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얼)] [목차] == 개요 == >'''없으면 죽을 것 같던 사람이 어느새 타인보다 못한 철저한 "남"....이 되는구나''' >---- > - 유튜브 같은 시간 속의 너 MV 영상 댓글 中 하나이자 곡과 가사의 의미를 명확히 짚은 댓글 2015년 2월 5일에 발매된 [[나얼]]의 노래로, '''[[바람기억]], [[기억의 빈자리]]와 함께 가장 유명한 [[나얼]]의 솔로곡 중 하나'''로 현재까지도 대중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노래이다. == 수록곡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90012.jpg|width=350]]}}} || ||<-6> '''브라운 아이드 소울 싱글 프로젝트 1st. 같은 시간 속의 너 By 나얼''' || ||<-3> '''총 8분 22초''' ||<-3> '''2015년 2월 5일 발매''' || || '''트랙''' || '''곡명''' || '''길이''' || '''작사''' || '''작곡''' || '''편곡''' || || 1 || '''같은 시간 속의 너'''^^{{{#red TITLE}}}^^ ||<|2> 04:11 ||<-2> [[나얼]] ||<|2> 강화성 || || 2 || 같은 시간 속의 너 (inst.) || - || [[나얼]] || == 가사 == ||
{{{#ffffff {{{+1 '''〈같은 시간 속의 너〉'''}}}}}} || || 꼭 그러지 않아도 충분히 널 '''{{{#gray 이}}}{{{#yellowgreen 해}}}{{{#gray 할}}}''' 수 있'''{{{#gray 어}}}''' 다른 '''{{{#gray 사람 곁}}}'''에 서 있는 네 모습이 조'''{{{#gray 금}}}''' 어색하지만 다 버리지 않아도 어떻게든 '''{{{#gray 이}}}{{{#yellowgreen 겨}}}{{{#gray 낼}}}''' 수 있'''{{{#gray 어}}}''' 다른 '''{{{#gray 사랑 찾}}}'''아가버린 네 얼굴이 그렇'''{{{#gray 게}}}''' 밉진 않아 이제 우리 같은 시간 속을 남처럼 그렇'''{{{#gray 게}}}''' 걸'''{{{#gray 으}}}'''면 돼 달아'''{{{#yellowgreen 나도}}}''' 가지 '''{{{#yellowgreen 못}}}{{{#blue 할}}} {{{#yellowgreen 기}}}{{{#gray 억}}}''' 안고 아'''{{{#gray 무}}} {{{#yellowgreen 말}}}{{{#blue 도}}}''' 하지 '''{{{#blue 마요}}}{{{#yellowgreen ㅡ}}}''' 더'''{{{#gray 는}}} {{{#yellowgreen 안 된}}}{{{#gray 다는}}}''' 거 '''{{{#gray 잘}}}''' 알아'''{{{#gray 요}}}'''ㅡ 많은 '''{{{#gray 날}}}{{{#yellowgreen 들}}}{{{#blue 이 아무 의}}}{{{#yellowgreen 미}}} {{{#gray 없}}}{{{#blue 진}}} {{{#yellowgreen 않}}}'''겠{{{#red 죠}}} 멀{{{#gray 어}}}{{{#yellowgreen 지}}}{{{#blue 는}}} 바람처럼 우리 함께한 기억들을 꿈처럼 그렇'''{{{#gray 게}}}''' 안'''{{{#gray 으}}}{{{#yellowgreen 면}}}''' 돼 눈 감'''{{{#yellowgreen 아도}}}''' 잊지 '''{{{#blue 못할}}} {{{#e914f4 추}}}{{{#red 억의}}} {{{#e914f4 널}}} {{{#blue 묻}}}{{{#e914f4 고}}}''' 아'''{{{#gray 무}}} {{{#yellowgreen 말}}}{{{#blue 도}}}''' 하지 '''{{{#blue 마요}}}{{{#yellowgreen ㅡ}}}''' 더'''{{{#gray 는}}} {{{#yellowgreen 안 된}}}{{{#gray 다는}}}''' 거 '''{{{#gray 잘}}}''' 알아'''{{{#gray 요}}}'''ㅡ 사랑'''{{{#gray 했}}}{{{#yellowgreen 던}}} {{{#blue 날 모두 사}}}{{{#yellowgreen 라}}}{{{#gray 지}}}{{{#blue 진}}} {{{#yellowgreen 않}}}{{{#e914f4 겠}}}{{{#red 죠}}}''' '''{{{#e914f4 우}}}{{{#red 릴 스}}}{{{#e914f4 치}}}{{{#red 는 안}}}{{{#e914f4 개}}}{{{#red 처}}}{{{#purple 럼}}}''' '''{{{#gray 아}}}{{{#skyblue 무}}}{{{#green 것}}}{{{#orange 도 묻지 않}}}{{{#green 을}}}{{{#skyblue 게}}}{{{#orange 요}}}{{{#green