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울산광역시|{{{#cfa547 울산}}}]] [[울주군(선거구)|{{{#cfa547 울주군}}}]])'''}}} || || 제15-16대[br][[권기술]] || → || '''제17-20대[br]강길부''' || → || 제21대[br][[서범수]]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cfa547 국회}}}]] [[기획재정위원회|{{{#cfa547 기획재정위원장}}}]]'''}}} || || 제18대 후반기[br][[김성조]] || → || '''제19대 전반기[br]강길부''' || → || 제19대 후반기[br][[정희수]] || ---- ||<-5> {{{+1 [[건설교통부|[[파일:건설교통부 구 MI_국문_상하.svg|width=40]]]] [[대한민국|{{{#043762,#9dd0fb '''대한민국'''}}}]] [[국토교통부|{{{#043762,#9dd0fb '''건설교통부'''}}}]] [[차관|{{{#043762,#9dd0fb '''차관'''}}}]]}}} || ||<-5> [[국민의 정부|{{{#ffffff '''국민의 정부'''}}}]] || || 5대[br][[강윤모]] || → || '''6대[br]강길부''' || → || 7대[br][[조우현(공무원)|조우현]] || ---- [include(틀:한국부동산원장)] ---- }}} || ---- ||<-2> '''{{{#fff {{{#ffffff 대한민국 제17-20대 국회의원}}}[br]{{{+1 강길부}}}[br]姜吉夫 | Kang Ghil-b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강길부의원.jpg|width=100%]]}}} || ||<|2> {{{#ffffff ''' 출생 ''' }}} ||[[1942년]] [[6월 5일]] ([age(1942-06-05)]세) || ||[[경상남도]] [[울산군]] [[상북면(울주)|상북면]] 향산리[br](現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울주)|상북면]] 향산리)[* [[진주 강씨]] 집성촌이다.][* [[http://uljukang.org/01_am/am_03.asp|#]]] || || {{{#ffffff ''' 본관 ''' }}} ||[[진주 강씨]] || || {{{#ffffff ''' 거주지 '''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 ||<|4> {{{#ffffff ''' 재임기간 ''' }}} ||제7대 [[한국부동산원|한국감정원장]] || ||[[1998년]] [[3월 30일]] ~ [[2000년]] [[8월 11일]] || ||제6대 [[국토교통부|건설교통부 차관]] || ||[[2000년]] [[8월 11일]] ~ [[2001년]] [[4월 1일]] || || {{{#ffffff ''' 학력 ''' }}} ||[[상북중학교]] {{{-2 ([[졸업]])}}} [br][[언양고등학교|언양농업고등학교]] {{{-2 ([[졸업]])}}}[br][[성균관대학교]] {{{-2 ([[행정학]] / [[학사]])}}}[br][[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 ([[도시학과|도시및지역계획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27624|首都圈 人口 分散 施策의 評價 : 工場·學校·公共機關의 分散을 中心으로]](수도권 인구 분산 시책의 평가 : 공장·학교·공공기관의 분산을 중심으로).])}}}[br][[가천대학교/대학원|경원대학교 대학원]][* 現 가천대학교] {{{-2 ([[도시학과|도시계획학]]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11746229|우리나라 住宅需要構造의 變化와 政策方向에 關한 硏究]](우리나라 주택수요구조의 변화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 || {{{#ffffff ''' 병역 ''' }}}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 || {{{#ffffff ''' 가족 ''' }}} ||배우자 이증선[* 2020년 사망.][br][[장남]] 강준환^^(1975년)^^, [[차남]] 강자환^^(1976년)^^ || || {{{#ffffff ''' 소속 ''' }}} ||[include(틀:무소속)] || || {{{#ffffff ''' 의원 선수 ''' }}} ||'''4''' || || {{{#ffffff ''' 의원 대수 ''' }}} ||'''[[제17대 국회의원|17]], [[제18대 국회의원|18]], [[제19대 국회의원|19]], [[제20대 국회의원|20]]''' || || {{{#ffffff ''' 경력 ''' }}} ||제10회 [[행정고시]] 합격[br][[국토교통부|건설교통부]] 수자원국 사무관[br][[국토교통부|건설교통부]] 과장[br]주요르단 대사관 건설관[br][[청와대]] 지역균형발전 기획단[br]대전지방국토관리청장[br][[국토교통부|건설교통부]] 도시국 국장[br][[국토교통부|건설교통부]] 건설경제국 국장[br][[대통령비서실]] 건설교통비서관 {{{-2 ([[문민정부]])}}}[br]중앙토지수용회 상임위원[br]제7대 [[한국부동산원|한국감정원장]] {{{-2 ([[국민의 정부]])}}}[br]한국부동산컨설팅협회 회장[br]한국감정평가학회 자문위원[br]한국행정학회 회원[br]제6대 [[국토교통부|건설교통부 차관]] {{{-2 (국민의 정부)}}}[br][[경기대학교]] 