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화체육관광부장관)] ---- || {{{#ffffff '''갈홍기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농구협회의 역대 회장)]}}} || ---- ||<-2> '''[[문화체육관광부장관|{{{#fff 대한민국 제6대 공보실장}}}]][br]{{{+1 갈홍기}}}[br]葛弘基[* 일본식 성명은 아마즈시로 히로키(葛城弘基).] | Kal Hong-ki'''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6A9991AC-53F2-4234-BB52-92FEB4DAABE3.jpg|width=100%]]}}} || ||<|2> '''출생''' ||[[1906년]] [[4월 14일]]|| ||[[경기도]] [[강화군]][br](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 '''사망''' ||[[1989년]] [[8월 25일]] (향년 83세)|| || '''본관''' ||[[갈(성씨)|남양 갈씨]]|| || '''호''' ||상파(想坡)|| ||<|6> '''재임기간''' ||제4대 외무부 차관|| ||[[1952년]] [[2월]] ~ [[1952년]] [[10월]]|| ||제6대 공보처장|| ||[[1953년]] [[3월 6일]] ~ [[1955년]] [[2월 27일]]|| ||제6대 공보실장|| ||[[1955년]] [[2월 28일]] ~ [[1956년]] [[7월 22일]]||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갈형대 || || '''학력''' ||[[배재고등학교|배재고등보통학교]] {{{-2 (졸업)}}}[br][[연희전문학교]] {{{-2 (문과 / 졸업)}}}[br]개렛 신학교 {{{-2 (졸업)}}}[br][[노스웨스턴 대학교]][br][[시카고 대학교]] {{{-2 (철학 / 박사)}}} || || '''종교''' ||[[개신교]] {{{-2 ([[감리회]])}}} || || '''경력''' ||[[연희전문학교]] 교수[br]창영교회 초대 담임목사[br]외무부 차관[br]제6대 공보처장[br]제6대 공보실장[br]대한민국농구협회 회장[br]제3대 주 말레이시아 대사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감리회]] [[목사]] 겸 [[정치인]], 외교관. == 생애 == 1906년 [[경기도]] 강화군(현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애국지사 갈형대(葛亨大)[* 1925년 8월 [[인천광역시|인천부]] 화도예배당에서 위원으로서 하계아동성경학교를 개최하여 아동들에게 동화·유희·조선어·음악·역사 등을 가르쳤다. 이 때 갈홍기도 교원으로 참여했다.[[http://db.history.go.kr/id/npsd_1925_08_08_v0003_0730|#]] 1928년 [[중국]] [[동삼성]]에 거주하는 한인들이 중국 관헌들로부터 귀화를 강요받는 등 박해를 받는 데에 대한 구제책으로 설립된 재만동포옹호동맹(在滿同胞擁護同盟)에 동정금을 기부하는 등[[http://db.history.go.kr/id/npjo_1928_01_15_v0004_0950|#]] 민족문제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던 인물로 보인다.]의 아들로 태어났다. [[배재고등학교|배재고등보통학교]], [[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고 [[미국]]에 유학하여 개렛 신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를 졸업하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귀국한 뒤에는 연희전문학교의 [[교수]]로 근무하였다. 1937년 창영교회 초대 담임목사로 부임하여 2년 동안 시무했다. 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에 연루, 검거된 후 친일로 전향하여 1938년 6월 18일, 직전에 [[기소유예]]로 풀려났던 [[이묘묵]](李卯默)을 비롯하여 정영도(鄭英道)·김여제(金與濟)·김여식(金麗植)·[[전영택]](田榮澤)·류형기(柳瀅基)·이명혁(李明赫)·박태화(朴泰華)·차상달(車相達)·하경덕(河敬德)·[[현제명]]·[[홍난파]] 등 12인의 [[흥사단]]원과 김기승(金基昇)·김노겸(金魯謙)·[[노진설]]·이기윤(李基潤)·최봉칙(崔鳳則) 등 5인의 동우회원 등 17인과 함께 전향성명서를 발표하고 친일단체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46623&docId=534845&categoryId=46623|대동민우회]](大同民友會)에 가입하였으며[[http://db.history.go.kr/id/su_012_1938_06_18_0710|#]], 8월 18일 위 사람들과 함께 흥사단에서 출단 처분을 받았다.[[http://db.history.go.kr/id/npsh_1938_08_18_v0001_0080|#]] 이후 [[정춘수]] 등과 함께 감리교단 내에서 일제에 부역하였다. [[8.15 광복]] 후 1952년 [[외교부|외무부]] 차관으로 있었으며, 1953년부터 1956년까지 [[문화체육관광부장관|공보실장]]을 지냈다. 이후 1956년부터 1957년까지 [[대한민국농구협회]] [[회장]]을 지냈다. [[분류:1906년 출생]][[분류:강화군 출신 인물]][[분류:1989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감리회 목사]][[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분류:노스웨스턴 대학교 출신]][[분류:시카고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이승만 정부/인사]][[분류:희귀성씨인 인물]][[분류:남양 갈씨]][[분류:외무부 차관]][[분류:공보처장]][[분류:공보실장]][[분류:연세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