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개그콘서트]]의 역대 엔딩 코너''' || || [[2008년]] [[4월 6일]] || → || '''[[2011년]] [[7월 3일]]''' || → || [[2012년]] [[6월 24일]] || || [[2011년]] [[6월 26일]] || → || '''[[2012년]] [[6월 17일]]''' || → || [[2013년]] [[6월 30일]]([[2013년]] [[1월 27일]])[* 엔딩이 유동적으로 바뀌기 이전.] || || [[봉숭아 학당(개그콘서트)|봉숭아 학당]][* [[2009년]] [[9월 6일]] 10주년 특집에는 [[분장실의 강선생님]]이 엔딩 코너였다.] || → || '''[[감수성(개그콘서트)|감수성]]'''[* [[2011년]] [[10월 2일]]에는 [[그땐 그랬지(개그콘서트)|그땐 그랬지]], [[2011년]] [[11월 13일]]에는 [[달인(개그콘서트)|달인]]이 엔딩 코너였다.] || → || [[네가지(개그콘서트)|네가지]] → (유동적)[* [[2013년]] [[2월 3일]]부터는 엔딩 코너가 자주 바뀌었다. 이 시기의 엔딩 코너는 [[네가지(개그콘서트)|네가지]] 문서 참조.] || [[파일:개콘 감수성.jpg]] || [youtube(CcLzG27NH48)] || [youtube(ObKq_L5jDVo)] || [youtube(y7YLZBsyMgw)] || [목차] == 개요 == >북쪽의 오랑캐가 쳐들어와 [[평양성]], [[북한산성]], [[남한산성]]이 함락되고 마지막 남은 '감.수.성'...이 감수성[* 감수성은 원래〔감:수썽〕이라고 읽지만 이 단어는 '감수城'이기 때문에 그냥 '감수성'이라고 읽어야 한다는 암묵의 룰이 있다. 내레이션도 그렇게 발음한다. 뒤에 나오는 감수성은 원래대로 읽는다.]의 장군들은 감수성이 풍부했으니... >---- >북쪽의 오랑캐가 쳐들어와 [[평양성]], [[북한산성]], [[남한산성]], 그리고 마지막 남은 '감.수.성'마저 함락이 되고, 감수성 병사들은 도망길에 올랐으니...[* [[2012년]] [[6월 10일]] 이후 감수성이 함락당하고 도망길에 오르게 돼서 멘션이 바뀌었다.][* 내레이션은 자사 코미디언 [[김준현]]이 맡았다. 이는 [[1대 100]] 개콘 특집(264회)에서 밝혀진 내용이다.] [[2011년]] [[4월 3일]](588회)부터 시작해 [[2012년]] [[9월 16일]]에 종영한 사극형 개그 코너다. 전쟁 중에 일어난 여러가지 상황에서 이름 그대로의 [[감수성]]이 예민한 이들이 난관에 부딪히는 에피소드를 그렸다. 조금이라도 심한 말이나 행동이 나오면 분위기가 싸해지며 온갖 비꼼, 빈정거림, 뒤끝으로 칭얼대며 빈정상했음을 호소하고 당사자가 사과한 뒤 주변 사람들이 삐진 사람을 달래고 서로 허허허 웃거나 감수왕의 호령에 원래 상황으로 돌아가는 게 주 패턴. 코너가 진행되면서 주변 사람들이 실행한 사람을 까는 패턴도 생겼다. 600회 특집에는 [[봉숭아 학당(개그콘서트)|봉숭아 학당]]이 오프닝 코너로 옮겨가고, 그 대신 엔딩 코너를 장식했다. 그리고 봉숭아 학당이 무기한 방학을 맞으면서 601회 이후부터는 이 코너가 엔딩 코너로 자리잡게 되었다. 다만 2011년 한정으로 한 코너가 마지막회를 알리면 그때는 그 코너에 종영을 양보하는 패턴으로 가고 있었다.[* [[10월 2일]]에는 [[그땐 그랬지(개그콘서트)|그땐 그랬지]]가, [[10월 16일]]에는 [[두분토론]]이, [[11월 13일]]에는 [[달인(개그콘서트)|달인]]이, [[11월 27일]]에는 [[헬스걸]]이 엔딩 코너를 하였다.] 