교수[br][[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br][[제17대 국회의원]] {{{-2 ([[울주군(선거구)|울산 울주군]] / [[열린우리당]])}}}[br][[열린우리당]] 울산시당 위원장[br][[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제18대 국회의원]] {{{-2 (울산 울주군 / [[무소속]])}}}[br][[한나라당]] 울산시당 위원장[br][[제19대 국회의원]] {{{-2 (울산 울주군 / [[새누리당]])}}}[br][[제19대 국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br][[제20대 국회의원]] {{{-2 (울산 울주군 / [[무소속]])}}}[br][[바른정당]] 울산시당 위원장[br]울주군 선바위도서관 관장 || || {{{#ffffff ''' 외부 링크 ''' }}} ||[[https://www.facebook.com/ghilboo.kan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20대 국회의원]] 중 [[박지원(1942)|박지원]]과 더불어 최고령 의원이다. 심지어 생년월일이 완전히 똑같다. == 정계 입문 전 == 1942년 6월 5일 경상남도 울산군 상북면 향산리(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향산리)에서 태어났다. 상북중학교와 언양농업고등학교,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1984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도시및지역계획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리고 1996년 경원대학교 대학원에서 도시계획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0년 언양농업고등학교 졸업 후 제15회 [[7급 공개경쟁채용시험|보통고시]]에 합격, [[서울특별시]] 청량리[[우체국]] 행정주사보로 공무원 생활을 시작하였다. 공무원 재직 중에 주경야독하여 1969년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1971년에 제10회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하여 [[국토교통부|건설부, 건설교통부]]와 산하기관에서 근무하였다. 국토관리 업무와 [[지명]]에 [[지리덕후|많은 관심을 드러내었고]], 관련 서적도 몇권 출간하였다. 1993년에는 [[한양대학교 대학원|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에 강사로 출강하여 '도시계획론'을 강의하기도 했다. [[김대중]] 정부 때 [[한국감정원]] [[원장]], 건설교통부 [[차관]]을 역임하고 2001년 4월 퇴직하였다. 2002년 3월 [[경기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였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성균관대학교 행정대학원]]에도 [[겸임교원|겸임교수]]로 출강하였다. == 정치 활동 ==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 [[울산광역시장]] 후보 경선에 도전하였지만, [[박맹우]] 후보에게 패배하였다. 2004년, 한나라당을 탈당하고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42.63%를 득표, 41.46%를 득표한 현역 국회의원 한나라당 [[권기술]] 후보를 꺾고 [[당선]]되면서 [[환갑]]이 넘은 나이에 처음으로 정치에 발을 들였다. 이후 열린우리당 울산광역시당 위원장, 정책위원회 부의장을 역임하였다. 하지만 2005년 3월 열린 열린우리당 전당대회에서는 정치 신인이던 [[임동호]]에게 시당위원장 경선에서 패하며 자존심을 구겼던 바 있다. 2007년 11월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열린우리당의 후신 [[대통합민주신당]]을 탈당하였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247586.html|#]][* [[부울경]] 지역을 기반으로 둔 [[정치인]]들 중 해당 지역 출신인 [[노무현]] 前 [[대한민국 대통령]]의 재임 시절 노사모/탄핵 역풍 등으로 열린우리당이 인기를 끌자 한나라당을 탈당한 뒤 열린우리당으로 갈아탔다가 노무현 대통령의 임기 종료 및 열린우리당 해체 시점에 다시 한나라당으로 복당한 사례가 적지 않게 있었다. 대표적으로 [[이만기|이런 분]]이라던지...] 2008년 1월 당시 [[국민중심당]]을 탈당한 [[정진석(정치인)|정진석]] 의원과 함께 한나라당에 복당하였다. [[http://www.hankookilbo.com/v/0b17687b848b4c3b9ec25e45b99d0f66|#]] 그 때문에 '여당'을 사랑하는 [[철새(정치)|철새]]라는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채익]] 전 남구청장[* 18대 총선 [[낙선]] 이후 보상으로 [[울산항만공사]] 사장에 임명된다. 이후 19대, 20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까지 3연속 [[남구 갑(울산)|남구 갑]]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된다.]에게 밀려 공천을 받지 못하자, 한나라당을 재탈당하여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 48%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이채익 후보(36% 득표)를 누르고 여유있게 당선되었다. 