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hragmites_australis_Schilfrohr.jpg|width=300]] || ||<-3> '''[[갈대|{{{#black 갈대}}}]]''' || ||<-2> Reed ||{{{#000000 이명 : '''-'''}}} || ||<-3> ''Phragmites australis'' (Cav.) Trin. ex Steud. || ||<|6> 분류 || [[계]] || '''식물계''' || || 군(미분류) || [[속씨식물군]](Angiosperms) || || 군(미분류) || 메스속씨식물군(Mesangiospermae) || || 군(미분류) || 외떡잎식물군(Monocots) || || [[목]] || 벼목(Poales) || || [[속]] || 갈대속(Phragmites) || ||<-3> '''[[종]]''' || ||<-3> {{{#000000,#dddddd '''갈대''' ''(P. australis)''}}} || [목차] [clearfix] == 개요 == 습한 [[모래]]땅에 사는 여러해살이풀로, 흔히 [[가을]]의 풀밭이라 하면 이것을 연상하기도 한다. 강변이나 호수변에 많이 심어져있다. 본래 기수지역에 자생하는 식물로 염분에 강하다. [[쑥]]과 마찬가지로 척박한 땅에서 자라나는 식물의 대명사이다. 단, '쑥대밭'이라는 표현은 쑥의 줄기를 쑥대라고 부르는 것으로 갈대와는 무관하다. 엄밀히 '갈대'의 '대'와 '쑥대'의 '대'가 같은 '대'이기는 하다.[* 싸릿대, 막대, 꼬질대 등등 곧게 뻗은 줄기는 모두 대다. [[대나무]]가 대표적인 대다.] == 등장 == 전 세계를 통틀어 화석으로 처음 발견된 것은 미국 남부에서 발굴된 것으로 신생대 고제3기 말엽이라고 하며, 대한민국에서 갈대가 처음으로 화석으로 등장한 것은 신생대 3기 때 제주도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한다.[[https://ko.wikipedia.org/wiki/%EA%B0%88%EB%8C%80|#]]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면 한반도로 전래된 것이 늦은 모양. == 모양새 == [[억새]]와 생김새가 나름 유사해 가끔 혼동되곤 한다. 억새든 갈대든 군집이 상당히 넓기 때문에 한번 들어갔다가 잘못하면 빠져나오지 못할 수도 있다. 전문가나 인솔자가 옆에 있지 않는 이상 들어가지 않는 게 가장 좋지만 무심코 들어갔다가 나중에 길을 잃었다면 당황하지말고 [[119]]나 인솔자에게 구조요청을 하거나 [[나침반]]을 소지하고 있다면 동쪽으로 계속 걸어가도록 하자. [[http://www.kookje.co.kr/mobile/view.asp?gbn=v&code=&key=20111013.22010220519|농담이 아니라 실제로 이런 사고사례가 제법 있다.]]나침반이 없다고 당황하지 말고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GPS]]와 [[지자기 센서]]가 탑재되어 있어 [[구글 지도]]도 스마트폰이 향하는 방위를 표시해주고 있고 지자기 센서를 사용한 나침반 앱으로 북쪽을 찾아낼 수 있다 또한, 그 넓은 군집 때문에 많은 새들이 이곳을 안식처 삼아 둥지를 틀고 번식을 하는데, 대표적인 새들로 덤불[[해오라기]]나 [[개개비]] 등이 있다. 이외에도 생태가 유사한 달뿌리풀(''Phragmites japonica '')와 혼동할 수도 있다. 달뿌리풀은 억새보다 좀 작고 기는줄기가 땅 위로 기어다닌다는 차이점이 있다 [[여자]]의 마음을 빗대어 말하기도 하는데, 바람 부는 날에 유난히 잘 흔들리기 때문. 하지만 잘 흔들리는 것과 다르게 [[꽃말]]로 [[신의]]/[[믿음]]/[[지혜]] 등이 연결되어 있다. == 기능 == 여러 가지 쓰임이 있는 식물로, [[사료]]나 [[펜]]의 재료로 쓰이기도 하며 그냥 부러트린 뒤 [[스타일러스 펜]]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대금]] 연주자들에게도 친숙한 식물인데, 대금의 [[청(대금)|청]] 부분이 갈대의 속껍질로 만들기 때문. 영어로 reed를 찾아 보면 클라리넷 오보 등 관악기에 붙이는 진동판이 나오는데, 국악기 피리(향피리 당피리 불문)에 붙이는 갈대 속과 근본이 같은 것이다. 목관악기는 리드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뉘는데, 동양 서양 악기 모두 리드는 소모품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갈대를 길이를 재는 '[[자]]'의 용도로 썼기 때문에 표준/기준/정형 등의 의미로 확장되었고, 그것이 오늘날 전해지는 [[카논]]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갈대와 버드나무로 [[고리짝]]을 만들기도 했고, 식량으로 쓰기도 하였다. [[섬유]]로서의 조건도 갖추고 있어서 섬유나 종이 생산에 원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산소미포함]]의 [[Oxygen Not Included/자원/산업 재료|산업 재료]] 중에 갈대섬유가 있는 것도 이런 맥락. [[미나리]]와 함께 대표적인 수질 정화 식물이기도 하다.