ㅡ}}}''' '''{{{#gray 이}}}{{{#skyblue 대}}}{{{#green 로 묻}}}{{{#skyblue 어둘}}}{{{#gray 래}}}{{{#skyblue 요}}} {{{#gray 나}}}'''는'''{{{#skyblue 요}}}{{{#gray ㅡ}}}''' 거'''{{{#brown 짓}}}{{{#red 말}}}{{{#green 처}}}{{{#orange 럼 또 하루}}}{{{#green 가}}} {{{#skyblue 살}}}{{{#orange 아}}}{{{#green 지}}}'''{{{#red 겠}}}{{{#brown 죠}}} '''{{{#skyblue 떨}}}{{{#gray 어}}}'''지는 같은 '''{{{#skyblue 시}}}{{{#gray 간}}}''' 속의 너 || ||2옥타브 파(F4) 구간은 '''{{{#gray 회색}}}''' 2옥타브 파♯(F♯4) 구간은 '''{{{#skyblue 하늘색}}}''' 2옥타브 솔(G4) 구간은 '''{{{#yellowgreen 연두색}}}''' 2옥타브 솔♯(G♯4) 구간은 '''{{{#green 초록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blue 파란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orange 주황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e914f4 분홍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red 빨간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brown 갈색}}}''' 3옥타브 레(D5) 구간은 '''{{{#purple 보라색}}}''' * 색칠된 구간 중 볼트체 아닌 구간은 가성이다. || == 곡 분석 == * 조성 : 다장조(C Major) → 내림라장조(D♭ Major) * 최고음 : '''3옥타브 레(D5)''' * 최저음 : 1옥타브 솔(G3) * 3옥타브 횟수 : '''14회''' 벌스에서는 아주 부드러운 소리로 2옥타브 중반의 음을 소화해야 하는데, 일반적인 남성의 최고음이 2옥타브 파(F4) ~ 2옥타브 솔(G4), 조금 높은 사람은 2옥타브 솔♯(G♯4) 정도이기 때문에 [[나얼]]처럼 부드럽게 내기 힘들다. 가성이 능숙한 남성이라면 벌스는 어렵지 않게 넘어갈 수 있을 것이다. 후렴구에서는 일명 일반적인 남성의 벽이라고 불리는 '''2옥타브 라(A4)'''가 여러 번 등장하는데, 어찌어찌 낼 수 있어도 후렴구 마지막의 2옥타브 라(A4)를 연타한 후 바로 이어지는 '''3옥타브 도(C5)'''를 내기에는 일반인에게 힘든 일이다. 2절 후렴구 직전에는 '''2옥타브 시(B4)'''와 '''3옥타브 도(C5)'''를 길게 끌고 바로 후렴구로 넘어가는 부분[* 잊지 못할 추억에 널 묻고]이 있다. 이 부분에서는 고음 때문에 호흡이 부족할 뿐더러 바로 중고음 파트가 이어지기 때문에 일반인에겐 삑사리가 날 확률이 높아진다. 이 노래의 최고난도 부분은 바로 '''2절 후렴구 마지막 부분'''. 2옥타브 시(B4)와 3옥타브 도(C5)를 번갈아가며 여러번 낸 후 마지막으로 '''3옥타브 레(D5)를 쭉 끈다.''' 이 부분에서만큼은 1절 후렴구와 2절 후렴구를 어렵지 않게 부를 수 있는 남성도 삑사리가 나거나 포기하기 일쑤이며 이 부분 때문에 곡의 완창률이 엄청나게 떨어진다. 이 부분도 문제지만 바로 '''1키가 전조'''되어 3절 후렴구가 이어지는데, 이번엔 2옥타브 솔♯(G♯4)과 '''2옥타브 라♯(A♯4)'''이 계속 출몰한다. 3옥타브 레(D5) 부분을 성공했어도 초고음도 아닌, 중음도 아닌 애매한 중고음 파트가 엄청나게 체력적으로 소화하기 힘들기 때문에 호흡이 많이 딸린다. 또한 '''3옥타브 도♯(C♯5)이 어려운 발음'''으로 등장하여 체력이 바닥난 상태에서 대부분의 남성들이 소화하지 못한다. 이 노래는 평균적인 음이 높은 벌스, 후렴구마다 등장하는 체력을 깎아먹는 중고음과 곡 후반부에는 3옥타브 이상의 음을 쭉 끌며 체력이 바닥난 상태에서 한 키가 더 높아진 후렴구에 추가된 3옥타브 음이 시너지를 일으켜 아주 어려운 곡이 되었다. == 뮤직비디오 == [include(틀:영상 정렬, url=Q_YdBd05FJs)] * 남주인공으로 [[유승호]]가 출연한다. [[브라운 아이즈]]의 '가지마 가지마'에서도 주연으로 출연한 인연으로 참여한 듯. == 여담 == * 이 후 [[임한별]]이 커버하여 다시 크게 알려졌다. [youtube(EJamwtvGsao)] == [[리듬 게임]] 수록 == ===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뮤지션즈 수록곡/MadB, 앵커=같은 시간 속의 너)] [각주] [[분류:나얼/노래]][[분류:한국 노래]][[분류:발라드]][[분류:2015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