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오 나의 귀신님'의 등장인물, rd1=강선우(오 나의 귀신님))]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강서구 갑|{{{#cfa547 강서구 갑}}}]])'''}}} || || 제20대[br][[금태섭]] || → || '''제21대[br]강선우''' || → || 현직 || ---- ||<-2> '''{{{#ffffff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br]{{{+1 강선우}}}[br]姜仙祐 | Kang Sun-w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강선우3.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78년]] [[6월 2일]] ([age(1978-06-02)]세) || ||경상북도 대구시 (現 [[대구광역시]]) || || {{{#ffffff '''거주지'''}}}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화곡동]] || || {{{#ffffff '''본관'''}}} ||[[진주 강씨]] || || {{{#ffffff '''현직'''}}} ||[[제21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대변인[br][[대한민국 국회|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br][[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 운영위원[br][[더불어민주당]] 서울 [[강서구 갑]] 지역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보육특별위원회 위원장[br]국회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 특별위원회 위원 || || {{{#ffffff '''SNS'''}}} ||[[https://blog.naver.com/gangseo-kap|[[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instagram.com/gangseonsunwo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px]]]] | [[https://youtube.com/channel/UCTDli6TqWf2P-mWuJpFby3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facebook.com/kangsunwoo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가족'''}}} ||배우자 변희경, 슬하 1녀^^(2003 - )^^[* [[발달장애]]를 앓고 있다고 한다. 정확한 병명은 [[프라더-윌리 증후군]]. [[https://m.edaily.co.kr/amp/read?newsId=01203766622653248&mediaCodeNo=257|#]]] || || {{{#ffffff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2 (영어교육과 / [[학사]])}}} [b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 (소비자인간발달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0532356|한국 노인이 생각하는 인생의 전성기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2006).]}}} [br] [[위스콘신 대학교|위스콘신대학교]] [[대학원]] {{{-2 (인간발달·가족학 / [[박사]])}}} || || {{{#ffffff '''종교'''}}} ||[[불교]] {{{-2 ([[법명]]: 진여심)}}} → [[개신교]] {{{-2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 당선 당시에는 [[불자#s-1|불자]]였으나, [[http://www.kbulgy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2161|#]] 2022년 10월, 치유하는교회에서 세례를 받은 사실을 밝히면서 [[개종]]했음이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https://blog.naver.com/gangseo-kap/222889891803|#]] 사실 이전부터 꾸준히 개종설이 돌거나 불교를 믿는다는 것은 첨부터 잘못된 정보였다면서 이 문서의 종교 부분도 수시로 개신교로 바뀌곤 했다.]