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Galil ACE}}}'''[br]''ACE גליל''[br]갈릴 AC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alil_ACE_23.jpg|width=100%]]}}}|| ||<-2><:> {{{#000,#ddd {{{-1 460mm 총열 / ACE 23}}}}}} || || '''종류''' ||[[돌격소총]][br][[전투소총]] || || '''원산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3]] [[이스라엘]]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08년]]~현재 || || '''개발''' ||<|2>[[IMI]](현 [[IWI]]) || || '''생산''' || || '''사용국'''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3]] [[콜롬비아]][br][[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3]] [[멕시코]][br][[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3]] [[아르헨티나]][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우크라이나]][br][[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3]] [[베트남]] 등 || ||<-2> {{{#white '''기종'''}}} || || '''원형''' ||[[갈릴]] || || '''파생형''' ||ACE 21[br]ACE 23[br]ACE 31[br]ACE 32[br]ACE 52[br]ACE 53 || ||<-2> {{{#white '''제원'''(ACE 23 기준)}}} || || '''탄약''' ||[[5.56×45mm NATO]] || || '''급탄''' ||35발들이 박스탄창[br]30발들이 [[STANAG 탄창]] || || '''작동방식''' ||가스압 작동식[br]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460mm || || '''전장''' ||976mm(개머리판 연장)[br]896mm(개머리판 수축) || || '''중량''' ||3.44kg || || '''발사속도''' ||680~880RPM || || '''탄속''' ||915m/s || || '''유효사거리''' ||5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r7q7kDCTZ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ys9zd1y-rI)]}}} || || IWI 공식 홍보 동영상 || [[래리 빅커스]]의 ACE 32 리뷰 영상 || [[이스라엘]]의 [[IMI]]에서 개발한 돌격소총/전투소총. 콜롬비아 정부 소속의 조병창인 'Indumil'에서도 생산된다. == 상세 == IWI가 개발했던 갈릴은 확실히 튼튼하고 쓸만한 소총이었지만 무거운 무게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 주 고객으로 생각했던 이스라엘군은 이 무거운 무게에 질색하여 미국이 공여한 M16을 대량으로 채용했고 1993년이 되자 갈릴은 어느 틈엔가 자국군에서 퇴출 당하는 신세가 되어버렸다. 이 와중에 [[콜롬비아]] 같은 [[제3 세계]] 국가들이 갈릴을 제식으로 채용하고자 IWI에게 의뢰하였고, IWI는 갈릴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경량화에 초점을 맞춰 폴리머 부품을 대거 적용한 신제품을 내놓게 됐다. 기존의 7.62mm NATO(25발), 5.56mm(35발) 탄종 외에도 AK-47에 사용되던 7.62mm M43(30발) 탄종까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레일이 장착되어 있으며 개머리판이 M4의 그 개머리판과 동일하게 만들어져있는 등 서방 세계 기준으로 만들어져 있다. 기존 AK 소총과 달리, 갈릴처럼 조정간을 양측에서 조작이 가능하다. 장전손잡이는 우측이 아닌 [[FN FAL]]처럼 좌측에 있으며, [[FN FNC]]같이 장전손잡이 후퇴홈에 먼지 덮개가 달려있다. 현재는 멕시코, 콜롬비아, 페루, 칠레,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대륙 국가들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동유럽 국가인 우크라이나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2013년부터 [[베트남]]군에서 그동안 쓰던 AK-47을 대체하기 위해, 7.62x39mm M43 탄환과 AK-47 탄창을 사용하는 ACE 31과 32를 현지 라이선스 생산하기로 했다고 한다.