같은 해 6월, 한나라당에 복당하였다. 이후 [[친이]]계에 속하였다. 2010년 한나라당 울산광역시당위원장에 선출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통합진보당]] [[이선호(정치인)|이선호]]를 꺾고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14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 [[울산광역시장]] 후보 경선에 참여하였으나 [[김기현(정치인)|김기현]]에 밀려 패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고령이라는 이유로 컷오프[* 공식 프로필상 1942년 6월 5일 생으로, [[8.15 광복]] 전 출생이다. 20대 총선일 기준 만 73세 10개월 8일이다. 고령도 어느 정도 이유가 되었겠지만, 오랜 동안 당 내 비주류로 지내온 것을 고려하면 [[친박]]에게 밀려 공천을 놓쳤다는 본인의 인식에도 일리가 있다. 당장 친박의 좌장이었던 [[서청원]]은 강길부보다 고작 1살 아래임에도 불구하고 공천을 받았다.]당하고 [[김두겸]] 전 남구청장이 공천되자, 울주군 시ㆍ군의원들을 이끌고 동반 탈당하였다. [[무소속]]으로 울산광역시 울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울주군이 [[남구(울산광역시)|남구]] 뒤치다꺼리하는 곳이 아니다", "울주군의 아들ㆍ일꾼을 지지해달라", "나는 계파싸움의 희생양이다" 등 영남에 위치한 울주'''군''' 지역구에 적합한 인정ㆍ감정에 호소하는 선거전략을 펼쳤고, 새누리당 김두겸 후보(28%)ㆍ더불어민주당 [[정찬모]] 후보(22%)ㆍ국민의당 권중건 후보(7%) 등을 40%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6월 새누리당으로 복당하였으나, 동반 탈당하였던 울주군 시의원ㆍ군의원들의 복당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16년 12월, 검찰이 선거법위반 혐의로 벌금 300만원을 구형했으나,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23/0200000000AKR20161223051051057.HTML|#]] 검찰은 여기에 대해 항소했으나, 무죄 판결이 확정되었다. 2016년 12월 22일 비박계들의 새누리당 탈당에 참여, [[바른정당]] 창당에 합류하였다. 2017년 3월 1일 [[바른정당]] 울산시당 시당위원장으로 선출됐다. [[http://www.yonhapnews.co.kr/photos/1990000000.html?cid=PYH20170301417200057|#]] 2017년 11월 6일 바른정당을 탈당하고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 강길부 의원과 동반 탈당하였다가 선거 후 복당시 복당이 불허되었던 울주군지역 시의원ㆍ군의원들도 일괄 복당되었다.[* 다만 일부 울주군의원들은 [[19대 대선]] 직전에 바른정당을 탈당하고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였다. [[https://cp.news.search.daum.net/p/56062937|기사 참조]].] 2018년 1월 7일, [[자유한국당]] 울주군 [[당협위원장]]에 선출되었다. 당협위원장직에서 축출된 김두겸 전 당협위원장이 반발하자, 당에서 약속한 것이 몇달 뒤의 지방선거에 김두겸 계열의 후보들이 공정한 경선을 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었고, 이 약속이 이후 전개의 복선(?)이 된다. 2018년 4월 울주군수 공천을 놓고, 김두겸 전 위원장은 약속대로 경선하자고 주장했고, 강길부 의원은 경선으로 정하면 같은 당 후보들끼리 소모전만 될 뿐이니 전략공천을 하자고 주장하며 극렬하게 대립했다.[* 당의 방침에 따라 울산 내의 다른 [[지역구]]들에서는 당협위원장이 재량권을 크게 발휘해 공천을 정하였는데, 울주군만큼은 무조건 경선을 해야 한다는 결정이 못마땅하였을 것이다. 물론 김두겸의 입장에서도 위에서 설명한 대로 약속이 있었으니 지켜 달라고 주장하는 본인이 정당하다고 생각하는 게 당연하다.] 이 안건은 자유한국당 지도부까지 올라갔고, 결국에는 김두겸 전 위원장의 뜻에 따라 경선을 치러 친 김두겸 계열로 알려진 [[이순걸]] 씨가 친 강길부 계열 [[한동영]] 씨를 제치고 후보로 확정되었다. 고작 [[군수]] 자리 하나를 두고 현직 [[대한민국 국회의원]]이 저렇게 미친듯이 열을 내나 싶겠지만, 울주군은 군 단위의 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레벨의 위상을 자랑한다. 인구가 22만으로 전국에서 2번째로 많고[* 1번째는 [[대구광역시]]의 [[달성군]]이다.], 군 중에서 유일하게 [[읍(행정구역)|읍]]을 5개나 휘하에 두고 있다. 그리고 온산국가공단이 있어서 돈도 많다. 재정 규모가 군단위 지자체로는 유일하게 1조원을 넘어선 1조 816억 원이다. 재정자립도 또한 44.80%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어지간한 [[시장(공무원)|시장]] 자리보다 괜찮은 자리인 셈이다. 또한 울주군이 울산 내에서도 보수적인 지역으로 인식되다 보니 공천이 곧 당선으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 결국엔 김칫국만 마신 꼴이 되었지만...]