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강남구)]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강남구 갑, top2=강남구 을, top3=강남구 병)]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정치)] [목차] == 선거구 정보 == ||<-3> [[강남구|[[파일:강남구 CI.svg|height=25]]]] '''서울특별시 강남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 || 국회의원 || 시의원 || 지역 || ||<|2> [[강남구 갑|{{{#ffffff 강남구 갑}}}]] || 강남구1 ||신사동, 논현1동, 압구정동, 청담동 || || 강남구2 ||논현2동, 역삼1동, 역삼2동 || ||<|2> [[강남구 을|{{{#ffffff 강남구 을}}}]] || 강남구3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 || 강남구4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 || ||<|2> [[강남구 병|{{{#ffffff 강남구 병}}}]] || 강남구5 ||대치1동, 대치4동, 도곡1동, 도곡2동 || || 강남구6 ||삼성1동, 삼성2동, 대치2동 || === [[강남구의회|구의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강남구의회)] [include(틀:서울특별시 강남구의회의 원내 구성)] == 지역 특징 == [[강남구]]는 보수세가 가장 강력한 [[강남3구]]에서도 가장 보수세가 강한 동네다. 또한 [[부동산]] 민심에 따라 계급투표 양상이 나타나는 지역이기도 하다. 결과만 봐선 [[TK]] 수준의 초강력 보수 [[텃밭(정치)|텃밭]]처럼 보일 수 있으나, 대신 [[경합지역]]인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과 [[충청도]]처럼 기존 인물에 대한 평가가 표심에 반영되기에 [[대경권]] 수준의 몰표는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TK]] 제외 전국 최강 보수정당 텃밭이다. 창녕, 합천을 제외한 [[PK#s-4|PK]] 지역에서도 강남구의 보수정당 지지율을 넘어서지는 못한다. [[중선거구제]] 시절에는 [[10대 총선]], [[11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의 [[이태섭(1939)|이태섭]] 후보가 당선되고 야당의 [[정운갑]] 후보도 당선되기도 했는데 이 때는 개발 초기임에도 박정희 정권의 개발정책으로 여권이 유리했다. 반대로 [[12대 총선]]에서는 전원 야권이 승리했다. 그러나 [[소선거구제]]가 실시된 이후 1996년 15대 총선까지만 해도 야당 후보가 승리하는가 하면[* 특히 1996년 15대 총선에서 '을'구는 [[새정치국민회의|야권이]] [[통합민주당(1995년)|분열된]] 상황에서 당적을 포기했던 현역 [[홍사덕]] 의원이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이 시기까지는 능력있고 참신한 인물들이 여야를 넘어 강남의 표심을 얻었고, 이 때문에 신정치 1번지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1992년 14대 총선에선 '갑'구에서 [[통일국민당]]의 [[김동길]], '을'구에서는 [[민주당(1991년)|민주당]]의 홍사덕이 당선되며 야당판이 되었던 바 있다.] 당선된 여당 후보들의 득표율도 40%대 초반에 불과했다. 이 당시만 해도 강남이 서울의 대표적 인물대결장이었기 때문에 여야 성향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았고, 무엇보다 개발된지 얼마 되지 않아 이 지역에 막 정착한 주민들 대부분이 상대적으로 비판의식이 높은 청장년층이었다는 점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90년대 초만 해도 강남은 아파트값만 엄청나게 비쌌을 뿐, 압구정동을 제외하면 그렇게까지 잘 사는 동네도 아니였다. 서울의 원조 부촌은 [[용산구]]와 [[성북구]]였다. 개발을 통해서 지금의 입지가 마련됐을 뿐이지, 주공아파트가 처음 완공됐을 때의 서초강남은 그야말로 허허벌판이었고, 지금에 비하면 상전벽해 수준으로 바뀐 것이다. 입지전적인 인물들이나 IT계 종사자들이 많이 강남에 살았었는데, 현재는 상당수가 지금의 [[판교신도시]]로 많이 이주했다.] 고로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양극화]]가 심화되기 시작한 2000년의 16대 총선을 기점[* 역대 민선 서울시장 중 가장 코어 지지층이 탄탄한 [[오세훈]]이 이 선거 당시 [[강남구 을]]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었다.]으로 본격적으로 보수정당이 우세를 점하기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다. 단, 구청장과 구의회는 이전부터 보수정당이 장악해왔다. 1명만 뽑는 선거에선 이 곳에서 보수정당 공천이 곧 당선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인근 송파, 서초구 등과 함께 보수정당이 열심히 공들여 관리하는 지역 중의 하나이다. 그래서 [[대한민국 국회의원]]이건 구청장이건 본인들의 임기에 대한 [[평판#s-1|평판]]이 좋지 못하거나 역량 있는 새 인사가 나타나면 다음 선거에서 재공천 받기가 매우 힘들다.[* 옛날 새누리당 시절 20대 총선에서 [[수성구 갑]]이 보수의 강력한 [[텃밭(정치)|텃밭]]인 것만 믿고 [[경기도지사]] 시절 [[도지삽니다]]로 물의를 일으킨 [[김문수]]를 냅다 공천했다가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부겸]]에게 한 번 내준 적이 있기 때문에 텃밭 공천에 더더욱 신경쓸 것이다.] 반면 민주당계 정당에서는 여당 시절이던 16대 총선 당시 참신한 정치 신인이던 [[오세훈]] 변호사를 빼앗기고 선거에도 진 이후부턴, 2012년 19대 총선에서 [[정동영]] 전 [[민주평화당]] 대표가 을구에 출마할 때까지는 아예 중량급 인사들은 당선 가능성이 낮은 이 곳에는 출마조차 하지 않았다. 18대 대선에서도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후보가 22개동과 부재자, 재외투표에서 전승하며 2016년 20대 총선 이전에는 보수정당의 절대우세 지역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20대 총선에서 전현희 후보가 강남구 을에서 승리하는 이변이 일어났고 이후 대한민국 보수정당 최대의 위기였던 최순실 게이트와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태로 정권이 교체되고 정치 지형이 바뀐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격변'''이 일어났다. [[더불어민주당]] [[정순균]] 후보가 [[자유한국당]] 장영철 후보를 1만 3천표차로 따돌리고 강남구청장에 당선된 것이다. 또한 강남구의회 구의원으로 [[더불어민주당]]이 10명, [[자유한국당]]이 9명, [[바른미래당]]이 1명을 배출하며 [[더불어민주당]]이 구의회내 1당으로 부상했다. 하지만 서울시의회에 유일하게 자유한국당 시의원을 배출한 자치구이기도 하다.[* 강남구 서울시의원 더불어민주당 3명, 자유한국당 3명.] [[21대 총선]]에서는 강남구 갑, 을, 병 지역구 모두 미래통합당 후보가 낙승을 거두면서 서울에서 통합당이 승리를 거둔 4개 구[* 용산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에서 민주당을 상대로 우위를 점했다. 문제는 이 4개 구를 제외한 다른 구에서는 단 한 명도 당선자가 없다는 것.] 중 한 곳이 되었다. 지방선거 이후로 [[문재인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로 인한 반발심리[* 불과 2019년 초까지만 해도, 서초구를 제외한 강남구의 기초자치단체까지 그야말로 민주당이 싹쓸이했을 때까지만 해도 고가아파트 표심에서 적잖게 민주당에게 호의적이였다. 집값을 잡아주고 종부세나 양도세 둘 중 하나는 내려줄 것이라는 기대감이였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평가/경제/부동산 정책|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문제가 계속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김현미]] 장관이나 [[김수현(교수)|김수현]] 정책실장 등을 경질하지 않아, 실망한 고가아파트 표심이 다시 보수정당으로 고개를 돌린 것. 강남구 거주민들 대부분 대출을 통해서 집을 샀고, 지금도 매달 얼마씩 갚아나가는 사람들이 많음에도 이를 망각하고 단지 고가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는 이유 만으로 종부세와 양도세를 더 올려대니까 보수정당 득표율이 그리 나올 수 밖에...]와 [[개포동]] 일대 주공아파트 재건축이 끝나 원주민들이 재정착하고 고소득층이 유입된 덕에 [[21대 총선]]에서는 [[미래통합당]](現 [[국민의힘]])이 [[강남구 을]]을 탈환하며 세 선거구를 모두 휩쓸었다. 문재인 정부의 중간평가 성적으로 치러진 [[21대 총선|이번 선거]]에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미래통합당이 참패했지만, 강남3구로 대표되는 이 지역에서 보수정당의 득표율이 [[20대 총선]] 때 보다 크게 올라가고 의석을 싹쓸이하면서 계급투표 현상이 심화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당 투표에서는 미래한국당이 더불어시민당을 더블스코어 이상으로 이겼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트리플 스코어 차로 압살'''하면서 다시 예전처럼 보수 텃밭으로 돌아 왔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1년 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마찬가지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무려 67.01%의 득표로 압살'''하는 등으로[* 전국에서도 TK를 제외한 보수 최대 득표율이다.] '''민주당의 [[험지(정치)|험지]]'''로 돌아서게 되었다. 이는 경상도를 제외하면 [[강화군]]과 [[옹진군(인천광역시)|옹진군]]마저 이기는 전국에서 제일 높은 보수 득표율이다.[* 그나마 민주당 입장에서 다행인 점은 재보궐선거처럼 금관구와 노도강까지 보수정당이 이기는 결과로 나오진 않았다는 것이다.] 다시금 보수의 텃밭화가 된 이상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정순균]] 구청장의 [[재선#s-1|재선]]이 어려워 보인다는 분석이 많다. 특히 중산층 이상이 많이 거주하는 아파트 표심이 [[국민의힘]]으로 대거 쏠리는 결과가 나왔다. 결국 정순균 후보는 예상대로 압도적 격차로 [[낙선]]하고 말았다. 그나마 송영길 후보처럼 트리플 스코어로 당하지는 않았다는 것으로 만족해야 할 듯 하다. == 역대 선거 결과 == ||<-4> [[강남구|[[파일:강남구 CI.svg|height=25]]]] '''역대 강남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 || || 강남구 갑 || 강남구 을 || || || [[제13대 국회의원|13대]] || [include(틀:통일민주당)] [[황병태|{{{#FFFFFF 황병태}}}]] {{{#FFFFFF (초선)}}} || [include(틀:민주정의당)] [[이태섭(1939)|{{{#FFFFFF 이태섭}}}]] {{{#FFFFFF (3선)}}} || || || [[제14대 국회의원|14대]] || [include(틀:통일국민당)] [[김동길|{{{#FFFFFF 김동길}}}]] {{{#FFFFFF (초선)}}} || [include(틀:민주당(1991년))] [[홍사덕|{{{#FFFFFF 홍사덕}}}]] {{{#FFFFFF (3선)}}} || || || [[제15대 국회의원|15대]] || [include(틀:신한국당)] [[서상목|{{{#FFFFFF 서상목}}}]] {{{#FFFFFF (3선)}}}[* 99.9.6. 의원직 사퇴.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 [include(틀:무소속)] [[홍사덕|{{{#FFFFFF 홍사덕}}}]] {{{#FFFFFF (4선)}}} || || || [[제16대 국회의원|16대]]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최병렬|{{{#FFFFFF 최병렬}}}]] {{{#FFFFFF (4선)}}}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오세훈|{{{#FFFFFF 오세훈}}}]] {{{#FFFFFF (초선)}}} || || || [[제17대 국회의원|17대]] || [include(틀:한나라당)] [[이종구(정치인)|{{{#FFFFFF 이종구}}}]] {{{#FFFFFF (초선)}}} || [include(틀:한나라당)] [[공성진|{{{#FFFFFF 공성진}}}]] {{{#FFFFFF (초선)}}} || || || [[제18대 국회의원|18대]] || [include(틀:한나라당)] [[이종구(정치인)|{{{#FFFFFF 이종구}}}]] {{{#FFFFFF (재선)}}} || --[include(틀:한나라당)] [[공성진|{{{#FFFFFF 공성진}}}]] {{{#FFFFFF (재선)}}}[* 11.6.9. 의원직 상실 (정치자금법 위반).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 || || [[제19대 국회의원|19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심윤조|{{{#FFFFFF 심윤조}}}]] {{{#FFFFFF (초선)}}}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김종훈(1952)|{{{#FFFFFF 김종훈}}}]] {{{#FFFFFF (초선)}}} || || || || [[강남구 갑]] || [[강남구 을]] || [[강남구 병]] || || [[제20대 국회의원|20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이종구(정치인)|{{{#FFFFFF 이종구}}}]] {{{#FFFFFF (3선)}}}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전현희|{{{#FFFFFF 전현희}}}]] {{{#FFFFFF (초선)}}}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이은재|{{{#FFFFFF 이은재}}}]] {{{#FFFFFF (재선)}}} || || [[제21대 국회의원|21대]] || [include(틀:미래통합당)] [[태영호|{{{#FFFFFF 태구민}}}]] {{{#FFFFFF (초선)}}} || [include(틀:미래통합당)] [[박진|{{{#FFFFFF 박진}}}]] {{{#FFFFFF (4선)}}} || [include(틀:미래통합당)] [[유경준|{{{#FFFFFF 유경준}}}]] {{{#FFFFFF (초선)}}} || ---- {{{#!wiki style="min-width:300px" ||<-5> [[강남구|[[파일:강남구 CI.svg|height=25]]]] '''역대 [[강남구청장|{{{#000000,#dddddd 강남구청장}}}]] 선거 결과'''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5'''}}}]]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1998'''}}}]]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2'''}}}]]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06'''}}}]]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0'''}}}]] || || [[민주자유당|{{{#ffffff {{{-1 민주자유당}}}}}}]] ||<-2> [[한나라당|{{{#ffffff {{{-1 한나라당}}}}}}]] ||<-2> [[한나라당|{{{#ffffff {{{-1 한나라당}}}}}}]] || ||<-3> [[권문용]] || [[맹정주]] || [[신연희]]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4'''}}}]]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18'''}}}]]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ffffff '''2022'''}}}]] || || || || [[새누리당|{{{#ffffff {{{-1 새누리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1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1 국민의힘}}}}}}]] || || || || [[신연희]] || [[정순균]] || [[조성명]] || || ||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구분'''}}} || {{{#ffffff '''주요 후보 득표율'''}}}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5년]] ||'''1위: [include(틀:민주자유당)] [[권문용]] 44.46%'''[br]2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 박응격 37.88%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1998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권문용]] 58.61%'''[br]2위: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장준영 35.64% || ||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2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권문용]] 