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생물 목록]]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상위 계통, rd1=벌목 생물 목록, other2=개미, rd2=개미)] [include(틀:생물 목록 문서 설명)] [목차] == 가시방패개미아과(Dorylinae)[* Dorylus,Aenictus,Eciton 속 등에서 군대개미의 행동특성이 관찰된다.] == * 장님개미속(Dorylus)[* 아프리카 서식 군대개미 120여 종이 포함된다.] * 아프리카 장님개미([[군대개미]])(Dorylus nigricans) * 애닉투스속(Aenictus)[* 구대륙 전반에 퍼져있는 224종의 개미. 알려진 모든 종은 군대개미이다. ] * Aenictus fergusonii[* 인도,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는 적갈색 [[군대개미]]] * 미국방랑개미속(Eciton)[* 아메리카 서식 군대개미가 포함된다. ] * 버첼리 [[군대개미]](Eciton burchellii) * 배잘록침개미속(Syscia) * [[배잘록침개미]](Syscia humicola) == 두배자루마디개미아과(Myrmicinae) == * 비늘개미속(Strumigenys) * [[비늘개미]](Strumigenys lewisi) * 다케톤속(Daceton) * [[킬러개미]](Daceton armigerum)[* 1대1의 전투력은 개미 최강으로 추정된다고.] * 약탈개미속[* Marauder ants. 일개미 간 극단적인 크기 이형성이 몇 종에서 관측된다.](Carebara) * 아시아 약탈개미(Carebara diversa) * 혹개미속(Pheidole)[* 1200여 종이 넘는 개미 종이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종에서 대두 병정 개미를 볼 수 있다.] * [[극동혹개미]](Pheidole fervida)[* 일개미 1.5mm~2mm, 병정개미 약 3.5mm, 여왕개미 약 7mm~8mm, 결혼비행시기는 8~9월로 한국 전지역의 산에서 서식하는 이 개미들은 작은 크기와 달리 매우 호전적인 성향을 보이는 종이다. 혹개미 속에 속하는 만큼 병정개미들의 머리 크기가 엄청나서 적군개미를 펜치같이 토막낸다. 보통의 개미들은 애벌레가 자라 고치를 형성하지만 혹개미속에 속하는 이 개미들은 고치가 없이 그대로 자라서 내장 등 부속기관은 없이 웅크린 형태로 성체가 되기까지를 기다린다.] * [[산치혹개미]](Pheidole pieli) * [[인도혹개미]](Pheidole indica) * [[혹개미]](Pheidole noda) * 꼬마개미속(Monomorium) * [[애집개미]](Monomorium chinese) * 주름개미속(Tetramorium) * [[주름개미]](Tetramorium tsushimae)[* 도시의 길바닥이나 벽돌 틈에서도 집을 짓고 사는 아주 조그만 개미. 곰개미처럼 매우 흔하다.] * [[왕주름개미]](Tetramorium bicarinatum)[* 전 세계적으로 퍼진 종으로 대한민국에도 제주도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한 것이 발견되었다.] * 그물등개미속(Pristomyrmex) * [[그물등개미]](Pristomyrmex punctatus)[* 일개미가 생식활동을 해서 여왕개미 없이 일개미만으로 지속적으로 군체를 꾸려나가는 종이다! 물론 투쟁 끝에 상위 [[서열]]이 된 개체들만이 생식활동을 할 수 있다.] * 짱구개미속(Messor) * [[짱구개미]](Messor aciculatus)[* 한국 유일 수확개미 종.] * [[유럽짱구개미]](Messor barbarus)[* 남부유럽, 북부 아프리카 서식 수확개미 종.] * 뿔개미속(Pogonomyrmex)[* 수확개미속] * [[마리코파개미]](Pogonomyrmex maricopa)[* 독이 가장 강한 곤충 타이틀을 얻은 개미로, LD50(실험쥐)이 0.12mg/kg이다. 참고로 [[꿀벌]]이 2.8 mg/kg임을 생각해보면 매우 강한 편, [[인랜드 타이판]]의 0.01 mg/kg보다는 훨씬 못 미치지만 동부방울뱀의 1.2mg/kg보다 10배로 강하다. 물론 양이 적기 때문에 한 대 정도는 쏘여도 큰 지장은 없지만 그 고통이 4시간은 간다고 한다.] * [[붉은수확개미]](Pogonomyrmex barbatus)[* 미국 남서부 건조지대 서식종.] * [[사막수확개미]](Pogonomyrmex rugosus)[* 미국 남서부(뉴멕시코, 콜로라도) 건조지대 서식종.] * 열마디개미속(Solenopsis) * [[붉은열마디개미]](붉은불개미)(Solenopsis invicta)[* 영미권에선 Red Imported Fire Ant, 줄여서 Rifa ant로 불린다. 