설날 특집 때부터는 패턴이 조금씩 바뀌었는데, 중간에 나오다 빠진 [[대갈공명]]은 처음부터 끝까지 등장하고, [[호송인]]은 [[김장군]]에서 [[김정훈(개그맨)|김정훈]]으로 바뀌었다. 시작할 때의 배경음악은 [[불멸의 이순신]]의 OST인 '칼의 노래'. 도입부의 내레이션은 [[김준현]]이 맡는다. 슬퍼질 때의 배경음악은 [[시크릿 가든(드라마)|시크릿 가든]]의 OST인 '상처만' 앞부분을 사용했다. 이 코너가 인기를 끈 이후 이 배경음악은 [[마성의 BGM]]이 되었다.[* 주로 여기서 쓰인 인트로 부분이 쓰인다. 여기서는 원 키에서 2키 정도 내렸는데, 대부분의 타 방송에서 쓸 때는 원 키 그대로 쓴다.] 자객이 등장할 때의 배경음악은 [[삼국지 6]]의 OST의 '패성공략'. 북쪽의 오랑캐가 쳐들어왔다는 설정으로 적국은 주로 [[청나라]]였지만, 2화에서는 오나라였다. 배경은 아마도 [[병자호란]]인 것 같지만, 북한산성은 병자호란 발생 한참 뒤인 [[숙종(조선)|숙종]] 때나 만들어졌다. 물론 이런 거는 깊게까진 생각하지 말자. 이 코너가 [[김영민(개그맨)|김영민]]의 마지막 개콘 출연작이며 김영민은 이후 정치 관련 업무를 하며 지낸다. 이때문에 김영민은 900회 특집에 불참했다. [[2017년]] [[5월 14일]] 900회 특집에서 잠시 부활했으며, [[내시(감수성)|내시]] 역할은 [[김영민(개그맨)|김영민]] 대신 [[홍인규]]가 맡았고[* 이유는 위 내용을 확인 바란다.], [[김준현]]이 특별출연했다.[* 물론 900회 특집 훨씬 이전에도 [[김준현]]이 출연한 적이 있다.][[https://m.youtube.com/watch?v=VcMwBC-4Wu8|#]], [[https://m.youtube.com/watch?v=imdvfv7Z4sY|#]][* 그런데 보면 본 방영 당시 일부 회차에서 사용했던 장면을 재탕했다. [[감수왕]]이 [[이장군(감수성)|이장군]]이 준 주먹밥을 쳐내는 장면은 [[https://m.youtube.com/watch?v=PKItvZdIFBg&list=PLAPoXiNcWPh4GTpXYTiy5D5MYiB-BQotn&index=2|2011년 4월 10일 방영분]], 김준현이 맞기 전에 정보를 대놓고 발설하는 장면은 [[https://m.youtube.com/watch?v=Q3EI9njCods&list=PLAPoXiNcWPh4GTpXYTiy5D5MYiB-BQotn&index=5|2011년 5월 1일 방영분]], [[대갈공명]]이 순간이동을 하는 척하고 벽에 붙어있는 장면은 [[https://m.youtube.com/watch?v=QD39ZZpx8u4&list=PLAPoXiNcWPh4GTpXYTiy5D5MYiB-BQotn&index=37|2011년 11월 20일 방영분]], [[내시(감수성)|내시]]가 고자킥을 맞고도 무반응인 장면은 [[https://m.youtube.com/watch?v=VwA-5ZMmQqY&list=PLAPoXiNcWPh4GTpXYTiy5D5MYiB-BQotn&index=42|2011년 12월 25일 방영분]], [[오랑캐(감수성)|오랑캐]]가 수박으로 분장해 있는 장면은 [[https://m.youtube.com/watch?v=OP4dLmPGQLw&list=PLAPoXiNcWPh4GTpXYTiy5D5MYiB-BQotn&index=68|2012년 7월 8일 방영분]]. 