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강릉 유씨]] [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한국의 성씨)] ||<-2> '''{{{#DDE7E7 [[전한|{{{#DDE7E7 한(漢)}}}]]의 [[국성|{{{#DDE7E7 국성}}}]]}}}'''{{{#!wiki style="margin: -15px -10px" || {{{#!wiki style="margin: -0px -5px" [[파일:강릉 유씨 종문.svg|height=60&align=left]]}}}'''{{{#DDE7E7 {{{+1 江陵 劉氏[br]강릉 유씨}}}}}}''' ||}}} || || '''{{{#DDE7E7 관향}}}'''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 '''{{{#DDE7E7 도시조}}}'''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799|유전(劉荃)]][* 유(劉)씨의 도시조이자, 중국 태조 고황제 [[고제(전한)|유방]]의 40세손. 송나라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다 고려로 귀화한 인물이다.] || || '''{{{#DDE7E7 시조}}}''' ||유승비(劉承備)[* 도시조 유전(劉荃)의 9세손.] || || '''{{{#DDE7E7 중시조}}}''' ||[[유창(조선)|유창(劉敞)]][* 도시조 유전(劉荃)의 12세손.] || || '''{{{#DDE7E7 집성촌}}}'''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가수리[br][[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신월리[br][[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월평리[br][[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오월리[br][[전라북도]] [[고창군]] [[고창군/행정#부안면|부안면]] 상등리[br][[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용상리 || || '''{{{#DDE7E7 인구}}}''' ||302,511명^^(2015년)^^ || || '''{{{#DDE7E7 링크}}}''' ||[[http://www.kangyu.or.kr/|강릉 유씨 대종회]]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dqMZyzNfD8A)] '''강릉 유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묘금도 유씨'''[* 이유는 묘금도 유(劉)字를 쓰는 유씨는 강릉 단본이기 때문이다.]라고 많이 부른다. [[강원특별자치도]]의 [[강릉시]]를 씨의 관향으로 삼고 있다. == 역사 == 시조 유승비(劉承備)의 아버지는 대제학 유연(劉沿)이고, 어머니는 중정대부 대호군 이승안(李承顔)의 딸 [[연안 이씨]]이다. 증손자인 [[유창(조선)|유창(劉敞)]]이 [[1371년]] 즉 고려 공민왕 20년에 문과 급제하여 성균좨주([[成]][[均]][[祭]][[酒]]) 등을 역임하고, 조선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 옥천은 지금의 [[강릉시]] [[옥계면]]이다.]에 봉해졌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8명을 배출했다. == 기원 == 족보상의 기준으로 강릉 유씨 자체는 [[북송|송나라]] 출신인 유전(劉筌)[* 부친은 [[북송]]의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유채(劉采)이며 본관은 팽성(彭城), 자는 원보(源甫), 호는 죽간(竹諫)이었다고 한다. 그가 남겼다고 하는 저서로는 고국산천을 그리며 저술한 죽간일고(竹諫逸稿)가 있었다고 하지만 이는 1926년 강릉 유씨인 유세원이 죽간일집으로써 간행하였다고 한다.]을 시조로 삼는 거창 유씨의 분적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성씨들이 으레 그렇듯이 거창 유씨도 모화 사상의 영향으로 [[중국]] [[한족]], 그 중에서도 [[한나라]] [[고제(전한)|유방]]을 조상으로 삼고 있는 성씨족 중 하나다.