66.28%'''[br]2위: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이양한]] 29.73%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06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 [[맹정주]] 78.06%'''[br]2위: [include(틀:열린우리당)] [[이판국]] 17.84%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0년]] ||'''1위: [include(틀:한나라당)] [[신연희]] 44.23%'''[br]2위: [include(틀:민주당(2008년))] [[이판국]] 29.33%[br]3위: [include(틀:무소속)] [[맹정주]] 25.65%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4년]] ||'''1위: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신연희]] 61.25%'''[br]2위: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김명신 35.38%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1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정순균]] 46.08%'''[br]2위: [include(틀:자유한국당)] [[장영철(1956)|장영철]] 40.78%[br]3위: [include(틀:바른미래당)] [[김상채]] 9.66%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22년]] ||'''1위: [include(틀:국민의힘)] [[조성명]] 70.39%'''[br]2위: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정순균]] 29.60% ||}}}}}}}}} ||}}} === 지방선거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서울특별시장 선거 ===== ||<-4>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열린우리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민주당(2005년))] || || '''후보''' || [[강금실|{{{#000000 '''강금실'''}}}]] || [[오세훈|{{{#ffffff '''오세훈'''}}}]] || [[박주선|{{{#ffffff '''박주선'''}}}]] || || '''득표수''' || 39,314 || '''160,646''' || 10,696 || || '''득표율''' || 18.22% || '''74.45%''' || 4.95% || || '''순위''' || 2위 || '''1위''' || 3위 || ||<|5> '''계''' || ||<-2> '''선거인 수''' || 433,889 || ||<-2> '''투표 수''' || 216,768 || ||<-2> '''무효표 수''' || 1,003 || ||<-2> '''투표율''' || 49.96% || ===== 강남구청장 선거 ===== ||<-4> {{{#FFF {{{+1 '''강남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000000,#191919 {{{+5 '''1'''}}}}}} || [[이판국]] || 38,265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17.85% || 낙선 || ||<|2> {{{#ffffff {{{+5 '''2'''}}}}}} || '''[[맹정주]]''' || '''167,37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78.06%''' || '''당선''' || ||<|2> {{{#FFF,#191919 {{{+5 '''6'''}}}}}} || 신윤철 || 8,774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4.0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33,889 ||<|3> '''투표율'''[br]49.97% || || '''투표 수''' || 216,814 || || '''무효표''' || 2,407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서울특별시장 선거 ===== ||<-4>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include(틀:진보신당)] || || '''후보''' || [[오세훈|{{{#ffffff '''오세훈'''}}}]] || [[한명숙|{{{#ffffff '''한명숙'''}}}]] || [[노회찬|{{{#ffffff '''노회찬'''}}}]] || || '''득표수''' || '''138,390''' || 79,094 || 5,493 || || '''득표율''' || '''59.94%''' || 34.26% || 2.86%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 '''계''' ||<-2> '''선거인 수''' || 452,744 || ||<-2> '''투표 수''' || 231,886 || ||<-2> '''무효표 수''' || 1,037 || ||<-2> '''투표율''' || 51.22% || ||<:><-5> {{{#FFFFFF '''5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오세훈|{{{#FFFFFF '''오세훈'''}}}]] ||<:> [[한명숙|{{{#ffffff '''한명숙'''}}}]]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38,390 [br] (59.94%)'''}}} ||<:> '''79,094 [br] (34.26%)''' ||<:> '''+59,296 [br] (△25.68)''' ||<:> '''51.22%''' || || '''신사동''' ||<:> {{{#0095DA 68.20%}}} ||<:> 27.11% ||<:> △31.09 ||<:> 50.37 || || '''논현1동''' ||<:> {{{#0095DA 50.74%}}} ||<:> 43.13% ||<:> △7.61 ||<:> 35.76 || || '''논현2동''' ||<:> {{{#0095DA 59.83%}}} ||<:> 34.79% ||<:> △25.04 ||<:> 42.77 || || '''압구정동''' ||<:> {{{#0095DA '''77.35%'''}}} ||<:> 18.37% ||<:> '''△58.98''' ||<:> 52.93 || || '''청담동''' ||<:> {{{#0095DA 66.85%}}} ||<:> 28.21% ||<:> △40.64 ||<:> 48.35 || || '''삼성1동''' ||<:> {{{#0095DA 65.22%}}} ||<:> 29.70% ||<:> △35.52 ||<:> 51.87 || || '''삼성2동''' ||<:> {{{#0095DA 58.82%}}} ||<:> 35.20% ||<:> △23.62 ||<:> 48.24 || || '''대치1동''' ||<:> {{{#0095DA 69.63%}}} ||<:> 25.36% ||<:> △44.27 ||<:> 60.31 || || '''대치2동''' ||<:> {{{#0095DA 66.11%}}} ||<:> 28.45% ||<:> △37.66 ||<:> 57.31 || || '''대치4동''' ||<:> {{{#0095DA 51.17%}}} ||<:> 42.73% ||<:> △8.84 ||<:> 42.95 || || '''역삼1동''' ||<:> {{{#0095DA 50.00%}}} ||<:> 44.24% ||<:> △5.76 ||<:> 36.13 || || '''역삼2동''' ||<:> {{{#0095DA 59.56%}}} ||<:> 34.86% ||<:> △24.70 ||<:> 48.94 || || '''도곡1동''' ||<:> {{{#0095DA 62.38%}}} ||<:> 31.88% ||<:> △30.50 ||<:> 55.23 || || '''도곡2동''' ||<:> {{{#0095DA 74.19%}}} ||<:> 21.30% ||<:> △52.89 ||<:> 55.37 || || '''개포1동''' ||<:> {{{#0095DA 60.02%}}} ||<:> 33.98% ||<:> △26.04 ||<:> 56.24 || || '''개포2동''' ||<:> {{{#0095DA 50.32%}}} ||<:> 43.35% ||<:> △6.97 ||<:> 56.34 || || '''개포4동''' ||<:> {{{#0095DA 50.94%}}} ||<:> 42.72% ||<:> △8.22 ||<:> 49.31 || || '''일원본동''' ||<:> {{{#0095DA 52.71%}}} ||<:> 39.64% ||<:> △13.07 ||<:> 59.20 || || '''일원1동''' ||<:> {{{#0095DA 47.46%}}} ||<:> '''46.08%''' ||<:> △1.38 ||<:> 51.86 || || '''일원2동''' ||<:> {{{#0095DA 52.06%}}} ||<:> 41.70% ||<:> △10.36 ||<:> 58.36 || || '''수서동''' ||<:> {{{#0095DA 48.51%}}} ||<:> 44.80% ||<:> △3.71 ||<:> 52.69 || || '''세곡동''' ||<:> {{{#0095DA 59.86%}}} ||<:> 34.74% ||<:> △25.12 ||<:> 52.34 || || '''후보''' ||<:> [[오세훈|{{{#0095DA '''오세훈'''}}}]] ||<:> [[한명숙|{{{#019E33 '''한명숙'''}}}]] ||<:> 격차 ||<:> || || '''부재자투표''' ||<:> {{{#0095DA 58.68%}}} ||<:> 32.08% ||<:> △26.60 ||<:> || ===== 강남구청장 선거 ===== ||<-4> {{{#ffffff {{{+1 '''강남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연희]]''' || '''100,906'''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4.23%''' || '''당선''' || ||<|2> {{{#ffffff {{{+5 '''2'''}}}}}} || [[이판국]] || 72,830 || 2위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9.33% || 낙선 || ||<|2> {{{#ffffff {{{+5 '''7'''}}}}}} || [[맹정주]] || 58,50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5.65% || 낙선 || ||<|2> {{{#ffffff {{{+5 '''8'''}}}}}} || 지태자 || 7,276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0.7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52,744 ||<|3> '''투표율'''[br]51.22% || || '''투표 수''' || 231,902 || || '''무효표 수''' || 3,805 || ====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 ||<-3>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무소속)] || || '''후보''' || [[나경원|{{{#ffffff '''나경원'''}}}]] || [[박원순|{{{#ffffff '''박원순'''}}}]] || || '''득표수''' || '''140,109''' || 87,657 || || '''득표율''' || '''61.33%''' || 38.37% || || '''순위''' || '''1위''' || 2위 || ||<|5> '''계''' || ||<-1> '''선거인 수''' || 461,127 || ||<-1> '''투표 수''' || 229,345 || ||<-1> '''무효표 수''' || 907 || ||<-1> '''투표율''' || 49.74% || ||<:><-5> {{{#FFFFFF '''서울특별시장보궐선거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나경원|{{{#FFFFFF '''나경원'''}}}]] ||<:> [[박원순|{{{#ffffff '''박원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40,109 [br] (61.33%)'''}}} ||<:> '''87,657 [br] (38.37%)''' ||<:> '''+52,542 [br] (△22.96)''' ||<:> '''49.74%''' || || '''신사동''' ||<:> {{{#0095DA 70.14%}}} ||<:> 29.69% ||<:> △40.45 ||<:> 48.85 || || '''논현1동''' ||<:> {{{#0095DA 51.33%}}} ||<:> 48.43% ||<:> △2.90 ||<:> 35.39 || || '''논현2동''' ||<:> {{{#0095DA 60.58%}}} ||<:> 39.22% ||<:> △21.36 ||<:> 42.84 || || '''압구정동''' ||<:> {{{#0095DA '''79.39%'''}}} ||<:> 20.46% ||<:> '''△58.93''' ||<:> 54.17 || || '''청담동''' ||<:> {{{#0095DA 67.63%}}} ||<:> 32.04% ||<:> △35.59 ||<:> 47.84 || || '''삼성1동''' ||<:> {{{#0095DA 67.13%}}} ||<:> 32.66% ||<:> △34.47 ||<:> 49.19 || || '''삼성2동''' ||<:> {{{#0095DA 60.58%}}} ||<:> 39.23% ||<:> △21.35 ||<:> 46.92 || || '''대치1동''' ||<:> {{{#0095DA 72.37%}}} ||<:> 27.56% ||<:> △44.71 ||<:> 56.13 || || '''대치2동''' ||<:> {{{#0095DA 66.72%}}} ||<:> 33.04% ||<:> △33.68 ||<:> 55.10 || || '''대치4동''' ||<:> {{{#0095DA 51.64%}}} ||<:> 48.04% ||<:> △3.60 ||<:> 40.71 || || '''역삼1동''' ||<:> {{{#0095DA 50.04%}}} ||<:> 49.74% ||<:> △0.30 ||<:> 34.67 || || '''역삼2동''' ||<:> {{{#0095DA 60.07%}}} ||<:> 39.73% ||<:> △20.34 ||<:> 46.43 || || '''도곡1동''' ||<:> {{{#0095DA 63.12%}}} ||<:> 36.64% ||<:> △24.48 ||<:> 54.16 || || '''도곡2동''' ||<:> {{{#0095DA 75.84%}}} ||<:> 24.06% ||<:> △51.78 ||<:> 56.34 || || '''개포1동''' ||<:> {{{#0095DA 59.39%}}} ||<:> 39.93% ||<:> △19.46 ||<:> 53.51 || || '''개포2동''' ||<:> {{{#0095DA 53.18%}}} ||<:> 46.54% ||<:> △6.64 ||<:> 53.61 || || '''개포4동''' ||<:> {{{#0095DA 50.01%}}} ||<:> 49.60% ||<:> △0.35 ||<:> 47.50 || || '''일원본동''' ||<:> {{{#0095DA 58.11%}}} ||<:> 41.65% ||<:> △16.46 ||<:> 56.30 || || '''일원1동''' ||<:> 48.81% ||<:> {{{#808080 '''50.86%'''}}} ||<:> ▼2.05 ||<:> 50.89 || || '''일원2동''' ||<:> {{{#0095DA 52.16%}}} ||<:> 47.56% ||<:> △4.60 ||<:> 54.34 || || '''수서동''' ||<:> {{{#0095DA 50.61%}}} ||<:> 48.73% ||<:> △1.88 ||<:> 50.44 || || '''세곡동''' ||<:> {{{#0095DA 56.79%}}} ||<:> 43.06% ||<:> △13.73 ||<:> 52.63 || || '''후보''' ||<:> [[나경원|{{{#0095DA '''나경원'''}}}]] ||<:> [[박원순|{{{#808080 '''박원순'''}}}]] ||<:> 격차 ||<:> || || '''부재자투표''' ||<:> {{{#0095DA 62.51%}}} ||<:> 35.98% ||<:> △26.53 ||<:>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서울특별시장 선거 ===== ||<-3>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 '''후보''' || [[정몽준|{{{#ffffff '''정몽준'''}}}]] || [[박원순|{{{#ffffff '''박원순'''}}}]] || || '''득표수''' || '''145,512''' || 120,645 || || '''득표율''' || '''54.32%''' || 45.04% || || '''순위''' || '''1위''' || 2위 || ||<|5> '''계''' || ||<-1> '''선거인 수''' || 467,534 || ||<-1> '''투표 수''' || 270,052 || ||<-1> '''무효표 수''' || 2,209 || ||<-1> '''투표율''' || 57.76% || ||<:><-5> {{{#FFFFFF '''6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정몽준|{{{#FFFFFF '''정몽준'''}}}]] ||<:> [[박원순|{{{#ffffff '''박원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45,512 [br] (54.32%)'''}}} ||<:> '''120,645 [br] (45.04%)''' ||<:> '''+24,867 [br] (△9.28)''' ||<:> '''57.76%''' || || '''신사동''' ||<:> {{{#c9252b 63.42%}}} ||<:> 36.15% ||<:> △26.27 ||<:> 54.39 || || '''논현1동''' ||<:> 