보고 있으면 마치 총집편같은 느낌이 있다.] == 비판 == 코너 초기에는 신선하고 재미있다는 평가를 받던 코너였지만, 중반부를 향하던 시점부터 특집이 아닌데도 게스트들이 하나 둘 출연하기 시작했고 회차가 지날수록 개그 목적보다는 아예 [[생활의 발견(개그콘서트)|생활의 발견]]과 함께 매주마다 특정 요소 홍보 목적을 가진 고정 게스트가 출연하여 홍보성 멘트를 펼침으로서 당시 [[생활의 발견(개그콘서트)|생활의 발견]]과 함께 묶여 [[개그콘서트]]가 게스트콘서트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생산하게 만들어버리는데 일조했다. 그 이후 [[슈퍼스타 KBS]]의 뽕브라더스 대목과 비슷하게 게스트를 특별 출연시키는 경우가 많다. 배역은 대부분 적군인 오랑캐측 인물들이다[* 물론 [[씨스타]]처럼 아군인 척 하다가 나중에 적군이라고 정체를 드러내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아래 부분에서 볼 수 있다시피 남자 게스트는 두건으로 얼굴을 가릴 수 있으니까 자객이었지만, 언젠가부터는 납치해 온 공주이거나 다른 성에서 데려온 사람이라는 설정이 많았다.[* 감수성에서 언급된 다른 성들의 이름은 감수성/등장인물 항목 또는 그 하위 항목을 잘 찾아보면 나와 있다.][* 예외적으로 씨스타는 무희로 위장한 자객이라는 설정이었다.] 주로 여성 게스트의 경우 누구인지는 상관없이 주변 인물이 예쁘다는 것을 이용한 개그를 했는데(원래 못생겼다는 것을 소재로 삼은 것은 매우 많았지만 그 반대는 거의 없었으며, 감수성만큼 게스트가 매주마다 등장하고 바뀌는 코너는 없었다.) 주로 신곡 홍보와 과거의 히트곡으로 개그를 삼는다. [[2012년]] 이후 게스트가 아이돌 위주로 나오는 것도 모자라서 신곡 홍보를 하는 모습을 보여 비판을 받았다. 그 때문인지, 기부천사 [[김장훈]]도 끝내기 전 '''게스트들이 개그를 안하고 홍보하는 건 자제해야 한다'''라며 비판을 했다. [[내로남불|하지만 그러는 본인도 마지막에 홍보를 했다.]] 감수성이 함락되고 감수성 진영이 도주 끝에 다른 성에 도주한다는 내용으로 진행했으나, 시작부터 종전 [[김완선]] 출연 시 선보였던 [[우려먹기|"선정성" 기믹을 세탁도 않고 또 써먹은데다가, 이미 게스트로 출연했던 지나를 또 다시 게스트로 출연시킨 것도 또 써먹었기 때문에]] 코너의 매너리즘이 극에 달했음을 보여 주었다. [[https://news.joins.com/article/8466498|실제로 이 회차 방송후 감수성의 폐지 논의가 공론화되는 양상이 보여졌다]].[* 사실 이 우려먹기는 600회 특집 [[시크릿(아이돌)|시크릿]]이 출연했었다. 몇주 후 시크릿 출연 때가 처음이었다.] 하지만 그때는 시작에 불과했고, '''[[8월 5일]] 자에 이미 2011년 11월 13일에 써먹은 바 있었던 사교성을 또 써먹었다'''[* 다만 게스트는 달랐다. 전자는 [[붐(연예인)|붐]], 후자는 [[박영규(배우)|박영규]]였다.]. 결국 [[6월 24일]]을 기점으로 [[네가지(개그콘서트)|네가지]]에게 엔딩 코너 자리를 내 주었지만, '''더 이상 게스트를 등장시키지 않고''' 개콘 안의 구성원으로 성주를 채우다 보니 당분간 코너가 계속 이어질 듯 했지만, [[8월 5일]]에 [[박영규(배우)|박영규]]가 출연해 또다시 깨졌다. 그리고 [[8월 19일]]에는 [[신수지]]를 출연시켰다. [[9월 2일]] 방영분에서는 아예 통편집되었다. 급기야 [[9월 9일]]에는 오프닝 코너까지 밀려났다. 9월 16일 종영분에서 [[아이유]][* 이 쪽은 2011년 12월 4일에 홀로 나온 바가 있었다.]와 [[피에스타(아이돌)|피에스타]]가 함께 등장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12091317370089091|#]] 간만에 엔딩 코너로 돌아왔지만, 감수성을 되찾기 위한 싸움을 앞둔 상태에서 끝났을 뿐, 마지막까지 감수성은 되찾지 못하는 [[중과부적 엔딩]]으로 끝났다. 