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강서구(서울특별시)/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강서구 병}}}}}}'''[br]{{{-1 {{{#fff 등촌동[* 3동 제외], 가양3동, 염창동, 화곡동 일부[br]江西區 丙[br]Gangseo C}}}}}}}}}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강서구 병.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85,333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서울특별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강서구(서울특별시)|{{{#373a3c,#ddd 강서구}}}]] 일부''' 등촌1동, 등촌2동, 가양3동, 염창동, 화곡4동, 화곡6동, 화곡본동 }}} || ||<-2> '''신설년도''' ||<-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16년]] || ||<-2> '''이전 선거구''' ||<-2> [[강서구 갑]], [[강서구 을]]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한정애]] || [목차] [clearfix] == 개요 ==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의 한강변 동부 생활권에 속한다.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으로 새로 신설된 선거구이며, 이전 [[강서구 갑]]에 속했던 등촌2동, 화곡본동, 화곡4동, 화곡6동과 [[강서구 을]]에 속했던 가양3동, 등촌1동, 염창동을 일원으로 하여 형성되었다. 현 국회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환경부장관]]이었던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이다. == 선거구 변동의 역사 == 강서구에는 이전 선거구가 [[강서구 갑|갑 선거구]]와 [[강서구 을|을 선거구]] 이렇게 두 구역으로만 나뉘어 있었으며, [[마곡지구]]의 개발로 인구가 늘어나자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으로 '''병 선거구'''가 신설이 되었다. === 게리맨더링 주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게리맨더링/대한민국, 앵커=강서구)] 선거구 구획이 이상하다는 반응이 제기되었다. 등촌동과 화곡동, 가양동을 각각 두 선거구에 걸치게 놓은 건 생활권을 무시한 처사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 유동인구가 많은 [[화곡역]] 사거리는 강서구 갑과, [[가양역]] 사거리는 강서구 을과의 선거구 경계가 되어버린 것이 대표적인 예. 그래서 화곡역과 가양역에서는 두 지역구 후보가 동시에 선거운동을 하는 진풍경을 자주 볼 수 있다.[* 보통은 자기 지역구가 속한 출구에서 선거운동을 하지만 가끔은 지하 역 안에서도 홍보를 하는데, 이 때는 서로 다른 지역구일지라도 같은 당끼리 붙어 서 있곤 한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20대 총선 이전 선거 결과는 [[강서구 갑]]과 [[강서구 을]]을 참고 바람. ||총선||당선자||당적||임기|| ||20대||<|2>[[한정애]]||<|2>[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2020년 5월 30일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강서구 병|{{{#ffffff {{{+1 '''강서구 병'''}}}}}}]][br]{{{#ffffff 등촌1동, 등촌2동, 가양3동, 염창동, 화곡4동, 화곡6동, 화곡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유영(정치인)|{{{#373a3c,#dddddd 유영}}}]](兪煐) || 29,648 || 2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32.27% || 낙선 || ||<|2> {{{#ffffff {{{+5 '''2'''}}}}}} || '''[[한정애|{{{#373a3c,#dddddd 한정애}}}]](韓貞愛)''' || '''39,992''' || '''1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43.54%'''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김성호(1962)|{{{#373a3c,#dddddd 김성호}}}]](金成鎬) || 18,920 || 3위 || || [include(틀: 국민의당(2016년))] || 20.59% || 낙선 || ||<|2> {{{#000000 {{{+5 '''4'''}}}}}} || [[김종민(1970)|{{{#373a3c,#dddddd 김종민}}}]](金鍾玟) || 3,287 || 4위 || || [include(틀:정의당)] || 3.5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7,029 ||<|3> '''투표율'''[br]59.21% || || '''투표 수''' || 92,972 || || '''무효표 수''' || 1,125 || [[새누리당]]의 유영 후보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1, 3대 강서구청장으로 활동한 인물이며, [[더불어민주당]]의 한정애 후보는 19대 국회 비례대표 의원이자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출신이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의 김성호 후보는 16대 총선에서 [[강서구 을]]에서 당선된 전력이 있다. [[정의당]]의 김종민 후보는 정의당 대변인 및 2011년 서울시장 재보선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의 공동 선거대책본부장을 맡은 경력이 있다. 3월 말~4월 초 한정애 후보와 김성호 후보 간의 야권 후보 단일화가 논의되었고 합의 성사까지 이루어졌으나, 이후 김성호 후보 측이 단일화 여론조사에서의 정당명 표기에 불복하며 단일화가 무산되었다. 