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북선에 있는 철도역, rd1=개포역)] ||<-3> {{{+2 '''개포동역'''}}} || ||<-3>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파일:SBLine_icon.svg|width=30]]]] || || [[청량리역|{{{-1 {{{#585858,#a7a7a7 청량리 방면}}}}}}]][br][[구룡역|구 룡]][br]← 0.7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1 {{{#ffffff 수인·분당선[br](K219)}}}}}}]] || [[인천역|{{{-1 {{{#585858,#a7a7a7 인천 방면}}}}}}]][br][[대모산입구역|대모산입구]][br]0.6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개포동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aepo-dong || || [[한자]] ||<-2> 開浦洞 || || [[간체자]] ||<-2> 开浦洞 || || [[가나(문자)|가나]] ||<-2> [ruby(開浦洞, ruby=ケポドン)]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 지하420 ([[개포동]] 195)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 ([[업무분담역|위탁역]])[br]([[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 ||<-3> '''운영 기관''' || || [[분당선]] ||<-2>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분당선]] ||<-2><|2> 2003년 9월 3일 || || [[수도권 전철 분당선|{{{#ffffff 분당선}}}]]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ffffff 수인·분당선}}}]] ||<-2> 2020년 9월 12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5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철도거리표''' || || [[왕십리역|{{{-1 {{{#585858,#a7a7a7 왕십리 방면}}}}}}]][br][[구룡역|구 룡]][br]← 0.7 ㎞ || '''[[분당선]]'''[br]개포동 || [[수원역|{{{-1 {{{#585858,#a7a7a7 수원 방면}}}}}}]][br][[대모산입구역|대모산입구]][br]0.6 ㎞ →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K219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 지하420 ([[개포동]] 195). [[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역]] 관할이다.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gaepost2.jpg|width=100%]]}}}|| || 1, 2번 출입구 방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gaepost1.jpg|width=100%]]}}}|| || 대합실 부분 || 수인·분당선의 [[도곡역|도곡]]~[[수서역(수도권 전철)|수서]] 구간 사이의 [[수도권 전철 분당선/강남 구간 역 설치 논란|'''강남리 세 시골 간이역''']] 중 가운데 역[* 1990년 2월 분당선 기공식에서 발표된 [[https://madecat.tistory.com/27|초기 노선 계획안]]에 반영되어 있던 역이다.]이다. 수도권 지하철 역중에서 역명에 '-동'이 붙은 몇 안되는 역 중 하나인데, 이는 [[경북선]] [[개포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개포동역으로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개포로와 삼성로가 교차하는 사거리 지하에 역이 세워져 있으며, 그 사거리를 중심으로 출입구 8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 출입구는 모두 지하 2층에서 중앙의 광장으로 모여서, 한 방향의 개찰구를 통하여 승강장으로 내려가는 구조이다. 1·2번 출구와 3·4번 출구는 문을 열자마자 바깥세상과 통한다. [[구룡역]] 2번 출구와 같은 구조다. 역의 광장의 중심 기둥 위에는 놀랍게도 '''스테인드글라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기둥면에는 인근의 교회에서 제공하는 책들로 이루어진 도서관이라고 적고 배부하는 전단지나 서적이 놓여있는 광고판이다. 처음엔 정말 도서관처럼 책들이 있었지만 지금은 성경 관련책이나 광고뿐이지만 여전히 "책들을 가저가지 마시오"라는 경고문은 존재한다. 그리고 2011년 초에 구룡역 구석에 있던 쉼터와 마찬가지로 서가와 책상을 모두 치워버렸다. == 역 주변 정보 == 이 역을 중심으로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대치역]], 수인·분당선 [[구룡역]], [[대모산입구역]]과는 각각 '''걸어서 10분 거리'''에 있다. 특히 대모산입구역과 구룡역 등 같은 수인·분당선은 걸어서 5분 거리에 있다. 집값을 올리기 위한 아파트들의 민원과 소송으로 이루어진 결과이다. 