이라 취급받는 22nm HKMG 공정에서 이미 [[인텔 아톰 시리즈]]가 생산되어 의미가 퇴색되는 부분이 존재하기는 하나, 14nm FinFET 공정은 [[인텔]] 측 라인업이 지연되면서 [[인텔 아톰 시리즈|아톰 시리즈]] 생산역시 덩달아 지연되고 있다.] 게다가 [[퀄컴 스냅드래곤 810 MSM8994]]가 장렬하게 산화하면서, 글로벌 시장 전체에서 전량 [[삼성 엑시노스 7]] Octa (7420)을 탑재한다. RAM은 LPDDR4 SDRAM 방식이며 3 GB다. 내장 메모리는 32 GB, 64 GB 그리고 128 GB로 삼원화되었다. 특히, 128 GB가 내장 메모리 용량 옵션으로 들어간 최초의 [[삼성전자]] 스마트폰 중 하나이다. 게다가 낸드 플래시를 [[eMMC]] 규격이 아닌 '''[[UFS]] 2.0''' 방식을 사용한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 중 하나다.[* 다만, 지원 USB 규격이 전작과 달리 USB 2.0으로 다운그레이드 되어 약간 빛이 바랜 셈이 되었다. 사실, 다운그레이드된 것은 [[갤럭시 노트4]]부터지만, [[갤럭시 S 시리즈]] 자체로 보면 [[갤럭시 S5]]에 [[USB 3.0|USB 3.1 Gen1]]을 최초 도입하고 후속작에서 다운그레이드된 것이다. 다만, [[USB 3.0|USB 3.1 Gen1]] 지원 이후 발생하는 전파 간섭 이슈로 인해 무선 통신 기능이 불안정해짐에 따라 이루어진 조치라는 주장역시 존재하기에 섣부른 판단은 어렵다.] 거기에, micro SD 카드 슬롯이 존재하지 않는 최초의 [[갤럭시 S 시리즈]]이다. 따라서, micro SD 카드 슬롯을 통해 용량 확장이 불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micro SD 카드의 컨트롤러와 [[UFS]] 2.0 간의 성능 차이 때문에 제외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결과적으로 내장 메모리에 따른 가격 정책이 [[Apple|애플]]과 유사하게 변하면서 사실상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문제로 꽤나 비판을 많이 받았는지 후속작인 [[갤럭시 S7 엣지]]에는 다시 micro SD 카드 슬롯이 탑재되었다.] 디스플레이는 5.1인치 WQHD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엣지 디스플레이]] 기술이 도입된 Quad HD Super [[AMOLED]]이다. 픽셀 배열은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이다. [[갤럭시 노트 엣지]]가 16:10 비율을 사용해 16:1 비율을 [[엣지 디스플레이]]에 투자했다면, 이번에는 그냥 16:9 비율인 WQHD 해상도를 사용하면서 양면 엣지 디스플레이를 적용했다. 이러한 점 때문에 [[갤럭시 S6]]보다 무게도 가벼워지고[* 이는 [[디스플레이]] 소재가 [[갤럭시 S6]]는 유리로 만들어진 반면, 이쪽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고, 엣지 디스플레이 적용으로 측면 프레임도 깎였기에 무게 자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기기 자체의 폭도 좁아지게 되었다. 지원 이동통신의 경우, [[LTE]] Cat.9와 [[LTE]] Cat.6 모델이 있다. 우선, 업로드 속도는 최대 50 Mbps로 통일[* 각각의 규격의 상위 규격인 [[LTE]] Cat.7와 [[LTE]] Cat.10이 100 Mbps로 잡혀있다.]되어 있으나, 다운로드 속도는 Cat.9가 450 Mbps, Cat.6가 300 Mbps로 최대 속도가 잡혀져있다.[* 참고로, [[LTE]] Category는 FDD 주파수와 [[TD-LTE|TDD]] 주파수 모두 통용된다.] [[VoLTE]]를 지원하고 4G [[LTE-TDD]]는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원[* 대표적으로 중국의 [[중국이동]], [[중국연통]], 미국의 [[스프린트 코퍼레이션]] 등이 있다.]한다. 3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역시 서비스하는 이동통신사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원[* 대표적으로 한국의 [[SK텔레콤]], [[KT]] 그리고 [[LG U+]] 등이 있다.]한다. 기본적으로는 [[삼성 엑시노스/통신 모뎀 솔루션#s-2.2.5.3|삼성 엑시노스 모뎀 333]]을 사용하나, 일부 이동통신사에서는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퀄컴 스냅드래곤 X12 LTE 모뎀]][* 기존에는 퀄컴 고비 MDM9x45로 알려졌었다. 이후, 라인업 개편으로 퀄컴 고비 시리즈가 [[퀄컴 스냅드래곤]] 시리즈 산하 라인업으로 편입되었다.]을 요구해 통신 모뎀은 동일한 사양 선에서 지역별로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5031502100831104001|취사선택되어 사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퀄컴의 통신 모뎀 판매 정책 때문에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퀄컴 스냅드래곤 X12 LTE 모뎀]]이 아닌 [[Qualcomm Snapdragon X7 LTE Modem|퀄컴 스냅드래곤 X7 LTE 모뎀]]이 탑재되었다.] 문제는 두 놈 모두 [[LTE]] Cat.6급이 아니다. 전자는 [[LTE]] Cat.9급이고 후자는 [[LTE]] Cat.10급이다. 일단, 삼성전자 공식 발표로는 [[LTE]] Cat.6이나, [[LTE]] Cat.9 모델의 경우 박스 패키징 후면에 [[http://hbtv.tistory.com/242|두 규격 모두 표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SIM]] 카드 규격으로 nano [[SIM]]을 사용한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2,600 mAh이다. 여기에다 micro SD 카드 슬롯 미 탑재 건과 내장형 배터리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전작에 있던 IP67 방수 방진 지원이 빠진 것까지 포함해 비판을 받았다.[* 통상적으로 착탈식 배터리 구조보다 내장형 배터리 구조가 방수 방진 기능을 적용하는데 난이도가 쉬운 편이다.] [[갤럭시 S 시리즈]]로 출시되는 최초의 내장형 배터리 탑재 [[스마트폰]]이면서 동시에 용량이 전작보다 약 200 mAh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최적화를 잘하거나 전력 소모가 적은 부품들을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배터리]] 자체의 절대적인 용량역시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기에 [[배터리]] 사용 시간이 어떻게 측정되느냐가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삼성전자]]도 이를 의식했는지 배터리 자체는 전압을 더 높게 설계하여 만충전압 4.4V, 표준전압 3.9V, 방전전압 3.0V 기준으로 용량을 구현[* 이렇게 하면 동일한 전류 용량의 배터리에 비해서 더 높은 전력 용량(Wh)을 구현할 수 있다고 한다.]했고 저전력 고성능의 반도체들을 중점적으로 사용했으며 [[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규격과 퀄컴 퀵 차지 2.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과 Qi 규격과 PMA 규격[*W]의 자기유도 방식인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한다. 특히, 이 두 규격의 [[무선충전]] 기술을 지원하는 최초의 [[스마트폰]]이다. 또한, 전작부터 탑재된 초절전 모드역시 존재한다. 언팩 발표 자료에 의하면, 배터리 사용 시간은 전작인 [[갤럭시 S5]] 수준이라고 한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삼성 아이소셀]] S5K2P2 센서와 [[소니 엑스모어]] RS IMX240 센서를 혼용하여 1,6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그리고 초점을 맞춘 피사체가 움직일 때 자동으로 피사체를 추적하는 '''AF 트래킹'''을 지원하고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특히, AF 트래킹은 언팩 행사에서도 중점적으로 강조하기도 했다. ~~비교 대상이 [[갤럭시 S5|전작]]이 아닌 [[아이폰 6 Plus|경쟁사 제품]]인 것은 넘어가자~~ 또한, 조리개값은 F/1.9이다. 카메라 센서의 경우, 전작인 [[갤럭시 S5]]와 [[갤럭시 노트4]] & [[갤럭시 노트 엣지]]와 동일한 하드웨어 사양을 가지고 있으나, 조리개값을 더욱 밝게 만들어서 차별화[* 전면 카메라의 조리개값이 F/1.9였던 [[삼성전자]] 최초의 [[스마트폰]]은 [[갤럭시 노트4]]이다.]