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죽은 자의 소생 시리즈)] [[유희왕]]의 지속 함정 카드. [목차] == 강화소생 == ||[[파일:強化蘇生.jpg]]||[[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owerfulRebirth-SDMP-EN-C-1E.png|width=400]]|| ||<:> 내수판 ||<:> 해외판[* 십자가가 없어졌다.]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강화소생, 일어판 명칭=強化蘇生(きょうかそせい), 영어판 명칭=Powerful Rebirth,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그 몬스터의 레벨은 1개 올라가고\, 공격력 / 수비력은 100 올린다. 그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에 이 카드는 파괴된다.)] [[리미트 리버스]]의 상호 호환이자 [[엔젤 리프트]]의 상위 호환 카드. [[유희왕 5D's]]에서 나온 카드인데 먼 세월을 지나 [[골드 시리즈]] 2014에서 OCG화되었다. [[잭 아틀라스]]가 사용하던 당시에는 꽤 강력한 카드였으나,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가 무제한인 상황에서는 평범한 카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표시 형식을 마음대로 고를수 있고 깨알같은 레벨 조정 및 스탯 상승 효과가 있으니 어느 정도 차별화할 수 있다. 스탯 상승은 폭발력이 엄청난 [[단결의 힘]] [[마도사의 힘]] 같은것도 있어서 솔직히 장식 수준이지만, 레벨을 올리는 효과는 [[싱크로 소환]]이나 [[엑시즈 소환]]을 보조하는 용도로 쓰면 꽤 좋다. 무엇보다 이 카드의 강점 중 하나는 '''이 카드가 파괴되어도 소생 몬스터가 안 터진다는 것.''' 물론 레벨과 공격력 강화는 사라지니 주의해야 한다. 이 카드가 필드를 벗어나도 괜찮기 때문에 [[안개 골짜기의 팔콘|팔콘 비트]] 같은 덱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다. 특히 이 카드로 은개 골짜기의 팔콘을 소생시키고 효과로 이 카드를 패로 되돌리면 안개 골짜기의 팔콘의 강화는 사라지지만 완전히 부활시킨 게 되고 강화소생도 재활용이 된다.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로는 되돌리자마자 안개 골짜기의 팔콘이 터져서 불가능한 활용법. 또한 [[매직 플랜터]]와의 궁합도 발군. 레벨 업 효과를 쓸 생각이 없다면 특수 소환하자마자 바로 써줘서 드로우로 연결할 수 있다. 일러스트에 있는 것은 부활중인 [[심연의 명왕]]. 다만 기존의 심연의 명왕과는 다르게 얼굴은 비교적 멀쩡하게 생긴 것이 차이점. 효과는 관계가 없지만, 명왕 시점에서 이 상황을 묘사하고 있는 카드가 [[리젝트 리본]]이며, 이 카드는 정황상 같이 등장하는 빈도가 잦은 [[소생 마왕 하데스]]의 시점인 것으로 보인다. 원작에서 [[잭 아틀라스]]가 쓰던 카드며, 주로 [[다크 레조네이터]]를 소생시켜 [[레드 데몬즈 드래곤]]의 싱크로 소환으로 연결했다. 짝퉁 잭도 사용했는데, 다크 레조네이터를 소생시키거나, [[피스 골렘|스몰 피스 골렘]]을 소생시켜 레드 데몬즈 드래곤 3장을 불러냈다. 원작에서는 발동 후 소생된 몬스터의 장착 카드가 되었으며, 리빙 데드와 마찬가지로 터지면 장착 몬스터도 파괴되었고,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1000 데미지를 받는 디메리트가 달려있었지만 OCG로 오면서 전부 삭제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골드 시리즈]] 2014 || GS06-KR016 || [[노멀]][br][[골드 레어]][br][[시크릿 레어|골드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 [[마스터 오브 펜듈럼]] || SD29-KR037 || [[노멀]] || 한국 || ||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2014 || GS06-JP016 || [[노멀]][br][[골드 레어]][br][[시크릿 레어|골드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 [[마스터 오브 펜듈럼|MASTER OF PENDULUM]] || SD29-JP037 || [[노멀]] || 일본 || || || [[크로스오버 소울즈|Crossed Souls]] || CROS-EN093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 [[마스터 오브 펜듈럼|MASTER OF PENDULUM]] || SDMP-EN037 || [[노멀]] || 미국 || || === 듀얼링크스 ===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이 카드가 [[깊은 무덤]]과 더불어 '''유이한 제대로 된 소생 카드'''이기에 상당히 애용됐던 카드다. SR이지만 그 이상의 가치를 하는 몇 안되는 카드. 비록 레벨 4 이하의 몬스터만 소생시킬 수 있지만, 하급 한정으로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에 맞 먹는 위상을 가졌다. [[날개 크리보]] 등의 데미지 상쇄 몬스터를 계속 활용하는 [[위저 보드]], [[엑조디아]], 고문 번 덱 등 비전투 덱에서도 많이 보이고 일반 덱에서도 이미 한 번 죽은 몬스터를 스펙 업시켜서 다시 쓸 수 있다는 점은 분명 강한 메리트로 다가온다. 여러모로 범용성도 좋고 이래저래 쓸 일이 많아서 왠만하면 3장을 다 얻어두는 걸 추천하기도 했다. 당시 공격 반응형 카드는 [[은막의 거울벽]]부터 [[분단의 벽]], [[드레인 실드]] 등 꽤 괜찮은 카드가 여러개 나와있고 마법 함정을 치우는 카드도 [[싸이크론]] [[갤럭시 싸이크론]] [[코즈믹 싸이크론]] [[허리케인(유희왕)#s-2.8|국소적 허리케인]] 등 꽤 많이 나왔고 서치, 리쿠루트도 능력치는 낮아도 [[크리터(유희왕)|크리터]] [[검은 숲의 마녀]] 등 은근히 많이 나온데 비해 소생계열 카드는 정말 이 카드말고는 괜찮은 카드가 거의없었다. 사실 소생카드도 [[전선부활의 제물]], [[리미트 리버스]], [[소생 혼]], [[침묵의 죽은자]], [[정통한 혈통]], [[얕은 무덤]],등 여러 가지 나왔으나 1턴에 1장 제약이 있거나 공격력이나 표시형식에 제약이 있거나 특정덱 한정 소생카드 이거나 2대1 교환이거나 일반 몬스터 한정이거나 되살린 몬스터와 생명줄이 연결되어있는 등 범용성이 떨어지는 제약이 붙어있었고 범용성 있는건 기껏해야 [[깊은 무덤]]정도밖에 없었고 깊은 무덤은 소생 타이밍에 제약이 있기에 레벨 말고는 별다른 제약도 없었던 이카드는 꽤 사랑받았으나 점점 특정덱 한정 소생카드가 애용되기 시작하고 결정적으로 2022년 [[죽은 자의 소생]]이 모든유저에게 1장씩 풀리게 되고 [[HEART OF XYZ]] 팩에서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가 추가됨에 따라 완전히 매장 되었다. == 리액션 서몬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eactionSummon-JP-Anime-5D.png]] || 한글판 명칭 ||||||||'''리액션 서몬'''|| || 일어판 명칭 ||||||||'''反応召喚(リアクション・サモン)'''|| || 영어판 명칭 ||||||||'''Reaction Summon'''|| |||||||||| 카운터 함정 ||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의 공격력이 변화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을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사실상 위의 카드의 하위 호환. 근데 [[함정 카드|카운터 함정]]이다. 원작 사용자는 같은 [[잭 아틀라스]]. [[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