([[http://www.janes.com/article/33334/israel-weapon-industries-to-begin-assault-rifle-production-in-vietnam|관련 기사 (영문)]]) 그 후에 AK와 갈릴 ACE를 섞어서 만든듯한 물건까지 [[https://milidom.net/photo/1081604|생산을 하고 있다.]] 미국 생산 민수용판, 버전 한정으로 [[STANAG 탄창]]을 그대로 사용하는 N-2X 버전과 명칭에는 차이가 없지만 [[AR-10]] 계열용 탄창을 그대로 사용하는 7.62mm 나토 버전이 존재하며, 민수용에서만 5.45mm 버전을 한정판으로 소량 제작해 판매를 했었다. 5.45mm 버전은 탄약과 탄창이 [[AK-74]]의 것을 그대로 쓴다는 것을 제외 하면 기존 ACE 32와 별 차이는 없다. 5.45mm 버전은 특정 기간동안 소량을 민수용으로만 제작해서 판매를 하고 끝나서 그런지 총기 길이별 명칭 외에 5.45x39mm가 뒤에 추가로 붙는 것을 제외하면 따로 해당 총탄 전용 번호대 자체가 정해지지 않았다. == 종류 == === 1세대 === ||
'''제품명''' || '''ACE 21''' || '''ACE 22''' || '''ACE 23''' || '''ACE 31''' || '''ACE 32''' || '''ACE 52''' || '''ACE 53''' || || '''탄약''' ||<-3> [[5.56×45mm NATO]] ||<-2> [[7.62×39mm M43]] ||<-2> [[7.62×51mm NATO]] || || '''급탄''' ||<-3> 35발들이 박스탄창 [br] 30발들이 STANAG ||<-2> 30발들이 바나나탄창[* 7.62mm M43 탄을 사용하는 AK 계열의 탄창이다.] ||<-2> 25발들이 박스탄창 || || '''총열길이''' || 215mm || 332mm || 460mm || 215mm || 406mm || 400mm || 508mm || || '''전장''' || 730mm [br] (개머리판 연장) [br] 650mm [br] (개머리판 수축) || 847mm [br] (개머리판 연장) [br] 767mm [br] (개머리판 수축) || 976mm [br] (개머리판 연장) [br] 896mm [br] (개머리판 수축) || 730mm [br] (개머리판 연장) [br] 650mm [br] (개머리판 수축) || 927mm [br] (개머리판 연장) [br] 847mm [br] (개머리판 수축) || 954mm [br] (개머리판 연장) [br] 874mm [br] (개머리판 수축) || 1,055mm [br] (개머리판 연장) [br] 650mm [br] (개머리판 수축) || || '''중량''' || 2.80 kg || 3.30 kg || 3.44 kg || 3.05 kg || 3.40 kg || 3.685 kg || 3.845 kg || || '''발사속도''' ||<-3> 680~880RPM ||<-4> 620~680RPM || || '''탄속''' || 710m/s || 850m/s || 915m/s || 600m/s || 680m/s || 800m/s || 860m/s || || '''유효사거리''' ||<-2> 300m ||<-5> 500m || 현재 1세대는 ACE 21과 7.62mm 나토 버전을 제외하고 모두 단종되었다. ==== 5.56×45mm NATO ==== * ACE 21 [[파일:Galil_ACE_21.jpg|width=350]] 215mm 총열을 사용하는 단축형. * ACE 22 [[파일:Galil_ACE_22.jpg|width=400]] 332mm 총열을 사용하는 단축형. * ACE 23 [[파일:Galil_ACE_23.jpg|width=550]] 460mm 총열을 사용하는 기본형. ==== 7.62×39mm M43 ==== * ACE 31 [[파일:Galil_ACE_31.jpg|width=400]] 215mm 총열을 사용하는 모델. * ACE 32 [[파일:Galil_ACE_32.jpg|width=500]] 406mm 총열을 사용하는 모델. ==== 7.62×51mm NATO ==== * ACE 52 [[파일:Galil_ACE_52.jpg|width=500]] 400mm 총열을 사용하는 모델. * ACE 53 [[파일:Galil_ACE_53.jpg|width=600]] 508mm 총열을 사용하는 모델. === 2세대 === [[파일:GAR27-1-scaled.jpg|width=700]] 2021년 2월에 출시되었다. 프리플로팅 설계로 만든 M-LOK 총열덮개로 바뀌었고, 폴리머 소재로 경량화와 함께 방아쇠, 조정간을 개량했다. 개머리봉은 접이식이고 M4 개머리판과 호환되며, 소총형에는 맥풀 CTR 개머리판, 권총형에는 SSB 택티컬 SBA-3 손목지지대가 기본 옵션이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 영화 === * [[레지던트 이블 5: 최후의 심판|레지던트 이블 5: 최후의 심판(2012)]] 극중 인물 중 제임스 셰이드와 [[배리 버튼]]이 ACE 21을 사용했다. * [[로보캅(2014)]] 범죄 집단 일원 중 하나가 ACE 21을 사용했다. * [[제미니 맨]] 영화 초반부 헨리 브로건이 ACE 31을 사용했다. === 드라마 === * [[나르코스]] CIA의 지원을 받은 우익 게릴라 '로스 페페스'와 콜롬비아 경찰 특수부대 '서치 블락'의 일부 대원들이 사용한다. 