이후 일부 등장인물은 [[막말자]]에 카메오로 등장하며 이 코너 이후 '김정훈이 등장할 때마다 [[투명라인]]이 되거나 코너는 오래 가지 못하고 빨리 끝난다'는 징크스가 생겨났다. 그나마 이 코너만큼은 논외였고, [[건국 이래 최고로 자랑스런 대한민국 전설의 미남 개그맨 정명훈 나가신다 길을 비키고 머리를 조아리고 만세를 외치고 풍악을 울려 어깨춤을 추고 콧노래를 부르며 스텝을 밟고 전 재산을 바치고 큰 절을 하여라 하지만 두 번은 안 된다~ 들은 사람 손! 내리지 말고 흔드세요~ 안녕~|정명훈 코너]]는 그래도 약 6개월간 장기적으로 방영되면서 징크스가 깨졌다.[* 다만 이 코너 종료 이후 나온 코너들은 또다시 하나같이 단명하면서 징크스가 깨졌다고 보기에는 좀 무리가 있다.] == [[감수성(개그콘서트)/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감수성(개그콘서트)/등장인물)] == (6월 10일 이후) 감수성 진영이 도착한 성 목록 == || '''{{{#bb8644 방송 일자}}}''' || '''{{{#bb8644 성 이름}}}''' || '''{{{#bb8644 비고}}}''' || || '''6월 10일''' || 선정성 || [* [[김완선]] 출연 당시 컨셉인 선정성을 재탕했다.] || || '''6월 17일''' || 음악성 || || || '''6월 24일''' || 폭력성 || || || '''7월 1일''' || 홍보성 || || || '''7월 8일''' || [[아빠와 아들|식성]] || || || '''7월 15일''' || [[성 정체성을 깨달은 아이|정체성]] || [* 김대희가 옷에 [[핑크|PINK라고 적힌 핑크색 옷]]을 입고 등장했다! 그리고 이어지는 [[홍석천]]의 [[매의 눈]]과 [[하리수]] 드립이 나왔다.] || || '''7월 22일''' || 귀염성 || || || '''7월 29일''' || [[멘붕스쿨|모방성]] || [* [[일본]] 유학생 갸루 상 참조.] || || '''8월 5일''' || 사교성 || [* 예전에 [[붐(연예인)|붐]] 출연 당시 컨셉인 사교성 컨셉을 재탕했다.] || || '''8월 12일''' || 소리성 || [* 이 때 [[청나라]]의 황제가 직접 감수왕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감수왕이 편지를 버리려 하자 '어우, 야, 내 말 아직 안 끝났거든?'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물에 집어넣으면 '꼬르르륵~~ 꼬륵 꼬륵~ 헥... 헥... 지금 당장 목숨만은 '''꼬르르르륵~꼬륵 꼬륵~''''이라고 물에 빠져 죽는 소리를 냈고, 간지럽히면 '이히히히~'하고 웃었다.] || || '''8월 19일''' || [[유연성]] || || || '''8월 26일''' || [[정여사|여성성]] || || || '''9월 2일''' || 통편집 || || || '''9월 9일''' || [[충성]] || || == 여담 == 잘 안 알려졌던 사실이 있는데, [[M4(보컬 그룹)|M4]]가 게스트로 나온 방영분에서는 우정출연한 비고정 멤버 [[김재욱(코미디언)|김재욱]]이 "감수왕 망해라!!"라고 외쳤다. 그리고 '''진짜로 감수성이 함락되는''' 시나리오가 되었다. [각주] [[분류:감수성(개그콘서트)]]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감수성,version=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