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최초의 [[갤럭시 S 시리즈]] [[스마트폰]] 중 하나이다. 전체적으로 카메라의 평은 [[갤럭시 노트4]]부터 [[아이폰 6]] 및 [[아이폰 6 Plus|6 Plus]]를 뛰어넘었고 그보다 더 개선을 더 시켰으며 이와 동시에 전작인 [[갤럭시 S5]] 대비 사진의 품질도 훨씬 향상[* 이는 [[퀄컴 스냅드래곤]] 특유의 구린 ISP 성능의 영향 및 [[렌즈]] 품질의 영향으로 보인다.]되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호평 의견이 많다. 전면 [[카메라]]는 [[삼성 아이소셀]] S5K4E6 센서의 5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또한, 조리개값은 F/1.9이다. 이는 [[갤럭시 노트4]]와 동일하며 [[갤럭시 S 시리즈]] 자체로 보면 화소수나 조리개값 모두 상향된 셈이 되었다. 단자 규격은 일명 '5핀 단자'라 지칭되는 [[USB]] micro Type-B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이는 [[USB 3.0|USB 3.1 Gen1]]을 입출력 전송 규격으로 사용했던 전작인 [[갤럭시 S5]]와는 달리 도로 USB 2.0으로 다운그레이드된 것이다. 그리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3.5 mm 단자가 탑재되었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전면 홈 버튼에 탑재되어 있다. 전작이 스와이프 방식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사용 편의가 더욱 나아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작부터 탑재된 심장 박동 인식 센서가 역시 탑재되어 있다. 위치는 기기 우측에 존재하는 [[LED]] [[플래시(카메라)|플래시]] 바로 아래에 있으며 [[갤럭시 알파]]와 비슷하게 세로 모양으로 나열되어 있다. 기기 공개 당시 안드로이드 5.0 롤리팝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5.0.2이다. === 기능 === * [[삼성 페이]] [[삼성전자]]의 간편 결제 서비스로, [[갤럭시 S6]]와 함께 최초로 지원한다. * [[무선충전]] 기술 * [[삼성 KNOX|삼성 Knox]] * [[삼성 패스]] 생체인식 기술인 [[지문인식]] 센서를 이용해 웹 사이트 로그인 등을 편리하게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를 통해 정식으로 지원한다. * 프라이빗 모드 [youtube(9fTYBTi5158)] [[삼성전자]] [[스마트폰]] 기준, [[갤럭시 S5]]부터 지원하며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이상의 운영체제에서 지원한다. 내장 메모리 공간 내에 별도로 생성된 파티션으로, [[삼성전자]] 기본 [[애플리케이션]] 중 갤러리, 비디오, [[삼성뮤직|뮤직]], 음성 녹음, 내 파일, S노트 등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갤럭시 S8]] 및 [[갤럭시 S8+|S8+]] 이후로는 My Knox와 통합되어 보안 폴더로 개편되었다. 하지만, [[갤럭시 S8]] 및 [[갤럭시 S8+|S8+]] 이전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는 해당 기능과 보안 폴더가 공존하거나 해당 기능만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 [[삼성 KNOX#s-3.3.5|보안 폴더]]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를 통해 정식으로 지원한다. * [[SoundAlive]]+ * [[삼성 테마]] → [[갤럭시 테마]] [[갤럭시 S6]]와 함께 최초로 지원한다. * 피플 엣지 흰색 바를 스크린 안 쪽으로 쓸어내리면 쭉 끌려나와서 알림을 보여준다. 연락처와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할 수 있고, 색상을 지정할 수 있으며, 기기가 뒤집힌 상태에서 전화가 올 때 지정한 색상대로 엣지 스크린에서 물결이 치는 듯한 형태로 빛이 쏟아진다. * [[스마트 매니저]] [[갤럭시 S6]]와 함께 최초로 지원한다. * [[삼성 클라우드]]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 서비스이며, 기본 15 GB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를 통해 정식으로 지원한다. * 스마트 캡쳐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업그레이드로 추가된 기능으로, 긴 문서나 긴 이미지 등 여러 페이지로 구성된 전체 페이지를 캡쳐하며 자동으로 하나의 이미지로 합쳐주는 [[갤럭시 노트5]]의 스크롤 캡쳐와 유사한 기능이다. 다만, S펜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 기능이 조정되었다. * 동영상 다운로드 기능 시청 중인 동영상을 길게 누를 때 해당 영상을 기기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만, 이 기능 역시 [[구글 크롬]] 등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원을 하던 것으로 자바스크립트나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해 사용하는 동영상의 경우 다운로드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 게이밍 강화 === * [[Vulkan API]] [[크로노스 그룹]]이 주도해서 개발한 모바일 기기, PC, 콘솔 등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그래픽 3D API로, 모바일 기기에서는 [[OpenGL ES]] 3.x API의 후속작이다.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를 통해 정식으로 지원한다. * [[게임 튜너|Game Tuner]] * [[게임런처|Game Launcher]] 2016년 8월 11일부터 정식으로 지원한다. [[게임 튜너|Game Tuner]]의 발전형이며 게임 [[애플리케이션]] 전용 컨트롤 센터의 역할을 한다. 모든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폴더 형식으로 저장하며 빠른 실행을 가능케한다. 또한 새롭게 다운로드 받은 게임 [[애플리케이션]]도 자동으로 추가되며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음소거 및 알람 숨김 설정도 가능하며 배터리 절약을 위한 게임 설정 등의 기능도 존재한다. * Game Tools 2016년 8월 11일부터 정식으로 지원한다. 게임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게임 방해 금지, 멀티 태스킹 버튼 및 뒤로가기 버튼 잠금 등의 기능 사용 제한 설정부터 게임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화면 캡쳐, 화면 녹화[* 이 때, 녹음은 기기 마이크가 기본으로 설정되었으나, 게임 애플리케이션에서 나오는 오디오로 변경할 수 있다.]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 주변 기기 및 액세서리 === ==== 주변 기기 ==== * [[삼성 기어 시리즈/기어 VR|삼성 기어 VR]] [[갤럭시 노트4]]와 마찬가지로 [[기어 VR]] 도킹이 가능하다. 단, 기존의 [[기어 VR]]은 [[갤럭시 노트4]]에 맞춰졌기에 [[갤럭시 S6]]와 갤럭시 S6 엣지에 맞는 [[기어 VR]]을 이용해야 한다. 사용 가능 기기는 다음과 같다. * [[삼성 기어 시리즈/기어 VR#s-3.2|삼성 기어 VR 이노베이터 에디션 for S6]] * [[삼성 기어 시리즈/기어 VR#s-3.3|삼성 기어 VR]] * [[삼성 기어 시리즈/기어 VR#s-3.4|삼성 NEW 기어 VR]] * [[삼성 기어 시리즈/기어 VR#s-3.5|삼성 기어 VR 2017 에디션]](舊 삼성 기어 VR with controller)[* 2017년 4월 29일 기준, 한국 출시 기기 기준으로 정식 발매명이 [[http://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R324NZAAKOO|기기 공개 및 한국 시장 출시 당시와는 다르게 변경]]되었다.] * 삼성 기어 360 360도 촬영으로 VR 콘텐츠를 생산하는 카메라이다. 