48.13% ||<:> {{{#0082CD 51.31%}}} ||<:> ▼3.18 ||<:> 41.06 || || '''논현2동''' ||<:> {{{#c9252b 55.51%}}} ||<:> 43.90% ||<:> △11.61 ||<:> 47.13 || || '''압구정동''' ||<:> {{{#c9252b '''74.27%'''}}} ||<:> 25.35% ||<:> '''△48.92''' ||<:> 58.02 || || '''청담동''' ||<:> {{{#c9252b 62.21%}}} ||<:> 37.26% ||<:> △24.95 ||<:> 53.71 || || '''삼성1동''' ||<:> {{{#c9252b 60.61%}}} ||<:> 38.92% ||<:> △21.69 ||<:> 56.44 || || '''삼성2동''' ||<:> {{{#c9252b 52.74%}}} ||<:> 46.78% ||<:> △5.96 ||<:> 53.14 || || '''대치1동''' ||<:> {{{#c9252b 64.44%}}} ||<:> 35.01% ||<:> △29.43 ||<:> 62.24 || || '''대치2동''' ||<:> {{{#c9252b 59.84%}}} ||<:> 39.62% ||<:> △20.22 ||<:> 61.73 || || '''대치4동''' ||<:> 46.48% ||<:> {{{#0082CD 52.82%}}} ||<:> ▼6.34 ||<:> 46.99 || || '''역삼1동''' ||<:> 45.88% ||<:> {{{#0082CD 53.64%}}} ||<:> ▼7.76 ||<:> 40.59 || || '''역삼2동''' ||<:> {{{#c9252b 52.40%}}} ||<:> 46.97% ||<:> △5.43 ||<:> 53.04 || || '''도곡1동''' ||<:> {{{#c9252b 54.27%}}} ||<:> 45.22% ||<:> △9.05 ||<:> 61.02 || || '''도곡2동''' ||<:> {{{#c9252b 66.83%}}} ||<:> 32.71% ||<:> △34.12 ||<:> 60.00 || || '''개포1동''' ||<:> {{{#c9252b 55.10%}}} ||<:> 44.24% ||<:> △10.86 ||<:> 61.54 || || '''개포2동''' ||<:> 49.33% ||<:> {{{#0082CD 49.98%}}} ||<:> ▼0.65 ||<:> 61.06 || || '''개포4동''' ||<:> 45.63% ||<:> {{{#0082CD 53.71%}}} ||<:> ▼8.08 ||<:> 54.12 || || '''일원본동''' ||<:> 49.32% ||<:> {{{#0082CD 50.14%}}} ||<:> ▼0.82 ||<:> 64.99 || || '''일원1동''' ||<:> 45.82% ||<:> {{{#0082CD 53.20%}}} ||<:> ▼7.40 ||<:> 57.19 || || '''일원2동''' ||<:> 47.81% ||<:> {{{#0082CD 51.11%}}} ||<:> ▼3.30 ||<:> 63.56 || || '''수서동''' ||<:> {{{#c9252b 49.67%}}} ||<:> 49.10% ||<:> △0.57 ||<:> 57.97 || || '''세곡동''' ||<:> 43.71% ||<:> {{{#0082CD '''55.56%'''}}} ||<:> '''▼11.85''' ||<:> 58.90 || || '''후보''' ||<:> [[정몽준|{{{#c9252b '''정몽준'''}}}]] ||<:> [[박원순|{{{#0082CD '''박원순'''}}}]] ||<:> 격차 ||<:> || || '''거소투표''' ||<:> {{{#c9252b 61.16%}}} ||<:> 37.48% ||<:> △23.68 ||<:> || || '''관외사전투표''' ||<:> 48.82% ||<:> {{{#0082CD 50.37%}}} ||<:> ▼1.55 ||<:> || ===== 강남구청장 선거 ===== ||<-4> {{{#ffffff {{{+1 '''강남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연희]]''' || '''163,037'''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61.25%''' || '''당선''' || ||<|2> {{{#ffffff {{{+5 '''2'''}}}}}} || 김명신 || 94,164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35.38% || 낙선 || ||<|2> {{{#ffffff {{{+5 '''4'''}}}}}} || 이양한 || 8,940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3.3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467,534 ||<|3> '''투표율'''[br]57.76% || || '''투표 수''' || 270,033 || || '''무효표 수''' || 3,892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서울특별시장 선거 ===== ||<-4>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 '''후보''' || [[박원순|{{{#ffffff '''박원순'''}}}]] || [[김문수|{{{#ffffff '''김문수'''}}}]] || [[안철수|{{{#ffffff '''안철수'''}}}]] || || '''득표수''' || '''107,743''' || 87,305 || 58,987 || || '''득표율''' || '''40.82%''' || 33.07% || 22.34% || || '''순위''' || '''1위''' || 2위 || 3위 || ||<|5> '''계''' || ||<-2> '''선거인 수''' || 454,862 || ||<-2> '''투표 수''' || 266,153 || ||<-2> '''무효표 수''' || 2,215 || ||<-2> '''투표율''' || 58.51% || ||<:><-6> {{{#FFFFFF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바른미래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원순|{{{#ffffff '''박원순'''}}}]] || [[김문수|{{{#ffffff 김문수}}}]] || [[안철수|{{{#ffffff 안철수}}}]]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07,743[br](40.82%)'''}}} || '''87,305[br](33.07%)''' || '''58,987[br](22.34%)''' || '''+ 20,438[br](△7.75)''' || 58.51% || || '''신사동''' || 31.25% || {{{#c9151e,#ea363e 44.58%}}} || 20.85% || ▼13.33 || 54.80 || || '''논현1동''' || {{{#004ea2,#469ee7 48.91%}}} || 29.38% || 17.42% || △19.53 || 41.56 || || '''논현2동''' || {{{#004ea2,#469ee7 40.78%}}} || 34.69% || 20.53% || {{{#696969 △6.09}}} || 47.10 || || '''압구정동''' || 20.86% || {{{#c9151e,#ea363e '''52.11%'''}}} || 24.22% || '''▼27.89''' || 56.55 || || '''청담동''' || 32.96% || {{{#c9151e,#ea363e 39.56%}}} || 24.32% || ▼6.60 || 51.48 || || '''삼성1동''' || 35.87% || {{{#c9151e,#ea363e 37.21%}}} || 23.70% || ▼1.34 || 55.19 || || '''삼성2동''' || {{{#004ea2,#469ee7 40.76%}}} || 32.59% || 22.53% || △8.18 || 53.60 || || '''대치1동''' || 28.41% || {{{#c9151e,#ea363e 39.52%}}} || '''29.19%''' || ▼10.33 || 64.13 || || '''대치2동''' || 32.42% || {{{#c9151e,#ea363e 38.12%}}} || 25.78% || ▼5.70 || 61.26 || || '''대치4동''' || {{{#004ea2,#469ee7 49.63%}}} || 25.84% || 19.93% || △23.78 || 48.03 || || '''역삼1동''' || {{{#004ea2,#469ee7 50.27%}}} || 26.10% || 18.78% || △24.17 || 40.45 || || '''역삼2동''' || {{{#004ea2,#469ee7 42.15%}}} || 30.38% || 23.49% || △11.77 || 55.09 || || '''도곡1동''' || {{{#004ea2,#469ee7 39.60%}}} || 33.29% || 23.08% || △6.30 || 62.20 || || '''도곡2동''' || 27.26% || {{{#c9151e,#ea363e 43.49%}}} || 26.21% || ▼16.26 || 58.95 || || '''개포1동''' || {{{#004ea2,#469ee7 37.86%}}} || 36.77% || 21.87% || △1.09 || 57.40 || || '''개포2동''' || 36.53% || {{{#c9151e,#ea363e 36.57%}}} || 22.56% || ▼0.04 || 63.30 || || '''개포4동''' || {{{#004ea2,#469ee7 49.45%}}} || 26.76% || 20.05% || △22.68 || 57.23 || || '''일원본동''' || {{{#004ea2,#469ee7 43.85%}}} || 28.37% || 24.13% || △15.48 || 65.40 || || '''일원1동''' || {{{#004ea2,#469ee7 48.42%}}} || 28.35% || 19.12% || △20.06 || 58.11 || || '''일원2동''' || {{{#004ea2,#469ee7 45.64%}}} || 29.70% || 21.23% || △15.94 || 63.59 || || '''수서동''' || {{{#004ea2,#469ee7 44.31%}}} || 31.93% || 20.03% || △12.37 || 61.27 || || '''세곡동''' || {{{#004ea2,#469ee7 '''51.10%'''}}} || {{{#696969 24.71%}}} || 20.69% || '''△26.39''' || 60.53 || || '''후보''' || [[박원순|{{{#004ea2,#469ee7 '''박원순'''}}}]] || [[김문수|{{{#c9151e,#ea363e 김문수}}}]] || [[안철수|{{{#00b4b4 안철수}}}]]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469ee7 40.17%}}} || 29.19% || 25.72% || △10.98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469ee7 50.87%}}} || 24.62% || 20.21% || △26.25 || || ===== 강남구청장 선거 ===== ||<-4> {{{#ffffff {{{+1 '''강남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순균]]''' || '''120,928'''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6.08%''' ||<:>'''당선''' || ||<|2><:>{{{#ffffff {{{+5 '''2'''}}}}}}|| [[장영철(1956)|장영철]] || 107,014 || 2위 || ||<:>[include(틀:자유한국당)] || 40.78% || 낙선 || ||<|2><:>{{{#ffffff {{{+5 '''3'''}}}}}}|| [[김상채]] || 25,366 || 3위 || ||<:>[include(틀:바른미래당)] || 9.66% || 낙선 || ||<|2><:>{{{#ffffff {{{+5 '''6'''}}}}}}|| 이주영 || 4,431 || 5위 || ||<:>[include(틀:녹색당)] || 10.27% || 낙선 || ||<|2><:>{{{#ffffff {{{+5 '''7'''}}}}}}|| 김광종 || 4,636 || 4위 || ||<:>[include(틀:무소속)] || 10.27% || 낙선 || ||<|3><:>'''계''' || '''선거인 수''' || 454,862 ||<|3> '''투표율'''[br]58.51% || ||<:> '''투표 수''' || 266,142 || ||<:> '''무효표 수''' || 3,767 || ==== [[2021년 재보궐선거]] ==== ||<-3>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박영선|{{{#ffffff '''박영선'''}}}]] || [[오세훈|{{{#ffffff '''오세훈'''}}}]] || || '''득표수''' ||<:> 66,907 ||<:> '''202,320''' || || '''득표율''' ||<:> 24.32% ||<:> '''73.54%'''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452,344 || || '''투표 수''' || 276,485 || || '''무효표 수''' || 1,401 || || '''투표율''' || 61.12% || ||<-4><:>{{{#FFFFFF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강남구 개표 결과'''}}}|| ||<:>'''정당'''||<:>[include(틀:더불어민주당)]||<:>[include(틀:국민의힘)]||<|2><:>'''격차'''|| ||<:>'''후보'''||<:>[[박영선|{{{#FFFFFF '''박영선'''}}}]]||<:>[[오세훈|{{{#FFFFFF '''오세훈'''}}}]]|| || '''전체''' || '''66,907[br](24.32%)''' || {{{#ffffff '''202,320[br](73.54%)'''}}} || '''-135,413[br](▼49.22)''' || || '''신사동''' ||<:> 18.29% ||<:> {{{#e61e2b 79.94%}}} ||<:> ▼61.65 || || '''논현1동''' ||<:> 32.33% ||<:> {{{#e61e2b 64.81%}}} ||<:> ▼32.48 || || '''논현2동''' ||<:> 25.01% ||<:> {{{#e61e2b 72.86%}}} ||<:> ▼47.85 || || '''압구정동''' ||<:> 10.49% ||<:> {{{#e61e2b '''88.31%'''}}} ||<:> ▼77.82 || || '''청담동''' ||<:> 18.06% ||<:> {{{#e61e2b 80.28%}}} ||<:> ▼62.22 || || '''삼성1동''' ||<:> 20.40% ||<:> {{{#e61e2b 77.51%}}} ||<:> ▼57.11 || || '''삼성2동''' ||<:> 24.03% ||<:> {{{#e61e2b 73.72%}}} ||<:> ▼47.85 || || '''대치1동''' ||<:> 13.62% ||<:> {{{#e61e2b 85.12%}}} ||<:> ▼71.50 || || '''대치2동''' ||<:> 16.99% ||<:> {{{#e61e2b 81.30%}}} ||<:> ▼64.31 || || '''대치4동''' ||<:> 31.05% ||<:> {{{#e61e2b 66.12%}}} ||<:> ▼35.07 || || '''역삼1동''' ||<:> 31.58% ||<:> {{{#e61e2b 64.84%}}} ||<:> ▼33.26 || || '''역삼2동''' ||<:> 24.02% ||<:> {{{#e61e2b 73.90%}}} ||<:> ▼49.88 || || '''도곡1동''' ||<:> 23.58% ||<:> {{{#e61e2b 74.39%}}} ||<:> ▼50.81 || || '''도곡2동''' ||<:> 13.68% ||<:> {{{#e61e2b 84.76%}}} ||<:> ▼71.08 || || '''개포1동''' ||<:> 19.67% ||<:> {{{#e61e2b 78.89%}}} ||<:> ▼59.22 || || '''개포2동''' ||<:> 20.00% ||<:> {{{#e61e2b 78.36%}}} ||<:> ▼58.36 || || '''개포4동''' ||<:> 29.75% ||<:> {{{#e61e2b 68.05%}}} ||<:> ▼38.30 || || '''일원본동''' ||<:> 27.26% ||<:> {{{#e61e2b 70.58%}}} ||<:> ▼43.32 || || '''일원1동''' ||<:> 34.59% ||<:> {{{#e61e2b 62.47%}}} ||<:> ▼27.88 || || '''일원2동''' ||<:> 28.90% ||<:> {{{#e61e2b 68.94%}}} ||<:> ▼40.04 || || '''수서동''' ||<:> 33.11% ||<:> {{{#e61e2b 64.78%}}} ||<:> ▼31.67 || || '''세곡동''' ||<:> '''37.02%''' ||<:> {{{#e61e2b 60.56%}}} ||<:> ▼23.54 || || '''거소투표''' ||<:> 21.51% ||<:> {{{#e61e2b 72.15%}}} ||<:> ▼50.64 || || '''관외사전투표''' ||<:> 34.09% ||<:> {{{#e61e2b 63.41%}}} ||<:> ▼29.32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별'''}}}}}} ||<:>[[박영선|{{{#FFFFFF 박영선}}}]]||<:>[[오세훈|{{{#FFFFFF 오세훈}}}]]||<:>{{{#FFFFFF '''격차'''}}}|| || [[강남구 갑|{{{#e61e2b '''강남구 갑'''[*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신사동, 역삼1동, 역삼2동, 청담동][*A 관외투표 제외][* 지역구 국회의원 : [[태영호]] (국민의힘, 초선)]}}}]] || 22.36% || {{{#e61e2b 75.48%}}} || ▼53.12 || || [[강남구 을|{{{#e61e2b '''강남구 을'''[* 일원1동, 일원2동, 일원본동, 수서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세곡동][*A 관외투표 제외][* 지역구 국회의원 : [[박진]] (국민의힘, 4선)]}}}]][*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가 