세계 100대 악성 침입 외래종.] * [[열대불개미]](Solenopsis geminata)[* 중앙아메리카, 미남부 출신이나 많은 열대와 아열대 지역 특히 동남아시아에 많은 수가 퍼져 악성 침입외래종이 되었다.] * [[일본열마디개미]](Solenopsis japonica) * [[도둑개미]](Solenopsis molesta)[* [[http://en.wikipedia.org/wiki/Solenopsis_molesta|''Solenopsis molesta'']]. 개미 중 가장 작다고 알려진 종류로(일개미의 몸길이 0.7~3mm) [[애집개미]]처럼 집 안에 서식하기도 한다. 가장 큰 특징이라면 야외에서는 다른 개미집 옆에 굴을 파고 먹을 것을 훔쳐다 먹는다. '도둑'개미라는 이름은 여기에서 유래했다.] * 에크로머멕스속(Acromyrmex)[* 잎꾼개미속 중 하나.] *[[사막잎꾼개미]](Acromyrmex Versicolor) * 에타속(Atta)[* 잎꾼개미속 중 하나.] *[[잎꾼개미]](Atta cephalotes) * 꼬리치레개미속(Crematogaster) * [[마쓰무라꼬리치레개미]](Crematogaster matsumurai) * [[등굽은꼬리치레개미]](Crematogaster vagula) * [[노랑꼬리치레개미]](Crematogaster osakensis) * [[검정꼬리치레개미]](Crematogaster teranishii) * 장다리개미속(Aphaenogaster) * [[황장다리개미]](Aphaenogaster famelica) * [[흑산도장다리개미]](Aphaenogaster tipuna) * [[일본장다리개미]](Aphaenogaster japonica) * 호리가슴개미속(Temnotborax) * [[호리가슴개미]](Temnotborax congruus) * [[긴호리가슴개미]](Temnotborax spinosior) * [[라보호리가슴개미]](Temnotborax avell) * [[황호리가슴개미]](Temnotborax sp.) == 렙타닐라아과(Leptanillinae)[* 마르티알리스 아과와 더불어 가장 이른 시기에 진화한 개미들로 밝혀졌다. 신대륙에선 발견되지 않았다.] == == 마르티알리스아과(Martiallinae) == * 마르티알리스속(Martialis) * Martialis herueka[* 2008년에 아마존에서 발견된 마르티알리네아과 유일의 개미이다.] == 배굽은침개미아과(Proceratiinae) == * 배굽은침개미속(Proceratium) * [[배굽은침개미]](Proceratium itoi) == 불개미아과(Formicinae) == * 아노프롤레피스속(''Anoplolepis'') * [[긴다리비틀개미]](노랑미친개미)(''Anoplolepis gracilipes'') * [[목수개미|왕개미속]](''Camponotus'')[* 이 속에 속하는 개미들은 나무에 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영미권에선 목수개미(Carpenter ant)로 불린다. 전 세계적으로 1500종 넘게 발견된 엄청 큰 속이며 국내엔 20종 정도 있다.] * [[갈색발왕개미]](''Camponotus kiusuenis'') * [[검정네눈개미]](''Camponotus fuscus'') * [[나도네눈개미]](''Camponotus nawai'') * [[네눈개미]](''Camponotus quadrinotatus'')[* 배 쪽에 4개의 무늬가 있어서 이런 명칭이 붙었는데 사실 이건 그 부위가 투명해서 내장이 비쳐보이는 것이다. 만약 사육을 하고 싶다고 해도 사육 난이도가 높은 종이라 개미 사육 초보자는 방생하는 게 좋다.] * [[이토왕개미]](''Camponotus itoi'') *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 * [[말레이시아개미]](''Camponotus saundersi'') * [[제주왕개미]](''Camponotus vitiosus'') * [[어리왕개미]](''Camponotus amemianus'') * [[한국홍가슴개미]](''Camponotus atrox'')[* 예전에 기록되었던 홍가슴개미와는 다르다. 홍가슴개미도 같은 왕개미속이지만 사할린 제도와 일본에만 서식하는 종.] * [[홍가슴개미]](''Camponotus obscuripes'') * [[흑색패인왕개미]](''Camponotus concavus'') * [[북방왕개미]](''Camponotus sachalinnensis'') * [[털왕개미]](''Camponotus nipponensis'') * [[한라왕개미]](''Camponotus jejuensis'') * [[냄새왕개미]](''Camponotus keuhitoi'') * [[갈색발왕개미]](''Camponotus kiusiuensis'') * [[미친개미]]속(''Paratrechina'') * [[미친개미#s-2.3|열대긴수염개미]](''Paratrechina longicornis'') *스미스개미속(''Nylanderia'') * [[스미스개미]](''Nylanderia flavipes'') * [[미친개미#s-2.2|라즈베리미친개미]](''Nylanderia fulva'') * 넓적다리왕개미속(''Colobopsis'')[* 최근에 분류된 속이다. 