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018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ngneungIceArena1.jpg|width=100%]]}}} || ||<-2> {{{#fff '''{{{+1 강릉 아이스 아레나}}}'''[br]Gangneung Ice Arena}}} || ||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수리골길 102 || || 기공 ||[[2014년]] [[7월 17일]] || || 개장 ||[[2016년]] [[12월 14일]] || || 좌석 수 ||12,000석 || || 준공비 ||1,339억 원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강릉 아이스 아레나, 너비=100%, 높이=225px)]}}}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GangneungIceArena.jpg|width=700&align=center]]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의 강릉 올림픽 파크에 위치한 실내 경기장. 지상 4층과 지하 2층 규모에 아이스링크 2면(60m * 30m)과 12,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좌석을 갖추고 있다. 본래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지어진 [[빙상장]]으로, 당시 이름인 '''강릉 아이스 아레나'''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역사 == === [[빙상장]] === 개장 직후인 2016년 12월 16일부터 18일까지 쇼트트랙 월드컵을 개최했고, 2017년 2월 16일부터 19일까지 [[2017 피겨 스케이팅 사대륙선수권 대회|2017 사대륙선수권]]을 개최함으로써 동계 올림픽을 대비한 실전 테스트를 했으며 경기장 시설에 대해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올림픽에서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쇼트트랙]]과 [[피겨 스케이팅]] 경기장으로 사용됐다. 올림픽 이후에는 하술하는대로 종합 실내체육관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2024 강원 청소년 동계올림픽]] 유치가 확정되면서 오랜만에 강릉 아레나에서 빙상 경기가 열렸다. === 실내체육관 === 올림픽 등 대규모 국제대회를 위해 새로 건립되는 시설은 대회가 끝나면 애물단지로 전락하는 일도 많은데[* 당장 같은 대회를 위해 지어진 [[강릉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는 좋은 시설과 빙질에도 불구하고 여러 난점으로 인해 빙상계에서도 잘 찾지 않는 애물단지로 전락한 상태다. 이때문에 현대로 올 수록 올림픽을 위해 지은 시설의 적절한 사후 활용 방안 수립이나 기존 건축물을 대회에 활용하는 것이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의 이점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그래서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이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의 [[스타디움 974]]처럼 아예 사후 해체를 염두에 두고 지은 경기장도 늘어나는 추세다.] 강릉 아이스 아레나는 실내체육관으로 전환돼 적절히 쓰이고 있다. 1만석 이상의 관중석을 갖춘 실내체육관이기 때문에 당연히 '''강원도 내에서 규모가 가장 큰 실내체육관'''이 됐다.[* 강원도는 물론 전국적으로도 관중석 규모가 1만석을 넘긴 체육관은 많지 않다. 1만4600석을 보유한 [[KSPO DOME|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1만3000석의 [[사직실내체육관|부산 사직체육관]], 1만1000석의 좌석을 갖춘 [[잠실실내체육관|서울 잠실체육관]] 정도가 국내 1만석 이상 규모의 체육관들이다. 이전까지 강원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실내체육관은 [[원주 DB 프로미|DB 프로미 농구단]]의 홈구장인 [[원주종합체육관]]으로 4600석 수준이었다.] 사실 올림픽 전에는 강릉에 작은 규모의 실내체육관이 있었지만, 올림픽 준비과정에서 철거되고 [[강릉아트센터]] 사임당홀이 들어섰다. 물론 체육이나 문화 행사를 개최할 공설 체육관은 필요한 만큼 대체 계획도 당연히 잡혀서 본래 [[빙상장]]으로 쓰이던 [[강릉컬링센터]]를 대회 후 다목적 실내체육관으로 바꿔서 활용하고 아이스 아레나를 새로운 빙상장으로 쓸 예정이었는데, 공교롭게도 이때 컬링이 엄청난 성황을 이루며 컬링장 존치 여론이 대두되며 컬링센터가 원래 용도인 [[빙상장]] 겸 컬링 경기장으로 되돌아가고 아이스 아레나가 실내체육관으로 전환됐다. 