이 지역에서 16대 국회의원을 지낸 경력이 있다.] || 29.92% || {{{#e61e2b 67.90%}}} || ▼37.98 || || [[강남구 병|{{{#e61e2b '''강남구 병'''[* 삼성1동, 삼성2동, 도곡1동, 도곡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A 관외투표 제외][* 지역구 국회의원 : [[유경준]] (국민의힘, 초선)]}}}]] || 19.50% || {{{#e61e2b 78.62%}}} || ▼59.12 || ||<|150> [[파일:강남구 CI.svg|width=20]][br][[강남구|{{{#e61e2b 강남구}}}]] ||<-3> 압구정동 제2투표소[br][[압구정 현대아파트|현대]] || || {{{#E61E2B '''92.17%'''}}} || ◀ 85.24%p ▶ || 6.92% || ||<-3> 압구정동 제5투표소[br][[압구정 한양아파트|한양]] || || {{{#E61E2B 89.43%}}} || ◀ 80.16%p ▶ || '''9.27%''' || ||<-3> 도곡2동 제3·4투표소[br][[타워팰리스|타워팰리스 1차]] || || {{{#E61E2B '''92.57%'''}}} || ◀ 85.85%p ▶ || 6.72% || ||<-3> 대치2동 제5투표소[br]한보미도맨션 1, 2차 || || {{{#E61E2B 89.13%}}} || ◀ 79.60%p ▶ || 9.52% || ||<-3> 대치1동 제5투표소[br][[래미안 대치팰리스]] || || {{{#E61E2B 86.66%}}} || ◀ 74.25%p ▶ || 12.41% || ||<-3> 도곡2동 제6·7투표소[br][[도곡렉슬|도곡 렉슬]] || || {{{#E61E2B 83.63%}}} || ◀ 68.80%p ▶ || 14.82% || ||<-3> 대치2동 제2투표소[br][[은마아파트|은마]] || || {{{#E61E2B 79.46%}}} || ◀ 61.24%p ▶ || '''18.23%''' || ||<-3> 개포2동 제3투표소[br][[디에이치 아너힐즈|디에이치 아너힐즈]] || || {{{#E61E2B '''83.08%'''}}} || ◀ 67.74%p ▶ || 15.34% || ||<-3> 개포2동 제4투표소[br][[래미안 블레스티지|래미안 블레스티지]] || || {{{#E61E2B 82.61%}}} || ◀ 66.40%p ▶ || 16.21% || ||<-3> 개포2동 제2투표소[br]개포 주공 5단지 || || {{{#E61E2B 79.97%}}} || ◀ 61.92%p ▶ || 18.05% || ||<-3> 수서동 제5투표소[br]신동아 || || {{{#E61E2B 72.82%}}} || ◀ 48.27%p ▶ || 24.55% || ||<-3> 세곡동 제3투표소[br]세곡 리엔파크 4단지 || || {{{#E61E2B 61.59%}}} || ◀ 25.49%p ▶ || 36.10% || ||<-3> 일원1동 제5투표소[br]수서 1-2단지 || || {{{#E61E2B 61.32%}}} || ◀ 25.93%p ▶ || 35.38% || ||<-3> 세곡동 제5투표소[br]강남 한양수자인 || || {{{#E61E2B 60.62%}}} || ◀ 24.45%p ▶ || 36.17% || ||<-3> 수서동 제2투표소[br]수서 주공 1단지 || || {{{#E61E2B 57.64%}}} || ◀ 18.17%p ▶ || '''39.47%''' || 오세훈 후보의 16대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였고 안 그래도 종부세, 재건축 문제로 강남구에서 불리했던 박영선 후보에게 선거는 이미 예상대로 불리했고, 종부세와 재건축 문제 때문에 강남, 서초, 송파, 용산, 양천 등에서 역대급 몰표가 나올거란 전망이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됐다.[* 다만 양천구에선 40:57 정도의 결과가 나오면서 [[강남3구]]와 [[용산구]]급 몰표보단 [[성동구]], [[강동구]], [[영등포구]]등과 비슷한 표심을 이어갔다.] 오세훈 후보가 모든 동네에서 무난히 몰표를 받으며 이겼다. 박영선 후보는 압구정 현대아파트에서 100표밖에 받지 못하며 '''모든 아파트에서 10% 미만의 득표율을 올리며 참패했다.''' 종부세, 재건축 민심으로 신사동, 압구정동, 청담동에서 더불어민주당은 10%대의 득표율을 건졌고, 나머지 동네에서도 오세훈이 60~80%대의 득표율을 올리며 압승한다. 오세훈 후보는 타워팰리스 1, 2, 3차 아파트에서 무려 6.15%: 93.41%의 득표율로 압승하고, 다른 아파트들에서도 70%~90%의 득표율을 올리며 무난히 승리한다. 심지어 개포동의 보수세를 메꿔줄 일원동과 세곡동에서도 오세훈 후보가 60% 이상의 몰표를 받았기에 다음 선거에서 민주당의 선거 전망이 더욱 어두워졌다. 게다가 박영선 후보는 압구정동과 대치1동, 도곡2동에서는 '''선거비용 보전 마지노선인 15%에도 미치지 못하는 처참한 득표율을 얻었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서울특별시장]] 선거 ===== ||<-3>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송영길|{{{#ffffff '''송영길'''}}}]] || [[오세훈|{{{#ffffff '''오세훈'''}}}]] || || '''득표수''' || 58,734 || '''178,621''' || || '''득표율''' || 24.45% || '''74.38%''' || || '''순위''' || 2위 || '''1위''' || ||<|4> '''계''' || '''선거인 수''' || 450,895 || || '''투표 수''' || 241,549 || || '''무효표 수''' || 1,410 || || '''투표율''' || 53.57% || ||<:><-5> {{{#FFFFFF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송영길|{{{#FFFFFF '''송영길'''}}}]] ||<:> [[오세훈|{{{#FFFFFF '''오세훈'''}}}]]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58,734 [br] (24.45%)''' ||<:> {{{#FFFFFF '''178,621 [br] (74.38%)'''}}} ||<:> '''-119,887 [br] (▼49.92) ''' ||<:> '''53.57%''' || || '''신사동''' ||<:> 16.78% ||<:> {{{#E6212B 82.45%}}} ||<:> ▼65.67 ||<:> 52.06 || || '''논현1동''' ||<:> 30.22% ||<:> {{{#E6212B 68.20%}}} ||<:> ▼37.99 ||<:> 32.62 || || '''논현2동''' ||<:> 23.90% ||<:> {{{#E6212B 74.86%}}} ||<:> ▼50.96 ||<:> 40.06 || || '''압구정동''' ||<:> 10.30% ||<:> {{{#E6212B '''89.15%'''}}} ||<:> ▼'''78.84''' ||<:> 57.39 || || '''청담동''' ||<:> 16.90% ||<:> {{{#E6212B 82.23%}}} ||<:> ▼65.33 ||<:> 47.24 || || '''삼성1동''' ||<:> 20.43% ||<:> {{{#E6212B 78.63%}}} ||<:> ▼58.21 ||<:> 51.55 || || '''삼성2동''' ||<:> 23.33% ||<:> {{{#E6212B 75.63%}}} ||<:> ▼52.31 ||<:> 47.92 || || '''대치1동''' ||<:> 12.95% ||<:> {{{#E6212B 86.21%}}} ||<:> ▼73.25 ||<:> 59.89 || || '''대치2동''' ||<:> 16.60% ||<:> {{{#E6212B 82.64%}}} ||<:> ▼66.04 ||<:> 55.78 || || '''대치4동''' ||<:> 31.21% ||<:> {{{#E6212B 67.42%}}} ||<:> ▼36.21 ||<:> 41.18 || || '''역삼1동''' ||<:> 32.07% ||<:> {{{#E6212B 66.04%}}} ||<:> ▼33.97 ||<:> 33.08 || || '''역삼2동''' ||<:> 25.14% ||<:> {{{#E6212B 73.81%}}} ||<:> ▼48.67 ||<:> 47.49 || || '''도곡1동''' ||<:> 24.26% ||<:> {{{#E6212B 74.56%}}} ||<:> ▼50.30 ||<:> 55.81 || || '''도곡2동''' ||<:> 13.24% ||<:> {{{#E6212B 86.02%}}} ||<:> ▼72.78 ||<:> 57.35 || || '''개포1동''' ||<:> 21.79% ||<:> {{{#E6212B 77.33%}}} ||<:> ▼55.54 ||<:> '''64.42''' || || '''개포2동''' ||<:> 21.62% ||<:> {{{#E6212B 77.40%}}} ||<:> ▼55.78 ||<:> 60.14 || || '''개포4동''' ||<:> 29.49% ||<:> {{{#E6212B 69.43%}}} ||<:> ▼39.95 ||<:> 50.96 || || '''일원본동''' ||<:> 26.74% ||<:> {{{#E6212B 71.90%}}} ||<:> ▼45.16 ||<:> 58.04 || || '''일원1동''' ||<:> 34.70% ||<:> {{{#E6212B 63.56%}}} ||<:> ▼28.86 ||<:> 51.18 || || '''일원2동''' ||<:> 27.59% ||<:> {{{#E6212B 71.17%}}} ||<:> ▼43.58 ||<:> 57.48 || || '''수서동''' ||<:> 31.62% ||<:> {{{#E6212B 66.81%}}} ||<:> ▼35.19 ||<:> 56.81 || || '''세곡동''' ||<:> '''36.34%''' ||<:> {{{#E6212B 61.18%}}} ||<:> ▼'''25.53''' ||<:> 51.12 || || '''후보''' ||<:> [[송영길|{{{#004EA2 '''송영길'''}}}]] ||<:> [[오세훈|{{{#E6212B '''오세훈'''}}}]] ||<:> 격차 ||<:> || || '''거소투표''' ||<:> 29.62% ||<:> {{{#E6212B 68.51%}}} ||<:> ▼38.89 ||<:> || || '''관외사전투표''' ||<:> 30.95% ||<:> {{{#E6212B 67.68%}}} ||<:> ▼36.73 ||<:> || || {{{#FFFFFF '''국회의원[br]선거구'''}}} || [[송영길|{{{#FFFFFF 송영길}}}]] || [[오세훈|{{{#FFFFFF '''오세훈'''}}}]] || {{{#FFFFFF 격차}}} || {{{#FFFFFF 투표율}}} || || [[강남구 갑|{{{#E61E2B '''강남구 갑'''[*L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청담동, 역삼1동, 역삼2동][* 지역구 국회의원: [[태영호]]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 || 21.79% || {{{#E61E2B 77.10%}}} || ▼55.32 || 43.42 || || [[강남구 을|{{{#E61E2B '''강남구 을'''[*M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 지역구 국회의원: [[박진]]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4선)]}}}]] || 29.39% || {{{#E61E2B 69.24%}}} || ▼39.85 || 55.16 || || [[강남구 병|{{{#E61E2B '''강남구 병'''[*N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도곡1동, 도곡2동][* 지역구 국회의원: [[유경준]]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 || 19.14% || {{{#E61E2B 79.93%}}} || ▼60.80 || 53.12 || ===== [[강남구청장]] 선거 ===== ||<-4> [[|{{{+1 [[파일:강남구 CI_White.svg|width=30px]]}}}]] [[강남구|{{{#fff {{{+1 '''강남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 {{{+5 '''1'''}}}}}} || [[정순균|{{{#373a3c,#ddd 정순균}}}]](鄭順均) || 70,831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9.60% || 낙선 || ||<|2> {{{#fff {{{+5 '''2'''}}}}}} || '''[[조성명|{{{#373a3c,#ddd 조성명}}}]](趙成明)''' || '''168,456'''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70.39%'''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450,895 ||<|3> '''투표율'''[br]53.57% || || '''투표 수''' || 241,547 || || '''무효표 수''' || 2,260 || ||<-8> {{{#FFFFFF '''강남구청장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정순균|{{{#FFFFFF 정순균}}}]] || [[조성명|{{{#FFFFFF '''조성명'''}}}]]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70,831 [br] (29.60%)''' || {{{#FFFFFF '''168,456 [br] (70.39%)'''}}} || '''- 97,625 [br] (▼40.80)''' || '''241,547 [br] (53.57%)''' || || '''신사동'''[*A ] || 20.30% || {{{#E61E2B 79.69%}}} || ▼59.38 || 52.08 || || '''논현1동''' || 36.76% || {{{#E61E2B 63.23%}}} || ▼26.47 || {{{#696969 '''32.62'''}}} || || '''논현2동''' || 29.08% || {{{#E61E2B 70.91%}}} || ▼41.83 || 40.05 || || '''압구정동'''[*B ] || {{{#696969 13.42%}}} || {{{#E61E2B '''86.57%'''}}} || {{{#696969 '''▼73.15'''}}} || 57.38 || || '''청담동'''[*C ] || 21.55% || {{{#E61E2B 78.44%}}} || ▼56.89 || 47.23 || || '''삼성1동'''[*D ] || 25.42% || {{{#E61E2B 74.57%}}} || ▼49.16 || 51.57 || || '''삼성2동'''[*E ] || 28.55% || {{{#E61E2B 71.44%}}} || ▼42.88 || 47.92 || || '''대치1동'''[*F ] || 15.89% || {{{#E61E2B 84.10%}}} || ▼68.20 || 59.87 || || '''대치2동'''[*G ] || 21.08% || {{{#E61E2B 78.91%}}} || ▼57.83 || 55.77 || || '''대치4동''' || 37.63% || {{{#E61E2B 62.36%}}} || ▼24.72 || 41.18 || || '''역삼1동''' || 39.17% || {{{#E61E2B 60.82%}}} || ▼21.64 || 33.08 || || '''역삼2동'''[*H ] || 29.65% || {{{#E61E2B 70.34%}}} || ▼40.69 || 47.49 || || '''도곡1동''' || 29.08% || {{{#E61E2B 70.91%}}} || ▼41.83 || 55.79 || || '''도곡2동'''[*I ] || 16.34% || {{{#E61E2B 83.65%}}} || ▼67.30 || 57.36 || || '''개포1동''' || 24.60% || {{{#E61E2B 75.39%}}} || ▼50.78 || '''64.41''' || || '''개포2동'''[*J ] || 26.82% || {{{#E61E2B 73.17%}}} || ▼46.34 || 60.13 || || '''개포4동'''[*K ] || 35.17% || {{{#E61E2B 64.82%}}} || ▼29.64 || 50.96 || || '''일원본동''' || 33.30% || {{{#E61E2B 66.69%}}} || ▼33.39 || 58.02 || || '''일원1동''' || 41.30% || {{{#E61E2B 58.69%}}} || ▼17.38 || 51.19 || || '''일원2동''' || 33.88% || {{{#E61E2B 66.11%}}} || ▼32.24 || 57.50 || || '''수서동''' || 38.10% || {{{#E61E2B 61.89%}}} || ▼23.78 || 56.82 || || '''세곡동''' || '''43.45%''' || {{{#FF6347 56.54%}}} || '''▼13.09''' || 51.11 || || '''후보''' || [[정순균|{{{#004EA2 정순균}}}]] || [[조성명|{{{#E61E2B '''조성명'''}}}]] || 격차 || || || '''거소투표''' || 38.17% || {{{#E61E2B 61.82%}}} || ▼23.66 || || || '''관외사전투표''' || 36.20% || {{{#E61E2B 63.79%}}} || ▼27.58 || || === 대선 === ==== [[제13대 대통령 선거]] ==== ||<-5>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 지금의 [[서초구]], 강남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include(틀: 통일민주당)] || [include(틀: 평화민주당)] || [include(틀: 신민주공화당)] || || '''후보''' || [[노태우|{{{#ffffff '''노태우'''}}}]] || [[김영삼|{{{#ffffff '''김영삼'''}}}]] || [[김대중|{{{#000000 '''김대중'''}}}]] || [[김종필|{{{#ffffff '''김종필'''}}}]] || || '''득표수''' ||<:> 150,220 ||<:> '''163,656''' ||<:> 116,759 ||<:> 32,511 || || '''득표율''' ||<:> 32.41% ||<:> '''35.31%''' ||<:> 