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간호사]][[분류:특수한 의류]] [include(틀:의료기기)] [[파일:external/blog.samsung.com/cfile7.uf.1212CD254C0884A1942D63.jpg]] [목차] == 개요 == [[간호사]]들이 입는 일종의 [[제복]].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간호사복이 아니라 '간호복'이 맞는 말이다. 과거에는 너스 캡에 흰색 [[원피스(의류)|원피스]] 형태의 옷 그리고 [[흰색 스타킹|흰색 팬티스타킹]](혹은 [[투명 스타킹]])까지 착용한 이미지가 통념적이지만, [[197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서 시작된 [[바지]]를 포함한 간편복 ([[미국 영어]]로 scrubs)이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어 [[1990년대]] 후반 이후로는 너스캡을 쓰거나 치마를 입는 간호사는 찾기 어렵다. 현대화된 최근엔 간호사들도 거의 너스 캡 없음 + 간편복을 입는 경우가 매우 많으며, 흰색 제복 대신 더 다양한 색의 제복을 입는 경향이 많다. 당장 병원만 가도 다양한 색의 간편복을 입은 간호사들(+ [[간호조무사]]들)을 볼 수 있다. 색으로 소속을 구분하기도 한다. == 간호복의 역사 == [[간호사]]에게는 생명을 다루는 의료인이면서도 여러 [[환자]]를 대하는 만큼 [[위생]]적인 몸가짐이 요구된다. 또한 밝은 분위기를 주어 환자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간호사복의 색상은 주로 밝고 따뜻한 느낌의 파스텔 톤 색이다. [[파일:attachment/간호사복/nrs1.jpg]] (19세기 [[미국]]의 간호복) [[파일:attachment/간호사복/1942.jpg|width=300]] ([[1940년대]] [[영국]]의 간호복) [[파일:attachment/간호사복/hama.jpg|width=300]] (1943년의 [[미국]] 간호복) [[일본인]] 같지만 미국 간호복 맞다. [[캘리포니아]]의 Manzanar Relocation Center에서 근무하던 하마구치 아키코 간호사. Ansel Adams 촬영. [[파일:attachment/typical_nurse_uniform.jpg|width=300]] (전형적인 과거 형태의 간호복) [[https://pds.joins.com/news/component/newsis/201803/20/NISI20180222_0000111648_web.jpg]] [[http://img.khan.co.kr/news/2010/02/17/20100217.12100103000004.01L.jpg]] [[http://www.khanews.com/news/photo/201409/104964_28104_510.jpg]] [[http://www.gjn.kr/news/photo/201802/32881_57148_833.jpg]] [[https://img.lovepik.com/element/40030/1392.png_860.png]] 현대의 간호복. 과거와 달리 상하의가 구분된 것 + 바지가 추가된 것 + 다양한 색상이 눈에 띈다. [[2010년대]] 후반에는 더 나아가 링크에 있는 카라 블라우스+바지 형태 간호복도 안 입고 [[의사]]/특수부서 간호사/병동+의료기사([[응급구조사]], [[방사선사]] 등) 등으로 색을 구분짓고 수술복으로 통일하는 경우도 점점 늘어가는 추세다. 활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 남녀 할 거 없이 간호복의 색상은 보통 밝거나 파스텔톤인 경우가 많다. 앞서 말했듯이 [[환자]]를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 [[병원]]에서 [[의사]]들이나 간호사들의 정식 복장이 강렬한 원색이거나 어두운 색상인 것을 찾아보기 힘든 이유와 동일. 거기다 피치 못하게 환자 분비물이나 [[피]] 등이 튈 수 있는데 흰색 바지는 그런 부분에서 쥐약이라 불편함이 가중된다.[* 요즘엔 간호복도 흰색이나 [[파스텔]]톤 외에 어두운 색의 바지를 입는 곳들도 종종 보인다.] 그래서 색이 알록달록한 케이스여도 보통 옅은 [[파스텔]]톤에 맞춰지지 쨍한 원색톤으로 옷을 만들지는 않는다. [[http://www.monews.co.kr/news/photo/201709/105705_36119_1137.JPG|물론 좀 더]][* 해당 이미지에 나온 간호복은 청색, 진한 하늘색, 홍미색에 가까운 색, 그리고 보라색이다. 