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같이오름 로고 PNG.png|width=200]] || ||<-2> {{{#ffffff '''같이오름'''}}} || || '''영문명''' ||We Up|| || '''등록일''' ||[[2020년]] [[1월 8일]]|| || '''해산일''' ||[[2020년]] [[7월 8일]][* 실질적인 해산은 [[미래통합당]] 창당 이후이나, 활동기간 만료일까지 공식적으로 창준위를 해산하지 않았다.]|| || '''슬로건''' ||정돈된 투쟁, 온전한 개혁|| || '''창당준비위원장''' ||[[김재섭]]|| || '''당색''' || {{{#ffffff 보라색 {{{-2 (#7F2F7E)}}}}}} || || '''SNS''' ||[[https://www.youtube.com/channel/UCHDw9Q73NxGbPyiEN1qQXi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px]]]] [[https://www.instagram.com/gachioreu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7px]]]] [[https://www.facebook.com/weup2020/|[[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7px]]]]|| [목차] [clearfix] == 개요 == [[2020년]] [[1월 4일]] 결성한 [[대한민국]]의 [[창당준비위원회]]. == 상세 == 기존의 정치권이 미래의 어젠다를 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당을 만들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http://www.etoday.co.kr/view.php?idxno=1849037|#]] 김재섭 위원장은 “청년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젊은 정치인이 양성될 수 없는 구조가 답답해 직접 나섰다”고 말했다. [[http://naver.me/xZmUFxl7|#]]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김재섭]] 위원장은 IT기업을 운영한 바 있다. [[서울대학교]] 정치토론연구회, [[고려대학교]] 고란도란, [[성균관대학교]] 경제토론학회(SEDA), 토론클럽(SKFC), [[연세대학교]] 등 대학 토론 동아리와 연합해 시작한 청년 정치 참여 플랫폼 활동이 출발이 되었다. 2019년에는 '흥정망정 페스티벌'을 두 차례 열고 [[박주민]](민주당), [[김세연(정치인)|김세연]](한국당), [[권은희(1974)|권은희]](바른미래당), [[심상정]](정의당) 등 현직 국회의원 등이 참여한 가운데 청년 문제를 논의하였다.[[https://www.hjmj.co.kr/|#]] 이후 [[브랜드뉴파티]][* 여기에 [[조성은]]씨도 있었는데, 현재는 탈당했다.]와 함께 [[미래통합당]] 합류를 선언하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4358202|#]] 창준위 자체는 합당 직후에도 해산되지 않고 그대로 남았으나, 총선이 끝난 후 활동기간이 만료되면서 자동적으로 소멸되었다. 한편 김재섭 위원장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도봉구 갑]]에 미래통합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40%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낙선했다. == 둘러보기 == ||<-5> '''대한민국의 중도정당''' || || ,,(창당),, ||{{{+1 →}}}|| {{{#ffffff '''같이오름'''[br],,(창준위),,}}} || {{{+1 →}}} || [[미래통합당]] || [[분류:대한민국의 창당준비위원회]][[분류:2020년 정당]][[분류:미래통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