25.19% ||<:> 7.01% || || '''순위''' ||<:> 2위 ||<:> '''1위''' ||<:> 3위 ||<:> 4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537,067 || ||<-3> '''투표 수''' ||<-2> 468,287 || ||<-3> '''무효표 수''' ||<-2> 4,854 || ||<-3> '''투표율''' ||<-2> 87.19% || ||<:><-8> {{{#FFFFFF '''13대 대선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include(틀: 통일민주당)] || [include(틀: 평화민주당)] || [include(틀: 신민주공화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노태우|{{{#ffffff 노태우}}}]] || [[김영삼|{{{#ffffff '''김영삼'''}}}]] || [[김대중|{{{#ffffff 김대중}}}]] || [[김종필|{{{#ffffff 김종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50,220[br](32.41%)'''}}} || '''163,656[br](35.31%)''' || '''116,759[br](25.19%)''' || '''32,511[br](7.01%)''' || '''+ 13,436[br](△2.9)''' || 87.19% || || '''신사동''' || 32.38% || {{{#E60026,#ea363e 37.46%}}} || 22.43% || 6.75% || △5.08 || 84.25% || || '''논현동''' || 30.65% || {{{#E60026,#ea363e 32.32%}}} || 27.46% || 8.07% || △1.67 || 84.16% || || '''학동''' || 31.39% || {{{#E60026,#ea363e 34.86%}}} || 24.98% || 7.58% || △3.47 || 85.89% || || '''압구정동''' || 35.07% || {{{#E60026,#ea363e 39.49%}}} || 19.09% || 5.56% || △4.42 || 83.97% || || '''청담동''' || 31.88% || {{{#E60026,#ea363e 35.9%}}} || 24.44% || 6.88% || △4.02 || 84% || || '''삼성1동''' || 33.22% || {{{#E60026,#ea363e 34.29%}}} || 24.2% || 7.07% || △1.07 || 85.14% || || '''삼성2동''' || 32.65% || {{{#E60026,#ea363e 37.01%}}} || 22.58% || 6.9% || △4.36 || 84.84% || || '''대치1동''' || 31.4% || {{{#E60026,#ea363e 38.59%}}} || 22.35% || 6.69% || △7.19 || 86.09% || || '''대치2동''' || 35.22% || {{{#E60026,#ea363e 38.94%}}} || 19.46% || 5.76% || △3.72 || 86.25% || || '''대치3동''' || 32.29% || {{{#E60026,#ea363e 36.37%}}} || 22.83% || 7.29% || △4.08 || 86.2% || || '''역삼1동''' || 30.05% || {{{#E60026,#ea363e 32.63%}}} || 28.24% || 7.99% || △2.58 || 84.6% || || '''역삼2동''' || 31.36% || {{{#E60026,#ea363e 35.31%}}} || 24.98% || 7.39% || △3.95 || 85.78% || || '''서초1동''' || 28.9% || {{{#E60026,#ea363e 32.4%}}} || 29.34% || 7.68% || △3.06 || 84.13% || || '''서초2동''' || 32.64% || {{{#E60026,#ea363e 37.86%}}} || 22.04% || 6.59% || △5.22 || 84.86% || || '''잠원동''' || 30.92% || {{{#E60026,#ea363e 37.57%}}} || 23.79% || 6.63% || △6.65 || 83.38% || || '''반포본동''' || 32.63% || {{{#E60026,#ea363e 40.02%}}} || 20.44% || 6.18% || △7.39 || 86.78% || || '''반포1동''' || 29.42% || {{{#E60026,#ea363e 37.63%}}} || 25.41% || 6.66% || △8.21 || 86.05% || || '''반포2동''' || {{{#0A84E9,#469ee7 '''46.58%'''}}} || 28.02% || 18.96% || 4.89% || ▼18.56 || 88.45% || || '''반포3동''' || 32.8% || {{{#E60026,#ea363e 39.49%}}} || 20.99% || 5.99% || △6.69 || 84.81% || || '''방배본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4.85% || || '''방배1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5.78% || || '''방배2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6.16% || || '''방배3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5.06% || || '''도곡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5.57% || || '''개포1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6.4% || || '''개포2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6.64% || || '''개포3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5.45% || || '''양재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5.23% || || '''내곡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4.89% || || '''세곡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7.29% || || '''일원동''' || 28.79% || {{{#E60026,#ea363e 34.43%}}} || 20.73% || 10.62% || △5.64 || 85.82% || || '''후보''' || [[노태우|{{{#004ea2,#469ee7 노태우}}}]] || [[김영삼|{{{#c9151e,#ea363e '''김영삼'''}}}]] || [[김대중|{{{#046240,#9dfbd9 김대중}}}]] || [[김종필|{{{#00b1eb 김종필}}}]] || || 격차 || || ==== [[제14대 대통령 선거]] ==== ||<-5> {{{#ffffff {{{+1 '''강남구 갑'''}}}}}}[br]{{{#ffffff 신사동, 논현동, 학동, 압구정1동, 압구정2동, 청담1동, [br]청담2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 || '''정당''' || [include(틀:민주자유당)]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include(틀:통일국민당)]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 '''후보''' || [[김영삼|{{{#ffffff '''김영삼'''}}}]] || [[김대중|{{{#ffffff '''김대중'''}}}]] || [[정주영|{{{#ffffff '''정주영'''}}}]] || [[박찬종|{{{#ffffff '''박찬종'''}}}]] || || '''득표수''' || '''57,666''' || 34,655 || 29,133 || 8,353 || || '''득표율''' || '''43.94%''' || 26.41% || 22.20% || 6.36%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165,479 || ||<-3> '''투표 수''' ||<-2> 132,285 || ||<-3> '''무효표 수''' ||<-2> 1,074 || ||<-3> '''투표율''' ||<-2> 79.94% || ||<-5> {{{#ffffff {{{+1 '''강남구 을'''}}}}}}[br]{{{#ffffff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3동, 대치4동, [br]개포1동, 개포2동, 개포3동, 개포4동, 세곡동, 일원동}}} || || '''정당''' || [include(틀:민주자유당)]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include(틀:통일국민당)]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 '''후보''' || [[김영삼|{{{#ffffff '''김영삼'''}}}]] || [[김대중|{{{#ffffff '''김대중'''}}}]] || [[정주영|{{{#ffffff '''정주영'''}}}]] || [[박찬종|{{{#ffffff '''박찬종'''}}}]] || || '''득표수''' || '''68,091''' || 44,365 || 30,382 || 9,989 || || '''득표율''' || '''44.06%''' || 28.70% || 19.66% || 6.46%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189,291 || ||<-3> '''투표 수''' ||<-2> 155,675 || ||<-3> '''무효표 수''' ||<-2> 1,143 || ||<-3> '''투표율''' ||<-2> 82.24% || ==== [[제15대 대통령 선거]] ==== ||<-4> {{{#ffffff {{{+1 '''강남구 갑'''}}}}}}[br]{{{#ffffff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1동, 압구정2동, 청담1동, [br]청담2동, 삼성1동, 삼성2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include(틀: 국민신당)] || || '''후보''' || [[이회창|{{{#ffffff '''이회창'''}}}]] || [[김대중|{{{#ffffff '''김대중'''}}}]] || [[이인제|{{{#ffffff '''이인제'''}}}]] || || '''득표수''' || '''87,111''' || 56,267 || 13,018 || || '''득표율''' || '''54.95%''' || 35.49% || 8.21%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 '''계''' ||<-2> '''선거인 수''' || 205,465 || ||<-2> '''투표 수''' || 160,040 || ||<-2> '''무효표 수''' || 1,518 || ||<-2> '''투표율''' || 77.89% || ||<-4> {{{#ffffff {{{+1 '''강남구 을'''}}}}}}[br]{{{#ffffff 대치1동, 대치2동, 대치3동, 대치4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3동, [br]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include(틀: 국민신당)] || || '''후보''' || [[이회창|{{{#ffffff '''이회창'''}}}]] || [[김대중|{{{#ffffff '''김대중'''}}}]] || [[이인제|{{{#ffffff '''이인제'''}}}]] || || '''득표수''' || '''78,207''' || 55,042 || 14,657 || || '''득표율''' || '''52.18%''' || 36.72% || 9.78%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 '''계''' ||<-2> '''선거인 수''' || 185,253 || ||<-2> '''투표 수''' || 151,401 || ||<-2> '''무효표 수''' || 1,534 || ||<-2> '''투표율''' || 81.73% || ==== [[제16대 대통령 선거]] ==== ||<-4>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include(틀:민주노동당)] || || '''후보''' || [[이회창|{{{#ffffff '''이회창'''}}}]] || [[노무현|{{{#ffffff '''노무현'''}}}]] || [[권영길|{{{#ffffff '''권영길'''}}}]] || || '''득표수''' || '''164,486''' || 113,399 || 8,254 || || '''득표율''' || '''57.48%''' || 39.63% || 3.29%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 '''계''' ||<-2> '''선거인 수''' || 404,458 || ||<-2> '''투표 수''' || 287,372 || ||<-2> '''무효표 수''' || 1,374 || ||<-2> '''투표율''' || 71.05% || ==== [[제17대 대통령 선거]] ==== ||<-6>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 || || '''정당'''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include(틀:한나라당)] || [include(틀:민주노동당)] || [include(틀:창조한국당)] || [include(틀:무소속)] || || '''후보''' || [[정동영|{{{#ffffff '''정동영'''}}}]] || [[이명박|{{{#ffffff '''이명박'''}}}]] || [[권영길|{{{#ffffff '''권영길'''}}}]] || [[문국현|{{{#ffffff '''문국현'''}}}]] || [[이회창|{{{#ffffff '''이회창'''}}}]] || || '''득표수''' || 41,493 || '''187,778''' || 3,806 || 16,465 || 31,023 || || '''득표율''' || 14.68% || '''66.44%''' || 1.34% || 5.82% || 10.97% || || '''순위''' || 2위 || '''1위''' || 5위 || 4위 || 3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442,286 || ||<-3> '''투표 수''' ||<-2> 283,231 || ||<-3> '''무효표 수''' ||<-2> 613 || ||<-3> '''투표율''' ||<-2> 64.0% || ==== [[제18대 대통령 선거]] ==== ||<-3>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강남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청담동,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 '''득표수''' ||<:> '''205,563''' ||<:> 134,880 || || '''득표율''' ||<:> '''60.14%''' ||<:> 39.46% || || '''순위''' ||<:> '''1위''' ||<:> 2위 || ||<|4> '''계''' || '''선거인 수''' || 461,592 || || '''투표 수''' || 343,220 || || '''무효표 수''' || 1,461 || || '''투표율''' || 74.36% || ||<:><-5> {{{#FFFFFF '''18대 대선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박근혜|{{{#ffffff '''박근혜'''}}}]] ||<:> [[문재인|{{{#3ab34a '''문재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205,563 [br] (60.14%)'''}}} ||<:> '''134,880 [br] (39.46%)''' ||<:> '''+70,683 [br] (△20.68)''' ||<:> '''74.36''' || || '''신사동''' ||<:> {{{#c9252b 66.52%}}} ||<:> 33.24% ||<:> △33.28 ||<:> 73.83 || || '''논현1동''' ||<:> {{{#c9252b 51.17%}}} ||<:> 48.46% ||<:> △2.71 ||<:> 61.69 || || '''논현2동''' ||<:> {{{#c9252b 58.15%}}} ||<:> 40.57% ||<:> △17.58 ||<:> 67.98 || || '''압구정동''' ||<:> {{{#c9252b '''76.55%'''}}} ||<:> 23.12% ||<:> △53.43 ||<:> 74.87 || || '''청담동''' ||<:> {{{#c9252b 66.33%}}} ||<:> 33.40% ||<:> △32.93 ||<:> 72.76 || || '''삼성1동''' ||<:> {{{#c9252b 65.54%}}} ||<:> 34.12% ||<:> △31.42 ||<:> 75.02 || || '''삼성2동'''[* [[박근혜]] 후보 자택 소재지.] ||<:> {{{#c9252b 60.04%}}} ||<:> 39.63% ||<:> △20.41 ||<:> 72.31 || || '''대치1동''' ||<:> {{{#c9252b 72.86%}}} ||<:> 26.67% ||<:> △46.19 ||<:> 81.35 || || '''대치2동''' ||<:> {{{#c9252b 65.56%}}} ||<:> 33.97% ||<:> △21.59 ||<:> 79.80 || || '''대치4동''' ||<:> {{{#c9252b 51.88%}}} ||<:> 47.65% ||<:> △4.23 ||<:> 67.13 || || '''역삼1동''' ||<:> {{{#c9252b 49.92%}}} ||<:> '''49.75%''' ||<:> △0.17[* 불과 '''32표''' 차였다.] ||<:> 60.84 || || '''역삼2동''' ||<:> {{{#c9252b 59.36%}}} ||<:> 40.30% ||<:> △19.06 ||<:> 72.30 || || '''도곡1동''' ||<:> {{{#c9252b 61.54%}}} ||<:> 38.11% ||<:> △23.43 ||<:> 79.54 || || '''도곡2동''' ||<:> {{{#c9252b 74.10%}}} ||<:> 25.48% ||<:> △48.62 ||<:> 79.60 || || '''개포1동''' ||<:> {{{#c9252b 60.30%}}} ||<:> 39.32% ||<:> △20.98 ||<:> 77.82 || || '''개포2동''' ||<:> {{{#c9252b 53.78%}}} ||<:> 45.84% ||<:> △17.94 ||<:> 78.87 || || '''개포4동''' ||<:> {{{#c9252b 51.75%}}} ||<:> 47.89% ||<:> △13.86 ||<:> 73.01 || || '''일원본동''' ||<:> {{{#c9252b 57.41%}}} ||<:> 42.05% ||<:> △15.36 ||<:> 81.78 || || '''일원1동''' ||<:> {{{#c9252b 50.84%}}} ||<:> 48.74% ||<:> △1.80 ||<:> 75.72 || || '''일원2동''' ||<:> {{{#c9252b 53.22%}}} ||<:> 46.31% ||<:> △5.91 ||<:> 79.35 || || '''수서동''' ||<:> {{{#c9252b 52.28%}}} ||<:> 47.21% ||<:> △5.07 ||<:> 74.84 || || '''세곡동''' ||<:> {{{#c9252b 53.26%}}} ||<:> 46.34% ||<:> △5.92 ||<:> 77.20 || || '''후보''' ||<:> [[박근혜|{{{#c9252b '''박근혜'''}}}]] ||<:> [[문재인|{{{#ffd400 '''문재인'''}}}]] ||<:> 격차 ||<:> || || '''국외부재자투표''' ||<:> {{{#c9252b 53.52%}}} ||<:> '''46.11%''' ||<:> △7.41 ||<:> || || '''국내부재자투표''' ||<:> {{{#c9252b '''59.81%'''}}} ||<:> 38.67% ||<:> △21.14 ||<:> || 여당인 [[새누리당]]에선 지난 [[제17대 대통령 선거]] 당시 경선에서 [[이명박]]에게 패배했던 [[박근혜]]가 최종 후보로 선정되어 출마했고 [[민주통합당]]에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옛 친구이자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후보가 공천을 받아 출마했다. 