[* 당장 [[북송|송나라]]에서 병부상서를 지내다가 8학사로서 [[문종(고려)|문종]]의 치세 때인 1082년 고려에 입조했다고 전해지는 유전이란 인물은 한중 양측 사료에서 전해지지 않을 뿐더러, 유방의 직계 자손들은 당장 중국에서 모두 단절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듯, 모화 사상으로 인한 족보 위조 현상을 감안하고 볼 때 우리나라 유씨(劉氏)의 기원으로 유추해볼 수 있는 것은 다름아닌 '''[[고구려]]'''다. [[한민족]] 계통의 유씨로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인물이 바로 [[동천왕]] 대의 장수인 [[유옥구]][* [[위나라]] [[관구검]]과의 전쟁에서 맹활약한 공을 인정받아 압록원(鴨淥原)과 두눌하원(杜訥河原)을 식읍으로 하사받은 하부(下部; 관노부) 출신의 고구려인.]가 있으며, 이후 같은 성씨를 가진 인물로는 [[발해]] 출신의 유충정(劉忠正)[* [[목종(고려)|고려 목종]] 대의 신료. 목종의 총애를 받아 지은대사 좌사낭중(知銀臺事左司郎中)이 되었다. 유행간과 더불어 목종과 동성애 등을 행하는 등 전횡을 일삼다가 정변을 일으킨 [[강조(고려)|강조]]에 의해서 살해당했다.] 등이 있다. 실제로 유씨는 대(大), 고(高), 왕(王), 이(李), 양(楊), 장(張), 오(烏), 두(竇)와 더불어 발해의 대표적인 귀족 성씨로 알려져 있다. 시대적인 흐름과 성씨의 역사적 정황으로 보아 유씨(劉氏)는 실질적으로는 [[고구려]]와 [[발해]]에 기원을 두어 [[고려]] 때 뿌리를 내리고 [[조선]]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활약했음이 가장 유력하다. == 종파 == * 감찰공파 * 경력공파 * 군수공파 * 금성공파 * 문이공파 * 백설공파 * 병사공파 * 부사공파 * 술제공파 * 선교랑공파 * 어사공파 * 은제공파 * 좌랑공파 * 주부공파 * 호판공파 * 천방공파 == 항렬 == * 대동항렬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 口원(源) || 口병(秉) || 口렬(烈)[br]口묵(默) || 재(載)[br]시(時)[* 유재석이 바로 이 항렬이다] || 口종(鍾)[br]口호(鎬) || 영(永)[br]승(承) || 口상(相)[br]口근(根) || 환(煥)[br]용(容)[*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용상리에서는 항렬자를 사용하지 않고 돌림자로 병(炳)을 사용한다. 병사공파의 항렬자인지 용상리에서 사용하는 돌림자인지는 확인이 필요하다.] || 口식(埴)[br]口균(均) || 현(鉉)[br]진(鎭) || 口수(洙)[br]口제(濟) || 동(東)[br]환(桓) || 口섭(燮)[br]口영(榮) || 기(基)[br]규(圭) || == 분포 지역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구림리·신원리 전라남도 강진군 전라남도 장흥군 == 인물 == * [[유기천]] * [[나얼]] - 본명 유나얼. * [[유남규]] * [[유남석(법조인)|유남석]] * [[유담]] * [[유대운]] * [[데프콘(가수)|데프콘]] - 본명 유대준. * [[유도훈]] * [[유동근]] * [[유동하]] * [[유동훈]] * [[유명종]] * [[유민상(정치인)|유민상]] - 개그맨 아니고 정치인. * [[유봉영(1897)|유봉영]] * [[유상무]] * [[유상범]] * [[유서연]] * [[유말랑]] - 본명 유수종. * [[유수호(정치인)|유수호]] * [[유승민]] * [[유승준]] * [[유영(피겨 스케이팅)|유영]] * [[유영재]] * [[유영주]] * [[유영진(작곡가)|유영진]] * [[유영혁]] * [[유오성]] * [[유옥우]] * [[유용민]] * [[유용태]] * [[유용하]] * '''[[유인나]]''' * [[유재명]] * '''[[유재석]]''' * [[유재필]] * [[유재흥]] * [[유준상]] * [[유준호]] * [[카리나(aespa)|카리나]] - 본명 유지민. * [[유지애]] * [[유지태]] * [[BE'O]] - 본명 유찬욱.[* 한동안 창원 유씨로 알려져 있었으나, 1theK 본인등판 비오 에피소드에서 강릉 유씨라고 밝혔다. [[https://youtu.be/mBzFs58XcPU?t=26|#]]] * [[유창순]] * [[유채훈]] * [[에반(유호석)|에반]] - 본명 유호석. * [[연두부(인터넷 방송인)|연두부]] * [[소의 유씨]]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