어차피 여차하면 [[강릉 하키 센터]]도 쓸 수 있으니 링크가 3개나 있을 필요도 없었다.[[http://www.kado.net/?mod=news&act=articleView&idxno=937457|#]] 실내체육관으로 개조되며 경기가 열렸던 지상 링크는 마루 바닥으로 바뀌었고, 지하 링크에는 수영장이 들어섰다. 아울러 구내에 강릉올림픽뮤지엄이라는 기념박물관도 만들었다. 공식적인 평창올림픽 기념관은 개폐회식장이었던 평창 횡계의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 본부동 건물에 만들어졌으나, 강릉시 역시 올림픽 빙상경기가 열린 도시로서 이를 기념할 시설이 필요했기에 시 차원에서 만든 것이다. 이렇게 실내체육관으로 바뀌며 공식적인 이름도 '''강릉 아레나'''로 바뀌었다. 경기장 진입로에 있는 표지판이나 [[https://www.gn.go.kr/olympicpark/contents.do?key=4225|강릉 올림픽 파크 공식 홈페이지]]에도 '강릉 아레나'로 표기 중이다. 다만 올림픽때 기억대로 아이스라는 이름을 여전히 붙여서 부르는 사람도 꽤 있다. ==== 전환 후 주요 행사 ==== 올림픽 후 다행히 [[나훈아]], [[임창정]], [[미스트롯]] 전국 투어 등 콘서트를 개최했다. [[2020 도쿄 패럴림픽]] 휠체어럭비 최종예선도 여기서 치렀다. 2020년 5월 10일에는 [[내일은 미스터트롯]] 전국 투어 콘서트를 이곳 강릉 아레나에서 개최했다. [[강원도]]에서 유일하게 공연하는 [[내일은 미스터트롯]] 콘서트. 2022년 8월 28일에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2022 LCK 서머]]의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결승전]]을 개최하였다. [[2023년 강릉 산불]] 당시 주민 대피소가 설치되었다. 1년에 한번씩 [[난설헌배 전국여자바둑대회]]도 개최하기도 한다. == 기타 == * 아레나 입장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www.pyeongchang2018.com/ko/venues/gangneung-ice-arena|평창 동계올림픽 공식 페이지]] 참고 * 개회식 장소인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이 지붕이 없는데다가 평창이 워낙에 추운 점을 감안, 폭설 등으로 인해 개회식이 불가능해지면 플랜B로 이 곳에서 개회식을 치를 계획이었다고 한다.[* 실제로 2017년 11월,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린 드림콘서트를 관람하다가 [[저체온증]]을 호소하며 병원에 실려가는 사람이 생기는 바람에 이와 유사한 사고를 막기 위해 방한 대책을 탄탄하게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다행히 폭설도 없었고 기후 문제가 심하지 않아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성대한 개막식을 열었다. * 빙상 경기장을 실내체육관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합판으로 만든 바닥 구조물이 붕괴 위험성이 있다는 기사가 나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1232398?sid=102|올림픽경기장 바닥 붕괴 우려‥이용객 안전 위험]] == 둘러보기 == ||<-5> [[파일:LCK 로고 흰색.svg|width=32]] '''{{{#ffffff 역대}}}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ffffff LCK}}}]] {{{#ffffff 결승전 개최 경기장}}}''' || ||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2022 스프링]][br][[KINTEX#s-10|일산 KINTEX 제1 전시장]] || {{{+1 →}}} ||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2022 서머]][br]'''[[강릉 아이스 아레나]]''' || {{{+1 →}}} ||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결승전|2023 스프링]][br][[서울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서울 잠실실내체육관]] || [[분류:2018 평창 동계올림픽]][[분류:대한민국의 체육관]][[분류:강릉시의 건축물]][[분류:계룡건설산업]][[분류:2016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