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ffffff '''지역구'''}}} ||[[서울특별시|서울]] [[강서구 갑]] || || {{{#ffffff '''의원 선수'''}}} ||'''1''' || || {{{#ffffff '''의원 대수'''}}} ||'''[[제21대 국회의원|21]]''' || || {{{#ffffff '''소속 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br][[예산결산특별위원회]] || || {{{#ffffff '''경력'''}}} ||미국 사우스다코타 주립대학교 조교수[br][[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br][[더문캠]] 정책부대변인[br][[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br]국가교육회의 전문위원[br]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특별위원 {{{-2 ([[문재인 정부]])}}}[br][[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2 (문재인 정부)}}}[br][[더불어민주당#s-14.4.1|더불어민주당 제21대 총선기획단 위원]][br][[제21대 국회의원]] {{{-2 ([[강서구 갑|서울 강서구 갑]] / [[더불어민주당]])}}}[br][[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br][[더불어민주당]] 대변인[br][[더불어민주당]] 중앙당선거관리위원회 위원[br][[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br][[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br]대통령후보 직속 실용외교위원회 부위원장[br][[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미래기획단 부단장[br][[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포용복지국가위원회 부위원장[br][[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디지털대전환위원회 부위원장[br][[대한민국대전환 선거대책위원회]] 대통령 후보 직속 정무특보단 하이블루청소년위원회 정책고문[br][[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 위원[br][[더불어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 선거인단 투개표분과위원회 위원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교수]] 출신 [[정치인]]. [[제21대 국회의원|제21대]] [[더불어민주당]] 초선 국회의원으로, [[지역구]]는 [[서울특별시|서울]] [[강서구 갑|강서 갑]]이다. == 생애 == === 정계 입문 이전 === [[1978년]] [[6월 2일]],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대구에서 고등학교까지 졸업한 이후 1997년 [[이화여자대학교]]에 진학하여 영어교육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소비자인간발달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6년, 남편은 한국에 남으며 딸만 데리고 미국으로 이주했다. 발달장애가 있는 아이를 다른 환경에서 키우기 위해 미국행을 선택했고,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인간발달 및 가족학 박사 학위[* 세부전공은 노인학이었다고 한다.]를 6년 만에 받았다. 이후 2012년 [[사우스다코타]] 주립대학교 상담 및 인간발달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어 2016년까지 재직했다.[* '''Kang, SunWoo''', Assistant Professor of Department of Counseling and Human Development, 출처: 사우스다코타 주립대학교(South Dakota State University) 2012-2013 Undergraduate Catalog [[https://catalog.sdstate.edu/content.php?catoid=20&navoid=1549|Kang, SunWoo검색]]][*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01/2020040102409.html]]][*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01/2020040104200.html]]] === 정치 활동 === 미국에서 동양인이자, 여성, 또 발달장애를 가진 아이의 어머니였기에 한 가지만 하기에도 어려운 학업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바로 ‘복지 시스템’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되면서 복지정책과 정치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본인이 경험한 좋은 제도를 대한민국에 이식하고 싶다는 결심을 했지만, 그간의 안정적이고 평범한 삶을 뒤로 하고 정계에 발을 들이기까지는 오랜 고민의 시간이 필요했다고 한다. 자신에게 '이를 이루려면 정치밖에 없을까?', '이런 일을 하고 싶으냐?', '진짜 현실 정치만을 통해 가능하냐?'라고 수백 번 물은 끝에 '정치가 가장 빠른 길이고, 또 깊이 시도할 수 있는 길' 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딸이 큰 도움을 주었는데 자신의 복잡하고 장황한 질문에 아무렇지 않게 "엄마 심장을 따라서 가“라는 한 마디를 했고, 이에 정치를 하겠다는 결심을 굳히게 된다.