였기에 상황이 이렇게까지 살벌해진 것이다. 5월 3일, [[홍준표]] 대표의 여러 극강경보수적인 돌발발언을 문제삼아 홍 대표가 사퇴하지 않으면 중대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선언했다. 공식적으로는 울주군수 경선과는 관계없다며 선을 그었지만, 아무래도 그냥 탈당하기보다는 명분을 좀 쌓아 보려는 행동이라는 게 주변의 추측이다. 이에 홍준표 대표가 "탈당과 복당을 지금 몇 번째 하는 거냐"고 비난하자 도리어 '''"[[이인제/일생/당적 변경사|당적을 무려 16번 변경한 분]]을 ([[충청남도지사|충남지사]] 후보로) 공천한 분은 홍준표 대표님이시지 않냐"'''라고 반박하며 [[이인제]] 전 의원을 돌려까기도 했다. [[http://naver.me/IDJQKssh|#]] 결국 2018년 5월 6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자유한국당 탈당을 선언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3356518|#]] 당분간 무소속으로 남겠다고 말했지만, 그간 화려한 행적을 보면 이번 탈당은 결국 최전성기를 맞은 [[더불어민주당]]으로 복당하기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시선이 우세하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부울경]] 지역에선 [[대한민국 보수정당|보수정당]]과 [[대한민국 진보정당|진보정당]]에 당적을 가졌던 사람들이 [[더불어민주당]]으로 몰려들고 있는데, [[부울경]] 지역의 경기 침체와 비정규직 증가로 인해 보수 지지층이 [[박근혜 정부]]를 탄생시킨 [[자유한국당]]에게서 등을 돌리고, 진보정당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점 잘게 분열되고, [[참여계]]·노동계가 몰락하며 그 빈자리를 여성계가 채우게 되면서 노조 기반을 매우 빠르게 상실했기 때문이다. 이들이 몰락하고 나니 남은 곳은 [[더불어민주당]] 단 한 곳 밖에 없었고, 이들은 자연스레 민주당행을 택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10년 만에 다시 [[민주당계 정당]]으로 돌아오는 셈이 된다. 하지만 그의 철새 행위가 [[바른정당 탈당 사태]]처럼 오히려 [[자유한국당]] 지지층의 결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시각도 있으며[* 게다가 강길부가 자유한국당을 탈당할 때, 관할구역 하에 있는 지방의원은 단 한 명도 따라오지 않았다. 심지어 강길부가 군수 후보로 지원하였던 한동영 전 시의원도 자유한국당에 남았다.], 만일 역풍이 잦아든다 해도 오랫동안 더불어민주당을 지킨 당원들의 반발이 관건이다. 예상대로 더불어민주당 [[송철호]] 울산광역시장 후보 지지 선언을 하였다. [[http://m.kns.tv/news/articleView.html?idxno=433967&daum_check=|#]] 사실 송철호와의 인연도 이런 행보에 한몫한 것으로 보이는데, 17대 총선 당시 강길부를 열린우리당으로 영입한 인물이 바로 송철호이기 때문. 이어서 더불어민주당 울주군수 후보인 [[이선호(정치인)|이선호]][*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쟁한 [[통합진보당]] 후보와 동일 인물. [[통합진보당 부정경선 사건]] 이후 [[정의당]]으로 옮겼다가 다시 더민주로 옮겨왔다.] 후보 지지 선언을 하였다. [[https://twitter.com/shi8003/status/1003120533003591680|#]] 사전투표 때는 울주군민들에게 이선호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는 문자도 돌렸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2018년 지방선거]]에서 송철호와 이선호가 각각 울산광역시장과 울주군수로 모두 당선에 성공하고 [[자유한국당]]이 울산 전역에서 참패하면서 탈당은 [[신의 한 수]]가 되었다. 추가로 울주군 광역의원, 기초의원까지 민주당이 승리하면서 탈당 당시 지방의원들이 따라오지 않았던 문제도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특히 울주군수 선거는 5000표 이내로 민주당이 신승했는데, 여야를 초월하여 강길부의 고정표가 어느 정도 있는 지역이었으므로 강길부의 공이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애초 강길부가 어딜 가느냐에 따라서 그 당이 승리할 가능성이 매우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서 강길부가 선택한 정당이면 그 이유가 반드시 있다고 지지층이 움직인다고 한다.] 2020년 3월 23일, [[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491269|#]] 이미 고령이어서, 이대로 정계를 은퇴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울주군 선바위도서관 관장을 역임하였다. [[https://www.news1.kr/articles/?3964294|#]] === 화려한 당적사 === ||[[파일:kbul2007.jpg|width=100%]]||[[파일:kbul2012.jpg|width=100%]]||[[파일:kbul2016.png|width=100%]]|| || [[2007년]] [[열린우리당]][* 선거홍보물을 제외하고 찾을수 있는 거의 유일한 열린우리당 시절 사진이다.] || [[2012년]] [[새누리당]] || [[2016년]] [[개혁보수신당]]([[바른정당]]) 창당선언 당시[* 사진에 [[김무성]], [[권성동]], [[유승민]], [[이학재]] 등도 같이 보인다.] || || [[파일:kbul2017.png|width=100%]] || [[파일:kbul2018.png|width=100%]] || || || [[2017년]] [[바른정당 탈당 사태|자유한국당 복당]] 당시 || [[2018년]][* 무소속을 유지한 채 지지 선언만 했다.] || || * [[이인제]]와 [[김한길]] 정도는 아니어도 짧은 기간 동안 탈당과 복당을 반복하며 정당을 엄청나게 많이 바꿔왔다.