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 친환경적인 폐수정화를 위해 정화사업에 쓰는데 상기했다시피 염분에 강한 관계로 해안에 심기도 했다. 일본의 경우는 지금도 각 현에서 생활폐수를 정화하기 위해 친환경적 하천사업을 벌이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순천만의 갈대밭이 유명한데, 이 경우는 수질정화사업을 위해 심은 것이 아니라 어쩌다보니 자생적으로 자라 오염을 낮추는 경우(...). 소규모 하천에도 갈대밭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의 수질이 눈으로도 구분되는 경우도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라크 무디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디프 이라크.jpg|width=100%]]}}} || ||<-2> 무디프(المضيف) || 현재까지도 이라크 남부의 주민들은 무디프 (المضيف)라 불리는 전통 갈대집에 살기도 한다. 속이 빈지라 과거에는 [[빨대]]로 썼다. [* 그런데, 빨대의 영어 straw는 갈대 reed가 아니라 밀짚이다.]특히 [[수메르]]인들이 맥주를 마시는 용도로 처음 썼는데, 당시의 맥주는 [[술지게미]]를 거르지 않았기 때문에 건더기가 많아 갈대 대통을 이용해 마셨다. 현재 플라스틱 빨대 규제를 하면서 갈대 빨대가 다시 한 번 주목을 끌고 있다. 나무 대신 [[뗏목]]을 만드는데도 쓸수 있으며, 과거 수메르인과 현재의 [[이라크인|습지 아랍인]]들이 갈대로 뗏목을 만든다. [[페루]]/[[볼리비아]] 접경의 [[티티카카 호]] 원주민은 현지의 토토라 갈대로 거대한 [[티티카카 호 #s-5|갈대섬]]을 만들어 거주하기도 한다. === 북한에서의 쓰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Ax7GvQ1r4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L9PpWC5FZE)]}}} || || [[통일전망대(MBC)|통일전망대]] 보도 || [[남북의 창]] 보도 ||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가공해서 섬유나 종이 생산에 원료로 쓸 수 있기에, [[북한]]에서는 60년대 [[김일성]] 집권기 시절부터 [[https://www.mk.co.kr/news/all/1036464|관심을]] 가지고 갈대 농사를 짓고 있으며, [[평안북도]] [[신도군]]의 [[삼각주]]인 [[비단섬]]에서 갈대를 재배하여 [[신의주]]화학섬유공장에 보내 가공한다고 한다. 당연히 나무[[펄프]]로 만드는 종이에 비하면 품질이 조악하지만 일단은 쓰긴 하는 모양이고 [[교과서]] 생산에도 쓰는 모양.[[http://m.monthly.chosun.com/client/mdaily/daily_view.asp?idx=9859&Newsnumb=2020069859|#]]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c7h5RHibKg)]}}}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fdFu9nVjeU)]}}} || || [[화물선]] 침몰 사고 보도 || 운반 중단 보도 || 그러나 2023년 3월, [[압록강]]에서 갈대를 운반하던 화물선이 정박 중이던 [[유람선]]과의 충돌사고로 침몰하는 바람에 갈대 운반이 중단되었고, 비단섬에서 공장으로 운반하지 못하고 썩어가던 갈대를 불태우는 것이 목격되었다. 갈대 생산에 큰 차질이 생겼을 것으로 보인다. [[삼각주]]의 특성상 [[홍수]]에 매우 취약한데 [[2023년 한반도 폭우 사태]] 당시 비단섬이 홍수 피해를 입었으나 [[김정은]]의 지시로 살림집이 최단 기간 안에 완공되었다고 선전했다.[[https://www.ytn.co.kr/_ln/0101_202307121022012404|#]] 과연 갈대 생산이 잘 되고 있을지는 [[진실은 저 너머에]]. == 그 외 == [[이집트 신화]]에서는 죽은자들의 [[천국]]인 아아루(Aaru)는 갈대밭이다. 아아루라는 단어가 갈대라는 의미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시링크스]]라는 이름의 [[드라이어드|드리아스]]가 [[판(그리스 신화)|판]]의 구애를 피하다 변한 식물로 전해진다. 특이하게 갈대밭의 지목은 임야가 아닌 잡종지로 분류된다. [[분류:풀]][[분류: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