민주화 시대 이후 치러진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이후 보수 정당이 서울에서 승리한 것은 [[제17대 대통령 선거]]가 유일했다. 하지만 민주 정당이 이곳 강남구에서 승리했던 건 그 13대 대선 때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초박빙 접전 끝에 35.31% : 32.41%로 득표율 2.9%, 득표 수 13,436표 차로 승리했던 것이 유일했다. 과연 [[문재인]] 후보가 김영삼 후보의 기록을 갱신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두 후보는 치열하게 접전을 벌였지만 정치 경력 1년이 채 되지 않은 신참 정치인 문재인이 14년 차 기성 정치인인 박근혜의 관록을 넘어서지 못하며 51.55% : 48.02%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승리해 당선되었다. 서울특별시에선 전국 평균과 달리 48.18% : 51.42%로 문재인 후보가 득표율 3.24%, 득표 수 20만 3,067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지만 이곳 강남구는 [[강남 3구]]에 속한 곳이자 서울에서 가장 보수적인 곳답게 60.14% : 39.46%로 박근혜 후보가 득표율 20.68%, 득표 수 7만 683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다. 이번 대선에서 나온 서울 강남구의 결과는 대략 [[부산광역시]] [[연제구(선거구)|연제구]]의 결과와 비슷했다.[* [[박근혜]] '''60.22% : 39.44%''' [[문재인]]] 이것은 [[강남 3구]] 중에선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하게 나온 결과였고 서울에서 박근혜의 득표율이 가장 높게 나온 결과였다. [[서초구]]에선 58.6% : 41.01%의 결과가 나와 문재인 후보가 40% 이상의 득표를 했고[* 하지만 서울 서초구의 결과는 [[부산광역시]] [[사하구]]보다도([[박근혜]] '''58.32% : 41.39%''' [[문재인]]) 좀 더 보수성이 강하게 드러났다.] 송파구에서도 52.09% : 47.53%로 문재인 후보가 한 자리 수% 차 접전을 벌여 선전하기도 했다.[* 서울 송파구의 결과는 [[경상도]]에서 가장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강한 [[경상남도]] [[김해시]]의 결과([[박근혜]] '''52.17% : 47.49%''' [[문재인]])와 유사했다.] 하지만 강남구에서만큼은 문재인 후보가 40% 미만의 득표에 그쳤다. 이를 통해 강남구가 서울에서 보수 성향이 강한 [[강남 3구]] 중에서도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한 곳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동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1위 박근혜 후보는 [[강남구]] 내 모든 동에서 승리했을 뿐 아니라 부재자투표까지도 모두 완승을 거두었다. 우선 결과만 살펴보면 신사동에서 3,967표 차, 논현 1동에서 386표 차, 논현 2동에서 2,134표 차로 승리했고 강남구에서도 독보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곳이라 서울의 [[TK]]로 불리는 압구정동의 경우 무려 '''9,202표''' 차 초압승을 거두었다. 압구정동에서 기록한 득표율은 무려 '''76.55%'''로 TK 뺨치는 수준의 득표율이었다. 그리고 청담동에서도 무려 '''6,003표''' 차로 승리했고 삼성 1동에서 2,905표 차로 승리했으며 본인의 자택이 있는 삼성 2동에서도 3,712표 차로 대승을 거두었다. 그 외에 역삼 1동에서 단 '''32표''' 차로 승리했으며 역삼 2동에서 3,638표 차, 도곡 1동에서 3,311표 차, 도곡 2동에서도 무려 '''9,927표''' 차, 대치 1동에서 무려 '''5,254표''' 차, 대치 2동에서도 무려 '''8,045표''' 차로 대승을 거두었으며 대치 4동에서도 502표 차, 개포 1동에서 3,003표 차, 개포 2동에서 1,633표 차, 젊은 인구가 많이 거주하고 비교적 소득 수준이 낮은 개포 4동에서 553표 차로 승리했으며 일원본동에서 2,132표 차, 일원 1동에서 239표 차, 일원 2동에서 819표 차, 수서동에서 550표 차, 세곡동에서 554표 차 승리했다. 또 부재자투표에서도 국외부재자투표에서 396표 차, 국내부재자투표에서도 1,813표 차로 승리해 전승을 기록했다. 이곳이 서울에서 유일하게 전승을 기록한 지역이었다. 보면 알 수 있듯이 대체로 모든 동에서 수천 표 차 이상의 압승을 거두었지만 그나마 강남구에서 보수 성향이 약한 논현 1동과 역삼 1동에서는 400표 차 미만의 접전 끝에 간신히 이겼음을 알 수 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때에도 갑구 [[새누리당]] [[심윤조]] 후보가 [[민주통합당]] 김성욱 후보를 상대로 모든 동에서 두 자리 수% 차로 승리했지만 논현 1동과 역삼 1동만큼은 한 자리 수% 차 승리에 그쳤고 을구 [[새누리당]] [[김종훈(1952)|김종훈]] 후보가 [[민주통합당]] [[정동영]] 후보를 상대로 일원 1동을 뺀 나머지 동에서 대부분 두 자리 수% 차로 승리했지만 대치 4동, 개포 4동, 일원 2동, 수서동, 세곡동은 한 자리 수% 차 승리에 그쳤는데 이번 대선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2위 문재인 후보는 강남구 내 모든 동은 물론이고 부재자투표까지도 패배하여 높은 보수세를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그나마 보수 성향이 약한 논현 1동과 역삼 1동, 대치 4동, 일원 1동, 일원 2동, 수서동, 세곡동에선 접전을 펼쳤지만 나머지 동에선 모두 네 자리 수 표 차로 패배하고 말았다. 이곳 강남구가 문 후보가 유일하게 서울에서 전패를 기록한 곳이 되었다. 서울 내 25개 구 중 20개 구에서 승리했지만 유독 [[강남3구]] 지역에선 힘을 쓰지 못했다. ==== [[제19대 대통령 선거]] ==== ||<-6>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강남]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 '''득표수''' ||<:> '''128,927''' ||<:> 97,639 ||<:> 80,201 ||<:> 36,176 ||<:> 20,287 || || '''득표율''' ||<:> '''35.36%''' ||<:> 26.78% ||<:> 21.99% ||<:> 9.92% ||<:> 5.56% ||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5> '''계''' || ||<-3> '''선거인 수''' ||<-2> 467,032 || ||<-3> '''투표 수''' ||<-2> 365,642 || ||<-3> '''무효표 수''' ||<-2> 1,048 || ||<-3> '''투표율''' ||<-2> 78.29% || ||<:><-8> {{{#FFFFFF '''19대 대선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자유한국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include(틀:바른정당)]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문재인|{{{#ffffff '''문재인'''}}}]] || [[홍준표|{{{#ffffff 홍준표}}}]] || [[안철수|{{{#ffffff 안철수}}}]] || [[유승민|{{{#ffffff 유승민}}}]] || [[심상정|{{{#000000 심상정}}}]]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28,927[br](35.36%)'''}}} || '''97,639[br](26.78%)''' || '''80,201[br](21.99%)''' || '''36,176[br](9.92%)''' || '''20,287[br](5.56%)''' || '''+ 31,288[br](△8.58)''' || 78.29% || || '''신사동''' || 28.79% || {{{#c9151e,#ea363e 34.43%}}} || 20.73% || 10.62% || 5.12% || ▼5.64 || 75.55% || || '''논현1동''' || {{{#004ea2,#469ee7 39.88%}}} || 24.43% || 20.02% || 8.36% || 7.03% || △15.45 || 63.59% || || '''논현2동''' || {{{#004ea2,#469ee7 34.62%}}} || 28.89% || 20.43% || 9.64% || 5.95% || △5.73 || 69.89% || || '''압구정동''' || 21.03% || {{{#c9151e,#ea363e '''41.93%'''}}} || 21.50% || 11.59% || 3.55% || ▼20.90 || 74.70% || || '''청담동''' || 29.47% || {{{#c9151e,#ea363e 32.94%}}} || 21.76% || 10.72% || 4.73% || ▼3.47 || 73.85% || || '''삼성1동''' || 30.55% || {{{#c9151e,#ea363e 31.67%}}} || 22.59% || 10.01% || 4.73% || ▼1.12 || 76.59% || || '''삼성2동''' || {{{#004ea2,#469ee7 36.53%}}} || 26.11% || 21.42% || 10.18% || 5.46% || △10.42 || 63.84% || || '''대치1동''' || 27.62% || {{{#c9151e,#ea363e 31.13%}}} || '''24.52%''' || '''12.39%''' || 4.09% || ▼3.51 || 83.64% || || '''대치2동''' || {{{#004ea2,#469ee7 30.91%}}} || 29.41% || 23.35% || 11.25% || 4.70% || △1.50 || 81.29% || || '''대치4동''' || {{{#004ea2,#469ee7 40.42%}}} || 21.23% || 21.51% || 9.30% || '''7.27%''' || △9.74 || 71.65% || || '''역삼1동''' || {{{#004ea2,#469ee7 41.53%}}} || 21.97% || 20.64% || 8.64% || 6.88% || △19.56 || 62.61% || || '''역삼2동''' || {{{#004ea2,#469ee7 36.47%}}} || 24.62% || 22.28% || 10.93% || 5.46% || △11.85 || 75.90% || || '''도곡1동''' || {{{#004ea2,#469ee7 33.76%}}} || 26.71% || 22.28% || 10.30% || 5.56% || △7.05 || 81.28% || || '''도곡2동''' || 24.91% || {{{#c9151e,#ea363e 36.16%}}} || 22.87% || 11.97% || 3.77% || ▼11.25 || 81.11% || || '''개포1동''' || {{{#004ea2,#469ee7 32.90%}}} || 30.01% || 22.30% || 9.53% || 4.78% || △2.89 || 79.21% || || '''개포2동''' || {{{#004ea2,#469ee7 35.28%}}} || 26.87% || 22.50% || 10.04% || 5.34% || △8.81 || 79.38% || || '''개포4동''' || {{{#004ea2,#469ee7 40.31%}}} || 23.20% || 21.90% || 8.05% || 6.04% || △17.11 || 76.17% || || '''일원본동''' || {{{#004ea2,#469ee7 37.73%}}} || 23.13% || 22.50% || 10.75% || 5.53% || △14.60 || 82.59% || || '''일원1동''' || {{{#004ea2,#469ee7 38.27%}}} || 25.26% || 22.81% || 7.65% || 5.63% || △13.01 || 76.60% || || '''일원2동''' || {{{#004ea2,#469ee7 38.84%}}} || 25.84% || 22.38% || 8.99% || 4.88% || △13.00 || 80.76% || || '''수서동''' || {{{#004ea2,#469ee7 35.68%}}} || 28.10% || 22.96% || 7.83% || 4.88% || △7.58 || 78.15% || || '''세곡동''' || {{{#004ea2,#469ee7 '''41.96%'''}}} || 22.10% || 22.12% || 7.84% || 5.63% || △19.86 || 79.81% || || '''후보''' || [[문재인|{{{#004ea2,#469ee7 '''문재인'''}}}]] || [[홍준표|{{{#c9151e,#ea363e 홍준표}}}]] || [[안철수|{{{#046240,#9dfbd9 안철수}}}]] || [[유승민|{{{#00b1eb 유승민}}}]] || [[심상정|{{{#ffcc00 심상정}}}]]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469ee7 36.38%}}} || 21.21% || 32.54% || 6.03% || 1.83% || △3.84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469ee7 41.09%}}} || 20.40% || 21.35% || 9.86% || 6.88% || △18.91 || || || '''재외투표''' || {{{#004ea2,#469ee7 '''48.61%'''}}} || 12.68% || 20.60% || 6.55% || 11.05% || △28.01 ||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박근혜]]가 파면되면서 치러진 대선이다. [[더불어민주당]]에선 경선 끝에 지난 대선 때 박근혜에게 3.53%차 석패를 했던 [[문재인]] 후보가 재출마했고 정권을 수성해야 할 [[자유한국당]]에선 [[홍준표]] 전 [[경상남도지사]]가 경선 끝에 출마했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서도 지난 대선 때 문 후보에게 후보 단일화를 하며 양보했던 [[안철수]] 의원이 출마했고 [[새누리당]]에서 갈라져 나간 [[바른정당]]에서도 [[유승민]] 후보가 출마했다. 마지막으로 [[정의당]]에서도 지난 대선 때 문 후보 지지 선언을 하며 불출마 했던 [[심상정]] 후보가 출마했다. 이미 선거 전부터 판세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독보적으로 앞서 있었고 잠시 국민의당 경선 [[컨벤션 효과]]에 힘입어 안철수 후보가 바짝 추격하긴 했으나 대선 토론회 이후 도로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하락세를 타고 반대로 홍준표 후보가 급부상하면서 문 후보의 독주가 계속 이어졌다. 결국 이 추세가 그대로 대선까지 이어지면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1.1% 득표율로 24% 득표율에 그친 홍준표 후보, 21.4% 득표에 그친 안철수 후보를 찍어 누르고 역대 최다 표 차로 당선되었다. 을구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 문 후보와 같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전현희]] 후보가 당선된 것도 문 후보에게 호재가 되었다. 서울에서도 당선자 문재인 후보가 42.34%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전국 2위 홍준표 후보는 서울에선 20.78% 득표에 그쳐 전국 3위 안철수 후보의 득표율(22.72%)보다도 낮아 3위로 밀려났다. 