대모산입구역은 주변에 아파트라도 많아 이용객이 어느 정도 있지만, 구룡역은 사실상 유령역이다. 그나마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이 학기 중엔 조금 탄다. 역의 남쪽으로는 개포동 아파트 단지와 [[경기여자고등학교]]가 있다. 북쪽으로는 영동5교를 통해 [[양재천]]을 건너서 대치동으로 갈 수 있으며, 북쪽 네 출구는 모두 근린 공원과 연결된다. 역 서쪽으로는 구룡역과 공통 역세권인 수도공고가 있다. 역 남쪽으로 [[개포동]] [[재건축]] 단지가 몰려있다. [[디에이치 아너힐즈]], [[개포자이 프레지던스]]가 [[재건축]]을 완료했고, [[개포주공5단지]], [[개포주공6단지]], [[개포주공7단지]]가 [[재건축]]을 추진하고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파일:SBLine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03년 || {{{#fabe00 8,746명}}} || [* 개통일인 9월 3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0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4년 || 7,656명 || [* 해당 연도까지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list.jsp?boardId=9863289&id=www_060700000000|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 || || 2005년 || 6,608명 || || || 2006년 || 6,420명 || || || 2007년 || 6,264명 || || || 2008년 || 6,413명 || || || 2009년 || 6,462명 || || || 2010년 || 6,595명 || || || 2011년 || 6,439명 || || || 2012년 || 6,832명 || || || 2013년 || 7,820명 || || || 2014년 || 7,943명 || || || 2015년 || 7,911명 || || || 2016년 || 7,366명 || || || 2017년 || 7,130명 || || || 2018년 || 6,407명 || || || 2019년 || 6,891명 || || || 2020년 || 5,626명 || || || 2021년 || 6,234명 || || || 2022년 || 7,140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강남리 마을 전철]]의 중간에 있는 역이다. 양옆의 역들과 거리가 너무 가까운 나머지 하루 평균 이용객은 6,234명(2021년 기준)에 불과하다. 그나마 이것도 개포동 3개 역 중에 가장 많은 것이다. 전형적인 주민들의 [[핌피]]로 기껏 역을 만들어놓고 외면당하는 바람에 주변의 학생들이 지역민 못지않게 수요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역의 북쪽에는 [[양재천]]과 [[대치역]]이 있고, 남서쪽으로는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경기여자고등학교]]가 있어서 역세권의 범위가 매우 좁다. 따라서 주민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고 원안대로 역이 세워졌다 하더라도[* 그럴 경우 구룡역, 대모산입구역이 없어진다.], 하루 2만 명 이상 수준의 많은 수요를 뽑아내지는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보다는 이용객이 많았을 것은 확실하다. 실제로 개포동역 수요가 가장 많았던 시점은 '''개통 첫해'''인 2003년의 8,746명이었다. 그나마 이때는 첫해치고는 선방한 것인데 다음 해에 [[구룡역]]이 개통되면서 이용객이 2,000명이 빠진 채로 지금까지 온 것이기 때문이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수인분당선 개포동역.jpg|width=100%]]}}}|| || '''{{{#fff 수인·분당선 승강장 }}}''' || ||<-4> ↑ [[구룡역|구룡]] || || {{{#ffffff 2}}} || ㅣ || ㅣ || {{{#ffffff 1}}} || ||<-4> [[대모산입구역|대모산입구]] ↓ || || {{{#ffffff 1}}} ||<|2>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모란역|모란]]·[[서현역|서현]]·[[수원역|수원]]·[[인천역|인천]] 방면|| || {{{#ffffff 2}}} ||[[구룡역|구룡]]·[[선정릉역|선정릉]]·[[왕십리역|왕십리]]·[[청량리역|청량리]] 방면|| [[구룡역|구룡역]], [[대모산입구역]], [[가천대역]]과 더불어 분당선에서 마지막까지 스크린도어가 없는 역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스크린도어가 완공되면서 가동 중이다. == 사건 ·사고 == * 2017년 5월 11일 오전 8시 18분쯤 분당선 열차가 고장으로 열차가 지연 운행되면서 출근길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목록)] [include(틀:분당선의 역 목록)] [[분류:2003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분류:분당선]][[분류:강남구의 도시철도역]][[분류:서울특별시의 지하철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