[[https://www.news1.kr/articles/?3917381|"엄마 심장 따라서 가"…딸 한 마디에 정치 결심]] 이후 [[맨땅에 헤딩]]하듯 바닥부터 도전했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을 앞두고 귀국하는 비행기에서 입당원서를 쓰고 아는 사람 한 명조차 없는 [[더불어민주당]]에 자진하여 비례대표 공천을 신청했다. 불러준 사람도, 알려준 사람도 없으니 홀로 서류심사와 면접 및 정견발표를 치뤘다. 그 결과 비례대표 29번을 배정받았지만 낙선했다. 이후 10년간의 미국 생활을 정리하고 완전히 한국으로 돌아왔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00506_0001015875&cID=10301&pID=10300|#]] 2016년 5월, [[더불어민주당]] 부대변인으로 임명되었고, 2017년 4월 [[문재인]] 후보 대선 캠프에서 선거대책위원회 정책 부대변인으로 활동했다. 이후 국가교육회의 전문위원,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국민소통 특별위원,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등을 거쳤고, 다양한 언론 매체에서 패널 및 칼럼니스트로도 활약했다. [[SBS]]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TV조선]] [[이것이 정치다]], [[뉴스현장]], [[YTN NEWS]], [[연합뉴스TV]], [[KBS 제1라디오]] 오태훈의 시사본부 등에서 패널로 출연하였고, 2018년 [[이데일리]] 목멱칼럼과 [[영남일보]] 3040칼럼을 정기적으로 연재하기도 했다. 특히, 2018년 6월부터는 [[아리랑TV]]의 외교 전문 프로그램인 'The Diplomat'의 진행자로 출연하여 2019년 11월까지 약 1년 5개월 동안 70여 명의 주한 외국 대사들과 국제기구 인사들을 대상으로 각국의 경제, 문화, 국제 이슈와 각국의 외교관들이 바라본 한국의 이야기를 듣는 프로그램을 영어로 진행했다.[[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bf-dHbvCRqaHrPPjfrc4LwTJW16R-A-L|The Diplomat 전체 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gYF7z2o0Yg, start=65)]}}} || || {{{#004ea2,#5dabff '''The Diplomat 출연 영상'''}}} || 2019년 6월, [[서울신문]]에서 기획연재되었던 글을 묶은 ‘간병살인, 154인의 고백’이라는 책 제 4장에서 발달장애 딸을 키우는 엄마로서 ‘우리가 꿈꾸는 세상’이라는 제목의 글을 썼다.[* [[https://search.daum.net/search?w=bookpage&bookId=4983677&tab=introduction&DA=LB2&q=%EA%B0%84%EB%B3%91%EC%82%B4%EC%9D%B8%20154%EC%9D%B8%EC%9D%98%20%EA%B3%A0%EB%B0%B1|#]]] === 더불어민주당 21대 국회의원 === 2019년 11월, [[더불어민주당]] 총선기획단 여성위원으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을 맞이했으나, [[서울특별시|서울]] [[강서구 갑]]에 2020년 2월 19일 추가 공모로 뒤늦게 신청했다. 현역 의원의 큰 산을 넘을 수 있겠느냐는 우려와 달리, 불과 22일만에 [[금태섭]] 전 의원을 큰 격차로 이기고 더불어민주당의 최종 후보로 선정되었다. 2020년 4월 15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울 [[강서구 갑]]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원내 입성 후에는 원내부대표직에 이어 당 대변인 업무를 맡았다. 당시 출입기자들 사이에서 ‘강선우 대변인 당번 날은 편하다’라는 호평이 있을 정도, [[2021년 재보궐선거|4.7 재보궐선거]] 당시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의 캠프에서도 대변인을 맡아 활약하기도 했다. 상대 당 [[국민의힘]] [[배준영]] [[대변인]]이 ”메시지도 훌륭하겠지만 브리핑하는 모습에서 말씀하시는 태도라든지 톤을 받아들이기 친숙한 쪽으로 접근하신다“라며 돋보이는 현직 대변인으로 평가한 바도 있다.[* [[국민의힘]] 배준영 대변인 인터뷰, [[https://www.segye.com/newsView/20210221503725?OutUrl=daum|#]]] 2021년 9월 1일,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며 [[열린캠프]]에 합류했다. 2021년 10월 18일, 유튜브 채널로 공개된 "[[이재명]]의 열린 클라스" 과학" 편에서 알쓸신잡으로 유명한 김상욱 교수와 이재명 후보의 대담을 기획했고[[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491580&plink=ORI&cooper=DAUM|#]] 2021년 12월 21일에는 <정의란 무엇인가>로 유명한 [[마이클 샌델]] 교수와 이재명 후보와의 대담을 성사시켰다.