[* 그래서 몸 담았던 정당 수는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한다.] 횟수는 적지만 이인제보다 훨씬 늦은 환갑이 지난 [[2002년]]에 정계에 처음으로 입문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더욱 화려하게 느껴진다. 다만 당 내 비주류로서 공천 탈락 - 무소속 출마 - 당선 후 복당을 두 번이나 반복한 바람에 당적 변경이 4번이나 이루어졌고, 정당의 흡수통합이나 당명 변경도 철새 행위라 보기는 힘들다. 이 중에 비판을 많이 받는 당적 변경은 좌우를 넘나든 2004년과 2008년의 탈당, 2016년 새누리당 탈당 후 1년도 안 돼서 다시 자유한국당에 복당한 점, 복당 후 6개월도 안 돼서 2018년 다시 자유한국당을 탈당한 점이다. 그러나 당적과 상관없이 [[울주군]]에 [[울산역]], [[UNIST]], [[동해선 광역전철]] 등등의 발전이 계속되는 [[호재#s-1|호재]]와 지역구 관리를 잘 하여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물론 [[조경태]]처럼 민주당 내에서 분란을 일으키다가 끝내 [[자유한국당]]으로 이적했을 가능성도 높긴 하다. 원래 성향 자체가 보수이기 때문.]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002 - 2003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2004 || 탈당[* [[열린우리당]] 입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4 - 2007 || 입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합당[*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2008 || 탈당[* [[이명박]] 대통령 후보 지지 선언.] || || [include(틀:한나라당)] || 2008 || 복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8 || 탈당[*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한나라당)] || 2008 - 2012 || 복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6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6 || 탈당[*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6 || 복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6 - 2017 || 탈당[*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바른정당)] || 201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17 - 2018 || 복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8 || 탈당[* [[홍준표|지도부]]와의 갈등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무소속)][br]([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8 || [[송철호]] 후보 지지 || || [include(틀:무소속)] || 2018 - 현재 || 선대위 해산[br]정계 은퇴 || == 논란 및 사건사고 == === 부동산 [[투기]] 의혹 === [youtube(Wd1vzf3z4IA)] [[채널A]] 보도에서 강길부를 필두로 같은 의혹으로 밝힌 인물들만도 당시 같은 20대 국회의원들이었던 [[여상규]], [[이용주(정치인)|이용주]], [[이철규]] 등이 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소위 [[강남3구]]라고 불리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3곳에 골고루 아파트,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송파구 [[석촌동]]에 20억 이상의 토지, 평당 1억 아파트로 유명한 [[아크로리버파크]] 34평, 20억 이상의 시세를 보이는 개포시영([[개포 래미안 포레스트]]) 입주권 34평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정작 본인의 [[지역구]]가 위치해 있는 울주군에는 전세로 살면서 [[아파트]]고 [[단독주택]]이고 전혀 소유하고 있지 않다. 상당히 이중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MBC]] [[PD수첩]]에 따르면 그의 아들들도 25세와 26세에 강남 재건축 아파트(현 논현아크로힐스, 테헤란 아이파크)를 매수하였는데, 강길부 의원 일가의 시세 차익만 20년 동안 80억원에 달한다. == 여담 == * 2012년, 당시 70세의 나이로 [[비자카드]] 광고를 패러디한 울산공업센터 지정 50주년을 기념하는 1분짜리 영상이 있다. 