하지만 이곳 강남구는 서울에서 가장 보수적인 곳답게 홍준표 후보가 2위를 했고 안철수 후보가 3위로 밀려났다. 그러나 이곳 역시 문재인 후보가 2위 홍준표 후보를 35.36% : 26.78%로 득표율 8.58%, 득표 수 31,288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다. [[민주당계 정당]] 소속 대선 후보가 강남구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때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 이후 무려 30년 만의 일이었다. 서울 내 보수 정당 최후의 보루였던 강남구까지도 무너질 정도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일으킨 파장은 엄청났던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론 강남구에서 기록한 문 후보의 득표율은 서울 평균보다 7% 정도 더 낮았고 유일하게 2위 후보를 상대로 10% 이상의 격차를 벌리지 못했다는 점을 볼 때 아직 한편으로는 보수세가 어느 정도 남아 있다는 것도 확인하게 되었다. 1위 문재인 후보는 젊은 직장인들이 많아 강남구에서 비교적 보수세가 약한 [[논현동(강남구)|논현동]]과 [[역삼동(강남구)|역삼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논현 1동에서 1,949표 차, 논현 2동에서 694표 차로 승리했고 역삼 1동에서는 무려 '''3,395표''' 차로 승리했다. 그리고 역삼 2동에서도 2,354표 차로 승리했다. 논현동과 역삼동은 지난 18대 대선 때 수십~수백 표 차 접전을 벌였을 정도로 선전했던 곳이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에도 갑구 [[더불어민주당]] [[김성곤(1952)|김성곤]] 후보가 승리했던 곳인데 거의 그대로 적용된 셈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승리한 곳은 논현 1동과 역삼 1동이었고 이번에 그 2곳에 논현 2동과 역삼 2동을 추가로 빼앗아온 것이다. 개포 1동에서 367표 차, 개포 2동에서 1,037표 차, 개포 4동에서 1,734표 차로 승리했고 일원본동에서 2,056표 차, 일원 1동에서 1,305표 차, 일원 2동에서 1,412표 차로 승리했으며 수서동에서 829표 차로 승리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젊은 직장인들이 많아 강남구에서도 상대적으로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세곡동에서는 무려 '''4,653표''' 차 대승을 거두었다. 이 세곡동은 강남구 전역을 통틀어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곳이었다. 을구에 당선된 [[전현희]] 의원도 모든 동에서 승리했지만 개포 1동과 수서동만큼은 못 이겼는데 그 개포 1동과 수서동마저도 승리한 것이다. 삼성 1동과 대치 1동, 도곡 2동 이 3곳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삼성 2동에서 1,818표 차, 대치 2동에서 347표 차, 대치 4동에서 2,202표 차로 승리했고 도곡 1동에서 947표 차로 승리했다. 대치 4동은 지난 18대 대선 때 수백 표 차 접전을 벌였을 정도로 선전했던 곳이며 병구 [[더불어민주당]] 전원근 후보가 승리했던 곳인데 그대로 적용된 셈이다. 그리고 거기서 삼성 2동과 대치 2동, 도곡 1동 이 3곳을 추가로 빼앗아와서 승기를 잡았다. 반면에 2위 홍준표 후보는 전통적인 [[부촌]]이며 신사동에서 592표 차로 승리했고 강남구에서도 가장 보수적인 압구정동에선 무려 '''3,215표''' 차로 승리했다. 보수 정당이 궤멸되다시피 한 상황이었고 박근혜가 불명예스럽게 쫓겨났음에도 불구하고 압구정동의 콘크리트 보수층은 여전히 건재하다는 걸 재확인하는 순간이다.[* 물론 지난 대선 때 박근혜가 문재인을 무려 '''9,200표''' 차 이상의 격차로 이겼던 것에 비하면 이것도 많이 보수세가 약해진 것이긴 하다.] 청담동에서도 575표 차로 승리했다. 하지만 압구정동을 제외하면 모두 수백 표 차 경합 우세에 그쳤기에 강남 부촌에서의 보수세가 예전만 못하다는 것도 확인하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전현희 의원이 당선되었을 정도로 이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전부터 보수 표심이 상당히 이탈한 상태였다. 그런 와중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져 버렸으니 배겨날 리 없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김종훈(1952)|김종훈]] 후보가[* 다만 김종훈 후보는 [[바른정당]] 소속이었다.] 승리했던 개포 1동과 수서동마저도 문재인 후보에게 수백 표 차로 패배하며 내줘야 했고 삼성 1동에선 불과 '''98표''' 차 승리에 불과했고 대치 1동에서도 불과 485표 차 승리였으며 도곡 2동에서 그나마 2,167표 차로 승리했을 뿐이다. 심지어 대치 4동에선 안철수 후보에게도 '''33표''' 차로 패배하며 3위로 밀리기까지 했다. 사실상 땅만 서울에 있지 표심은 [[TK]]나 다름 없다고 봐야할 듯하다. 홍준표 후보로서는 지난 대선 때 박근혜처럼 압도적인 표 차를 벌였어야 했는데 압구정동만 3,000표 차 이상으로 깼고 신사동과 청담동에서는 모두 수백 표 차밖에 못 냈고 역삼동에서 도합 5,849표 차로 문재인 후보에게 패배하며 모두 상쇄되고 말았다. 개포 1동, 일원본동, 수서동, 삼성동, 대치동, 도곡동에서 압도적인 표 차를 벌리며 승리했어야 했는데 오히려 모두 패배했기에 이기고 싶어도 이길 수가 없었다. 도곡 2동만 2,000표 차 이상으로 깼고 삼성 1동과 대치 1동에서는 모두 수백 표 차밖에 못 냈고 삼성 2동, 대치 2동, 대치 4동, 도곡 1동에서 도합 5,314표 차로 패배하며 모두 상쇄되고 말았다. 그 외에 거소 및 선상투표에선 문재인 후보가 199표를 득표해 116표를 득표한 홍준표 후보를 83표 차로 승리했고 홍준표 후보는 178표를 득표한 안철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관외사전투표 역시 문재인 후보가 17,443표를 득표해 8,661표에 그친 홍준표 후보를 무려 '''8,782표''' 차로 대파했고 홍 후보는 9,066표를 득표한 안철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국외부재자투표 역시 3,325표를 득표한 문재인 후보가 867표에 그친 홍준표 후보를 2,458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으며 홍 후보는 1,409표를 득표한 안철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한편 서울 전역 2위인 안철수 후보는 이곳 강남구에선 홍준표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동별 투표에선 오로지 압구정동 1곳에서만 문재인 후보를 '''72표''' 차라는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2위를 했을 뿐이었다. 홍준표 후보에게는 '''3,143표''' 차로 대패했고 대치 4동 1곳에서만 홍준표 후보를 '''33표''' 차라는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2위를 했을 뿐이었다. 문재인 후보에게는 '''2,169표''' 차로 대패했다. 사전투표에서도 거소 및 선상투표, 관외사전투표, 국외부재자투표 역시 2위에 그쳤고 1위 문재인 후보를 상대로 모두 수천 표 차 이상의 격차를 내며 대패했다. 4위 유승민 후보는 이곳에서 9.92%를 득표해 10% 득표율을 기록한 서초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문재인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올렸던 논현동, 역삼동보다는 홍준표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던 신사동, 압구정동, 청담동에서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 실제로 모두 유승민 후보가 1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특히 압구정동에선 11.59% 득표율을 기록하여 대치 1동과 도곡 2동에 이어 강남구 전체 득표율 3위를 기록했다. 홍준표 후보와 마찬가지로 이곳에선 갑구와는 달리 별로 성적이 좋지 못했다. 개포 2동과 일원본동 단 2곳에서만 1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나머지 동에선 모두 한 자리 수% 득표에 그쳤다. 특히 대치 1동에선 12.39% 득표율을 기록하여 강남구 전체 득표율 1위를 기록했다. 고소득 고학력의 전문직 엘리트 계층 인사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인데 그들에게 유승민 후보가 주장한 '합리적 보수', '따뜻한 보수' 슬로건이 어느 정도 어필이 된 것으로 보인다. 5위 심상정 후보는 역시 높은 보수의 벽을 절감해야 했다. 하지만 험지임에도 불구하고 그녀 역시 5.56% 득표율을 기록하며 나름대로 선전했다. 그녀가 강남구에서 기록한 이 5.56%란 득표율은 전체 3위를 차지한 호남에서 기록한 득표율보다도 더 높았다. 심 후보는 광주, 전남, 전북 이 3곳에서 문재인 - 안철수의 뒤를 이어 전체 3위를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3곳 모두 5% 미만의 득표율에 그쳤다. 그 점을 감안하면 5.56%란 득표율도 험지에서 맞붙은 결과치고는 매우 선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제20대 대통령 선거]] ==== ||<-3> [[강남구|{{{#ffffff {{{+1 '''강남구'''}}}}}}]][br]{{{#ffffff 강남구 일원}}}[*강남]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include(틀:국민의힘)] || || '''후보''' || [[이재명|{{{#ffffff '''이재명'''}}}]] || [[윤석열|{{{#ffffff '''윤석열'''}}}]] || || '''득표수''' || 106,865 || '''235,897''' || || '''득표율''' || 30.35% || '''67.01%''' || || '''순위''' || 2위 || '''1위''' || ||<|5> '''계''' || || '''선거인 수''' ||<-1> 451,970 || || '''투표 수''' ||<-1> 354,778 || || '''무효표 수''' ||<-1> 2,755 || || '''투표율''' ||<-1> 78.50% || ||<-4> {{{#fff '''제20대 대통령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fff '''국민의힘'''}}}]] ||<|2> '''격차''' || || '''후보''' || [[이재명|{{{#fff '''이재명'''}}}]] || [[윤석열|{{{#fff '''윤석열'''}}}]]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득표수[br](득표율)'''}}} || 106,865[br](30.35%) || {{{#ffffff '''235,897[br](67.01%)'''}}} || '''-129,032[br](▼36.66)'''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신사동'''}}} || 23.48% || {{{#e61e2b 74.27%}}} || ▼50.79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논현1동'''}}} || 37.75% || {{{#e61e2b 58.90%}}} || ▼21.15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논현2동'''}}} || 30.02% || {{{#e61e2b 67.31%}}} || ▼37.29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압구정동'''}}} || 13.84% || {{{#e61e2b '''84.47%'''}}} || ▼70.63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청담동'''}}} || 22.69% || {{{#e61e2b 75.30%}}} || ▼52.61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삼성1동'''}}} || 25.39% || {{{#e61e2b 72.25%}}} || ▼46.86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삼성2동'''}}} || 29.75% || {{{#e61e2b 67.58%}}} || ▼37.83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대치1동'''}}} || 17.13% || {{{#e61e2b 80.98%}}} || ▼63.85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대치2동'''}}} || 21.96% || {{{#e61e2b 75.96%}}} || ▼54.00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대치4동'''}}} || 37.46% || {{{#e61e2b 59.69%}}} || ▼22.23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역삼1동'''}}} || 37.70% || {{{#e61e2b 58.78%}}} || ▼21.08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역삼2동'''}}} || 30.30% || {{{#e61e2b 67.24%}}} || ▼36.94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도곡1동'''}}} || 28.55% || {{{#e61e2b 68.70%}}} || ▼40.15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도곡2동'''}}} || 17.32% || {{{#e61e2b 80.89%}}} || ▼63.57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개포1동'''}}} || 23.78% || {{{#e61e2b 74.00%}}} || ▼50.22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개포2동'''}}} || 24.88% || {{{#e61e2b 72.78%}}} || ▼47.90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개포4동'''}}} || 35.30% || {{{#e61e2b 61.63%}}} || ▼26.33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일원본동'''}}} || 31.31% || {{{#e61e2b 65.70%}}} || ▼34.39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일원1동'''}}} || 41.38% || {{{#e61e2b 54.88%}}} || ▼13.50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일원2동'''}}} || 34.56% || {{{#e61e2b 62.59%}}} || ▼28.04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수서동'''}}} || 37.95% || {{{#e61e2b 59.00%}}} || ▼21.05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세곡동'''}}} || '''42.44%''' || {{{#e61e2b 54.48%}}} || ▼12.04 || || '''후보''' || [[이재명|{{{#fff 이재명}}}]] || [[윤석열|{{{#fff 윤석열}}}]] ||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거소·선상투표'''}}} || 41.29% || {{{#e61e2b 55.97%}}} || ▼14.68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관외사전투표'''}}} || 37.42% || {{{#e61e2b 59.76%}}} || ▼22.34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국외부재자투표'''}}} || 38.96% || {{{#e61e2b 58.13%}}} || ▼19.17 || || {{{#!wiki style="letter-spacing:-1px;margin:-5px;font-size:14px;" {{{#fff '''국회의원[br]선거구별'''}}}}}} || [[이재명|{{{#fff 이재명}}}]] || [[윤석열|{{{#fff 윤석열}}}]] || {{{#fff '''격차'''}}} || || [[강남구 갑|{{{#e61e2b '''강남구 갑'''[*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신사동, 역삼1동, 역삼2동, 청담동][*A 관외투표 제외][* 지역구 국회의원 : [[태영호]] (국민의힘, 초선)]}}}]] || 28.14% || {{{#fff '''69.28%''' }}} || ▼41.14 || || [[강남구 을|{{{#e61e2b '''강남구 을'''[* 일원1동, 일원2동, 일원본동, 수서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세곡동][*A 관외투표 제외][* 지역구 국회의원 : [[박진]] (국민의힘, 4선)]}}}]] || 34.96% || {{{#fff '''62.09%''' }}} || ▼27.13 || || [[강남구 병|{{{#e61e2b '''강남구 병'''[* 삼성1동, 삼성2동, 도곡1동, 도곡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A 관외투표 제외][* 지역구 국회의원 : [[유경준]] (국민의힘, 초선)]}}}]] || 24.61% || {{{#fff '''73.09%''' }}} || ▼48.48 || 윤석열 후보가 모든 동에서 압승을 보였다. 