사용 가능 기기는 다음과 같다. * [[삼성 기어 360]] * [[삼성 기어 360(2017)|삼성 기어 360 2017 에디션]] * [[삼성 EO 시리즈#s-2.1.1.2.2|삼성 인 이어 핏]] 번들 이어폰이다. == 출시 == 2015년 4월 10일에 글로벌 시장에서 동시에 출시되었다. || {{{#ffffff '''글로벌'''}}} ||<-2> SM-G925F [br] (범용 모델) ||<-2> SM-G925I [br] (남반구 권) || || {{{#ffffff '''한국'''}}} || [[SK텔레콤|{{{#ffffff '''SM-G925S [br] (SK텔레콤)'''}}}]] ||<-2> [[KT|{{{#ffffff '''SM-G925K [br] (KT)'''}}}]] || [[LG U+|{{{#ffffff '''SM-G925L [br] (LG U+)'''}}}]] || ||<|2> {{{#ffffff '''미국'''}}} || [[버라이즌 와이어리스|{{{#ffffff SM-G925V [br] (버라이즌 와이어리스)}}}]] ||<-2> [[AT&T|{{{#ffffff SM-G925A [br] (AT&T)}}}]] || [[스프린트 코퍼레이션|{{{#000000 SM-G925P [br] (스프린트 코퍼레이션)}}}]] || ||<-2> [[T-모바일|{{{#ffffff SM-G925T [br] (T-모바일 US)}}}]] ||<-2> [[US 셀룰러|{{{#ffffff SM-G925R4 [br] (US 셀룰러)}}}]] || || {{{#ffffff '''캐나다'''}}} ||<-4> SM-G925W8 [br] (캐나다 공용) || || {{{#ffffff '''일본'''}}} || [[NTT 도코모|{{{#ffffff SM-G925D [br] (NTT 도코모)}}}]] ||<-2> [[소프트뱅크 모바일|{{{#000000,#e5e5e5 SM-G925Z [br] (소프트뱅크 모바일)}}}]] || [[KDDI|{{{#ffffff SM-G925J [br] (KDDI 계열)}}}]] || || {{{#ffffff '''중국'''}}} ||<-4> SM-G9250 [br] (오픈 모델) || 기기명이 지원하는 이동통신에 따라서 분류되는 형식에서 출시되는 지역 및 이동통신사에 따라서 분류되는 형식으로 정착된 것으로 보인다. 기본적으로 SM-G925이 주 명칭이며 기기명 뒤에 접미되는 알파벳 및 숫자에 따라 출시 지역 및 이동통신사를 파악할 수 있다. 다만, 각 시장 사정에 따라 홍콩에 0 모델이 출시하는 등 100% 전부 맞는 것은 아니다.[* 물론, 홍콩이 중국에 반환되기는 했으나, [[삼성전자]]는 공식 사이트도 구분하는 등 별개의 지역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아래 알파벳이 접미된 상태에서 Q가 추가로 접미되는 것은 [[터키]] 출시 모델을 의미한다. 전 모델 [[삼성 엑시노스 7]] Octa (7420)을 탑재하며 통신 모뎀이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 퀄컴, 인텔 등에서 공급받은 칩셋이 지역에 따라 취사선택되어 탑재된다. 여담으로 이 모델 부터는 갤럭시 S 시리즈는 3G WCDMA 전용 모델을 출시하지 않는다. === 한국 시장 === 2015년 3월 4일, 전시용 모델이 [[http://rra.go.kr/ko/license/A_b_popup.jsp?app_no=201517100000040263|전파인증을 통과]]했다. 그리고, 형제 모델인 [[갤럭시 S6]]도 [[http://rra.go.kr/ko/license/A_b_popup.jsp?app_no=201517100000040514|전파인증을 통과]]했다. 2015년 3월 5일, [[SK텔레콤]] 모델이 [[http://rra.go.kr/ko/license/A_b_popup.jsp?app_no=201517100000040339|전파인증을 통과]]했다. [[KT]] 모델과 [[LG U+]] 모델은 [[SK텔레콤]] 모델의 파생 모델 형식으로 동시에 통과되었다. 2015년 3월 22일, 삼성 딜라이트 소속 한 직영점을 통해 출고가가 공개되었다. 이동통신사와 연계되지 않은 무약정 출고가 기준으로 32 GB 모델이 979,000 원, 64 GB 모델이 1,056,000 원으로 책정되었다고 하며 128 GB 모델에 대한 한국 출시 절차는 밟지않은 것으로 보인다. 2015년 3월 30일, [[http://www.tworlddirect.com/handler/Galaxy-Info?XAREA=main_01|SK텔레콤]]과 [[http://shop2.olleh.com/event/galaxyS6_order.jsp?cmpid=Shop_Event_Galaxys6Preorder_Int_ShopMain_MainBn_150323#none|KT]]를 통해 사전예약 페이지가 오픈되었다. 2015년 4월 1일부터 예약판매가 실시될 예정이며 2015년 4월 10일부터 개통 절차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한다. 32 GB 모델과 64 GB 모델만 실시되며 블랙 사파이어, 화이트 펄, 색상은 바로 수령할 수 있으나, 그린 에메랄드 색상은 2015년 5월 초에 수령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신종균 당시 [[삼성전자]] IM부문 사장도 구하지 못해 화이트 펄 색상을 사용한다 밝힐 정도로 골드 플래티넘 색상의 인기가 좋다고 한다. 2015년 4월 1일, [[http://www.upluslte.co.kr/event/GalaxyS6?WEB_BNNR_ID=INT07_94_reserve|LG U+]]와 [[http://store.samsung.com/sec/ng/static/Galaxy_S6_Reservation.html|삼성전자 스토어]]까지 사전예약 페이지가 오픈되었고, 기존에 오픈된 [[SK텔레콤]]과 [[KT]]까지 포함해서 사전예약이 시작되었다. 이동통신사를 통해 판매되는 기기의 출고가는 32 GB 모델이 979,000 원, 64 GB 모델이 1,056,000 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삼성전자 스토어를 통해 판매되는 무약정 기기의 출고가는 재매입 수수료[* 현재, 일반 소비자가 [[단말기 자급제]]로 출시 되지 않은 경우에 무약정 단말기를 구입할 때, [[삼성전자]]에서 각 이동통신사로 공급된 물건을 다시 [[삼성 디지털프라자]]가 재매입해서 판매하기 때문에 중계 수수료를 추가로 지불해야한다.]가 붙어서 32 GB 모델이 1,077,000 원, 64 GB 모델이 1,162,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예약 판매의 경우, 전작인 [[갤럭시 S5]]보다는 높지만, [[갤럭시 S III]]나 [[갤럭시 S4]]에 비하면 부진한 편이고 [[아이폰 6]]와 비교하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4/03/2015040303109.html|초라한 수준]]이라고 한다. 2015년 5월 12일, 128 GB 모델이 [[http://www.etnews.com/20150511000241|한국 출시 절차를 밟고 있다]]고 한다. 이로인해 한국 삼성전자 공식 사이트에도 128 GB가 추가되었다. 그린 에메랄드 색상과 동시에 출시되며 출고가는 1,188,000 원이다. 이는 [[Apple|애플]]의 [[아이폰 6 Plus]] 128 GB 모델과 동일한 출고가이다. 2015년 5월 27일, [[아이언맨|Iron Man]] Edition이 1,000 대 한정으로 출시되었다. 출고가는 1,199,000 원으로 [[http://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G925SLRRSKO|SK텔레콤]], [[http://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G925KLRRKTO|KT]] 그리고 [[http://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G925LLRRLUO|LG U+]] 모두 출시되었다. 또한, 선착순 100명에게는 [[http://image.zdnet.co.kr/2015/05/27/CrsYby5yYFThSFjp3KT4.jpg|아이언 맨 브리프케이스]]가 제공되었다. 2015년 7월 17일, 출고가가 32 GB 모델이 878,900 원, 64 GB 모델이 944,900 원으로 각각 인하되었다. 2015년 10월 8일, 출고가가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100713314504986|인하]]되었다. 32 GB 모델은 동결이나, 64 GB 모델이 898,700 원으로 인하되었다. 2016년 6월 4일, 출고가가 32 GB 모델이 735,900 원, 64 GB 모델이 755,700 원 그리고 128 GB 모델이 799,700 원으로 각각 인하되었다. === 한국 시장 이외 === 2015년 4월 10일 이전, 각 국가 [[삼성전자]] 공식 사이트에서 홍보용 마이크로 사이트 대신에 기존 공식 사이트 형태로 홍보 사이트를 개설하고 있다. 