머리로 굴을 막는 병정이 있고 여왕의 머리도 굴을 막는 모양이다.] * [[넓적다리왕개미]](''Colobopsis nipponica'') * [[말레이시아개미]](폭탄개미)[* 인도차이나반도, 말레이시아 서식종으로 일개미 하나하나가 해부학적으로 걸어다니는 폭탄과 같다. 싸움이 발생되면 복부를 수축시켜 독액을 터트린다.](''Colobopsis saundersi'') * 깍지개미속(''Acropyga'') * [[깍지개미]](''Acropyga sauteri'') * 가시개미속(''Polyrhachis'')[* 몸에 난 6개의 가시가 특징이다. 이 속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 가시개미만 기생종이다.] * [[가시개미]](''Polyrhachis lamellidens'') * [[물개미]](''Polyrhachis sokolova'')[* 2006년 발견된 신종. [[물거미]]처럼 물속에 집을 짓는 건 아니고 맹그로브숲 근처의 갯벌에 집을 짓는데 작은 웅덩이가 많은 만큼 개미들 가운데 유일하게 '자발적으로' 수영을 할 수 있다. 이 개미를 최초로 발견한 사람이 잡아다가 물 한가운데의 돌 위에 올려놨더니 헤엄을 쳐서 도망갔다고. 조수에 따라 집이 물에 잠길 수 있지만 집에 공기주머니가 생기기 때문에 안전하다.] * 털개미속(''Lasius'')[* 풀개미라고도 한다. 여왕과 일개미의 크기차가 엄청난 종. 흔히 보이는 쪼만한 개미로 엄청난 생산력과 적응력 등으로 사육하기에는 무리가 없는 종류이다. 여러 마리의 여왕 체제로는 군체를 유지하기 매우 어렵다. 일부 종에서 기생 행동특성을 관찰할 수 있다. ] * [[고동털개미]](''Lasius niger'') * [[일본풀개미]](''Lasius japonicus'')[* 1992년 Seifert에 의해 고동털개미와 분리동정되었다.] * [[누운털개미]](''Lasus alienus'') * [[하야시털개미]](''Lusius hayashi'') * [[황개미]](''Lusius flavus'') * [[민냄새개미]](''Lusius spathepus'') * [[강릉냄새개미]](''Lasius capitatus'') * [[황털개미]](''Lasius umbrstus'') * [[나도황개미]](''Lasius meridionalis'') * [[테라니시냄새개미]](''Lasius orientalis'') * [[꿀단지개미]]속(''Myrmecocystus'') * 멕시코꿀단지개미(''Myrmecocystus mexicanus'') * 북미꿀단지개미(''Myrmecocystus mimicus'') * 나바호꿀단지개미(''Myrmecocystus navajo'') * 베짜기개미속[* Weaver ants. 나뭇잎을 끌어당긴 채로 애벌레가 내뿜는 실을 이어붙여 집을 만든다. ](''Oecophylla'') *아시아베짜기개미(''Oecophylla smaragdina'') *아프리카베짜기개미(''Oecophylla longinoda'') * 불개미속(''Formica'') * [[곰개미]](Formica japonica'') * [[숲곰개미]](''Formica hayashi'') * [[흑개미]](''Formica fusca'') * [[불개미]](''Formica yessensis'') * [[광택불개미]](''Formica candida'') * [[홍개미]](''Formica rufa'') * [[분개미]](''Formica sanguinea'') * 사막개미속(''Cataglyphis'') * [[사하라은개미]](''Cataglyphis bombycina'')[* 무려 경로'''적분'''을 할 수 있다. 적분을 해서 끝없이 모래만으로 이어진 사막에서도 집으로 무리없이 귀환한다.] * 아마존개미속[* 남미의 강 아마존의 어원이 된 그리스신화의 여전사부족 '아마존'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알려진 15종의 개미는 모두 노예 약탈 행동을 보인다.](Polyergus) * [[사무라이개미]](''Polyergus samurai'') == 불독개미아과(Myrmeciinae) == * 불독개미속(Myrmecia)[* 황소개미, 잭 점퍼 개미 등으로도 불린다] * [[거대황소개미]](Myrmecia gulosa) * [[잭 점퍼 개미]](Myrmecia pilosula) * 공룡개미속(Notomyrmecia macrops) * [[공룡개미]][* [[공룡]]이란 이름답게 개미 중에선 가장 크다. 