[[https://www.dailian.co.kr/news/view/1065078/?sc=Daum|#]] 2022년 2월 18일, 공개된 가수 [[이은미]]의 신곡 <스물 여덟>의 작사를 당시 [[이재명]] 대통령 후보가 직접 했다는 사실이 알려져 화제가 되었는데, 해당 음원 관련 실무를 도맡았다.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9591|#]] 선거 결과를 떠나 주요 선거 국면에서 후보 이미지 변신을 위한 기획 업무에 꽤 유능하다는 평. 2021년 여름 이후에는 틈만 나면 의정보고서를 까치산시장, 송화시장 등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 돌리는 모습이 목격되고 있으며 격주로 토요일마다 ‘공감과 소통의 날’를 열어 지역주민을 많이 만나려고 각별히 노력하고 있다.[* 매월 첫 번째, 세 번째 주의 토요일에 강서 지역사무실에서 열리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블로그 참고 [[https://blog.naver.com/gangseo-kap/222403256303|#]].] 또한 2021년 10월 1일, 여당과 정부의 발표로 화곡2동 주민센터인근 [[국회대로]] 공원화 예정지가 5000가구 규모의 대단지 공공재개발에 선정되어 지역구에서 민심이 매우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선정된 화곡8동과 2동은 서울시내 [[이재명]] 후보 득표율 상위 3위와 7위를 기록했고, 인근의 화곡본동 또한 top 5위를 기록하였다. 2023년 3월 27일 당 대변인에 임명되었다.[[http://v.daum.net/v/20230327104313234|#]]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 대변인과 교대하며 인사하는 모습이 언론에 포착되었다. 상대 진영임에도 존중해 주는 강선우 대변인의 성숙한 품격이 엿보인다.[[https://newsis.com/view/?id=NISI20230507_0019877925|#]] === 아동 권익 보장 관련 의정활동 === [[제21대 국회]] 전반기에는 [[보건복지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2021년 1월, ‘[[그것이 알고싶다]]’ 정인이 편을 계기로 아동학대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다. 방송 당시 정인이 사망 사건 경위와 관련한 자료를 제공하기도 했으며, 이후 강서 아동보호전문기관을 방문하는 등 현장에서 문제를 찾으려는 노력을 해왔다. * [[강선우]] 의원 대정부질문 영상 [youtube(fDGsSk8Xygw)] 이후, 2021년 6월 [[기획재정부|기재부]]는 다른 부처 소관 기금들로 쪼개져 있던 아동학대 예산을 보건복지부 소관으로 일반회계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https://blog.naver.com/gangseo-kap/222384967363|강선우 의원, 아동학대 방지 예산 복지부 소관 일원화 환영 메시지]] 2021년 5월, 희귀질환을 앓는 영유아들을 위하여 ‘희귀유전질환 혁신신약 접근성 강화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0126|#]] 최근에는 혈우병을 앓는 12세 미만 아이들이 정맥주사가 아니라, 피하주사를 쓰기 때문에 더 편리하고 효과적인 신약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되자, 이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기도 했다.[[https://moneys.mt.co.kr/news/mwView.php?no=2021063016468029310|#]]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재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12세 미만 아이들에게 기존 치료법을 써보고 그래도 안 되면 신약을 쓸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비난을 받고 있다. 2021년 6월, [[강선우]] 의원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해당 문제에 대해 다시 지적했고, 두달 뒤인 8월 결국 혈우병 환아들을 위해 급여기준 개정이 이뤄졌다.[[https://blog.naver.com/gangseo-kap/222483811330|#]] 올해 7월 초 기준, 대표발의한 80개 법안 중 10개가 아동복지법에 달할 만큼, 아동학대 관련 입법에 꾸준히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편이다. === 장애인 권익 보장 관련 의정활동 === 2021년 3월,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가 내걸었던 강서 어울림플라자 재건축 전면재검토 현수막에 대해 “아무리 표가 귀해도 차별을 공약하지 말자”라며 강도 높게 비판하기도 했다. 