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강하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41.4153 127.677,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Kangha || || [[한자]] ||<-2><|2> 江下 || || [[간체자]] || || [[일본어]] ||<-2> - || ||<-3> '''주소''' || ||<-3> [[량강도]] [[김정숙군]] 강하리 || ||<-3> '''역 등급''' || ||<-3> (청진철도총국 관리) || ||<-3> '''운영 기관''' || || [[북부내륙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혜산만포청년선]] ||<-2> 1987년 11월 27일 || ||<-3> '''철도거리표''' || || [[만포청년역|{{{#585858 {{{#!html
만포청년 방면
}}}}}}]][[송전역|송 전]][br]← 8.3 ㎞ || '''[[북부내륙선]]'''[br]강 하 || [[혜산청년역|{{{#585858 {{{#!html
혜산청년 방면
}}}}}}]][[신파청년역|신파청년]][br] 7.6 ㎞ → || {{{+1 江下驛 / Kangha Sta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부내륙선]]의 [[철도역]]. [[량강도]] [[김정숙군]] 강하리 소재. 강하는 강의 아랫쪽이라는 뜻인데 장진강이 압록강에 합쳐지는 [[신파청년역]]보다 하류에 있다는 것을 뜻한다. 조선시대 이지역의 지명은 구갈파였다. 갈파진이 처음 놓인 곳이 이곳이었다가 나중에 현 신파읍으로 옮겨갔기 때문. == 역 정보 == 역은 1면 2선 섬식승강장인데 강쪽은 막혀있고 남쪽에 역사가 있다. 이역 서쪽으로 두만강이 굽이치는 곳을 터널로 지나고 있다. 강을 따라가기는 하지만 그 강이 감입곡류여서 혜산만포청년선은 엄청난 난공사였는데 그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경작지는 꽤 넓은 편이긴 한데, 산을 깎아서 경작한 것이기 때문에 위성 사진상으로 척 보기에도 계단이 상당히 많다. 거의 산 정상까지 깎아먹고 있을 정도. == 역 주변 == [[신파청년역]]과 이 역 사이에 웬 민가가 조금 모여 있는 곳이 있는데, 이 일대가 바로 구갈파진. [[혜산청년역]]을 출발해 이 역에 이르기까지 마을까지의 거리가 상당하거나 비교차 놓고 보면 구갈파진은 큰 마을일 정도로 열악한 곳들이 한둘이 아닌데도 선로 바로 옆에 바싹 붙은 이 마을에 왜 역을 세우지 않았는가는 불명. 심지어 거리도 4km 정도로 그리 가까운 편도 아닌데 말이다.[* 이 역까지의 역간 평균 거리가 대략 6km이다.] 건설부지가 없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하여간 민가의 수는 그리 많지 않으며(대략 50채 내외), 승강장의 길이도 300m 정도다, 그것도 좁아지는 부분까지 모조리 재야 300m이며 폭도 4m가 안 될 정도로 좁다. [[만포청년역]] 기점 187.0km. [[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