모두 연한 톤보다는 상대적으로 [[원색]]톤에 가깝다.] [[http://webzine.brmh.org/data/img/201712/ozgmQ2w2Hb.png|짙은 색인 경우]]도 제법 있으나 보통 한색 계열[* 파란, 녹색, 청록, 난색에 가까워봤자 보라색. 이마저도 원색에 비해 좀 더 옅고 보기에 편안한 색의 원단을 쓴다.]이지 난색 계열인 경우는 분홍색 정도를 제외하곤 드물며, 빨간색인 경우는 찾기 힘들다. 한때 [[간호사]] 하면 떠오르는 너스 캡([[모자]])는 [[수녀]]들의 [[수도복|수녀복]] [[베일]]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우디아라비아]]나 [[이란]] 등 [[이슬람 국가]]의 간호사는 [[히잡]]을 쓴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근무 중 꼭 착용하는 [[정모]] 개념이었지만 간편복이 대세를 이루면서 간호대 졸업 때 [[나이팅게일 선서]]를 하며 너스 캡을 쓰는 의식인 가관식 때만 쓰고 그 후로는 평생 한번도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다만 간호사 캐릭터나 일러스트에서는 아직도 너스 캡이 종종 보이는데, 간호사를 상징하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될 듯 싶다. == 창작물 == [[파일:nursewear.jpg]] 위에 서술했다시피 [[한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로 간호사들이 너스캡을 쓰지 않으며 치마가 아닌 바지를 입고 근무하지만, 많은 미디어에서 간호사를 묘사할 때는 특유의 치마 제복과 너스캡을 붙여서 그리거나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발레리나]]처럼 [[흰색 스타킹]]을 신는 직업으로 인식이 굳어진 만큼 해당 취향 사람들에게 선호받는 장르 중 하나다.[* 다만 간호사 취향인 사람이 모두 흰색 팬티스타킹을 선호하는 것은 아니고, 흰색 사이하이 삭스 or 흰색 밴드스타킹을 신기거나 반대로 검은 스타킹을 좋아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그래서 2000년대 이후로는 한국에서는 대부분의 영상물에서 현실 반영으로 바지 간호복으로 묘사되고, 역사물에서만 치마와 너스 캡으로 표현되는 것이 대세가 되었다. 하지만 일본의 영상물에서는 실제로도 의료 현장에 아직 너스 캡, 치마 조합이 남아있기 때문인지 그렇게 묘사되는 경우가 2020년대에도 많은 편이다. === 현실 간호사의 시선 === * 한국에서는 창작물 속 간호사복에 대한 현실 간호사들의 비판 여론이 높다. 간호사는 환자를 대하며 [[의료행위]]를 하는 직업인이고 생명과 직결된 일을 하는 데에 막중한 책임과 스트레스를 지녔는데, 그들을 상징하는 제복을 성적 유니폼으로 결부시키는 것이 도리에 어긋난다는 주장이다. * 대표적인 사례가 MBC 드라마 [[병원선(드라마)|병원선]]에 나온 간호사 복장에 [[https://news.joins.com/article/21906112|간호사들이 비판을 제기해 복장을 변경한 사건]]이나 블랙핑크 뮤비에서 창작물에 나오는 간호사복을 입혀 놓은 것 때문에 협회 차원에서 비판을 가한 사건이다. 공론화가 되지 않아도 이미 허구한 날 성희롱을 당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고충을 토로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XsmWBESB4_k |#]] == 간호복을 입은 인물/캐릭터 == * '''[[간호사]]''' 문서로. [[포켓몬스터]]의 [[간호순|포켓몬 간호사]]는 사실 [[수의사]]인데 간호복을 입고 있다. * [[노리프로]] 소속 [[버츄얼 유튜버]]의 [[미루타니 니아]] *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아칼리]] * [[사일런트 힐]]의 [[너스(사일런트 힐 시리즈)]]. 이 방면에서 제일 유명한 캐릭터일 것이다. * 영화 [[다크 나이트(영화)|다크 나이트]]의 [[조커(다크 나이트 트릴로지)|조커]]가 이 복장으로 변장한 것도 --모에요소라서?-- 은근히 컬트적인 화제가 되었다(…). 서양에서는 할로윈 데이에 조커 분장을 하고 간호복을 입는것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 [[미래일기]]에서 [[우류 미네네]]가 4th전과 7th전에서 변장용으로 입었었다. * 영화 [[킬 빌]]에서 엘 드라이버가 간호사복을 입고 키도를 암살하러 잠입했다. * [[문호 스트레이독스]]의 [[엘리스(문호 스트레이독스)|엘리스]]는 전투시 간호복을 입고 각종 주사기를 무기로 삼아 싸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