강서 어울림플라자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어울려 문화와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복지시설로, 오랜 진통 끝에 기존 건물 철거 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거 국면이기도 했지만, 발달장애가 있는 자녀를 키우는 강선우 의원이었기에 장애가족 당사자로서 그냥 넘어갈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2021년 7월, 정치에 입문한 계기가 계기인 만큼, 아픈 아이들을 위한 정책에 꾸준히 매진해오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인 권역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 추진을 위하여 의원 모임을 만들고, 관련 법안을 발의하고, 기자회견을 여는 등 활발히 노력해온 편이다. 덕분에 제1회 대한민국 국회 의정대상을 수상하기도 했고, 이를 기념하며 푸르매 재단 넥슨 어린이재활병원을 직접 찾아 기부를 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 푸르메어린이재활병원에 400만원 기부[[https://www.yna.co.kr/view/PYH20210702105300004?input=1196m|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 푸르메어린이재활병원에 400만원 기부]] 2021년 1월, 학대피해 장애아동을 위한 전용쉼터 설치를 추진하는 장애인복지법을 대표발의했다. 해당 법은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고 예산도 편성되었다. 이외에도 장애아동의 놀 권리를 위한 놀리기구 설치 및 지원 근거법, 어린이집에 남겨진 취학유예 장애아동 실태 공개, 장애아동 가정위탁 활성화법 등 다양한 장애아동 권익보장 법안 발의에 힘쓰고 있다.[[https://blog.naver.com/gangseo-kap/222433945826|#]] 2022년 6월, 발달장애인 가족 참사 분향소를 여러 차례 찾았다. 강 의원 본인도 발달장애인 딸을 둔 부모여서 그 심정을 잘 아는지라 현장에서 울먹거리며 “그 어느 때보다 우리 더불어민주당이 민주당다움을 요구받고 있다. 어디하나 기댈 때가 없어서 '악' 소리할 수 없어서 죽을 수밖에 없는 사회적 약자와 함께 하는 것이 가장 민주당다운 것"이라고 발언. 이후 7월에 발달장애 참사 대책 마련 특위 출범을 촉구하는 결의안 등을 여야 총 179명에 이르는 국회의원들의 공동발의를 이끌어내며 대표발의했다. 자필로 쓴 편지에 많은 의원들의 마음을 움직였다는 후문이다. == 논란 == === 성관계 비동의 녹취 금지 입법 시도 논란 === 2020년 11월 18일,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의 일부개정안이 논란이 되었다. '''성관계 음성을 녹음하는 행위도 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성범죄로 규정해 처벌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개정안에 따르면 녹음기 등을 이용해 성적 욕망 또는 수치심을 유발할 수 있는 사람의 음성을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 녹음하거나 반포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0/11/23/Y4WROSYAYJGSBPN7BPAF57KKDU/|#]] 강선우 의원은 법안제안 이유에서 "최근에는 '''성관계 음성을 상대방의 동의 없이''' 휴대전화나 소형녹음기로 녹음하거나 유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이렇게 녹음된 음성파일 등은 불법영상물과 마찬가지로 상대방을 협박하거나 리벤지포르노의 용도로 악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성폭력범죄로 처벌해야 한다"고 했다. 한국성평화연대 등은 "이번 법안은 성범죄를 막기 위한 법안이 아니라, 성범죄자를 만들어내기 위한 법안"이라고 반발했다. 이들은 "남성들은 합의하에 성관계를 하고도 무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무고를 증명하기 위한 음성녹음조차 성범죄로 처벌한다면 남성들은 대체 무슨 방법으로 무고를 증명해야 하느냐"고 주장했다.[[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0112024547|#]] '''[[비동의 녹취 불법화 논란]]''' 문서 참조. === 국회 예결위 인신공격성 발언 논란 === [[2022년]] [[11월 14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는 [[이상민(1965)|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이태원 참사' 책임 회피를 위해 '''발악을 하고 있다'''는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의 발언을 놓고 논란이 일었다. [[https://www.insight.co.kr/news/418959|#]] > "2차 감정이 있습니다. 