그런데, [[http://www.samsung.com/hk_en/smartphones/galaxy-s6-edge/|홍콩 삼성전자]]에서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 표기해서 혼동이 있었으나, 방수 방진 기능은 고사하고 4G [[LTE-TDD]]와도 관계가 전혀 없는 과거 모델인 [[http://www.samsung.com/hk_en/consumer/mobile/smartphones/smartphones/GT-I9505ZKATGY/|갤럭시 S4]]에도 존재하는 단순한 안내 문구라고 한다. 미국에는 [[버라이즌 와이어리스]], [[AT&T]], [[스프린트 코퍼레이션]], [[T-모바일]] US, [[US 셀룰러]] 등 대형 이동통신사를 포함해 지역 이동통신사들을 통해서도 출시되었다. 미국에 출시된 [[삼성전자]] [[스마트폰]] 중, [[삼성 엑시노스]] 계열 모바일 AP를 전량 사용한 것은 [[갤럭시 S]] 이후로 최초다.[* [[갤럭시 노트 시리즈]]까지 확대할 경우, [[갤럭시 노트 II]]가 있다.] 또한, [[CDMA]] 계열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경우에만 [[Qualcomm Snapdragon X7 LTE Modem|퀄컴 스냅드래곤 X7 LTE 모뎀]]이 탑재되었고 기본적으로는 [[삼성 엑시노스/통신 모뎀 솔루션#s-2.2.5.3|삼성 엑시노스 모뎀 333]]이 탑재되었다고 한다. 중국에는 중국 오픈 모델만 출시되었다. 4G [[LTE]]-FDD/[[TD-LTE|TDD]], 3G [[WCDMA]]와 2G [[GSM]]에다 [[차이나모바일]]이 서비스하는 [[3G]] 네트워크인 [[TD-SCDMA]]와 [[차이나텔레콤]]이 서비스하는 [[CDMA]] 계열 이동통신을 모두 지원하기에 단일 기기로 중국 내 모든 이동통신을 지원한다. 하지만, 듀얼심은 지원하지 않는다. 일본에는 기존과 같이 [[NTT 도코모]]와 [[KDDI]] 계열[* 직접 운용 브랜드인 au, [[MVNO]] 통신사인 [[UQ 모바일]] 그리고 합자회사이자 지역 이동통신사인 오키나와 셀룰러 등이 있다.]로 출시되며 여기에 [[소프트뱅크 모바일]]이 [[삼성전자]]의 [[휴대 전화]]로는 '''4년 만에''' 출시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 [[삼성전자]] 체제를 포함해서 [[갤럭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역사 상 유일하게 일본 내 직접적으로 이동통신망을 구축해서 서비스하는 이동통신사를 통해 출시된 휴대 전화가 되었다.[* [[MVNO]] 통신사는 직접적인 이동통신망을 구축하지 않는다. 원래 [[소프트뱅크 모바일]]은 피처폰 위주로 출시되었으며 [[NTT 도코모]]는 [[Windows Mobile]] 6.5 [[스마트폰]]이 출시되기도 했었다. 하지만 [[KDDI]] 계열은 아무것도 출시되지 않았었다. 여담으로, [[LG전자]]는 [[NTT 도코모]]를 통해 주로 출시했었으며 팬택은 [[KDDI]] 계열을 통해서만 출시했었다.] 다만, [[NTT 도코모]]와 [[KDDI]] 계열은 골드 플래티넘과 그린 에메랄드 색상만 출시했으나, [[소프트뱅크 모바일]]은 기본 색상 4종 모두 출시했다. 출시 일정은 이동통신사의 입김이 강한 일본 답게 글로벌 출시일인 2015년 4월 10일이 아닌 2015년 4월 23일이라고 한다. 또 다른 특징이라면 [[원세그]] TV와 [[FeliCa]]를 지원하며 [[소프트뱅크 모바일]]은 4G [[LTE-TDD]]와 호환성을 가지는 [[AXGP]]를 지원하고 [[KDDI]] 계열 모델은 [[WiBro Evolution]]도 추가로 지원한다. 다만, [[KDDI]] 계열이 서비스하는 [[CDMA]] 계열 이동통신은 [[LG U+]]가 2013년부터 그랬던 것처럼 음성 통화를 [[VoLTE]]로 대체했기 때문에 더 이상 지원하지 않는다. 특히, [[삼성전자]] 일본 법인이 2015년 기준으로 B2C 사업을 벌이는 유일한 제품군이 모바일 기기인 상황이기에 일본 시장 대응을 위한 여러 방법 중 하나로 브랜드 명칭을 [[삼성전자]]에서 [[갤럭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로 변경하고 [[삼성전자]] 로고를 빼고 'Galaxy' 로고를 삽입해 판매하고 있다.[* 물론, 등록된 법인명은 [[삼성전자]]를 유지하고 있다.] [[추노마크]]역시 제조사 [[추노마크]]는 존재하지 않으며 브랜드 명칭인 '''Galaxy'''의 로고가 이를 대신하고 있다. 여담으로, 일본 내 CF 모델이 [[후타바 안즈]] 성우인 [[이가라시 히로미]]였다고 한다. 이후, 로즈 색상이 추가 색상으로 일부 국가 혹은 지역에 출시되었다. === 특별판 모델 === ==== Galaxy S6 Edge Iron Man Edition ==== || [[파일:GS6E_IME_1.jpg|width=100%]] || || [[http://www.samsung.com/sec/support/model/SM-G925SLRRSKO|한국 삼성전자 SM-G925S 갤럭시 S6 엣지 아이언맨 에디션 고객지원 사이트]] || [youtube(UT8YK5oUT9E)] 기기가 공개되고 난 후, 일부 누리꾼들 사이에서 기기 특유의 디자인과 [[삼성전자]]와 [[마블]]이 협력하고 있는 관계[* [[갤럭시 탭 S 8.4]] 및 [[갤럭시 탭 S 10.5|10.5]]의 전용 콘텐츠에 [[마블 코믹스]]가 포함되어 있기도 했으며 [[삼성전자]]는 2015년에 개봉된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의 협찬사다. 또한 작 중 최후반부에 [[블랙 위도우]]가 플래티넘 골드 색상을 들고 있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인 것을 착안해 [[마블 코믹스]]의 히어로들의 테마 색상을 렌더링 이미지에 합성하여 짤방 형태로 배포했었다. 이렇게 보면 단순한 인터넷 문화일 듯 싶었지만, [[삼성전자]]가 매우 이례적으로 Iron Man Edition을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기획 및 제작해 공개]]'''했다. 64 GB 모델 기반으로 레드 컬러에 골드 테두리를 사용하며 후면에 [[아이언맨]] 마스크를 적용한 '아이언맨 레드'[* [[삼성전자]] 공식 표기로 띄어쓰기가 되어있지 않다.]색상을 적용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아크로 원자로 디자인의 무선 충전기 및 정품 클리어 커버가 기본으로 제공되며 일반적인 박스 패키징 구성품 역시 동일하게 제공된다. 색상이나 주변 기기들의 디자인은 호평이나, 후면의 [[아이언맨]] 마스크는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다만 이 디자인은 [[마블]]측에서 요구한 것일 가능성이 큰데, 마블의 주요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하는 제품들에 아이언맨의 저 마스크가 심심찮게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질레트]]의 어벤져스 에디션에도 [[http://bbs1.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mobile/66/read?articleId=333570&bbsId=G002&itemId=8&pageIndex=1|동일한 마스크가 새겨져 있다.]] 출시 일정으로 우선, 한국과 중국 그리고 홍콩에서만 출시되며 한국은 2015년 5월 27일부터 1,000 대 한정으로 출시되었다. 특이사항으로는 일련번호가 0001부터 1000까지 각인되어 있다고 한다. 이후, 홍콩은 2015년 6월 3일부터 388 대 한정으로 출시되나, 일반 소비자가 아닌 삼성 클럽 S회원 대상으로 판매가 개시되며 출고가는 1,199,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 판매량 === 한국 출시 직후 10일 간 한국 시장 판매량은 형제 모델인 [[갤럭시 S6]]와 합산하여 [[https://www.youtube.com/watch?v=a-RMxaoGRhA|약 20만 대]]로 집계되었지만 전체 판매량은 [[삼성전자]] 예측을 미달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기준 약 7천만 대 판매량을 예상했지만 이쪽이 생각 외로 부진해서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정확한 수치는 알 수 없으나 약 5천만 대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 파생 모델 == === [[갤럭시 S6 엣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갤럭시 S6 엣지+)] 갤럭시 S6 엣지의 '''대화면 파생 모델'''이다. == 소프트웨어 지원 == === 제조사 공식 === [[삼성전자]]는 기기 출시상 분류에 맞춰서 소프트웨어 지원 내역을 공개하고 있다. 기기명이 아닌 기기 출시상 분류를 따르는 이유는 동일한 기기명을 가진 단일 모델을 공급한다 하더라도 유통 과정에서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구분을 할 수 있게 조치해뒀기 때문이다.