일개미만 최대 '''3cm'''에 달한다고 한다. 동일속 내엔 여왕이 없는 종도 있다.] == 시베리아개미아과(Dolichoderinae) == *시베리아개미속(Dolichoderus) * [[시베리아개미]](Dolichoderus sibiricus) * 마디개미속(Tapinoma) * [[민마디개미]](Tapinoma geei) * [[유령개미]](Tapinoma melanocephalum) * [[대륙민마디개미]](Tapinoma sinense) * [[루톤마디개미]](Tapinoma wroughtonii) * 도랑마디개미속(Ochetellus) * [[흰발마디개미]](Ochetellus glaber) * [[도랑마디개미]](Ochetellus itoi) * 납작자루개미속(Technomyrmex) * [[납작자루개미]](Technomyrmex gibbosus) * [[흰발납작자루개미]](Technomyrmex albipes) * 아즈테카속(Azteca) * [[아즈텍개미]](Azteca andreae)[* 중부 아메리카에 서식한다. 트럼핏나무라는 속이 빈 나무 속에 살림을 차린다. 나무는 집과 단백질이 풍부한 영양물질을 제공하고 개미는 그에 대한 보답으로 집으로 삼은 나무 근처의 잡초를 제거하고 나무에 접근하는 다른 동물(나방 등)을 공격해 쫓아내거나 죽인다. 트럼핏나무에 자리잡은 개미를 박멸하면 나무는 곧 해충에게 뜯기고 잡초나 덩굴에게 눌려 고사한다. [[최재천]] 교수의 저서에 등장한다.] * 아르헨티나개미속(Linepithema) * [[아르헨티나개미]](Linepithema humile)[* 세계 100대 악성침입종. 주 서식지는 남아메리카이나 인간을 통해 전세계로 퍼져 토착 개미를 박살낸 악명높은 침입종이다. ] == 총알개미아과(Paraponerinae) == * 총알개미속(Paraponera) * [[총알개미]][* 총알개미아과 내 유일하게 발견된 한 종이다.](Paraponera clavata) == 침개미아과(Ponerinae) [* 이 녀석들은 원시적인 개미로 벌처럼 침이 있으며 쏘이면 꽤나 아프고 군체의 크기가 작다. 특히 일본침개미같이 큰 녀석은 독의 양이 많아서 더 아프다. 벽을 타는 능력도 떨어져서 유리나 플라스틱로 된 수직 벽을 오르지 못한다. 종에 따라 여왕이 없어지면 일개미들이 사투를 벌여서 승리한 녀석들이 여왕이 될 수 있는 정도의 무리이다. 다른 종과는 다르게 애벌레가 기어갈 수 있다. 그래서 기어가서 일개미들이 가져다놓은 먹이를 먹거나 서로 잡아먹기도 한다.] == *침개미속(Ponera) * [[침개미]](Ponera japonica) * [[거치른침개미]](Ponera scabra) * 왕침개미속(Brachyponera) * [[왕침개미]](Brachyponera chinensis) * 일본침개미속(Ectomomyrmex) * [[일본침개미]]Ectomomyrmex javanus) * 장님침개미속(Cryptopone) * [[장님침개미]](Cryptopone sauteri) * 털보장님침개미속(Euponera) * [[털보장님침개미]](Euponera pilosior) * 황침개미속(Hypoponera) * [[황침개미]](Hypoponera sauteri) == 톱니침개미아과(Amblyoponinae) == * 톱니침개미속(Stigmatomma) * [[톱니침개미]](Stigmatomma silvestrii) == 프세우도미르멕스아과(Pseusomyrmecinae) == * 프세우도미르멕스속(Pseudomyrmex) * 테트라포네라속(Tetraponera) == Agroecomyrmecinae == == Aneuretinae[* 현재까지 유일하게 한 종만 스리랑카에서 발견되었으나 화석상으론 9종이 발견되었다.] == * Aneuretus 속 * Aneuretus simoni[* 현재 유일하게 발견된 Aneuretinae아과의 단일종이다. 스리랑카에서만 발견된다.] == Apomyrminae == * 아포미르마속(Apomyrma) * Apomyrma stygia[* 아포미르미네 아과 유일 발견종] == Ectatomminae == * 그남프토제니스속(Gnamptogenys) * 리티도포네라속(Rhytidoponera) * [[보석침개미]](Rhytidoponera metallica) == †포르미시움아과(Formiciinae) == * †[[포르미시움]](Formicium) * †[[티타노미르마]](Titanomyrma) == †하이도미르멕스아과(Haidomyrmecinae) == * †[[하이도미르멕스]](Haidomyrmex) * †[[링구아미르멕스]](Linguamyrm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