각종 복장으로 열연했는데, 자기 지역구의 [[KTX]] [[울산역]]은 물론이고 [[UNIST]] 학생들까지 참여하였다. 총선 대비 홍보성 영상으로 추정된다. [youtube(yeC6EnseAo0)] * [[동안#s-1|나이에 비해 제법 젊어 보이는 편]]. 20대 국회 최다선인 [[서청원]] 전 의원보다 딱 한 살 형이며, 설전을 벌인 [[홍준표]] 전 대표보다는 '''11살'''이나 많다! * 1995년 구입한 [[현대 마르샤]]를 2010년까지 탔다. * 20대 국회의원 중 역시 최고령자인 박지원과는 [[생년월일]]이 같다. == 선거 이력 ==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4> [[울산광역시|울산]] [[울주군(선거구)|울주]]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1,979 (42.63%)''' ||<|4> '''당선 (1위)''' || '''초선'''[* 2007.11.3. [[대통합민주신당]] 탈당 2008.1.17. [[한나라당]] 입당 2008.3.20. 탈당 (공천불복).]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무소속)] || '''33,227 (48.89%)''' || '''재선'''[* 2008.7.16. [[한나라당]] 복당.]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1,470 (63.66%)''' || '''3선'''[* 2016.3.22. 탈당 (공천불복).]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무소속)] || '''40,945 (40.27%)''' || '''4선'''[* [[2016년]] [[6월 16일]] 새누리당 복당. 2016년 12월 새누리당 탈당 후 [[바른정당]] 이동. 2017년 11월 바른정당 탈당 후 [[자유한국당]] 복당. 2018년 5월 [[자유한국당]] 탈당.]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길부 17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길부 18총.jpg|width=10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7대 총선}}}]] [[울주군(선거구)|{{{#000000,#fff (울산 울주군)}}}]]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8대 총선}}}]] [[울주군(선거구)|{{{#000000,#fff (울산 울주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길부 19총.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길부 20총.jpg|width=10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9대 총선}}}]] [[울주군(선거구)|{{{#000000,#fff (울산 울주군)}}}]]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0대 총선}}}]] [[울주군(선거구)|{{{#000000,#fff (울산 울주군)}}}]]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울산광역시)] ----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울산광역시)]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울산광역시)]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울산광역시)]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무소속)] ----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무소속)]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제18대 국회의원]][[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열린우리당 국회의원]][[분류:대통합민주신당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새누리당 국회의원]][[분류:바른정당 국회의원]][[분류:자유한국당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공학 교수]][[분류:진주 강씨]][[분류:울주군 출신 인물]][[분류:1942년 출생]][[분류:2020년 은퇴]][[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문민정부/인사]][[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한국감정원장]][[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언양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출신]][[분류:가천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건설교통부 차관]][[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10회]][[분류:성균관대학교 재직]][[분류:한양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