[* 이는 [[Apple|애플]]이나 [[LG전자]] 등 다른 제조사들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각 기기의 박스 패키징에 부착된 시리얼 넘버를 확인하지 않는 이상 [[Apple|애플]]과 [[LG전자]]는 일반 사용자가 평상시에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삼성전자]]는 기기 고객지원 사이트의 URL에서 차이점을 찾아 구분할 수 있다.] 한국 시장에서의 소프트웨어 지원 내역 사이트는 다음과 같으며, 한국 기준 최신 패치 일자는 2022년 8월 18일이다. || [[http://doc.samsungmobile.com/SM-G925S/SKC/doc.html|SK텔레콤]] || [[http://doc.samsungmobile.com/SM-G925K/KTC/doc.html|KT]] || [[http://doc.samsungmobile.com/SM-G925L/LUC/doc.html|LG U+]] || ==== [[안드로이드 롤리팝|5.1 롤리팝]] ==== 2015년 4월 29일, 미국 내수용 중 [[T-모바일]] US 모델인 SM-G925T의 안드로이드 5.1 롤리팝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5.1.1로 OTA 방식으로 진행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해당 펌웨어로 인해 부트로더가 잠겼다는 주장이 존재했으나, [[http://www.xda-developers.com/t-mo-ota-to-lock-bootloaders-no-dont-panic-yet/bl1/|개발자 옵션을 통해 손 쉽게 언락이 가능해졌다]]고 한다.[* 원래 [[삼성전자]]는 이동통신사 요청이 아니면 부트로더가 기본적으로 언락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회한 것은 사용자 동의 없이 기기의 공장 초기화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2015년 5월 5일, 안드로이드 5.1 롤리팝 업그레이드에 [[http://www.sammobile.com/2015/05/05/exclusive-android-5-1-1-to-bring-new-camera-features-to-the-galaxy-s6-and-s6-edge/|Camera2 API가 추가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해당 기능은 [[LG전자]]의 [[LG G4|G4]]가 주요 마케팅 포인트로 잡은 기능으로 미국 내수용 중 [[T-모바일]] US 공급 모델인 SM-G925T의 펌웨어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것이라고 한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5.1.1이 될 것이라고 한다. 2015년 6월 15일, 미국 내수용 중 [[T-모바일]] US 모델인 SM-G925T의 안드로이드 5.1 롤리팝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http://www.sammobile.com/2015/06/15/android-5-1-1-starts-rolling-out-to-the-galaxy-s6-edge/|#]]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5.1.1r2로, 지난 2015년 4월 29일에 OTA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진 것을 볼 때 모종의 이유로 테스트 펌웨어가 배포되고 이후 내부 개선이 지속된 후에 정식 펌웨어가 배포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RAM 누수 현상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진 빌드를 5.1.1r3를 이용해서 만든 펌웨어가 아니라는 점에서 논란이 되었다. 한 편, 당초 예상되었던 Camera2 API는 추가되었으나, 순정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작동하지 않으며 [[http://www.sammobile.com/2015/06/21/galaxy-s6-and-s6-edge-android-5-1-update-does-bring-raw-support-and-lower-iso-values-after-all/|별도의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2015년 6월 22일, 범용 모델인 SM-G925F의 안드로이드 5.1 롤리팝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http://www.sammobile.com/2015/06/22/international-galaxy-s6-edge-sm-g925f-getting-android-5-1-1-update-as-well/|#]]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5.1.1r2이다. 2015년 6월 23일, 미국 내수용 중 US셀룰러 모델인 SM-G925R4의 안드로이드 5.1 롤리팝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5.1.1r2이다. 2015년 7월 14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의 안드로이드 5.1 롤리팝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5.1.1r2이다. [[삼성전자]] 펌웨어 빌드버전이 BOG5로 범용 모델 대비 추가로 진행된 개선이 있어서 범용 모델에 올라간 펌웨어보다 빌드버전이 더 높다. 다만, 기본 바탕이 되는 안드로이드 빌드버전이 5.1.1r2라 메모리릭 현상의 완벽하게 개선되지 않았다고 한다. 2015년 7월 15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의 안드로이드 5.1 롤리팝 최초 펌웨어에서 핸즈프리 등 각종 버그가 발생해 업그레이드를 중단하고 버그를 패치해서 펌웨어를 다시 배포한다고 한다. 2015년 8월 20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의 안드로이드 5.1 롤리팝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빌드버전은 COH7으로, [[삼성 페이]]가 기본 [[애플리케이션]]으로 시스템 파티션에 설치되면서 삭제가 불가능해졌으며 [[삼성 기어 시리즈]]와 연동을 위한 삼성 기어 매니저가 설치 링크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시스템 파티션에 설치되었다. 그리고, '''[[갤럭시 S6 엣지+]]의 신 기능이 대거 추가'''되었다. [[삼성 터치위즈]] 네이쳐 UX 4.0의 아이콘이 최신 형태로 변경되었고, 기본 뮤직 [[애플리케이션]]에는 UHQ 업스케일링이 추가되는 등의 기능 추가가 이루어졌다. 2015년 9월 30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의 안드로이드 5.1 롤리팝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빌드버전은 COI6으로, [[삼성 페이]] 최적화, [[블루투스]] 안정화 코드와 함게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에 적용된 [[애플리케이션]] 별 절전 기능이 추가되었다. ==== [[안드로이드 마시멜로|6.0 마시멜로]] ==== 2015년 11월 15일, [[삼성전자]] 내부 자료로 주장되는 [[http://www.phonearena.com/news/Roadmap-reveals-when-certain-Samsung-Galaxy-devices-will-be-updated-to-Marshmallow_id75779|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업그레이드 기기 목록이 유출]]되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갤럭시 노트5]]와 [[갤럭시 S6 엣지+]]에 우선순위가 밀려 [[갤럭시 S6]]와 함께 2016년 1월 중으로 실시될 것이라고 한다. 2015년 12월 2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K/L 그리고 범용 모델인 SM-G925F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http://news.samsung.com/kr/갤럭시-마시멜로-한국에서-가장-먼저-만나는-방법은|베타 테스트]]가 실시되었다. 단, 범용 모델의 베타 테스트는 영국에서만 이루어졌다. 신청은 선착순으로 이루어졌으며 2015년 12월 24일 기준, 마감된 상황이다. 삼성 계정과 [[갤럭시 케어]] 설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며 OTA 방식으로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어 2016년 1월 18일에 종료되었다. 