공감, 부끄러움, 수치심 이런 감정들입니다. 이런 감정들은 인간이 태어날 때 갖고 태어나지 못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 이런 감정들은 어떻게 생기느냐? '''부모로부터 배우고요''', 적절한 상황에서 사회적인 인터랙션을 통해서 길러지는 겁니다. 장관님이 부끄러움을 모르시는 거 같아서, 그렇다면 '''그동안 보고 배우지 못하신 거 같아서''' 굉장히 안타깝습니다."[* 말그대로 해석하면 '''"당신은 부모한테 도대체 뭘 배웠냐?"'''는 의미로 사실상 일개 야당 국회의원이 장관의 '''부모까지 모독한 셈'''이다.] >---- >강선우의 해당 발언 사실상 단순히 참사에 대해 주무부터 장관에게 책임을 묻기 위한 질의와 발언 수준을 넘은 무례한 발언이라는 비판이 있었다. '''그동안 보고 배우지 못하신 거 같아서'''와 같은 수위의 발언은 비아냥을 내포해 상대방에 대한 '''지나친''' 인신공격이라는 논쟁이 일었다. 뿐만 아니라, "장관의 이런 '''구질구질한 말바꾸기'''", "법적인 책임을 어떻게든 회피하고자 '''발악'''을 하고 있습니다", "나 혼자 좀 살아보고자 '''추태'''를 부리고 있습니다", "참 '''이기적이고 비겁하다'''", "'''비루하고 초라하다'''" 등의 [[인신공격]] 발언도 역시 지나치다는 지적이 있었다. 우선 자신보다 '''무려 13살'''이나 많은 사람에게 지나치게 모욕적인 발언을 한 것과 40대에 초선의원인 강선우보다 나이도 많고 정치경력도 훨씬 오래된 중진급 이상 의원들조차 함부로 하기 힘든 수위높은 인신공격성 발언을 한 것을 일각에서 지적하였다. 실제로 진보 언론인 [[시사저널]]은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51015|"부모한테 제대로 배우지 못했음을 탓하는 강 의원의 나이는 45세. 58세 나이의 이 장관보다 열세 살이나 적다. 나이라는 인생의 계급장을 떼고 맞붙는 곳이 국회겠지만, 연하의 국회의원에게서 ‘부모에게 배우지 못했다’는 소리를 듣는 장년의 장관은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라는 내용의 칼럼을 보도했다. 당연히 여당에서는 국회 공식회의 석상에서 "'''금도 넘은 발언'''"이라는 반박이 나왔다. [[예결특위]] [[국민의힘]] 간사인 [[이철규]] 의원은 “국무위원도 인격이 있는 인격체”라며 “발악이라는 표현이 어떻게 이 회의 석상에서 나올 수 있느냐”고 반발했다. 오죽하면 민주당 소속 [[우원식]] 예결위원장조차도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111423070001023|"질의하는 의원과 답변하는 국무위원 간에는 엄격하지만 절제되고 서로를 존중하는 언어와 태도가 필요하다"며 "국민들이 보시기에 눈살 찌푸려지는 부적절한 언어는 삼가시길 바란다"]]고 지적했을 정도로 선을 넘은 감정적 발언임에는 틀림이 없었다. 발언 내용 중 비아냥도 비아냥이지만, '''"발악"'''이라는 표현에 대하여 논란이 커진 것인데 정치사에서 이 표현이 사용될 때마다 파장이 일어난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김대중]] 전 대통령에 독설한 내용으로 유명[* [[http://imnews.imbc.com/replay/2007/nwtoday/article/2028873_30663.html|김영삼 전 대통령, DJ "발악하고 있다"]]]하며, 민주당 [[문정복]] 의원이 국민의힘 [[태영호]] 의원에게 [[https://m.moneys.co.kr/article.html?no=2020072407478089384&MTN|'발악한다']]는 표현을 써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즉, 위 표현들이 정치권 논란의 여지가 충분했다는 방증인 것이다. 이에 대하여 [[YTN]][* [[https://www.ytn.co.kr/_ln/0101_202211150203395172|강선우 "이상민 발악·추태"...與 "윤리특위 징계해야"]]] 등 대다수 언론들이 이를 대서특필했다. 결국 강선우 의원은 해당 발언에 대하여 유감을 표했다.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2/11/15/C5T43KVWGFHA5GGZOTOERLIPQ4/|“이상민 책임 회피하려 발악, 추태 부려”… 野 강선우 발언에 與 반발]]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111423070001023|野 강선우 "이상민, 법적 책임 피하고자 발악·추태"…예결위서 與와 충돌]]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1115_0002085842#_PA|野 강선우 "이상민, 법적 책임 피하려 발악"…與 "금도 넘은 발언"]] == 여담 == * 국회도서관에서 이뤄진 ‘국회의원의 서재’ 인터뷰에서 '샬롯의 거미줄'이라는 동화를 추천했는데, 이는 다른 국회의원 대부분이 묵직한 역사서나 고루한 정치 철학서를 추천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본래 죽어 잡아먹힐 운명이었던 돼지 윌버가 거미 샬롯의 재치로 인해 목숨을 구하고, 자신의 소중함을 배워가는 이야기이다, 샬롯은 죽었지만 샬롯의 후손들은 윌버로 인해 살아남게 된다. 