로스 페페스의 보스 카스타뇨 형제 중 동생이 이 총으로 에스코바르의 마약 창고를 털때 CQB의 진수를 보여준다. 그런데 본 작품의 배경은 1980년대 말~1990년대 초반으로, 갈릴 ACE는 커녕 피카티니 레일조차도 나오지 않은 시기였다. 드라마 촬영 당시 콜롬비아군의 제식소총이어서 등장한 듯싶으나, 구형 갈릴 소총 소품도 확보한 상태에서 굳이 본 총기를 고른 것은 아쉬운 점이다. * 디파이언스(2013) [[TAR-21]]의 기본 도트사이트인 'Metrolight® Red Dot Sight'를 장착한 ACE 21이 등장했다. === 게임 === * [[고스트 리콘 와일드랜드]] AC-AR이라는 이름으로 등장. 특수부대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게임 내 성능은 대략 근접전에 적합하다는 평을 받는다.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4]] ACE 21, ACE 23, ACE 52, ACE 53이 등장한다. * ACE 21은 770RPM의 연사력과 낮은 반동이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단순히 ACE 23을 카빈으로 옮긴 듯한 총이다. * ACE 23은 770RPM의 적당한 연사속도와 균형잡힌 반동으로 돌격병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ACE 52는 전작의 SCAR-H가 돌격소총으로 변경되어 그 대용 정도의 성능으로 다들 인기가 많다. 단점은 반동과 탄낙차가 크고 탄속이 느리다. * 지정사수소총인 ACE 53 SV는 쓸만한 성능을 가지고 있고, DMR 중 가장 많은 장탄수인 25발을 자랑한다. 다만 탄속이 좀 느린 게 흠. * [[배틀필드 하드라인]] 오퍼레이터 주무장으로 ACE 22가 CAR-556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 [[블루 아카이브]] ACE 23 STANAG 탄창 사용형이 원형인 [[갈릴]]과 함께 [[시스터후드]] 부원의 총기의 모티프로 등장한다. * [[스플린터 셀: 블랙리스트]] ACE 53이 ACE란 이름으로 등장. *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ACE 22가 Galil AR(갈릴 돌격소총)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전작들의 기존 갈릴과 성능은 동일하다. 베타 버전에서는 도트 사이트를 장착한 모습이었지만 밸런스 조정을 위해 도트 사이트가 삭제되었다. * [[컴뱃암즈]] ACE 21이 'Galil ACE'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시즌 4 업데이트와 함께 ACE 31이 CR-56 AMAX라는 이름으로 등장. 여타 매체에 5.56, 7.62 나토탄을 사용하는 버전들이 등장했던 것과는 달리 특이하게도 7.62x39mm M43탄을 사용하는 ACE 31이 등장했다. 총열 개조로 ACE 32로도 변형 가능하다. * [[콜 오브 듀티: 모바일]] 모던워페어의 CR-56 AMAX를 그대로 가져왔다. 총기 부착물도 거의 다 동일하다. * [[파 크라이 시리즈]] * [[파 크라이 3]] ACE 53이 ACE란 이름으로 등장. 여러가지 부착물 장착 가능. * [[파 크라이 4]] 마찬가지로 ACE 53이 A52라는 이름으로 등장. * [[PUBG: BATTLEGROUNDS]] 2022년 4월 [[사녹(PUBG: BATTLEGROUNDS)|사녹]] 롤백과 함께 ACE 32 모델이 [[ACE32(PUBG: BATTLEGROUNDS)|ACE32]]라는 이름으로 출시하였다. 해당 문서 참조.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콜롬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칠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페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베트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라오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네팔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탄자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엘살바도르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각주] [include(틀:칼라시니코프 계열 총기)] [[분류:돌격소총]][[분류:전투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AK-47]][[분류:IMI]][[분류:2008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