정식 펌웨어로 복귀는 [[스마트 스위치]]를 이용하면 된다고 한다. 2016년 1월 25일, [[삼성전자]]가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업그레이드를 [[http://www.justaboutphones.com/android-6-0-marshmallow-for-samsung-galaxy-flagships/|2016년 2월 중으로 연기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2016년 1월 30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6.0.1로 OTA는 지원하지 않고 [[스마트 스위치]]를 통한 유선 업그레이드만 지원된다고 한다.[* 다만, 베타 테스트에 참여하고 베타 테스트 종료 이후에도 베타 펌웨어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 한해서 OTA를 통한 업그레이드를 지원했다.] 우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미려하게 변경되었으며 [[지문인식]] 센서의 인식 속도가 개선되었고 [[삼성 KNOX|삼성 Knox]]가 업그레이드 되었다. 또한, [[갤럭시 노트5]]에 탑재되었던 스크롤 캡쳐가 '스마트 캡쳐'라는 명칭으로 추가되었고 이외에도 고속충전을 할지 안할지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나 어두운 곳에서 [[디스플레이]]가 켜지지 않게끔 하도록 하는 기능 등 다양한 편의기능이 추가되었다. 다만, 여러가지 이유[* 대표적으로 [[인스타그램]] [[애플리케이션]]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호환성 문제가 존재했다고 밝혀진 바 있다.]로 2016년 1월 30일 오후 7시 기준, 업그레이드가 중단되었다. 2016년 2월 15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업그레이드가 재개되었다. [[스마트 스위치]]와 [[인스타그램]] 문제가 해결[* 스마트 스위치의 경우, 기존에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때, 백업이 되지 않거나 [[스마트 스위치]]가 프리징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된 이후인지라 정상적으로 OS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다. 한국 내수용 중 LG U+ 모델인 SM-G925L만 추가 마이너 업데이트까지 포함되어 진행되었고 나머지 기기는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최초 펌웨어가 별도의 수정없이 배포되었다. 2016년 2월 22일, 범용 모델인 SM-G925F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http://www.sammobile.com/2016/02/22/android-6-0-1-rolling-out-to-the-galaxy-s6-and-galaxy-s6-edge-in-the-uk/|#]] 영국부터 실시되며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6.0.1이다. 2016년 4월 19일,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과 [[LG U+]] 모델인 SM-G925K/L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6.0.1이며 빌드 번호는 DPD2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6년 4월 2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로 한 손 조작모드와 백그라운드 데이터 모두 제한 기능이 추가되었다고 한다. 이후 2016년 4월 25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인 SM-G925S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마이너 업데이트가 역시 동일한 내용으로 실시되었다. 빌드 번호는 DPD3이며 안드로이드 보안패치 수준은 2016년 5월 1일이다. 2016년 9월 9일, 한국 내수용 중 [[SK텔레콤]] 모델 SM-G925S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6.0.1이며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6년 8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지상파 [[DMB]]의 HD 서비스인 HD [[DMB]] 기능이 추가되었다. 2017년 2월 2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의 안드로이드 6.0 마시멜로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6.0.1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7년 1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터키지역 서머타임 관련 동작이 수정되었고, HD DMB 녹화기능이 추가되었다. ==== [[안드로이드 누가|7.0 누가]] ====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 대상에 포함되어 있으나, 실시 시기는 미정이다. 또한, [[삼성전자]]는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 세부내용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삼성 터치위즈 네이쳐 UX 4.0을 [[http://www.kbench.com/?q=node/169233|삼성 터치위즈 GRACE UX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제외할 것]]이라 밝혔다. 이에 대해 개발 코드네임이 'Zero'로 명명될 정도로 기존 [[갤럭시 S 시리즈]]와 이질적인 부분이 있을정도로 새롭게 시작한 기기 임에도 불구하고 출시 만 1년 만에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에 대해 벌써 버려지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나올 정도로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이다. 그런데, 후속작인 [[갤럭시 S7]] 및 [[갤럭시 S7 엣지|S7 엣지]]가 베타 테스트 용 펌웨어에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50513504|삼성 터치위즈 GRACE UX가 아닌 신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해당 기기도 대상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갤럭시 노트7]]의 개발 코드네임이 바로 'Grace'였다는 점에서 삼성 터치위즈 GRACE UX에서 일부 기능을 조정한 다음, 명칭을 변경할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고, 이 같은 상황에서 삼성 터치위즈 GRACE UX를 미적용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는 추론이 나오고 있다. 2016년 11월 13일, [[삼성전자]] 내부적으로 [[http://www.sammobile.com/2016/11/13/samsung-starts-nougat-firmware-galaxy-s6-s6-edge|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를 준비 중]]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2017년 1월 13일, [[삼성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삼성 멤버스]]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http://underkg.co.kr/freeboard/1671346|안드로이드 7.x 누가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하면서 2017년 상반기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2017년 1월 31일, 미국 내수용 모델에 대한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 사용자 매뉴얼이 [[http://www.theandroidsoul.com/galaxy-s6-and-s6-edge-nougat-update-user-manual/|유출]]되었다. 