우리 정치가 ‘샬롯’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https://www.nanet.go.kr/bookstory/recommendbook/selectRecommendBookDetail.do?seq=22|그 외 추천 도서 목록 참고]]. * 관련 인터뷰에서 책을 접거나, 포스트잇을 잔뜩 붙이면서 읽는 독서 스타일이라고 밝혔으며, 책을 통한 습득한 지식으로 스스로를 가득 채우는 것이 독서라고 믿었지만 대학 진학 후 읽을수록 모르는 것이 많다는 것을 느끼며 ‘비움의 독서’가 무엇인지 깨달았다는 독특한 관점을 드러내기도 했다.[* 국회도서관에서 진행한 국회의원의 서재 강선우 의원 인터뷰 전문 ‘책으로 내 안의 부스러기를 비워내다' [[https://blog.naver.com/gangseo-kap/222170305519|#]]] * 폐지를 실은 리어카를 끌다 [[아우디]] 외제차를 긁은 장애 노인의 벌금을 대신 내주었다. 노인이 지적장애가 있고 폐지를 수거해 하루 몇 천 원의 생활비를 마련할 정도로 경제력이 부족했으나 차주가 처벌을 원했다고 하며 이 노인은 [[대전광역시|대전]]에 거주하여 [[지역구]]인 강서구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 강선우 의원은 기사로 노인의 소식을 접하고 마음이 아팠다며 법원 판결은 존중하지만 처벌이라는 건 범죄의 예방과 교화에 목적이 있는 건데 이 노인의 경우는 딱히 그런 경우는 아닌 것 같아 벌금을 대납했다고 한다.[[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343951&plink=ORI&cooper=NAVER|#]], [[http://yna.kr/AKR20210606048800001?did=1195m|#]] * 선행 기사가 많다. 대한민국 의정대상 수상금을 매번 기부하여 화제다. 1회 수상에 이어 2회 수상금 일부 역시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을 위한 사회적 기업인 브라더스 키퍼에 기부했다.[[https://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326822|기사]] * 엄청난 [[소두#s-1|소두]]이다. 작은 키도 아닌 듯 한데[* 같은 당의 고민정 의원과 투샷 공개 사진을 보면 비슷하다. 고민정 의원은 165cm. 참고로, 2021년 한국 여성의 평균키가 158.17cm, 세종시가 159.05cm로, 160cm가 안 된다. 40대 여성의 평균 키가 160.39cm.], 얼굴이 엄청나게 작다. * 2022년 10월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인 강선우 의원이 공공어린이재활병원들 필수 인건비가 17억 4천만원인데 2023년도 정부지원이 전액삭감되었다고 말한 것이 [[KBS]]를 통해 보도되었다. [[https://news.kbs.co.kr/news/mobile/view/view.do?ncd=5583533|#]] 그리고 국회 보건복지위원들이 반발하여 다시 예산을 편성하게 되었는데 4천억여원 삭감을 피할 수는 없었고 2023년 4월 [[방탄소년단]]의 [[정국(방탄소년단)|정국]]이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10억원을 기부하자 [[http://www.snuh.org/m/board/B003/view.do?bbs_no=6170|#]] 언론들이 이를 보도하면서 어린이병원 지원금이 끊긴 사실이 다시 드러났다. [[https://m.sportsworldi.com/view/20230418515463|#]]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 - 현재 || 정계 입문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6,069,744 (25.54%) || 낙선 (29번)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강서구 갑|강서 갑]] || '''63,397 (55.89%)''' || '''당선 (1위)''' || '''초선'''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선우_2020벽보.jpg|width=100%]]}}}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21대 총선}}}]] ([[강서구 갑|{{{#000000,#e5e5e5 서울 강서구 갑}}}]])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서울특별시)]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중앙당)] [include(틀:표절, version=277, source=로톡뉴스)] [각주] [[분류:1978년 출생]][[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분류:진주 강씨]][[분류:이화여자대학교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위스콘신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