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파일:무용총 각저총.jpg]] 왼쪽이 [[무용총]], 오른쪽이 각저총이다. ||<-3>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4> 이름 || 한국어 ||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 || 영어 || Capital Cities and Tombs of[br]the Ancient Koguryo Kingdom || || 중국어 || 高句丽王城、王陵及贵族墓葬 || || 프랑스어 || Capitales et tombes[br]de l’ancien royaume de Koguryo || ||<-2> 국가·위치 || [[중국]] [[지린성]] 지안 || ||<-3> [include(틀:지도, 장소=41.146325 126.208015, 높이=224px, 너비=100%)] || ||<-2> 등재유형 || [[세계유산#s-3.1|문화유산]] || ||<-2> 등재연도 || [[2004년]] || ||<-2> 등재기준 || (i)[*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ii)[*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iii)[*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iv)[*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v)[* 특히 번복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취약해졌을 때 환경이나 인간의 상호 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나 육지·바다의 사용을 예증하는 대표 사례] || ||<-2> 지정번호 || [[http://whc.unesco.org/en/list/1135|1135]] || 角抵塚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지린성]] 지안시 소재의 [[통구 고분군#s-2|우산하 고분군]]의 벽화분. [[우산하 992호]]와 [[태왕릉]]의 중간 지점에 [[무용총]]과 나란히 위치하고 있으며 무용총과 마찬가지로 씨름하는 모습의 벽화 때문에 각저총(角抵塚)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장군총]], [[태왕릉]]과 같은 [[고구려 왕릉]]들과 함께 중요 고분으로써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이와 더불어 [[국보]]632호에 등록된다. == 무덤의 구조 == 4세기 후엽부터 나타나는 묘도 양 옆으로 이실(耳室)이 달린 형태의 석실봉토분이다.[* 평면형태로 따지고 보면 '早' 또는 '古' --또는 소대장 비표(...)--처럼 생겼다.--] 비슷한 형태의 벽화고분들로는 마선구 1호, 왕자묘[* 둘다 각저총보다는 약간 먼저 생기는 고분들이다.], [[무용총]], [[산연화총]], [[마조총]] 등이 있다. 이러한 석실이 유행함과 동시에 벽화가 점차 그려지는 것이 유행하기 시작하는데, 4세기 초까지만 하더라도 초보적인 형태의 벽화였다면 4세기중엽부터는 [[무용총]]과 각저총처럼 벽화 내부에 다양한 요소로 생활의 풍속, 장면 등을 그려넣는 것이 유행이 되기 시작한다. 각저총도 씨름하는 장면을 통해서 네임드가 되었다보니 씨름하는 장면만 떠올리기 쉬운데, [[안악 3호분]]처럼 무덤의 주인의 그림도 현실의 가장 안쪽벽에 무덤 주인에 대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안악 3호분]]처럼 기둥이 표현되어 있고 기둥이 표현한 집의 형상 가운데에 묘주와 부인으로 추정되는 인물과 근시(近侍)들이 시중을 드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파일:Goguryeo-Gakjeochong-Ssireumdo-01.jpg]] 바로 이 씨름하는 장면이 그려진 덕분에 이름이 각저총이라고 명명되었다. 네이밍은 [[만주국]]시절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파일:코쟁이.jpg|align=right&width=40%]] 여하간 이 [[씨름]]하는 장면의 벽화으로 인해서 씨름의 역사도 대략적으로 유추도 가능했을 뿐만아니라 벽화에서 보이듯이 왼쪽에 서서 오른쪽을 바라보는 코가 구부러진 사람의 모습을 통해서 서역인으로 판단하여 [[서역]]과 고구려와 교류가 있었다고 보기도 한다. 하지만 추측일 뿐이고 어째되었건 고구려인 둘이 씨름을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유력하다. 참고로 이러한 [[씨름]]하는 장면이 있는 벽화는 [[통구 고분군]]의 [[통구 고분군#s-6|장천 고분군]]의 장천 1호에서도 확인되고 있으며, 그 벽화에서도 코가 큰 이국적인 형태로 묘사되고 있다. [clearfix] == 무덤의 주인 == 무덤의 주인에 대해서는 아직 크게 밝혀진 게 없다. == 여담 == 유네스코에 등재된 우산하 귀족묘구의 여러 석실 봉토분들과는 달리 무용총과 각저총은 들어갈 수 없다. 근처에 민가도 없고 표지판만이 간단하게 가리키고 있어서 찾아가기 쉽지 않다. 사실 민가는 있다. 위치는 중국 [[서안성]] 23로지 33번쪽이다. 김해공항에서 우한쪽에 내려야 하는데 지금은 못간다. == 같이보기 == * [[고분문화#s-2|고구려의 고분문화]] * [[통구 고분군]] [[분류:고구려/고분]][[분류: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