해당 자료를 통해 [[갤럭시 S7]] 및 [[갤럭시 S7 엣지|S7 엣지]]에 도입된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되었고, 카메라 인터페이스 변경 및 해상도 조절 기능, 삼성 패스 등 기능 추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2017년 2월 8일, Tansu Yegen 터키 [[삼성전자]] 부사장은 자신의 [[https://twitter.com/TansuYegen/status/829238824274448384|SNS 계정]]을 통해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 및 일정을 공개했다. 해당 자료에 의하면 터키 내수용 모델인 SM-G925FQ가 2017년 2월 4주차에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가 실시될 것이라고 한다. 2017년 2월 20일, [[삼성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삼성 멤버스]]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http://underkg.co.kr/news/1724112|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의 업그레이드 실시 시기]]를 공개하면서 2017년 3월 중에 실시됨을 예고했다. 2017년 2월 22일, 터키 [[삼성전자]] 공식 사이트를 통해 [[http://www.kbench.com/?q=node/173109|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가 유출되었다. 이는 동년 2월 8일에 Tansu Yegen 터키 [[삼성전자]] 부사장이 게시한 자료와 비슷하나,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해당 자료에 의하면 터키 내수용 모델인 SM-G925FQ가 2017년 2월 27일에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가 실시될 것이라고 한다. 2017년 3월 9일, 범용 모델인 SM-G925F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https://www.sammobile.com/2017/03/09/galaxy-s6-edge-nougat-update-appears-to-be-rolling-out/|#]] 영국부터 실시되며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7.0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Samsung Experience 8.0으로 업그레이드 되었으나, 유출된 메뉴얼에는 존재했던 해상도 변경 기능 및 성능 모드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Z 성능 모드는 이후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될 것이라는 주장이 있으며 해상도 변경 기능은 [[삼성전자]]가 하드웨어 상 지원하기 어려워서 지원을 못했다고 밝힌 바 있다. [[갤럭시 노트5]]와 [[갤럭시 S6 엣지+]]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 내역에는 포함된 것으로 보아 사용자들은 RAM 용량 문제로 추정하고 있다.]다. 그리고 2017년 3월 31일 오후 5시 경,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후속작인 [[갤럭시 S7]] 및 [[갤럭시 S7 엣지|S7 엣지]]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펌웨어와 동일한 소프트웨어 요소를 가지고 있으나, 해상도 조절모드와 성능 모드는 결국 삭제되었다.[*Z] 또한, 한국 내수용 중 [[KT]] 모델인 SM-G925K의 부팅 애니메이션이 Olleh O에서 kt로 변경되었다. 2018년 4월 3일 기준, [[삼성전자]]의 [[https://web.archive.org/web/20180403204530/https://security.samsungmobile.com/workScope.smsb|보안 패치 공고]]에 있는 명단에서 제외 된 것이 확인 됨에 따라 앞으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는 받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7월 31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ERG1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HD [[DMB]]의 화질이 개선되었으며 단말기 보안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2020년 11월 16일,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의 안드로이드 7.0 누가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7.0.0이며 빌드 번호는 ETJ1로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 수준은 2018년 6월 1일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단말기 보안 안정화 코드가 적용되었다. ==== [[안드로이드 오레오|8.0 오레오]](취소) ==== 2017년 11월 24일, [[삼성전자]]의 [[:파일:rumerdattebayo.png|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로 추정되는 목록]]이 유출되면서 해당 목록에 포함된 것이 확인되었다. 해당 목록이 사실이라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으로는 최초로 3회 이상의 메이저 업그레이드를 받게 된다. 2018년 1월 25일, [[삼성전자]]의 공식 애플리케이션인 [[삼성 멤버스]]를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이 공개되었으나, 해당 목록에서 제외되면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가능성이 현저하게 낮아졌고 이후, 형제 모델인 [[갤럭시 S6]]의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가능성은 [[https://www.seeko.co.kr/zboard4/zboard.php?id=freeboard&no=896224|0%다]]라는 [[삼성전자]]의 언급까지 나와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는 취소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2018년 2월 9일, [[T-모바일]] US가 미국 내수용 중 [[T-모바일]] US 모델인 SM-G925T의 고객지원 사이트에 [[http://www.androidpolice.com/2018/02/09/galaxy-s6-s6-edge-s6-edge-note-5-might-receive-android-8-0-oreo/|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를 준비 중이다]]고 언급함에 따라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가능성 자체가 다시 살아나버렸다.[* 다만, [[T-모바일]] US는 애초에 소프트웨어 지원 주체인 [[삼성전자]]가 아니다. 단지 이동통신사 자격으로 소프트웨어 지원에 협력하는 주체일 뿐이다. 게다가 [[T-모바일]] US는 이미 [[갤럭시 노트 II]]에 대한 소프트웨어 지원을 공지했다 취소한 전례도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삼성전자]]의 행보와 전례들을 볼 때 대규모의 OS 업그레이드보다는 안드로이드 보안 패치를 포함한 자잘한 마이너 업데이트일 가능성이 높고 설령 지원을 해준다 하더라도 [[T-모바일]] US 한정으로만 OS 업그레이드가 실시될 가능성이 있다.] 이후 2018년 3월 경, [[T-모바일]] US가 고객지원 사이트를 통해 [[https://support.t-mobile.com/community/phones-tablets-devices/software-updates/|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대상 기기 목록을 공개]]했는데, 해당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것이 확인되면서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업그레이드 가능성이 다시 0%가 되었다. === 커스터마이징 === 2017년 10월 기준으로 [[갤럭시 S8]] 및 [[갤럭시 S8+|S8+]] 기반 [[삼성전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Samsung Experience]] 8.1과 각종 [[삼성전자]]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일부 소프트웨어 콘텐츠들이 순정 펌웨어 기반으로 이식되었다. 