특히 임대주택이 많고, 20대 총선에서 민주당 전현희 의원에 몰표를 몰아주며 승리의 결정적 역할을 한 세곡동[* 사실, 세곡동은 서울 전체에서 저렴한 건 아니고, 강남구에서 저렴한 축에 속하는지라, 강력한 진보지역은 아니긴 했다. 옆동네 자곡동만 봐도.. 거기에 젊은층의 민주당 반감도 한 몫 했다.]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12% 격차로 완패했다. 보수세가 유달리 강한 대치1동과 도곡2동은 모두 80%를 넘기면서 강남구 전체에서도 압구정동에 이어 득표율 순위에서 2, 3위를 기록했다.[* 행정동 단위 기준으로 윤석열 후보 득표율이 80%를 넘은 곳은 이 3개동이 끝이다.] 그리고 서울 전체 49개 선거구를 기준으로 윤석열 후보 득표율이 1위였으며, 그것도 유일하게 70%를 넘겼다.[* 이 득표율은 보수정당의 최고 텃밭인 TK와 비교해봐도 거의 비슷한 수준인데, 실제로 '''경상북도 전체 득표율'''보다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이다.] 여담으로 이재명 후보는 보수정당에게 TK 훨씬 이상으로 지지를 보낸 압구정동은 강남구 뿐아니라 서울 25개구의 동별 중 '''유일하게 선거보존 마지노선인 15% 미만으로 기록하였다.''' === 총선 === ||<-8> {{{#FFFFFF '''21대 총선 강남구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강남구 갑)'''}}}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성곤(1952)|{{{#FFFFFF 김성곤}}}]] || [[태구민|{{{#FFFFFF '''태구민'''}}}]]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40,935 [br] (39.63%)''' || {{{#FFFFFF '''60,324 [br] (58.40%)'''}}} || '''- 19,389 [br] (▼18.77)''' || '''104,485 [br] (62.36%)'''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신사동'''[*A ] || 31.81% || {{{#EF426F 66.45%}}} || ▼34.64 || 67.48 || || '''논현1동''' || {{{#004EA2 49.60%}}} || 47.94% || △1.66 || 49.98 || || '''논현2동''' || 41.01% || {{{#EF426F 56.98%}}} || ▼15.97 || 58.44 || || '''압구정동'''[*B ] || {{{#696969 20.62%}}} || {{{#EF426F '''78.29%'''}}} || {{{#696969 '''▼57.67'''}}} || '''69.46''' || || '''청담동'''[*C ] || 31.94% || {{{#EF426F 66.39%}}} || ▼34.45 || 63.77 || || '''역삼1동''' || {{{#004EA2 '''50.71%'''}}} || {{{#696969 46.54%}}} || '''△4.17''' || {{{#696969 '''49.53'''}}} || || '''역삼2동'''[*H ] || 42.11% || {{{#EF426F 55.93%}}} || ▼13.82 || 64.32 || || '''후보''' || [[김성곤(1952)|{{{#004EA2 '''김성곤'''}}}]] || [[태구민|{{{#EF426F 태구민}}}]]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34.93% || {{{#EF426F 60.24%}}} || ▼25.31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1.74%}}} || 46.16% || △5.58 || || || '''재외투표''' || 46.56% || {{{#EF426F 50.44%}}} || ▼3.88 || || }}}}}}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강남구 을)'''}}}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전현희|{{{#FFFFFF 전현희}}}]] || [[박진|{{{#FFFFFF '''박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47,157 [br] (46.41%)''' || {{{#FFFFFF '''51,762 [br] (50.94%)'''}}} || '''- 4,605 [br] (▼4.53)''' || '''102,469 [br] (73.02%)'''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개포1동''' || {{{#696969 29.64%}}} || {{{#EF426F '''68.55%'''}}} || {{{#696969 '''▼38.91'''}}} || 75.86 || || '''개포2동'''[*J ] || 32.75% || {{{#EF426F 65.68%}}} || ▼32.92 || '''75.97''' || || '''개포4동'''[*K ] || {{{#004EA2 49.47%}}} || 47.82% || △1.65 || {{{#696969 '''67.25'''}}} || || '''일원본동''' || 43.73% || {{{#EF426F 54.34%}}} || ▼10.60 || 74.05 || || '''일원1동''' || {{{#004EA2 49.68%}}} || 46.23% || △3.45 || 67.53 || || '''일원2동''' || 44.20% || {{{#EF426F 53.61%}}} || ▼9.41 || 73.26 || || '''수서동''' || 45.70% || {{{#EF426F 50.71%}}} || ▼5.01 || 70.28 || || '''세곡동''' || {{{#004EA2 '''53.03%'''}}} || {{{#696969 44.04%}}} || '''△8.99''' || 69.23 || || '''후보''' || [[전현희|{{{#004EA2 '''전현희'''}}}]] || [[박진|{{{#EF426F 박진}}}]]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9.73%}}} || 44.50% || △5.24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6.69%}}} || 40.38% || △16.31 || || || '''재외투표''' || {{{#004EA2 57.78%}}} || 40.98% || △16.80 || || }}}}}}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강남구 병)'''}}} || || '''정당'''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FFFFFF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한규|{{{#FFFFFF 김한규}}}]] || [[유경준|{{{#FFFFFF '''유경준'''}}}]]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36,423 [br] (33.57%)''' || {{{#FFFFFF '''70,917 [br] (65.38%)'''}}} || '''- 34,494 [br] (▼31.80)''' || '''109,436 [br] (72.13%)'''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삼성1동'''[*D ] || 33.13% || {{{#EF426F 65.52%}}} || ▼32.39 || 68.25 || || '''삼성2동'''[*E ] || 37.30% || {{{#EF426F 61.62%}}} || ▼24.32 || 63.83 || || '''대치1동'''[*F ] || 24.62% || {{{#EF426F 74.71%}}} || ▼50.09 || '''78.43''' || || '''대치2동'''[*G ] || 30.88% || {{{#EF426F 68.16%}}} || ▼37.28 || 73.30 || || '''대치4동''' || '''47.86%''' || {{{#FF7E9D 50.52%}}} || '''▼2.66''' || {{{#696969 '''60.53'''}}} || || '''도곡1동''' || 37.69% || {{{#EF426F 61.47%}}} || ▼23.78 || 72.84 || || '''도곡2동'''[*I ] || {{{#696969 23.38%}}} || {{{#EF426F '''75.87%'''}}} || {{{#696969 '''▼52.49'''}}} || 73.50 || || '''후보''' || [[김한규|{{{#004EA2 김한규}}}]] || [[유경준|{{{#EF426F '''유경준'''}}}]]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37.90% || {{{#EF426F 58.16%}}} || ▼20.26 || || || '''관외사전투표''' || 43.59% || {{{#EF426F 54.82%}}} || ▼11.24 || || || '''재외투표''' || 48.40% || {{{#EF426F 50.85%}}} || ▼2.46 || || }}}}}} || ||<-8> {{{#FFFFFF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FFFFF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FFFFFF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000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FFF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146,035 [br] (47.46%)'''}}} || '''68,620 [br] (22.30%)''' || '''21,128 [br] (6.86%)''' || '''28,680 [br] (9.32%)''' || '''16,383 [br] (5.32%)''' || '''+ 77,415 [br] (△25.16)''' || '''316,462 [br] (68.69%)''' || ||<-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신사동'''[*A ] || {{{#EF426F 57.19%}}} || 17.34% || 4.96% || 8.02% || 4.32% || △39.85 || 67.48 || || '''논현1동''' || {{{#EF426F 39.69%}}} || 29.21% || 7.19% || 7.78% || 5.56% || △10.48 || 49.99 || || '''논현2동''' || {{{#EF426F 47.12%}}} || 22.48% || 7.21% || 8.04% || 5.20% || △24.63 || 58.44 || || '''압구정동'''[*B ] || {{{#EF426F '''67.94%'''}}} || {{{#696969 10.44%}}} || {{{#696969 3.30%}}} || 7.94% || {{{#696969 2.87%}}} || '''△57.50''' || 69.45 || || '''청담동'''[*C ] || {{{#EF426F 55.83%}}} || 17.06% || 5.13% || 8.82% || 4.24% || △38.77 || 63.77 || || '''삼성1동'''[*D ] || {{{#EF426F 52.86%}}} || 18.82% || 5.73% || 9.35% || 5.06% || △34.03 || 68.27 || || '''삼성2동'''[*E ] || {{{#EF426F 48.82%}}} || 22.00% || 6.22% || 9.42% || 5.24% || △26.82 || 63.84 || || '''대치1동'''[*F ] || {{{#EF426F 59.91%}}} || 13.71% || 4.88% || 11.06% || 4.14% || △46.20 || '''78.43''' || || '''대치2동'''[*G ] || {{{#EF426F 53.81%}}} || 16.51% || 6.37% || '''11.17%''' || 4.44% || △37.31 || 73.30 || || '''대치4동''' || {{{#EF426F 38.58%}}} || 27.30% || 8.22% || 9.65% || 6.36% || △11.28 || 60.53 || || '''역삼1동''' || {{{#EF426F 37.36%}}} || 28.83% || 8.33% || 9.13% || 5.49% || △8.53 || {{{#696969 '''49.52'''}}} || || '''역삼2동'''[*H ] || {{{#EF426F 45.58%}}} || 22.44% || 7.51% || 10.54% || 6.00% || △23.14 || 64.32 || || '''도곡1동''' || {{{#EF426F 47.87%}}} || 21.21% || 7.51% || 10.30% || 5.14% || △26.66 || 72.81 || || '''도곡2동'''[*I ] || {{{#EF426F 62.50%}}} || 12.63% || 4.97% || 9.39% || 3.58% || △49.87 || 73.50 || || '''개포1동''' || {{{#EF426F 56.64%}}} || 16.84% || 4.60% || 8.49% || 4.44% || △39.80 || 75.87 || || '''개포2동'''[*J ] || {{{#EF426F 52.81%}}} || 18.26% || 6.52% || 10.81% || 4.33% || △34.55 || 75.98 || || '''개포4동'''[*K ] || {{{#EF426F 38.13%}}} || 28.63% || 8.70% || 8.06% || 6.14% || △9.49 || 67.25 || || '''일원본동''' || {{{#EF426F 43.16%}}} || 23.81% || 8.72% || 10.38% || 6.19% || △19.35 || 74.04 || || '''일원1동''' || {{{#EF426F 37.51%}}} || '''30.65%''' || 7.75% || {{{#696969 7.37%}}} || 5.08% || △6.85 || 67.53 || || '''일원2동''' || {{{#EF426F 42.60%}}} || 25.84% || 7.62% || 9.36% || 5.46% || △16.77 || 73.26 || || '''수서동''' || {{{#EF426F 41.43%}}} || 28.92% || 6.26% || 7.61% || 4.23% || △12.52 || 70.27 || || '''세곡동''' || {{{#FF7E9D 34.79%}}} || 29.67% || '''8.86%''' || 9.91% || '''6.49%''' || {{{#696969 '''△5.12'''}}} || 71.38 || || '''정당''' || [[미래한국당|{{{#EF426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006CB7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FFCC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EA5504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003E98 열린민주당}}}]]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EF426F 46.07%}}} || 21.48% || 8.88% || 7.43% || 3.92% || △24.59 || || || '''관외사전투표''' || {{{#EF426F 38.57%}}} || 28.19% || 8.14% || 8.61% || 7.78% || △10.38 || || || '''재외투표''' || {{{#EF426F 42.59%}}} || 25.02% || 6.57% || 5.20% || 13.05% || △17.57 || || || '''후보''' || [[미래한국당|{{{#FFFFF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FFFFFF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0000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FFF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강남구 갑|{{{#EF426F '''강남구 갑'''[*L ][* 지역구 국회의원: [[이종구(정치인)|이종구]] (새누리당 → 바른정당 → 자유한국당 → 미래통합당, 3선)]}}}]] || {{{#EF426F 50.27%}}} || 20.87% || 6.25% || 8.78% || 4.82% || △29.40 || || || [[강남구 을|{{{#1870B9 '''강남구 을'''[*M ][* 지역구 국회의원: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재선)]}}}]] || {{{#EF426F 41.83%}}} || 26.05% || 7.77% || 9.29% || 5.52% || △15.78 || || || [[강남구 병|{{{#F58229 '''강남구 병'''[*N ][* 지역구 국회의원: [[이은재(정치인)|이은재]] (새누리당 → 바른정당 → 자유한국당 → 미래통합당 → 기독자유통일당 → 한국경제당, 재선)]}}}]] || {{{#EF426F 53.19%}}} || 18.09% || 6.16% || 10.15% || 4.70% || △35.10 || ||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강남구, version=1315)][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강남구 갑, version=482)][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강남구 을, version=537)][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강남구 병, version=549)][[분류:서울특별시의 정치]][[분류:강남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