개표 결과 김성호 후보가 20% 넘게 득표하는 선전에도 불구하고, 한정애 후보가 유영 후보를 11% 이상 차이로 여유있게 제치고 당선을 확정하였다. 야권 지지자들의 전략적 투표가 먹혀든 것으로 보인다. 동별로 보면 모든 동에서 한정애 후보가 앞선 가운데, 가장 투표인 수가 많은 [[염창동]]에서 전체 표차의 절반에 가까운 4,800표의 차이가 났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강서구 병|{{{#ffffff {{{+1 '''강서구 병'''}}}}}}]][br]{{{#ffffff 등촌1동, 등촌2동, 가양3동, 염창동, 화곡4동, 화곡6동, 화곡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한정애|{{{#373a3c,#dddddd 한정애}}}]](韓貞愛)''' || '''64,515'''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9.92%''' || '''당선''' || ||<|2> {{{#ffffff {{{+5 '''2'''}}}}}} || [[김철근|{{{#373a3c,#dddddd 김철근}}}]](金哲根) || 39,355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36.55% || 낙선 || ||<|2> {{{#ffffff {{{+5 '''7'''}}}}}} || [[권혜인(정치인)|{{{#373a3c,#dddddd 권혜인}}}]](權惠仁) || 1,575 || 4위 || || [include(틀:민중당)] || 1.46% || 낙선 || ||<|2> {{{#ffffff {{{+5 '''8'''}}}}}} || 도재숙(都在淑) || 559 || 5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51% || 낙선 || ||<|2> {{{#ffffff {{{+5 '''9'''}}}}}} || 김태윤(金泰潤) || 1,659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5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1,351 ||<|3> '''투표율'''[br]67.5% || || '''투표 수''' || 108,962 || || '''무효표 수''' || 1,299 || ||<-5> {{{#ffffff '''제 2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강서구 병)'''}}}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한정애|{{{#ffffff '''한정애'''}}}]] || [[김철근|{{{#ffffff 김철근}}}]]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64,515[br](59.92%)'''}}} || '''39,355[br](36.55%)''' || '''+ 25,160[br](△23.37)''' || '''161,351 [br] (67.5%)''' || || '''염창동''' || {{{#004ea2 60.02%}}} || 37.04% || △22.98 || {{{#696969 73.49}}} || || '''등촌1동''' || {{{#004ea2 61.63%}}} || 34.82% || △26.81 || 66.02 || || '''등촌2동''' || {{{#004ea2 54.92%}}} || '''42.14%''' || △12.78 || 67.13 || || '''화곡본동''' || {{{#004ea2 '''62.06%'''}}} || 33.39% || '''△28.67''' || 56.51 || || '''화곡4동''' || {{{#004ea2 60.22%}}} || 35.99% || △24.23 || 59.75 || || '''화곡6동''' || {{{#004ea2 54.92%}}} || 41.96% || △12.96 || 63.98 || || '''가양3동''' || {{{#004ea2 57.97%}}} || 38.94% || △19.03 || 68.17 || || '''후보''' || [[한정애|{{{#004ea2 '''한정애'''}}}]] || [[김철근|{{{#ef426f 김철근}}}]]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26.59% || {{{#ef426f '''69.88%'''}}} || {{{#808080 ▼'''41.29'''}}}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8.16%}}} || 27.40% || △'''40.76''' || || || '''재외투표''' || {{{#004ea2 '''68.78%'''}}} || 28.27% || △40.51 || || 선거 결과 [[한정애]] 의원이 득표율 23%차로 압승하면서 3선 도전에 성공했다. 애초에 미래통합당 공천을 받은 김철근 후보는 본래 국민의당 - 바른미래당을 거친 친안계 인사였고, 선거구도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최근에는 구로 지역에 출마하는 등 지역 연고도 전혀 없었고 당 내 기반도 미약했기 때문에 한정애 의원의 압도적인 승리가 예상되었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동별로는 모든 동에서 10%p 이상의 득표율 차로 한정애 후보가 승리했다. 특히 화곡본동에서는 더블스코어에 가까운 격차로 한정애 후보가 이겼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강서구 병'''}}}}}}[br]{{{#ffffff 등촌1동, 등촌2동, 가양3동, 염창동, 화곡4동, 화곡6동, 화곡본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특별한 일이 없으면 현역 의원인 한정애가 4선에 도전할 것이다. [[국민의힘]]에서는 당협위원장인 [[김진선(1961)|김진선]]이 [[2023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 [[강서구청장(서울)|강서구청장]]에 출마하지 않는다면 후보로 나설 것이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서울특별시의 정치]][[분류:강서구(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