또한, ResurrectionRemix 커스텀 롬과 [[LineageOS]] 기반 커스텀 롬 정도만 개발 및 배포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2019년 6월 29일 기준, 안드로이드 9 파이 기반의 Samsung [[One UI]] 커스텀 롬이 배포되기도 했다. [[삼성 엑시노스 7]] Octa (7420)를 모바일 AP로 탑재한 기기 중에서 안드로이드 9 파이 업그레이드가 진행된 기기가 없기 때문에 모바일 AP 등 기반 자체가 다른 기기의 펌웨어를 갈아엎어서 새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커스텀 롬 자체도 직접 개발된 것이 아니라 [[갤럭시 노트5]]의 커스텀 롬을 이식해서 간접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불안정하다고 한다. 이후 지속적으로 개발이 진행되어 동년 8월 2일 기준으로는 UHQ 기능과 동영상 촬영 등 일부 기능이 불안정하지만 빅스비를 빅스비 비전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어느정도 실제 사용이 가능한 수준까지 발전했다고 한다. 다만, 한국 내수용 모델인 SM-G925S/K/L에 맞춰진 채 개발이 진행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글로벌 모델인 SM-G925F로 기기명을 변경해야 한다고 한다. == [[갤럭시 S6/논란 및 문제점|논란 및 문제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갤럭시 S6/논란 및 문제점)] == 기타 == || [[파일:Samsung Galaxy S6 로고.svg|width=100%]] || [[파일:GS6_Box_1.jpg|width=100%]] || * 갤럭시 S6 | S6 엣지를 기점으로 [[삼성 갤럭시]]의 브랜딩 변경점이 존재한다. [[삼성 갤럭시]]의 브랜드 글꼴이 Samsung Sans에서 Samsung Sharp Sans로 변경되었으며 박스 패키징 디자인 역시 변경되었다. * [[DAC]] 칩셋을 옵션으로 내장하지 않는 [[삼성 엑시노스 7]] Octa (7420)을 모바일 AP로 탑재했기 때문에 [[DAC]] 칩셋은 울프슨의 WM1840을 별도로 탑재했다. * 한국 시장 광고 음악으로 [[Woodkid]]의 "[[Iron]]"이 사용되었다. 해당 음악은 [[어쌔신 크리드: 레벨레이션]]의 시네마틱 트레일러에도 쓰였다. 이로 인한건지는 모르지만 광고 자체는 고급지게 보인다며 호평을 받고 있다. * 씨넷 코리아에서 '디자인 난해한 휴대폰' Top 5에 선정되었다. [[엣지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디자인이 그만큼 당시 스마트폰 디자인의 전반적인 패러다임과 달랐고, 여러 디자인적으로 언밸런스한 부분이 많이 보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해당 디자인은 2017년부터 [[삼성전자]]의 표준이 되었다. * 기기에 탑재된 [[무선충전]] 모듈인 TI의 BQ51221이 최대 5 W의 전력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갤럭시 S6 엣지+]]와 [[갤럭시 노트5]]에 탑재된 [[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규격의 9 W 고속 [[무선충전]]을 지원하지 않는다. * 이유는 알 수 없으나, MHL를 지원하지 않는다. 미라캐스트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지만 해상도 부분에서 손해를 보기 때문에 완전한 해결 방안은 아니다. * 형제 모델인 [[갤럭시 S6]]과 더불어[* S6 기본형의 경우 국내엔 128 GB 미출시] [[삼성전자]] [[스마트폰]] 중 128 GB 저장공간이 탑재된 최초의 스마트폰이다.[* 그린 에메랄드 컬러 단독 출시. 128 GB 스토리지는 2021년부터 [[갤럭시 A 시리즈]]의 하위 기기인 A22 5G, A13 5G부터 최상위 기기인 퀀텀2, A73 5G까지, 해외형 S21, S22에 탑재된 가장 흔한 기본 용량이지만 2015년의 128 GB 스토리지는 오늘날의 1 TB에 맞먹는 대용량, 최고급 옵션이였다. 128 GB를 기본으로 탑재한 최초의 갤럭시 스마트폰은 2018년에 출시된 [[갤럭시 노트9]]이다.] * 골드 플래티넘 색상을 고급형 패키지 형태로 만든 'Galaxy S6 edge Gold Platinum Limited Edition'이 500 대 한정으로 출시되었다고 한다. 다만, [[삼성전자]] 공식 채널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 [[LTE]] Cat.9 지원 모델에 탑재된 [[삼성 엑시노스/통신 모뎀 솔루션#s-2.2.5.3|삼성 엑시노스 모뎀 333]]이 2015년 8월, [[http://www.samsung.com/semiconductor/products/exynos-solution/modem-rf/S333?ia=2516|삼성전자 반도체 공식 사이트]]가 리뉴얼되면서 [[LTE]] Cat.10까지 지원할 수 있다고 밝혀졌다. 이로인해 [[삼성 엑시노스/통신 모뎀 솔루션#s-2.2.5.3|삼성 엑시노스 모뎀 333]]이 탑재된 갤럭시 S6 엣지의 [[LTE]] Cat.9 지원 모델을 포함해 [[갤럭시 노트4 S-LTE]], [[갤럭시 S6]]의 [[LTE]] Cat.9 지원 모델, [[갤럭시 노트5]]의 [[LTE]] Cat.9 지원 모델이 온전히 [[LTE]] Cat.10까지 지원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에 대한 [[삼성전자]]의 공식 입장은 없는 상태이며 [[삼성 엑시노스/통신 모뎀 솔루션#s-2.2.5.3|삼성 엑시노스 모뎀 333]]을 탑재하면서 [[LTE]] Cat.10까지 지원하는 공식적인 기기는 2015년 8월 28일 기준으로 [[갤럭시 S6 엣지+]]의 [[LTE]] Cat.10 지원 모델이 유일하다. * [[2015년 11월 파리 테러]]의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한 시민이 폭탄 파편에 죽을 뻔 했으나 다행히 갤럭시 S6 엣지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1/14/2015111401179.html|파편을 막아줘]] [[http://www.phonearena.com/news/Samsung-Galaxy-S6-saves-mans-life-during-Paris-terrorist-attacks_id75771|목숨을 구했다]]고 한다. * [[엣지 디스플레이]] 터치가 잘못 작동되면서 글 등을 읽을 때 스크롤하는데 지장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실외에서 측면 엣지 디스플레이에 빛이 반사되어 동영상 시청 등에 방해가 되는 이야기가 있다. 문제는 곡면의 특성상 반사광이 집중되는 것이라 어쩔수 없다는 것으로 해결 방안이 전무하다. * 출시 직후, 시장에서 [[http://news1.kr/articles/?2186631|골드 플래티넘 색상을 많이 선호해서]] [[http://www.i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930|없어서 못 팔 정도로 인기가 많아 품귀 현상이 벌어 졌다]]고 한다. 심지어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41509581509503|삼성그룹의 사장단들 까지도 골드 플래티넘 색상을 정말 구하기 어렵다고 하소연을 하고 있다]]고 한다. [[신종균]] 당시 [[삼성전자]] IM부문 사장은 골드 플래티넘 색상을 구하는 것을 원했으나, 공급 물량 부족으로 인해 구할 수 있는 물량이 동나면서 하는 수 없이 [[http://news.mt.co.kr/newsPrint.html?no=2015041510425107478&type=1&gubn=undefined|화이트 펄 색상을 사용]]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골드 플래티넘 색상이 잘나간다는 사실을 은연 중에 밝히면서 동시에 과도한 쏠림 현상을 막는 목적으로 [[삼성전자]]가 언론 플레이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고 하며, 윤용암 당시 [[삼성증권]] 사장은 특별히 부탁해서 골드 플래티넘 색상을 구했다고 한다. 그리고 [[김현석(기업인)|김현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장(사장)은 당시 시간이 없어서 구하지 못해 아쉬워했다고 한다. 데이터도 이관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될 때, 엣지 화이트 모델을 사고 싶었고, 결국 구했지만 데이터 이관 등으로 인해 [[갤럭시 노트4]]와 병행해서 사용하다가 데이터를 이관하고 엣지 화이트로 갈아탔다고 한다. [[분류:갤럭시 S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